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삼국유사』의 후고구려 인식

        홍창우 ( Chang Woo Hong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6 역사학연구 Vol.62 No.-

        이 글은 13세기의 사서인 『삼국유사』가 후고구려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었는지 고찰한 것이다. 논의는 크게 세 단계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먼저 왕력의 후고려궁예조 기록을 다른 사서와 비교하여, 이 조목의 작성에 어떠한 자료계통이 쓰였는지를 탐색하였다. 다음으로 천사옥대조(기이)와 황룡사구층탑조(탑상)의 신라 삼보 관련 이야기 가운데 ‘후고려왕’의 용례가 확인되는 바, 그실체를 밝히고 이 대목이 어느 시대에 해당하는지 점검하였다. 이러한 검토결과를 바탕으로 『삼국유사』 편찬자들의 후고구려 인식을 가늠하였다. 후고려궁예조의 검토를 통해 이 조목의 작성에 『삼국사기』가 전거로서 기여한 바가 적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궁예가 辛亥년(901)에 ‘고려’를 일컬었다고 기술한 점, 후고구려의 도읍 변천을 철원 → 송악 → 철원으로 설정한점, 궁예정권의 국호와 연호가 매우 불충분하게 작성된 점 등을 주목하였다. 이는 『삼국유사』 찬자들이 『삼국사기』에서 보이는 후고구려나 궁예에 대한 인식을 따르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한다. 한편, 『삼국유사』 내에는‘고려’가 전ㆍ후의 관계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이를 토대로 천사옥대조와 황룡사구층탑조에서 보이는 ‘후고려왕’은 궁예로 보는 것이 옳음을 언급하였다. 불교적 기물인 삼보의 존재만으로 궁예가 침략 모의를 중단했다는 것은, 그러므로 지극히 신라 중심적인 관점이 내포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삼국사기』의 궁예 관련 기록들은 김부식의 이른바 ‘태조정통론’에 대한 배려가 근간을 이루고 있다. 그런 점에서 왕력의 후고려궁예조 작성에 이 기록들이 선택되지 않았다는 것은 『삼국유사』 편수자들이 정통론과는 무관했음을 보여준다. 다만, 국호 태봉은 의도적으로 기록하지 않았다고 생각되는데, 이는 그들이 궁예의 태봉시기를 부정적으로 판단했기 때문이다. 그것은 천사옥대조와 황룡사구층탑조에 삼보 관련 이야기를 통해서 파악할 수 있다. 특히 황룡사구층탑조의 작성자는 신라의 삼보를 중국의 구정에 견주었다. 구정의 설화에 의하면 초 장왕은 주를 침범하려 했다가 주에 구정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고서 본국으로 돌아갔다고 한다. 이는 후고려왕 궁예가 신라를 침략하려다가 신라에 삼보가 있다는 것을 듣고 그 모의를 중단했다고 하는 『삼국유사』의 삼보 관련 기사와 흡사하다. 물론 이 일화들은 구정이나 삼보의 호국적인 면모를 강조하는 것에 그 본의가 있겠지만, 한편으로는 주와 신라를 정복하려 했던 장왕과 궁예의 야욕을 폭로하는 역할도 한다. 이를 통해 『삼국유사』서술자들이 후고구려와 궁예를 우호적으로 인식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 주지하듯이 일연은 일생의 대부분을 경상도 지역에서 보냈다. 이는 『삼국유사』가 신라 중심의 기록을 수록할 수밖에 없는 이유이며, 전반적으로 신라에 편향적인 기술이 이루어질 수밖에 없는 이유이기도 하다. 특히 탑상편이 신라의 불교사가 지극히 오랜 옛날부터 시작되었음을 강조하기 위해 작성되었다는점을 고려한다면, 결국 『삼국유사』 찬자들은 신라로부터 시작된 오래된 불교가 고려를 통해 계승되었음을 말하고자 했던 것이다. 그런데 『삼국유사』가 편찬된 13세기의 고려 사회는 이민족의 침략으로 시련을 겪고 있었다. 당시 일연은 여러 지역을 돌아다니며 외압으로 인한 참상을 직접 목도했거니와, 그에 대해 『삼국유사』 곳곳에 기록하였다. 아마도 일연은 신라의 오랜 불교 전통이 몽고군의 침략으로 인해 끊기는 것에 강한 거부감을 지녔던 듯하다. 그런 점에서 『삼국유사』 찬자들은 신라의 영험함이 깃든 불교적 기물을 파괴하는 궁예와 신라의 오랜 불교 전통을 파괴하는 몽고를 동일시하였을 가능성이 크다. 이는 『삼국유사』 찬자들이 궁예를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토대로서 작용하였을 것이다. 요컨대, 『삼국유사』 편찬자들은 후고구려를 매우 부정적으로 인식하였다. 다만, 그것은 소위 ‘태조정통론’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신라의 역사적 위상에 대한 인식과 그들의 현실적인 상황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This essay studied how the historiography, Samguk-yusa of the 13th century perceived the Later Goguryeo. The discussion proceeded with three major stages. First, the study compared records of the Later Goguryeo in the article of ‘Hugoryeo-gungye’, Wangryok with those in other history books, and then explored what kind of materials had been used for the article. Next, as the use of the term ‘Hugoryeo Wang’ can be found in stories related to Silla’s Sambo in ‘Cheonsaokdae’ from Kiyi and ‘Hwangryongsa-gucheungtop’ from Topsang records, it was able to check which period of history was reflected in those chapters. Based on the result, it was possible to understand how the compilers of Samgukyusa perceived the Later Goguryeo. Through the review on the Article of ‘Hugoryeo-gungye’, it was proved that Samguk-sagi was little contributed to drawing up the article as a source, which means that the compilers of Samguk-yusa were not likely to follow the perception of the Later Goguryeo or Gung-ye shown in Samguk-sagi. Especially, the study paid attention to a few descriptions such as Gung-ye established ‘Goryeo’ in 901, the capital change of the Later Goguryeo was set from Cheol-won to Song-ak and Cheol-won again, and few descriptions of the name of Gung-ye reign and its era name. While, Samguk-yusa described ‘Goryeo’ as Former-Later Goryeo. Based on the reference, it would be right to see ‘Hugoryeowang’ shown in the Article of ‘Cheonsaokdae’ and ‘Hwangryongsa-gucheungtop’ as Gungye. Thus, the passage that Gung-ye suspended his invasion plot just because of the existence of Sambo which is Buddhistic objects implied an extremely Silla-centered view. The records related to Gung-ye in Samguk-sagi were mainly based on Kim Bu-sik’s consideration of, so called, ‘Taejo Legitimacy’. Thus, the reason that the records were not selected for the Article of ‘Hugoryeogungye’ in Wangryok means that the compilers of Samguk-yusa had nothing to do with the ‘Taejo Legitimacy’. But, it would be intentional not to record the country name, Taebong because they judged Taebong as the period of Gung-ye’s government negative. That can be understood through the fact they contained the story related to Sambo in the Article of ‘Cheonsaokdae’ and ‘Hwangryongsa-gucheungtop’. Especially, the compiler who drew up the Article of ‘Hwangryongsagucheungtop’ compared Silla’s Sambo(Three Treasure) to Chinese Gujeong. According to the tale of Gujeong, King Zhuang of Cho tried to invade Ju Dynasty, but returned back home to see that Ju Dynasty had Gujeong. The tale is quite similar to the story that Gung-ye, King of the Later Goguryeo tried to invade Silla, but finally gave it up to see there was Sambo in Silla as described in Samguk-yusa. Of course, the original purpose of these tales is to emphasize the patriotic aspect of Gujeong of Sambo, but on the other hand, it reveals King Zhuang and Gung-ye’s ambition to conquer Ju and Silla respectively. Through this, it can be demonstrated that the authors of Samguk-yusa did not see the Later Goguryeo and Gung-ye in an amicable way. As is known, Il-yeon spent most of his life in Gyeonsang-do region. This is the reason why Samguk-yusa has Silla-centered records, and generally Silla-biased descriptions were made. Especially, if the fact that Topsang chapter was written with the purpose of emphasizing the rich history of Buddhism in Silla is taken into consideration, it tells us that the authors of Samguk-yusa wanted to say Buddhism from Silla was succeeded by Goryeo. Goryeo in the 13th century when Samguk-yusa was drawn up was suffered from invasions from foreign dynasties. Il-yeon looked around a lot of districts and witnessed devastation caused by foreign invasions, and often left the fact in Samguk-yusa. Il-yeon might feel a strong hostility toward the fact that the long Buddhist tradition of Silla which he tried to emphasize was disconnected by the Mongolian army’s invasion. Thus, the compilers of Samguk-yusa were in with a shout of identifying Mongolia that tried invading Goryeo with the Later Goguryeo that tried invading Silla. That is, they perceived Gung-ye as a hostile force that tried destroying the miraculous Buddhist objects. In short, the authors of Samguk-yusa identified the Later Goguryeo as strongly negative. That was originated from their perception of historical status of Silla and their realistic situation, not from, so called, ‘Taejo legitimacy’.

