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총괄평가 방법론을 활용한 한반도 주변의 수중 군사력 균형 분석: 잠수함 전력에 대한 유·무형적 변수를 중심으로
김동은 한국국방연구원 2021 국방정책연구 Vol.36 No.4
The ocean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are becoming more and more fiercely silent battlegrounds. In this paper, Marshall's “Net Assessment Methodology” will be used to more closely and calmly examine the balance of underwater military power around the Korean Peninsula. In particular, this study aims to diagnose the problems of the discourse of underwater military power centered on the 'forces' in Korea by performing a systematic analysis focusing on tangible and intangible variables of submarine power. 한반도 주변의 바닷속은 점점 더 치열한 침묵의 전쟁터로 변하고 있다. 동북아시아 역내 주요 국가들이 수중 군사력 증강에 매진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기존의 단편적인 수중 위협인식만 갖고서는 갈수록 복잡해지는 역내 지정학적 구도 속에서 정확한 수중 군사력 균형을 평가하기 어려울 것이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 마샬의 ‘총괄평가 방법론’을 활용해 한반도 주변의 수중 군사력 균형을 좀 더 면밀하고 냉철하게 살펴볼 것이다. 특히, 잠수함 전력에 대한 유형적, 무형적 변수를 중심으로 체계적인 분석을 수행하여 한국 내 지배적인 ‘전력’ 중심의 수중 군사력 담론의 문제점을 진단해보고자 한다.
김동은,이상호 한국고분자학회 2021 한국고분자학회 학술대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46 No.1
Waterborne polyurethane dispersions (PUDs) were prepared using polycarbonate-diols, 4,4′-methylenebis(cyclohexyl isocyanate), and dimethylol propionic acid with dibutyltin dilaurate catalyst. The PUDs were synthesized by acetone process and then finely dried to make the PU films. In order to clarify how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polyurethanes are influenced by the length of soft-segment and the relative amount of hard-segment, we synthesized the PUDs using two different polycarbonate-diols, whose molecular weight were 1085 and 2028. The ratio of hard-segment to soft-segment of the PUDs was further modulated by using two types of chain extender, 1,4-butanediol and ethylene diamine. Using FT-IR analysis, we performed the semi-quantitative analysis of urea, urethane, methylene, and carbonate groups in the PUDs. The effect of the molar length of PC-diol and the NCO/OH ratio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PU films were characterized using UTM measurement.
새로운 4H-1,3,4-Oxadiazino[5,6-b]quinoxaline 유도체들의 합성
김동은,김호식,Kim, Tong Eun,Kim, Ho Sik 대한화학회 1998 대한화학회지 Vol.42 No.4
The reaction of 6-chloro-2-hydrazinoquinoxaline 4-oxide (11) with ethyl chloroglyoxylate provided ethyl 8-chloro-4H-1,3,4-oxadiazino[5,6-b]quinoxaline-2-carboxylate (12) through the intramolecular cyclization. The reaction of 12 with hydrazine hydrate afforded the $C_2$-hydrazinocarbonyl derivative 13, whose reactions with substituted benzaldehydes or heteroaryl aldehydes provided 8-chloro-2-(substituted benzylidenehydrazinocarbonyl)-4H-1,3,4-oxadiazino[5,6-b]quinoxalines (14) or 8-chloro-2-[(2-substituted methylidene)hydrazinocarbonyl]-4H-1,3,4-oxadiazino[5,6-b]quinoxalines(15), respectively. 6-Chloro-2-hydrazinoquinoxaline 4-oxide(11)와 ethyl chloroglyoxylate를 반응시켜 분자내 고리화반응에 의한 ethyl 8-chloro-4H-1,3,4-oxadiazino[5,6-b]quinoxaline-2-carboxylate(12)를 합성하였다. 화합물 12를 hydrazine hydrate와 반응시켜 $C_2$-hydrazinocarbonyl 유도체 13이 합성되었는데, 이것을 치환 벤즈알데히드류 및 헤테로아릴 알데히드류와 반응시켜 8-chloro-2-(substituted benzylidenehydrazinocarbonyl)-4H-1,3,4-oxadiazino[5,6-b]quinoxaline류(14) 및 8-chloro-2-[(2-substituted methylidene)hydrazinocarbonyl]-4H-1,3,4-oxadiazino[5,6-b]quinoxaline류(15)를 각각 합성하였다.
