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내국인용 관광패스 개발에 관한 연구: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봉미희(Bong, Mihee),김한솔(Kim, Hansol),서원석(Seo, Wonseok) 대한관광경영학회 2020 觀光硏究 Vol.35 No.8

        본 연구는 서울시가 보유한 관광자원과 다양한 즐길거리를 하나의 투어패스 시스템으로 엮어서, 서울시민 및 서울을 찾는 내국인들이 편리하고 저렴하게 서울시 관광을 진행할 수 있는 관광패스 서비스를 기획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관광패스 사례 및 내국인 관광객의 서울 관광행태, 서울관광객 의견 등을 분석하여 시민의 여가선용을 위한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패스를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관광패스의 사용자 요구분석을 위해 설문의 모집단을 서울시민을 대상으로 하여 서울역, 용산역, 청량리역 등 역사 안 열차 대기 승객을 중심으로 2018년 12월 7일부터 12월 12일까지 약 6일 간 설문을 진행하였다. 수집된 241부를 대상으로 서울시 관광객 방문행태를 알아보기 위한 빈도분석, 서울에 대한 관광목적지 속성별 중요도, 내국인용 서울관광패스 도입 관련 이용의사 등을 알아보기 위한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5단계 모델 수립 절차에 의해 관광패스 사업모델을 개발하였다. 관광패스 권 종은 당일여행객을 위한 1일 권, 숙박여행객을 위한 2일 권, 1,2일권보다 상대적으로 여유 있는 기간 동안 본인이 방문하고자 하는 곳을 직접 선정하여 구성하는 Big 3권, Big 5 권 종 등 4가지로 발행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내국인을 위한 관광패스 개발 시 의미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실무적 측면과 다양한 국내외 관광패스 사례 및 관광객 의견 분석 등 체계적인 과정을 통해 관광패스를 개발하는 과정을 제시한 학문적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ttempts to design a tour pass service that allows citizens of Seoul and Koreans visiting Seoul to travel conveniently and cheaply by combining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s tourism resources and various entertainment items. To attain this end, efficient and reasonable passes were developed and presented for citizens leisurely use by analyzing cases of domestic and foreign tourist passes, tourist behavior in Seoul by Korean tourists, and opinions by Seoul. To analyze the user s demand for the tour pass,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about six days from Dec. 7 to Dec. 12, 2018, focusing on passengers waiting for trains at platforms including Seoul Station, Yongsan Station and Cheongnyangni Station. The total 241 survey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With the quantitative data, this research provided the frequencies of visit, the importance of each tourist destination property in Seoul, and the intention of using the Seoul tourist pass for Koreans. Based on such prior research, a tourism pass business model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five stage model establishment procedure. Tourist pass proposed four types of model based on the duration of travel(One-Day Pass, Two-Day Pass) and number of destination(Big-Three, Big-Five), and provide working-level implicat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erms of practical aspects that meaningful information can be provided in the development of tourist passes for Koreans in the future, and academic aspects that suggest the process of developing tourist passes through systematic processes such as various domestic and international tourism pass cases and tourist opinion analysis.

      • KCI등재

        소비자구매행동 기반의 최적화된 유투어리즘: 서울관광사례연구

        이재진 ( Jae Jin Lee ),조준서 ( June Suh Cho ) (주)엘지씨엔에스(구 LGCNS 엔트루정보기술연구소) 2012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Vol.11 No.2