      • KCI등재

        『삼국유사』 ‘선덕왕 지기삼사’조의 형성 과정과 의미의 재고찰

        박현숙 고려사학회 2022 한국사학보 Vol.- No.86

        King Seondeok recorded in the Shillabongi of 『Samguk sagi』, was crowned the first queen of Shilla in 632 as a king with foresight and insight. In relation to this, there are three stories predicted by Queen Seondeok in 『Samguk yusa』. In this paper, through the comparison and review of the two books of 『Samguk sagi』 and 『Samguk yusa』, the process in which the contents of the Seondeok dynasty in the Silla bongi of the 『Samguk sagi』 were embellished with the fable of ‘three affairs already known by Queen Seondeok’ in the Kii edition of the 『Samguk yusa』 was traced. In 『Samguk yusa』, the fable of ‘three affairs already known by Queen Seondeok’ in the Kii edition is summarized as one story, but in 『Samguk sagi』, it is recorded in the enthronement of Queen Seondeok, the 5th year of the enthronement, and the 16th year of Queen Seondeok, respectively. The first anecdote of 『Samguk yusa』 is about the reign of King Jinpyeong, and the second anecdote is based on the historical event related to the battle against Baekje in the 5th year of Queen Seondeok's reign, and the third anecdote is understood as a tale formed when Sacheonwangsa Temple was created during the reign of King Munmu after Queen Seondeok’s death. These three stories related to Queen Seondeok are combined into one narrative in 『Samguk yusa』. And the fable of ‘three affairs already known by Queen Seondeok’ in 『Samguk yusa』 section, reflect the perception of the queen formed through 『Suijeon』, a collection of tales from the late Unified Shilla period, and Kim Bu-sik’s commentary on the Seondeok dynasty in 『Samguk sagi』. Therefore, the contents were embellished with expressions symbolizing femininity, or stories related to women who were not in the Queen Seondeok's Dynasty of the 『Samguk sagi』 were added. In this way, through reconsideration of the formation process and meaning of the fable of ‘three affairs already known by Queen Seondeok’ in 『Samguk yusa』, the meaning of Queen Seondeok and her reign, and the gap between Shilla’s memories of Queen Seondeok and the records of the Goryeo period could be confirmed. 『삼국사기』 신라본기에 기록된 선덕왕은 예지력과 식견을 가진 신라 최초의 여왕으로 632년에 즉위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삼국유사』에는 선덕여왕이 예견한 세 가지의 이야기가 전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삼국사기』와 『삼국유사』 두 史書의 비교・검토를 통하여, 『삼국사기』 신라본기 선덕왕조의 내용이 『삼국유사』 기이편 ‘선덕왕 지기삼사’조의 내용으로 윤색되고 說話化한 과정을 추적하였다. 『삼국유사」 기이편 ‘선덕왕 지기삼사’조에서는 한 편의 설화로 정리되어 있지만, 『삼국사기』에는 각각 선덕여왕 즉위조와 즉위 5년, 그리고 선덕여왕 16년조에 기록되어 있다. 『삼국유사』 첫 번째 일화는 진평왕대, 두 번째 일화는 선덕여왕 5년 백제와의 전투와 관련된 역사적인 사건을 모티브로 하였고, 세 번째 일화는 선덕여왕 사후인 문무왕 시기에 사천왕사가 만들어지면서 형성된 설화로 파악된다. 이러한 선덕여왕과 관련된 세 가지 이야기가 『삼국유사』에 하나의 설화로 종합된 것이다. 그리고 『삼국유사』 ‘선덕왕 지기삼사’조는 통일신라 후기의 설화집인 『수이전』과 『삼국사기』 선덕왕조의 김부식 사론 등을 통해 형성된 여왕에 대한 인식을 반영하고 있다. 그래서 여성성을 상징하는 표현들로 내용이 윤색되거나, 『삼국사기』 선덕여왕조에 없는 여성과 관련된 이야기들이 추가되었다. 이와 같이 『삼국유사』 ‘선덕왕 지기삼사’조의 형성과정과 의미의 재검토를 통해, 선덕여왕과 그 통치 시기가 가지는 의미와 선덕여왕에 대한 신라인들의 기억과 고려시대 기록들 사이의 간극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삼국유사』에 나타난 구원 의식

