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7~8세기 唐, 新羅, 日本의 國家祭祀體系 비교

        나희라 한국고대사학회 2004 韓國古代史硏究 Vol.33 No.-

        In the 7th~8th century, Tang, Shilla, and Japan aimed at the centralized domination system through the statutes. This system was characterized by the unification and concentration of authority and power, or the unitary formation of all degrees of political power. Setting the Ye (禮, ritual) system was of much importance in the confucian statutes system because authority and power were expressed by Ye in confucianism. In addition, as the rite brought about religious authority, it was the core of Ye system. Tang, Shilla, and Japan set the state rite system in the 7th~8th century, too. Shilla and Japan wanted to systemize the existing national rite system by accepting Tang's statute - oriented national rite system. However, according to circumstances of each states it produced different results. Three kingdom" aimed the same ideology in the same periods. But the state rite system to realize the ideology was different. This difference was caused by the basic religious and ideal differences, and the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al situational differenc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古代 東北亞 諸民族의 神話, 儀禮, 君主觀

        나희라 진단학회 2005 진단학보 Vol.- No.99

        We can find many common factors among the myth of the founder in ancient northeast asian peoples. Those are the founder descending from the sky, the tree connecting human being to divinity, the founder-mother, and so on. The affinity was found in their public rituals. For examples, there are the public rituals around the sacred tree and the rituals around a cave with relation to the founder. The affinity of the myth and ritual of ancient northeast peoples is brought out in the idea of god. In the state rites of these societies, the rite to the state-founder was just the rite to the heavenly god. I think that this attitude is anchored in not separating a founder-god from a heavenly god. This idea of god is the idea that the authority of the supreme heavenly god works to the world as character of man, not heaven in itself. This idea is reflected in the idea of kingship. In ancient northeast societies the kingship was demanded to shaman's ability in interacting with the transcendental being. So the new king should perform the coronation ceremony at that he is reborn as a sacred being. At that time chinese did not think of a heavenly god as a personal god. And they thought of 'Tian Zi(天子, the son of heaven)', the king of China, as king ruling over the people according to the heaven's order. But ancient northeast peoples who thought of a heavenly god as a personal god thought of 'the son of heaven', also those king's title, as being who interact with the heavenly god. Many kings of nomadic origin in China, in 4∼6 century, would use 'Tian Wang(天王)', deserting 'Huang Di(皇帝)'. I think that it is derived from the difference of the idea of god between Chinese and northeast peoples. 고대 동북아 여러 민족들의 시조신화에는 자신들의 기원을 하늘에서 찾는다든지, 동굴에서 유폐를 경험했다든지, 神聖과 인간을 연결하는 나무나 始祖母 존재 등이 흔히 발견된다. 신화의 유사성은 공공의례에도 반영되어 있다. 聖樹를 중심으로 거행되는 공공의례, 동굴을 시조의 기원과 연결하여 의례의 장소로 삼았던 예들이 그것이다. 고대 동북아 여러 민족들 사이에 보이는 신화와 의례의 유사성은 신관념의 유사성과도 관련이 있다. 이들 사회의 국가제사에서 시조에 대한 제사는 곧 하늘에 대한 제사이었다. 이러한 태도는 하늘신과 시조신의 구분이 확실하지 않았던 종교관념에서 나온 것으로 생각된다. 지고한 하늘의 권능이 그 자체로 세상을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인격성을 띄고서야 구체적으로 인간 세상에 작용을 한다는 신관념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러한 신관념은 건국신화와 공공의례를 통해 표현되는 군주관에도 반영되어 있다. 고대 동북아 사회의 군주는 초월적 존재와 교류가 가능한 샤만의 능력이 군주의 자격 중의 하나로 요구되었고, 그렇기 때문에 새로운 왕은 세속적 인간의 모습을 벗어버리고 신성한 능력을 갖춘 존재로 다시 태어나는 즉위의례를 거행해야 했다. 당시 중국에서는 이미 천신을 인격신적으로 관념하지 않았으므로, 중국의 군주인 '천자'는 인간으로서 德을 갖추어 하늘의 명령을 받아 통치를 하는 존재로 여겨졌다. 그러나 천신이 인격을 통해 구현된다는 신관념을 가진 동북아 사회에서는 자신들의 군주인 '천자'가 하늘의 의지를 실천하는 매개자로서 하늘과 직접적으로 관계를 맺어야한다고 생각했던 것이다. 5호16국시대 胡族 군주들이 중국적인 황제라는 칭호를 버리고 '天王' 칭호를 사용한 것도 이러한 신관념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이라 생각한다.