        21세기 각국은 자국의 경제적 이익을 추구하기 위해 다방면에서 글로벌 경쟁 체제에 놓여 있으며 관광분야 역시 예외가 아니다. 이에 서울시는 유비쿼터스 기반 대(對)외국인관광객 서비스를 상용화하였는데 이로써 우리나라의 최첨단 IT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u-관광자원을 개발하고 가치창출이 가능한 관광 비즈니스 모델의 초석을 다지게 되었다. 이에 대해 본 연구는 고객 구매의사결정과정에 기반하여 설계한 서울시의 유투어 서비스에 대한 사례 연구를 하였다. 서비스 현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외국인 관광객들이 웹과 모바일 등을 활용하여 여행 전·중·후 과정에서 획기적이고 다양한 여행 편의를 제공받게 되었다. 서비스 제공은 5개 언어로 지원되며 서울시를 비롯한 유관기관 콘텐츠를 도입하고 전자지도 및 예약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모바일 서비스는 모바일 웹 최적화사이트를 개발하고 스마트폰을 통해 관광객 위치 기반의 다국어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여 웹에서의 서비스를 대부분 지원하도록 하여 여행 중 위치기반 서비스를 통해 서울 어느곳에서든 서울관광에 대한 정보를 유용하게 얻을 수 있다. 본 사례 연구는 2009년부터 2011년에 걸친 유투어 서비스의 테스트·상용화·고도화 과정을 분석하였다. 웹, 모바일로 구분한 구축과정과 관광객들의 반응, 만족도 조사결과 등을 분석하였으며 유투어 서비스 구축의 의의와 시사점을 제시하고 활용도 제고를 위한 향후 과제에 대해 논의함으로써 본격화되는 유투어리즘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자 한다. 21century, all the nations around the world are in the system of global competition in various fields to seek economical prof-its. Tourism is not an exception. Hence, Seoul is meaningful in developing u-tourist attractions and creating value for manag-ing foreign tourists by promoting and invigorating the tourism, which is considered to be 21century`s higher value-added busi-ness. Moreover, Seoul is applying Korea`s high-tech IT technology to foreign tourists service based on ubiquitous. Seoul is now able to provide foreign tourists diverse, innovative tourism conveniences using IT technologies(eg. web, mobile, etc) in their process of touring with the u-service that Seoul have built this time. The service is provided in 5 different languages, adopting interagency contents including Seoul, and giving out conveniences with electronic-map and booking service. Mobile services not only developed mobile web optimum sites but also provided multi-lingual applications based on foreign tourists` locations with most of its service on web. This leads to the convenience for the foreign tourists to acquire information related to Seoul tour. With the provide of the service, it is expected to earn various economical, cultural value as well as enhancing Seoul`s brand value in the end.

      • 한국 방문의 해 홍보를 통한 서울관광 활성화 방안

        박성준(Park, Sung-Jun) 한국여행학회 2011 여행학연구 Vol.32 No.-

        Visit Korea Year 2010 to 12 years for first-year visit to Seoul Hallyu Festival to specify the year, the World Design Capital, Seoul International Lantern Festival, the Grand Sale, G20 Summit for international event and will be held in Seoul. At the national level by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d to co-promote tourism in Korea and Seoul, the capital to strengthen promotional activities are diverse. Therefore, this study visit to Korea to visit Seoul during the period of the year by analyzing the foreign tourists to study effective ways to promote more foreign tourists and contribute to the satisfaction research on ways to improve.

      • KCI등재

        서울현상색을 적용한 색채제안

        안유진(Yoo-jin Ahn),마주연(Ju-yeon Ma),김수정(Su-Jeung Kim) 한국색채학회 2011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5 No.1

        서울은 급속도로 산업화ㆍ현대화가 진행되었다. 때문에, 무질서한 색채의 범람이 초래되어 도시의 정체성을 잃어버렸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디자인 서울시는 서울색을 체계화 하였다. 이에 서울의 모든 기관들은 도시이미지가 일관적으로 인식되도록 서울색을 올바르게 적용하여야 한다. 하지만, 아직도 서울색을 적절하게 활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혼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 도시브랜드의 일관된 이미지를 정립하기 위해 하나의 적절한 적용 사례를 제시하고자한다. 이를 위해, 서울색을 적용하여 도시환경과 조화로운 서울시티투어버스 색채를 제안한다. 그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시티투어버스의 노선별 서울현상색을 통해 서울 대표 장소의 현상색을 분석한다. 둘째,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서울시티투어버스의 연상이미지에 적합한 색채를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색채를 서울시티투어버스에 적용하여 선호도 조사를 통해 그 적합성을 검토해 보도록 한다. 이를 통해 서울시티투어버스에 서울색을 적절하게 접목하여 도시와 조화를 이루도록 할 것이다. 또한, 더 나아가 서울색 적용을 용이하게 하여 도시 이미지 정립에 기여 하고자 한다. Seoul has progressed industrialization and modernization rapidly. and, It has caused the chaotic flooding of colors, which in turn has led to the loss of urban identity. In recognition of such problem, the headquarters of Design Seoul have surveyed of the establishment and systematization of Seoul color in 2008. All affiliated institutions within Seoul are required to properly apply Seoul color to objects composing Seoul in order to achieve a consistent city image. However, proper usage has not been achieved due to the absence of appropriate application examples regarding Seoul color. Hereupon, this study has suggested Seoul City Bus color through applied with Seoul color in order to establish a consistent image of Seoul city brand. The process for proposing Seoul City Tour Bus color is as follows. First, colors regarding phenomena colors in Seoul within the route of Seoul City Tour Bus were analyzed. Second, Propose on Colors for Seoul City Tour Bus. Lastly, Apply the results to the Seoul City Tour Bus, and evaluate the suitability of colors proposed. This proposal aims to properly graft Seoul color in Seoul City Tour Bus to achieve harmony with city. Furthermore, it hopes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city image by facilitating the application of Seoul color.