        나희라 한국사상사학회 2023 韓國思想史學 Vol.- No.73

        This article aims to organize the contents of Samhuk Yusa from the perspective of ‘salvation’ and to understand the intention and meaning of the compilation of Samguk Yusa through the results. Samguk Yusa talked about the meaning and value of human beings, society and history based on the Buddhist worldview. Buddhism, like most religions, is said to complete human beings, society, and history through salvation. Therefore, Samguk Yusa contains many tales dealing with salvation. Most of the stories of salvation in Samguk Yusa tell of salvation through the divine existence of Buddhism, ascetic practices, offerings. Ultimately, Samguk Yusa teaches that humans should use the methods suggested by Buddhism to realize salvation personally and socially. Offerings were essential things that supported the temple economy of Buddhism. Although the Buddhist world faced new challenges ideologically and economically during the Yuan[元] Intervention period, it had a conservative attitude that focused more on defensive defense. Salvation story in Samguk Yusa, there are many stories of offering and giving to the three treasures[三寶] and the king rewarding Buddhist salvation for having already been achieved. It implicitly revealed the position of the Buddhist world at the time this book was compiled. 이 글은 ‘구원’의 관점에서 『삼국유사』의 내용을 정리해보고 그 결과를 통해 『삼국유사』 편찬과 관련한 의미를 이해해보려는 것이다. 『삼국유사』는 불교적 세계관에 입각해서 인간과 사회와 역사의 의미와 가치를 이야기하였다. 대부분의 종교가 그렇듯이 불교 역시 인간과 사회와 역사의 완성은 구원을 통해 이루어진다고 한다. 따라서 『삼국유사』에는 구원을 다룬 설화들이 많이 수록되어 있다. 구원은 무엇으로부터의 구원인가, 누가 구원을 요청하는가, 구원은 누가하고 어떻게 하는가, 구원은 어디서 실현되는가 등의 범주로 나누어서 그 성격과 의미를 살펴볼 수 있다. 『삼국유사』의 구원담에서는 이러한 범주에서 파악할 수 있는 이야기 요소들을 모두 찾아볼 수 있다. 『삼국유사』 구원담 대부분은 불교의 신성한 존재와 수행법과 공양과 보시를 통해 구원이 이루어졌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결국 『삼국유사』는 개인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인간이 구원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불교에서 제시하는 방법을 써야 한다고 가르쳐주고 있는 것이다. 공양과 보시는 불교의 사원경제를 지탱하는 중요한 것 중의 하나였다. 원 간섭기 불교계는 사상적으로나 경제적으로 새로운 도전을 받고 있었지만, 수세적 방어에 보다 집중하는 보수적 태도를 가지고 있었다. 불교 교단은 기존 사원경제의 규모를 유지하거나 확대하려고 했지만, 이러저러한 사정으로 사원 토지를 빼앗기는 일도 발생하고 사원 경영을 위해 최고권력의 힘에 의지해야 하는 상황이 전개되기도 했다. 『삼국유사』 구원담에서 사찰에 재물을 시주하는 등 삼보를 향한 공양과 보시가 구원을 위한 방법이라는 이야기와 이미 불교적 구원이 이루어진 것에 대해서 국왕이 보상을 하는 이야기가 많은 것은 『삼국유사』 편찬 당시 불교계의 입장을 은연중에 드러낸 것이라 하겠다.