지형지시자와 연대측정을 이용한 양산단층 남부지역 누적변위율
김동은,성영배 대한지리학회 2021 대한지리학회지 Vol.56 No.2
Quaternary fault research has mainly been done with the focus of the outcrop and trench to identify the sense and displacement of the fault. Because the result from the outcrop and trench is obtained from exposed sections, the interpretation of fault information is likely to be overestimated or underestimated. Quaternary faulting affected the current topography and/or Quaternary sedimentary deposit. In order to clarify the history of high-magnitude earthquake, study using geomorphic indicator of vertical and/or horizontal displacement must also be carried out simultaneously. The present study conducted a topographical analysis using aerial photographs and aviation LiDAR-based DEM data in the central area of Yangsan Fault in the southeastern part of Korea. Field survey was also conducted to estimate the timing of the depositions produced by Quaternary faulting. The topographic analysis indicated that the study area has experienced a horizontal displacement with a range of 250 - 500 m. The OSL dating result indicated that the fault-inducing sediment was deposited about 80 ka. The study demonstrates that it is potential to obtain information such as sense and displacement of fault through topographic analysis, and the average displacement rate from numerical dating results, and a long-term evolution of tectonically induced landforms which clearly exist along Yangsan Fault system. 지금까지의 제4기 활성단층 연구는 단층의 기하와 변위를 파악하기 위해 노두와 트렌치 중심의 연구가 주로 이루어져 왔다. 노두나 트렌치 중심의 연구는 노출된 단면에서 얻어지는 결과를 바탕으로 단층의 정보에 대한 해석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운동감각과 변위량이 과대추정 혹은 과소추정될 가능성이 있다. 제4기에 일어난 단층의 경우 그 변위가 제4기 지형 또는 퇴적층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중규모 이상의 고지진 이력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변위를 지시하는 제4기 지형에 관한 연구도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동남부 일대에 있는 양산단층 중부지역을 대상으로 항공사진과 항공LiDAR 기반 DEM 자료를 이용하여 지형분석을 시행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현장조사를 실시하여 제4기 퇴적층의 퇴적연대를 지시하는 연대측정을 하였다. 지형분석 결과 연구지역은 최대 약 500 m의 우수향 변위가 누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우수향변위에 의해 일시적으로 형성된 퇴적층의 연대측정 결과는 약 8만 년 전을 지시하였으며, 이 퇴적층이 나타나는 능선과 하천을 기준으로 8만년 동안, 최대 130-160 m의 수평변위를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하여 연구지역의 지형발달 과정을 복원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단층 주변을 대상으로 정밀한 지형분석을 통해 단층의 운동감각과 변위량과 같은 정보를 획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연대측정 결과를 통해 평균 변위율을 산출하여 고지진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태양광 전력설비의 효율 향상을 위한 피드포워드 차동전력조절기(DPP)의 적용 검증
김동은,박승화,손진근 대한전기학회 2019 전기학회논문지 Vol.68 No.6
Differential power processing (DPP) is a power facility architecture that configures dc-dc converters in parallel with the PV string to improve its power yield. The parallel nature of the DPP architecture brings a number of benefits, such as low converter power rating and low power losses. In this paper, feedfoward DPP structure is applie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photovoltaic(PV) power facility. DPP structure is considered to a solution to problems were caused by solar irradiance mismatch. The effectiveness of DPP struture is confirmed by comparing module integrated converter (MIC) structure. Experiments and simulation with feedfoward structure using a DSP(TMS320F28335) hardware design were conducted and the improvement in performance with DPP converters was experimentally confirm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