      • KCI등재

        플리커 데이터의 텍스트마이닝을 통한 서울방문 외국인 관광객의 서울 이미지 분석

        박예림,강영옥,김동은,이주윤,김나연 대한공간정보학회 2019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7 No.1

        본 연구에서는 소셜 네트워크 데이터인 플리커를 활용하여 서울시와 서울시 내 주요 관광지별 이미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5년 1월1일부터 2017년 12월 31일까지 서울범위 내 게시된 플리커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 가운데 관광객으로 추정된 사용자의 플리커를 토대로 서울시내 11개의 주요관광지를 도출하였다. 플리커 내 태그와 제목 텍스트를 대상으로 텍스트마이닝을 수행하였으며, 텍스트마이닝 방법으로는 워드클라우드, 동시출현 네트워크, 토픽모델링 기법을 사용하였다. 워드클라우드 및 동시 출현 네트워크를 작성한 결과 서울 방문 관광객의 주요 관광 요소 및 관심사는 고궁, 번화가, 밤 문화, 시장 및 음식에 집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토픽 모델링을 통해 12개의 주요 토픽을 선정할 수 있었으며, 11개 관광지별 주로 언급되는 단어와 주요 토픽을 정리하여 관광지별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Seoul images of foreign tourists who visit key attractions in Seoul by using Flickr text data. We collected Flickr data that foreign tourists have posted in the area of Seoul for three years, that is, from January 1st in 2015 to December 31st in 2017. We drew 11 key attractions in Seoul based on Flickr data of users who are presumed on foreign tourists. With the results of Word Cloud and Co-occurance Network, we drew a conclusion that foreign tourists in Seoul are mainly interested in palace, downtown, local markets, and restaurants and bars where they could enjoy their night life. We drew 12 key topics that foreign travelers surfaced on their strong interests by using topic modeling. We think that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provide the features of Seoul that foreign travelers have shown and can be a baseline data of enhancing Seoul tourism with meaningful insights in the future.

      • KCI등재

        통신 데이터를 활용한 도보관광코스 유동인구 추정 및 분석

        박예림,강영옥 한국국토정보공사 2019 지적과 국토정보 Vol.4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통신 데이터를 통해 구축한 유동인구 데이터를 활용하여 서울시 도심도보관광코스 내 유동인구 특성을 파악하고 효과적으로 시각화하여 공간적인 맥락을 분석하는 것이다. 도로에 따른 유동인구 추정을 위해 유동인구 데이터 정제 기법을 개발하여 도보관광코스 별 유동인구 데이터를 구축하였다. 도보관광코스 분석에 적합한 형태로 정제하기 도로 주변 유동인구 값을 고려한 유동인구 추정하여 도보관광코스 내 유동인구를 할당하였다. 정제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서울도보관광 18개 코스 각각의 유동인구 특성과 공간 특성을 도출하였다. 도보관광코스 내 유동인구의 공간 밀도와 집중 구간을 분석하기 위해 커널 밀도분석과 Getis-Ord 통계를 적용하였으며 3D 시각화를 통해 서울도보관광 18개 코스별 유동인구 특성을 성, 연령, 시간, 요일에 따라 정량적으로 파악하였다. 그 결과 청계천 제1코스, 경희궁-서대문코스, 인사동-운현궁 코스 순으로 유동인구 규모가 크게 나타났으며 주중에는 인사동-운현궁, 주말에는 성북동 코스의 유동인구가 많았다. 남성 유동인구 비율이 가장 높은 코스는 청계천 제1코스, 여성 유동인구 비율이 가장 높은 코스는 몽촌토성 코스였다. 주말 유동인구 비율이 가장 높은 도보관광코스는 성북동 코스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patial context by analyzing the flow characteristics of the walking tour course and visualizing effectively using the floating population data construc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data. The floating population data refinement algorithm was developed for estimation flow population along the road and the floating population data for each walking tour courses was constructed. In order to adopt the algorithm for forming suitable for the analysis of the walking tour courses, the estimation of floating population considering the area of the road and the estimation of floating population considering the value of floating population around the road were compared. As a result, the estimation of floating population considering ambient the values of flow population was adopted, which is more appropriate to apply analysis method due to the relatively consistent data. Then, a datamining algorithm for walking tour course was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floating population data, the absence of missing values. Finally, this study analyzed the flow characteristics and spatial patterns of 18 walking trails in Seoul through the floating population data according to walking tour course. To do this, the kernel density analysis and the Getis-Ord statistical hotspot analysis were applied to visualize the main characteristics of each walking tour course.