      • KCI등재

        조선초기 단군 인식과 삼국유사 간행

        도현철 ( Hyeon Chul Do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3 동방학지 Vol.162 No.-

        최근 조선초기에 간행된 것으로 추정되는 파른본 『삼국유사』가 소개되었다. 유교 국가 조선에서 불교사 입장에서 정리된 『삼국유사』를 간행한 이유가 무엇인지를 살펴보는 것이 본고의 목표였다. 고려후기에 몽골의 침입으로 국가적위기를 맞았고, 『삼국유사』와 『제왕운기』를 통하여 국가의 시조로 단군을 인식하게 되었다. 『삼국유사』와 『제왕운기』는 고조선을 상정하고 단군을 우리역사의 시조로 설정하였다. 『삼국유사』는 고조선에서부터 시작하여 삼한과 삼국, 고려로 이어지는 역사 계승을 제시했다. 당초 단군은 평양과 황해도 구월산 지역의 민간 신앙적 수호신으로 이해하다가, 국가시조, 역사공동체의 시조로 인식하게 되었다. 고려후기에 단군을 역사의 시원으로 파악하기는 하지만, 신화적이고 설화적인 내용을 사실을 받아들이지 않는 유교의 합리사관으로 인하여 유학자들은 단군을 사실로 인정하는데 주저하였다. 유교 국가인 조선은 나라의 시조인 단군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단군부터 조선에 이르는 역사를 서술하고 왕조의 정통성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유교사관에 의한 연구를 통해 단군을 역사상의 인물로 재발견하였고, 『동국사략』과 『삼국사절요』를 완성하였다. 이 과정에서 『삼국유사』의 간행이 필요했다. 역사서를 편찬하기 위해서는 근거가 되는 기본 자료의 확보가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삼국유사』는 태조 3년 무렵에 『삼국사기』와 함께경주에서 간행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말하자면, 조선왕조는 단군 인식과 한국상고사 인식의 확대로 고조선으로부터 조선에 이르기까지 한국 역사를 계통적으로 이해하는 통사체계를 구상하였고 이 과정에서 『삼국유사』를 간행하였던 것이다. Recently, a new edition of Samguk Yusa, which is believed to have been printed and published during the early days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was presented to the academic community. This article examines why a Confucian state like Joseon bothered to publish Samguk Yusa, a history book which was written from a Buddhist perspective. In the latter half of the Goryeo period, Mongol forces invaded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following dynastic crises prompted the Goryeo people to a new interest in historical entities such as Dan`gun (perceived as the one and only founder of the people of the peninsula) which is reflected in the publication of history books like Samguk Yusa and Je`wang Wun`gi. The people`s new appreciation of certain historical figures eventually led to a formation of a national pride. Goryeo, which was being forced to establish a new kind of relationship with the Mongol Yuan Empire, a relationship which was quite different from its former relationships with the Chinese dynasties, and the Goryeo dynasty and its people were in need of a new identity, and also a new historical perspective from which to view their relationship with the Mongol Empire. Samguk Yusa and Je`wang Wun`gi describe the history of Gojoseon and establish Dan`gun as the person who literally began the history of the Korean peninsula. Samguk Yusa explains that Korean history began with Gojoseon, which was followed by "Sam Han" (``the Three Hans``), the Three Dynasties, and finally Goryeo. Previously, Dan`gun was believed in folklore to have been just a kind of regional deity from the Pyeong`yang area and the Mt. Guweon-san area of what is now Hwang`hae-do province, but he later came to be worshipped as the ``founder of the state,`` and the originator of the historical community in which the Goryeo people lived. Even in the latter half of the Goryeo period, when Dan`gun gained this new status as the founder of the Goryeo people, Confucian scholars, who believed in reasoning and did not embrace folklore-based stories with mythical properties, hesitated to accept Dan`gun as a historical figure and as a person who really existed. Based upon their understanding of Dan`gun, the people of the Confucian state of Joseon recorded the history from Dan`gun to Joseon, and in doing so tried to validate and justify the relatively young dynasty`s foundation. Using Confucian-based studies and analysis, they tried to discover the true nature of Dan`gun as a real person, and as part of this effort, Joseon writers completed Dong`gukSa`ryak and Sam`guk-sa Jeol`yo. Samguk Yusa was needed, as it was vital to secure basic primary data for historical compilation. It is presumed that Samguk Yusa was published in the Gyeongju area around 1394, in the third year of King Taejo`s reign, along with Kim Bu-shik`s Samguk Sagi. In other words, the people of Joseon imagined a Korean history that began with the time of Dan`gun and continued through to the time of Joseon, and published Samguk Yusa as part of the effort to prove this. The establishment of Dang`un as the founder of the Korean people was only possible because of the people`s already widened understanding of Dan`gun and the ancient history of the Korean peninsula.

      • KCI등재

        『삼국유사』 두 영역본의 몇 가지 문제- 편제와 조목명을 중심으로 -

        계미향 한국불교학회 2014 韓國佛敎學 Vol.72 No.-

        현존하는 最古本인 『삼국유사』 정덕본이 1512년에 복간된 이래, 1900년에일본학자 坪井九馬三이 처음으로 『삼국유사』의 해제를 발표하며 새로운 연구가 시작되었다. 이어 1914년에는 어윤적의 『東史年表』에 소개되었고, 1927 년에는 최남선의 교감본이 이계복의 정덕본 간행 415년 만에 국내에서 발간되었다. 그 후 최초의 『삼국유사』 국역이 진행되어 『조선야사전집』에 수록되었으나 그것은 부분적인 번역일 뿐 아니라 거의 현토를 단 정도이어서 명실상부한 국역본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이어 1935년에는 『野談』 창간호에 元翁이 번역물을 연재하였으나 그 역시 완역은 아니었다. 1946년, 이가원 등의 사서연혁회의 첫 국역 단행본 『三國遺事』가 나온 이후로 지금까지 『삼국유사』는 국내외 학자들에 의해 어린이용이나 부분적인번역을 제외하고도, 약 50종 이상의 번역서가 출판되었다. 또 이와 관련된 단행본만 해도 350권이 넘으며, 국내외의 크고 작은 관련 논문은 3000편을 넘어 그 내용을 파악하기가 어려울 정도이다. 『삼국유사』를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학자나 몇몇 연구소도 활발하게 연구와 발표 활동을 하고 있다. 그만큼 『삼국유사』에 관한 관심과 연구의 중요성이 크다는 이야기일 것이다. 그러나 아쉽게도 50종이 넘는 대부분의 번역서는 부분적인 오역이나 불완전한 해석 등, 약간씩의 결함을 가지고 있다. 한글 번역본의 실정이 이렇다보니, 그것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외국어 번역서의 오류는 필연적일 수밖에 없다. 외국어를 전공한 우수한 학자가 외국어 버전 『삼국유사』의 번역에 투입된다 하더라도, 현실적으로 그들에게는 정확한 한국어 저본이 가장 필요하다. 저본인 한글번역서의 오역은 그들의 외국어 능력과 무관하게, 한국전통문화에 대한 왜곡과 오해까지 일으켜 국제화 시대에 한국은 ‘이상한 나라’로 오해받을 소지도 내포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삼국유사』의 두 영어 번역본의 몇 가지 문제점을 짚어보았다. After the oldest SAMGUK YUSA(正德本) was restored in 1512, the new research was accelerated by Cheuboy Kumejou(坪井九馬三, 1858~ 1936), a Japanese scholar, who published the bibliographical introduction of SAMGUK YUSA in 1900. It was introduced on Dongsa Yeonpyo(東史 年表) by Eo Yunjeok(魚允迪) in 1914, and 415 years have passed since the publishing of Jeongdeokbon(正德本) by Lee GyeBok, that the Gyogambon(校勘本) by Choi Namseon was published in 1927. Then the first Korean translation of SAMGUK YUSA was issued in Joseonyasajeonjib(『朝鮮野史全集』) ; however, it was translated partially and composed of Hyeonto(懸吐), which means that it cannot be called complete Korean translation version of SAMGUK YUSA. And another Korean translation was published by Wonong(元翁, ?~?) in first issue of Yadam(『野談』) ; still it was not a complete Korean translation of SAMGUK YUSA. The first complete Korean translation of SAMGUK YUSA by Saseoyeonhyeukhoi(史書沿革會) was issued in 1946. Since then there are many versions of complete Korean SAMGUK YUSA which was issued by more than 50 versions, and more than 350 paperbooks for different studies, more than 3000 research papers were issued also. Still there are lots of scholars and research laboratories majoring in SAMGUK YUSA and they study and issue paper books very actively. So we can assume how much we are interested and concerned in SAMGUK YUSA. But almost of the 50 versions of Korean translation have some defects such as mistranslation, uncomplicated interpretation, etc. As those 50 different versions of Korean translation have many errors, foreign language translations based on the Korean translations have lots of translation errors as well. This means that we need to have very accurate and correct volume of a complete Korean translation of SAMGUK YUSA. This will help to develop the foreign language translations more precisely. Moreover this result will help to decrease the misunderstanding of traditional Korean culture as well. So I have enlisted several problems in a complete English translation of SAMGUK YUSA in this research paper.

      • 「三國遺事」 卷第1 紀異第1의 引用文獻에 관한 書誌記錄的 分析 : 중국의 〈東北工程〉과 관련한 高句麗의 正體性을 중심으로 Focusing on the national identity of Goguryo(高句麗)

        김성수 청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5 人文科學論集 Vol.30 No.-

        이 연구는 고구려의 역사를 중국 국내의 변방사(邊方史)라고 왜곡하고 있는 <동북공정(東北工程)>과 관련하여, 「삼국유사(三國遣事), 기이편(紀異篇)을 통한 고구려의 정체성(正體性) 확립을 위하여 기획된 논문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삼국유사」 기이편에서는 「魏書(위서)」를 비롯한 다양하면서도 심도 있는 사료들을 발굴하여 그 전거(인용문헌)로 제시함으로써 우리민족의 국가기원과 관련한 신화를 역사화하였다. 둘째, 「삼국유사」 기이편에서는 그 신이(神異)스러운 건국신화에서 비롯된 '고조선 → 위만조선 → 마한 → 고구려'로 이어지는 우리 민족사(民族史)의 유구한 전통 및 정체성(正體性)을 확립함으로써 그 역사적(歷史的) 진실(眞寶)을 내포하고 있는 우리민족의 위대한 역사서 (歷史書)이다. 셋째, 「고려사」ㆍ「계림유사(鷄林類事)」ㆍ「송사(宋史)」고려 열전(高麗列傳)ㆍ「고려도경(高麗鬪經)」ㆍ「삼국사기」ㆍ「동명왕편(東明王篇)」ㆍ「고려세계(高麗世系)」 등에 입각하면, 고려는 고구려를 계승하였음을 다각도로 명백하게 파악할 수 있다. 바로 위와 같은 「삼국유사」 기이편의 내용을 간과 또는 외면하면서, 고구려의 역사를 중국의 변방사로 편입시키며 <東北工程(동북공정)>을 구축하는 중국(中國)측의 주장(主張)은 한날 허구(虛構)에 불과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national identity of Goguryo(高句麗) by examining 'Kii-pyon(紀異篇)' of 「Samguk-Yusa(三國遺事)」 against China's attempt to integrate Goguryo into the part of Chinese provincial history.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Kii-pyon' of 「Samguk-Yusa」 many authentic historical citations including 「Wiso(魏書)」 were referenced to evidence the origin of Korean people and country, not as the myth, but as the historical facts. Second, 'Kii-pyon' of 「Samguk-Yusa」 is the great historical record which documents the national tradition and identity that was originated from the mythological foundation of Kojoseon(古朝鮮) and inherited by Wiman-Joseon(衛滿朝鮮), Mahan(馬韓), and Goguryo(高句麗). Third, the bibliographical analysis of 「Koryosa(高麗史)」, 「Kyerim-Yusa(鷄林類事)」, 'Koryo-Yoljeon(高麗列傳)' of 「Songsa(宋史)」, 「Koryo-Togyong(高麗圖經)」, 「Samguk-Sagi(三國史記)」, 「Tongmyongwang-pyon(東明王篇)」, and 「Koryo-Segye(高麗世系)」 prove in many ways that Koryo(高麗) inherited Goguryo(高句麗). China's attempt to integrate the history of Goguryo into the Chinese provincial hisotory is futile and senseless, while ignoring the historical content of 'Kii-pyon' of 「Samguk-Yusa」.