      • KCI등재

        テキストマイニング手法を用いたソウル の旅行ガイドブック分析 ‒日本における韓流ブームとの関連性を中心に‒

        류은주 한국일본근대학회 2022 일본근대학연구 Vol.- No.76

        This study elucidated how a new Hallyu boom in Japan is reflected in the Seoul tour, by analyzing “Rurubu Seoul 16-20’, the guidebook about the tour to Seoul for five years. At first, the results of the word frequency analysis show that “Seoul” was most often abstracted, followed by “Korea”, and then, Grume “spot”, “plan”, “shopping”, etc. Several words that are strongly related with the Hallyu boom, such as “fashion” cosmetics”, “K-pop”, “idol”, etc. were abstracted. In particular, the Hallyu culture including “fashion”, “cosmetics”, and so on, which are favored by young females, was prominently reflected in it. The co-occurrence network analysis for examining the relations among the word abstracted demonstrated that “capture” has the strongest relation with “plan”. Some capture plans by destinations in Seoul are posted in the guidebooks which introduce how to go around the shops for females, females’ meetings, how to fully enjoy café, etc.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w Hallyu boom in Japan are also reflected by the guide books. The culture was expressed as luxe, chicness and K-brand, as it is extended into Korean culture, beyond the popular culture. 本研究は、日本の新しい韓流ブームがソウルの旅行ガイドブックにどのように反映されているのかを「るるぶソウル16~20」を対象に分析したものである。まず、単語頻度分析の結果、「ソウル」が最も多く出現され、続いて「韓国」、「グルメ」、「スポット」、「プラン」、「ショッピング」等の順に多く抽出された。また、韓流ブームとの関連性がある「ファッション」、「コスメ」、「K‐POP」、「アイドル」等の単語も出現された。特に、ガイドブックでは、若い女性向けのファッションやコスメが多く紹介された。次に、共起ネットワークによる分析では、「攻略」と「プラン」が最も共起性が強い結果となった。ガイドブックでは、ソウルのエリアごとに攻略プランが記載されており、そのプランの内容は女子向けのショップ巡りや女子会、カフェ等を楽しむことである。さらに、ガイドブックでは日本の新韓流ブームの特徴も反映されていた。特に、韓流が大衆文化を超え、韓国文化への関心まで拡大され、その文化は「高級」、「おしゃれ」、「Kブランド」として表現されていることがわかった。

      • KCI등재

        일상의 퍼포먼스, 투어리즘과 다크 투어리즘-극단 신세계의 <망각댄스-4.16편, 서울망각투어버스>(2019)-

        김기란 ( Kim Kiran ) 한국드라마학회 2021 드라마연구 Vol.- No.63

        이 글에서는 ‘행위를 이행한다(to perform)’는 퍼포먼스의 미학을 수행적 실천으로 연결한 극단 신세계의 <망각댄스-4.16편, 서울망각투어버스>(2019)를 분석했다. 이때의 수행적 실천이란 타자의 고통에 대해 증언하는 목격자이자 공연의 수행자로서의 책무를 성찰하는 태도와 닿아 있다. 극단신세계의 <망각댄스-4.16편, 서울망각투어버스>는 단체 관광의 일상을 다크 투어리즘의 퍼포먼스로 구성한 작품이다. 이 공연에서는 문화적 퍼포먼스와 퍼포먼스의 경계를 넘나들며 범주화된 퍼포먼스의 개념을 성찰하는 한편, 일상화된 문화적 퍼포먼스에 내재된 위임된 수동성을 환기하여 우리 사회의 재난, 위험, 고통에 방관적 침묵자로 남거나 그것을 망각하려는 태도를 문제시했다. 특히 공연생산주체를 포함, 퍼포먼스에 참여하는 관객들에게 일상에서 익숙해진 포렌식 정보를 통한 탈-경험과 위임된 수동성을 성찰케 함으로써, 그들이 정보화된 ‘사건’의 방관적 관찰자가 아닌, ‘사건-공간’의 실천적 목격자로 정립되는 수행적 과정을 구현했다. 퍼포먼스의 수행적 실천이란 참여 관객에 의해 완성되거나 도달된다. 퍼포먼스의 참여 관객이 방관자가 아니라 증언하는 목격자로서 존재할 때 퍼포먼스의 수행적 실천은 가능할 수 있다. 그것은 또한 현대공연예술이 자율성을 앞세워 공적 책임을 방기한 채 예술로서만 존재하려는 태도에서 벗어나, 미학적인 것이자 윤리적인 것이며 정치적인 것으로 존재하는 한 방법이기도 하다. In this article, I analyzed "not-remembering Dance, 4.16, Seoul Oblivion-Tour Bus"(2019) of the theatre company Shinsegae, which connects the aesthetics of performance to performance practice. The performance practice at this time is in contact with the attitude of reflecting on the responsibility as a witness and performer who testifies about the suffering of the other. The theatre company Shinsegae's "not-remembering Dance, 4.16, Seoul Oblivion-Tour Bus" is the performance that consists of the performance of dark tourism. In this performance, the boundary between cultural performance and performance are crossing, reflected on the concept of categorized performance. And it ventilated the delegated passiveness inherent in everyday cultural performance, and questioned the attitude of remaining as an on-the-spot silence in the disasters, dangers and sufferings of our society or forgetting it. In particular, by reflecting on the de-experience and delegated passiveness through forensic information familiar to the audience participating in the performance, including the performer, they could implemented the performance process of being established as practical witnesses of 'event-space' rather than bystander observers of the informatized 'event'. Performance practice of performance is completed or reached by participating audience. When the audience of the performance exists as a witness who testifies, not as a bystander, performance practice of the performance can be possible. It is also a way that contemporary performing arts are aesthetic, ethical, and political, away from the attitude of being only an art, with public responsibility being neglected by autonomy.