      • KCI등재

        『三国遺事』の詩歌における様式区分

        심경호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16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32 No.-

        Samguk Yusa(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is a history of ancient Korea as well as a history of Korean Buddhism. It is basically written in prose. However, it deals with various genre of verse like gaathaa(偈頌), poetry(歌詩), hymn(讚), ci(詞), ming(銘), historical poetry with severe distinction. It suggests that the editor or the editors of Samguk Yusa had extensive literary attainments. (1) Not a large number, there are several gaathaas in Samguk Yusa. There are three kinds of literary style in Buddhist scriptures: Janghaeng(gadya) which is a description in prose, Jungsong which is a summary of janghaeng and gesong(gaathaa) which is a song concerning the doctrines of Buddhism. Ilyeon took notice to gesong and treated it exceptionally. (2) There are si(poetry) and ga(song) in Samguk Yusa. Si takes the form of Chinese poetry with rhyme and ga is Hyangga(native tune) written in Hyangchal(local letter). (3) We can also find chan(hymn) in 45 chapters of Samguk Yusa. Chan is originally about praising Buddha, however there are some about history as well. Chan appears in the article of Okdae for the first time, and are concentrated in the latter part of the book especially after the chapter of Heungbeop. (4) At last there are some references written in rhymes in the annotation. Ilyeon added chan in most articles, but it is also notable that he added no chan for some articles. It is not easy to conclude whether it is the result of his selection or intentional omission. Moreover, there is a strong possibility that some chans are composed by Ilyeon and some are by others. Chans in Samguk Yusa in most cases take the form of the seven-syllable qijue, however there are also some exceptional cases that rhyme letters out of regular category of rhyme system, for example rhyming two letters with similar sound that are in the neighbor rhyme category each other, or rhyming rising tones with departing tones, or rhyming letters of same sound pronounced in Korean etc. It suggests the way of using rhyme of Korean monks. The editor or the editors of Samguk Yusa adopted various genre of verse like gaathaa(偈頌), poetry(歌詩), hymn(讚), ci(詞), ming(銘), historical poetry with severe distinction. It reflects high literary accomplishments of the editor or the editors of Samguk Yusa. 『삼국유사』는 조선상고사의 역사서이자 불교문화사로서, 서술문체는 기본적으로 한문산문이다. 하지만 『삼국유사』는 偈頌, 詩歌, 讚 등 다양한 시가문학과도 관련이 있다. 『삼국유사』는 詩歌의 여러 양식에 주목하여, 偈頌, 歌詩, 讚(贊), 詞, 銘, 詠史詩 등의 용어를 철저하게 구분하여 사용하였다. 이 점은 『삼국유사』 편찬자 혹은 편찬집단의 고도한 문학의식을 반영한다고 말할 수 있다. (1) 『삼국유사』에는 적은 수이기는 하지만 偈頌이 들어 있다. 본래 불경에는 산문으로 경의 뜻을 풀어 쓰는 長行(契經)과 경의 산문을 요약해서 서술하는 重頌(應頌)이 있고, 다시 불경의 산문과는 관계없이 불교의 교리를 노래한 시가 형태의 偈頌(伽陀)이 있다. 『삼국유사』는 偈頌에 주목하였다. (2) 『삼국유사』에는 詩歌가 들어 있다. 詩는 중국한시의 형식을 모방한 압운한 한시이고, 歌는 이른바 향찰식 표기의 鄕歌이다. (3) 『삼국유사』에는 45조항에 讚이 들어 있다. 讚은 본디 佛讚의 성격이겠으나 더러 史讚의 성격을 함께 가지고 있다. 찬은 「기이」 편의 ‘玉帶’ 조항에 처음 보이는데, 주로 후반부 「興法」편 이하에 집중되어 있다. (4) 한편 『삼국유사』의 주석에는 시가 형식의 자료가 언급되어 있다. 일연은 『삼국유사』를 편찬하면서 각 조항마다 讚을 붙여두는 방식을 중시하였다. 하지만 모든 조항에 讚을 붙인 것은 아니다. 선택의 결과인지, 누락인지, 여전히 의문이다. 또한 이 讚은 一然 자신이 창작한 것도 있고, 기존의 것을 전재한 것도 있는 듯하다. 『삼국유사』의 讚은 칠언절구를 지향한 형식이지만, 押韻에서 二句末과 四句末을 隣韻으로 通押하거나 한국한자음의 특성상 동일운으로 인식되거나 去聲과 平聲을 통압한 사례가 있다. 이 사실은 한국의 승려들이 韻語를 사용하는 한 가지 특징을 드러낸다고도 말할 수 있다. 그런데 『三国遺事』의 編者(혹은 편찬자들)는 詩歌의 각종 양식을 구별하여, 偈頌․歌詩․讃(賛)․詞․銘․詠史詩 등의 用語를 意識的으로 구분하여 사용했다. 이 점을 보면 그 편찬에 고도한 文学意識이 잘 반영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삼국유사』의 삼국 ‘全盛時期 戶口’ 기사 검토

        조상현(Cho Sang-Hyun) 한국고대사학회 2009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56

        본고는 한국 고대의 인구를 추정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하게 이용되는 『삼국사기』와 『삼국유사』가운데 『삼국유사』의 기록을 다른 측면에서 바라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기존의 고대 인구사 연구 경향이 주로 두 사서 가운데 한 가지 자료만을 선택하여 논지를 펼쳤던 것에 반해, 필자는 두 자료를 공히 이용하여 고대 인구를 살펴야 한다는 견해를 피력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Ⅱ장에서는 『삼국유사』고구려·변한백제·진한조 등 삼국 관련 조목의 구성을 살펴보았는데, 이들 조목의 내용이 사실상 국가의 기원 설명에 중점을 두고 있음과 세 조목이 거의 흡사한 구성 방식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Ⅲ장에서는 삼국의 전성시기에 대한 추정을 시도하였는바, 『삼국유사』에 등장하는 전성시기가 흔히 삼국의 마지막 단계인 최전성기 혹은 멸망기라 불리는 시기와는 다르다는 점을 살펴보았다. 다만 진한조의 ‘全盛時期 京中’이라는 구절의 해석이 문제가 되었는데, 고구려조와 변한백제조의 문장 구조와 동일한 방식대로 ‘신라전성기에 17만 8936호가 있었다. 수도에는 1360방 ~’의 순서로 해석하여 호구수의 공간적 범위를 ‘경중’이 아닌 신라 전체의 범위로 인식하였다. Ⅳ장에서는 『삼국유사』전성시기 호구 정보의 작성 시기를 추정하였는데, 역사서의 편찬과 율령의 반포 그리고 불교의 전파를 중요 기준점으로 삼았다. 그 결과 고구려와 백제는 4세기, 신라는 6세기 무렵의 정보가 『삼국유사』에 기록되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필자는 비교적 자료가 많이 남아 있는 고구려를 통해 추정이 합당한 것인지 검토해 보았는데, 『삼국지』와 기타 사료의 편린 속에서 찾아지는 4세기 고구려의 호구는 대략 17만 호 정도였으며, 이는 『삼국유사』의 21만여 호와 큰 차이가 없다고 보았다. 『삼국유사』의 21만여 호 정보가 4세기 고구려의 호구라면 『삼국사기』에 나오는 멸망기의 69만여 호 역시 여러 변수들을 고려한다면 전혀 불가능한 수치는 아니었다. This manuscript purposes to examine records in『Samguk-Yusa』from the different angle that is one of the two books, 『Samguk-Sagi』and『Samguk-Yusa』that are used the most essentially in presuming the ancient population of Korea. While the existing demographic history research has a tendency to argue by choosing only one records from two history books, the author states frankly that both two materials should be used for examining the ancient population. In Chapter Ⅱ it is conducted to examine the construction of the items related with the Three Kingdoms such as Koguryo, Pyonhan-Baekje, Jinhan Articles in『Samguk-Yusa』and the result of examination is confirming that contents of these items emphasizes the explanation of the national origin virtually and that three items are exactly alike as the construction forms. In addition there is an attempt to the presumption of The Three Kingdoms’ heyday in Chapter Ⅲ, and the fact is checked that the heyday of the Three Kingdoms in『Samguk-Yusa』is different period from the Three Kimdoms’ last stage so called the greatest prosperity time or collapse time usually. The phrase ‘The heyday in the capital(全盛時期京中)’ in Jinhan Articles has merely the trouble to interpret but it can be understood as the identical interpretation method of Koguryo Articles and Pyonhan-Baekje Articles so it is interpreted as ‘There are 178,936 houses at the heyday of Silla and there are 1,360 houses in capital~’ in orderly manner that means the spatial bounds of the number of houses and families is recognized not ‘in the capital’ but all bounds of the Silla. In Chapter Ⅳ, a point of the time is presumed when the information about the number of houses and families at the heyday in『Samguk-Yusa』was written out and framing time factors as important basic point is the compilation of history book, the law distribution and the spread of Buddhism. As the result presumption is that the information about Koguryo and Baekje around 4th century A.D. and Silla around 6th century A.D. may be recorded in 『Samguk-Yusa』. The author has examined whether the presumption through Koguryo with a lot of existing records relatively is suitable or not and has concluded that there is no remarkable contrast between the facts that the number of houses and families in Koguryo around 4th century is about 170,000 through『Samgukji』and other historical materials and is about 210,000 in『Samguk-Yusa』. In fact considering the diverse variables, it is not impossible numerical value that the number of 690,000 houses in collapse time of Koguryo in『Samguk-Sagi』as if 170,000 houses was in Koguryo around 4th century in『Samguk-Yusa』.

      • KCI등재

        『삼국유사(三國遺事)』와 『사석집(沙石集)』에 나타난 신불(神佛)관계 양상 비교

        최귀묵 ( Choi Kwi-muk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4 문학치료연구 Vol.30 No.-