      • KCI등재

        18세기 후반 金萬德의 경제활동 再考察

        양정필(YANG Jeongpil) 한국사학회 2017 史學硏究 Vol.0 No.125

        김만덕(1739~1812)은 濟州의 妓女였다. 1796년 제주도에 대흉년이 들어 굶어주는 사람들이 있었다. 김만덕은 많은 쌀을 관청에 무상으로 제공하여 굶주린 이들을 도왔다. 제주 牧使는 이 사실은 조정에 보고하였다. 국왕 正祖는 김만덕의 소원을 들어주도록 하였다. 김만덕은 免賤되기를 원하지 않고 서울과 금강산을 구경하고 싶다고 했다. 정조는 그 소원은 받아들여서 김만덕은 서울은 물론 금강산까지 유람할 수 있었다. 김만덕이 서울에 와서 머물 때, 官人유학자들은 김만덕의 慈善을 칭송하는 글들을 지었다. 그것이 지금까지 남아 있어서 김만덕을 역사적 위인으로 만들고 있다. 최근 김만덕은 제주도를 대표하는 인물이 됨은 물론이고 전국적으로 유명한 인물이 되었다. 그녀의 자선 활동을 생각하면 이러한 평가는 정당한 것이다. 다만 역사적 인물이 될수록 그녀의 삶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더욱 요구된다. 김만덕의 자선 활동, 서울 및 금강산 나들이에 대해서는 기록이 있어서 논란이 거의 없다. 그러나 그녀가 어떻게 부자가 될 수 있었는가 하는 문제, 즉 경제활동에 대해서는 관련 기록이 거의 없어서 구체적인 실상을 확인하기 어렵다. 그런데 최근에 그녀가 20여 세에 免賤하여 양인이 되었고, 이후 상업활동을 통해 부를 쌓아 巨商이 되었다는 주장이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이해가 당시의 시대적 조건과 부합하는 지를 살펴보았다. 당시 제주도의 상업발달 수준을 감안했을 때 그녀가 상업으로 큰 돈을 모았다는 기존의 주장은 재고의 여지가 많다. 당시 제주도와 본토를 왕래하는 船商들이 있었다. 그 선상들은 거의 대부분 제주도 출신이었다. 즉 제주도와 본토와의 교역은 제주 출신 상인들이 주도하였다. 간혹 본토 상인이 제주도를 찾아서 상업활동을 하였지만, 주된 경향이었다고 보기 어렵다. 그런데 최근에 김만덕을 巨商으로 이해하는 주장에서는 그녀가 본토에서 온 선상 혹은 상인들을 파트너로 삼아 상업에 종사하였다고 한다. 제주도를 찾아오는 본토 상인이 매우 적은 조건에서 이러한 상업 방식으로 거상이 된다는 주장은 설득력이 떨어지는 것이다. 또 김만덕은 20여 세에 면천되었다는 주장이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러나 당시 官妓의 면천에는 막대한 경제적 부담이 있었다는 점, 관찬 사서에 김만덕이 기녀로 기록된 점 등으로 보아 그녀가 면천했다는 주장 역시 재고의 여지가 매우 많다. 그렇다면 김만덕은 어떻게 하여서 부자가 되었을까. 필자는 그녀가 기녀였다는 사실에 주목하였다. 조선후기에 크게 이름 난 기녀는 짧은 기간에 큰돈을 모을 수 있었다. 김만덕이 제주도 내에서 이름난 부자가 될 수 있었던 결정적 계기는 그녀의 기녀 활동이었다고 주장하고 싶다. 이러한 주장은 통설과는 많이 다르다. 비록 사료에 근거하지 못하고 당시의 시대적 조건을 감안한 주장이라는 한계가 있지만, 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관점 제시로 김만덕 연구가 좀더 풍성해지는 데 조그마한 도움이라도 되기를 바란다. Kim Man-duk(1739~1812) was originally a female courtesan in Jeju island. In 1796, great famine struck the island and left many starved to death. Kim Man-duk helped these people by providing vast amounts of rice to the government for free. Impressed by her sacrifice, Jeju governor reported such deed to the court. King Jungjo was also grateful to her, granting any of Kim’s wishes. Kim surprisingly did not ask for status elevation, but merely wished to tour Seoul and Mount. Kumkang, which the king fully accepted. During Kim Man-duk’s visit to Seoul, many court Confucian literati composed writings to praise her charity. Those works still survive to this day to make her a great historical figure. Recenty, Kim Man-duk became a symbolic individual to represent Jeju island and her reputation spread nationwide. Such assessment is indeed justified as proven by her virtuous philanthropy. However, as Kim emerges more into history from myth, her life requires more accurate understanding from the public. Kim Man-duk’s charitable activities and her visit to Seoul and Kumkang mountains demand almost no controversy as they are strongly documented. But the facts of how she acquired her immense wealth or economic operations are still not clear by documents. Lately, a theory that Kim became a peasant at 20 and subsequently was involved in commerce to eventually become a business magnate is widely held. This study therefore has examined whether such understanding corresponds to the contemporary situations. Based on 18th century commercial development of Jeju island, previous opinion that Kim Man-duk became rich because of trade needs much to be reconsidered. During that time, there were ship merchants who did business between Jeju island and mainland and who were mostly of Jeju origin. This fact implies that they led such trade. However, recent study that recognizes Kim Man-duk as the merchant princess insists that she had a joint partnership with mainland merchants. This opinion lacks credibility since it was impossible for Kim to accumulate her riches by transacting with mainland traders when there were very few of them coming to the island. Another common theory that Kim Man-duk was freed of slavery around the age 20 could also be disputed. In order for government courtesans to be released of their status, vast economic costs were needed. Moreover, official records clearly recorded Kim as state-owned courtesan. Hence, aforementioned theory requires further verifications. Then, the question arises as to how Kim Man-duk rose herself to be a business powerwoman in Jeju island. Some clues can be found from the fact that she was a courtesan. A famous courtesan in late Joseon period was able to make a fortune in a short time, thus it could be said that this was the exact route that Kim took to her rise to riches. The new theory raised in this study is quite different from the established one. Although newly suggested theory has few recorded grounds and rather based on the conditions of the time, this study hopes to contribute to the deepening research of Kim Man-duk by approaching it from a fresh perspec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