        이 글에서는 한국의 『삼국유사』와 일본의 』사석집』에 나타난 신불관계 양상을 비교 고찰했다. 비슷한 시기에 이루어진 두 저작은 불교설화집이라는 성격을 공유하고 있으며, 설화작품을 통해서 신불관계 양상을 다채롭게 형상화하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어 비교 대상으로 삼기에 적절하다고 본다. 비교 논의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삼국유사』에는 신불관계의 여러 유형이 불교설화로 형상화되어 있는데 『사석집』에는 본지수적설(本地垂迹說)이 집중적으로 표명되고 있다. 『삼국유사』에서 불보살과 신은 `수직적` 차등관계로 설정되어 있는데 반해서 『사석집』에서 신불은 `병렬적` 대등관계로 잡거(雜居)하고 있다. 『삼국유사』에서 중생은 불보살의 진신 참견(參見)을 열망하고, 『사석집』에서 중생은 화신(=신)을 더 친근하게 여긴다. 』삼국유사』에서 신불은 주로 화신으로 현현하지만, 『사석집』에서 수적(垂迹)인 신은 시현ㆍ신탁ㆍ현몽한다. 『삼국유사』에서 신불은 `(현세의) 부정과 초월`을 지향하는데, 『사석집』에서 신불은 `지금, 여기`도 소중히 생각한다. 『사석집』에서 확인할 수 있는 신불관계 유형은 중국에서도 발견된다. 일본의 신도, 중국의 도교가 신불관계 정립에 깊이 관여했기 때문에 나타난 현상이라고 생각된다. 장차 중국과 월남을 포함한 동아시아 전역으로 고찰의 범위를 넓혀 가고자 한다. The study comparatively investigated aspects of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Buddha(神佛) shown on 『Samguk Yusa(三國遺事)』 and 『Shaseki-shu(沙石集)』. Two writings made in similar time have a character of Buddhist legendry in common. As both embody aspects of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Buddha(神佛) colorfully, it would be appropriate to compare two books. The comparison results are as follows. In 『Samguk Yusa』, several types of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Buddha(神佛) are embodied in Buddhist tales. In 『Shaseki-shu』, the theory of honji suijaku(本地垂迹說) is intensely expressed. In 『Samguk Yusa』, Buddha Bodhisattva and god are set as `vertical` differential relation while god and Buddha(神佛) in 『Shaseki-shu』 live together in `parallel` equal relation. All the beings in 『Samguk Yusa』 long for seeing real body(眞身) of Buddha Bodhisattva. In the 『Shaseki-shu』, all the beings feel more familiar to transformed body(化身) which is a god. God and Buddha(神佛) in 『Samguk Yusa』 appear mainly in transformed body (化身). God which is local manifestations(垂迹) in 『Shaseki-shu』 reveals, delivers an oracle, appears in dream. God and Buddha(神佛) in 『Samguk Yusa』 aims at `negation and transcendence of the present world` but god and Buddha(神佛) in 『Shaseki-shu(沙石集)』 put importance on `now and here` too. Type of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Buddha(神佛) which can be identified in 『Shaseki-shu』 is found in China. It is thought that as Shinto(神道) in Japan and Taoism in China were deeply involved in establishment of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Buddha(神佛), this happened. In the future, it is intended to expand scope of the study to whole East Asia including China and Vietnam.

      • KCI등재

        史書로서의 『삼국유사』와 『古記』 연구의 흐름

        박광연 진단학회 2018 진단학보 Vol.- No.130

        This research focused on two characteristics of the Samguk Yusa (三國遺事). First of all, the quotes and evaluation on the Samguk Yusa, from the Joseon dynasty until today, are organized. This study also examined how and where the contents of the Old Record (古記), considered the foundation of ‘Mysterious’ tales in the Samguk Yusa, were composed. With this, it was found that the historiography and emphasis points with the Samguk Yusa showed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perspective and they were related to the understandings on ‘Wondrous’ tales from the Old Record. In the early Goryeo dynasty, various kinds of the Old Record, for example, the Old Record of Samhan, Haedong and Baekje, etc. were transcribed and distributed and the Samguk Yusa quoted contents from them. Accounts in the Old Record might have been collected after the stories descended from the previous periods were modified such as Tales of the Extraordinary (殊異傳) by Inryang Park and Tales of Times Now Past (今昔物語集). Thus, how the contents in the Samguk Yusa were created, modified and recorded should be paid attention. In order to recognize the context of these changes, the understandings on the period and Buddhist culture in East Asia reflected in each account are necessary. If the process of modifications is figured out, forgotten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early Goryeo and Buddhist culture would be better described. 본고에서는 먼저 조선시대부터 오늘날까지 『三國遺事』의 인용 및 평가를 정리해보았다. 이를 통해 『삼국유사』를 통한 역사 서술 및 강조점이 입장에 따라 시대에 따라 조금씩 달랐음을 알 수 있었다. 조선전기의 『실록』에서 『삼국유사』의 지리 고증, 단군, 불교 수용에 관한 내용을 인용하였다. 특히 지리 고증에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았다. 17~18세기의 유교 지식인들은 대부분 『삼국유사』를 ‘허탄하다’고 비판하면서 철저한 고증 하에 단군 등 고대사의 복원에 활용하였다. 한편 이 시기 불교계에서는 정통성에 대한 관심 속에 『寺誌』 등의 편찬이 유행하는데, 이때 『삼국유사』의 기록을 비판 없이 그대로 사실로 수용하였다. 일제 강점기에 이르러 일본 학자들의 ‘단군 부정론’ ‘『삼국유사』 비판론’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삼국유사』의 위상이 ‘조선 고대사의 최고 원천’으로 부상하게 되었고, 불교계에서도 여전히 『삼국유사』를 중시하였다. 근대 학문에서의 『삼국유사』 연구는 기본적으로 20세기 전반의 연구 풍토를 배경으로 하여 ‘신이한 이야기들’에 역사적 사실 또는 진실이 내포되어 있다고 인정하였다. 『삼국유사』는 삼국시대의 역사가 아니라 고려후기 역사의 反映이라는 비판도 있었다. ‘신이한 이야기들’의 典據인 『古記』 등의 형성 과정을 이해한다면, 『삼국유사』에서 ‘역사적 사실’을 추출하는 방식이 달라져야 한다고 본다. 고려전기에 『삼한고기』․『해동고기』․『백제고기』 등의 제목을 단 『고기』들이 필사되어 유통되고 있었다고 하는데, 이 『고기』들에 수록된 이야기들은 박인량의 『殊異傳』이나 일본의 『今昔物語集』처럼, 이전 시대에 만들어진 이야기들이 몇 단계의 변형을 거쳤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야기의 창작, 변형 과정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삼국유사』에 의거한 역사 서술은 이야기가 어떠한 역사․문화를 배경으로 창작되었고, 변형되었는가에 대한 고찰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