      • KCI등재후보

        新羅의 卽位儀禮

        나희라 한국사연구회 2002 한국사연구 Vol.116 No.-

        An Enthronement Ceremony in Silla Dynasty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신라인의 동물관(動物觀)과 불살생계(不殺生戒)

        나희라 한국종교학회 2019 宗敎硏究 Vol.79 No.2

        Animals have been important human companions since the hunting and gathering age. Humans used to consider an animal an equal entity cohabiting the world. However, as agriculture and livestock breeding progressed, the humans’ perception of animals changed. It became acceptable to exploit and kill animals for the sake of human well-being and convenience. Animal life and suffering was not given any thought. Later, Buddhism, which taught to cherish all living things, entered Silla society and propagated that the life and suffering of animals should be treated on par with that of human beings. Buddhism explained that all living things have souls, feel desire and pain, an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reincarnation; hence, humans should not kill and eat animals. The stories of misfortune befalling on those who abused, killed, or ate animals clearly conveyed this teaching to the general public. The stories of the commandments of non-killing in Silla are about monks who took that path to repent their hunting activities. Silla people seemed to think that hunting was the most dramatic and violent way to kill animals. Wongwang[圓光] taught that, when it came to killing animals, it was important to carefully select the animal to be killed and decide on the time to do so. This teaching-promoting hunting as a play was worthy of criticism. The stories that criticize hunting as a play among the Silla people’s hunting stories seem to be related to this teachings. Buddhism affected the attitude of the Silla people toward animals and expanded their bioethics. So, some people chose to take up monkhood to repent their killings, while others, without leaving their home, tried not to kill animals or eat meat. Thus, non-killing and not eating meat was regarded as the first step to becoming an ideal human being. 수렵채집시대 이래 오랫동안 동물은 인간의 중요한 파트너였다. 인간은 동물이 인간과 함께 세계를 구성하는 동등한 존재라고 여겼다. 그러나 농경과 가축 사육이 진전되면서 동물에 대한 인식도 달라졌다. 동물은 인간의 이익과 편의를 위해 사육되고 착취되며 마음대로 살해되어도 무방한 존재 가 되었다. 그런데 모든 유정적 존재가 영혼을 가지고 있고 생명의 욕구와 고통을 느끼며 윤회를 통해 그 존재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동물을 죽이고 먹어서는 안 된다는 불교의 가르침이 전해졌다. 이 가르침은 동물을 학대하거나 죽이고 먹으면 벌을 받는다는 인과응보담으로 만들어져 생생하게 일반인에게 전달되었다. 신라에서 살생하지 말라는 가르침과 관련한 이야기는 주로 사냥에서 동물을 살해한 경험으로 참회하고 깨달음을 얻어 출가를 했다는 승려들에 관한 것이다. 신라인이 불살생계를 접했을 때 가장 극적이며 폭력적인 동물 살해의 행위인 사냥을 문제로 삼았기 때문이었던 것 같다. 원광은 세속오계 가운데 인간과 동물 사이에서 벌어지는 살생의 문제를 ‘살생유택’이라 하여, 동물 살해는 시기와 대상을 가려서 신중하게 하라고 가르쳤다. 놀이로 행한 사냥은 ‘살생유택’의 가르침에 의하면 비판받아 마땅한 것이었다. 신라인의 사냥 이야기 중 놀이삼아 사냥하는 것에 대한 비판적 이야기가 여럿 있는데 이러한 가르침과 무관하지 않다. 불교의 불살생계는 신라인에게 동물을 대하는 태도의 기준을 다시 마련 해주는 것이었다. 이는 신라인의 생명윤리를 확장시켰으며, 이를 실천하는 것은 어떤 사람들에게는 이상적인 인간이 되기 위한 첫 걸음으로 여겨지게 하였다.

      • KCI등재

        A COMMENTARY ON A BUDDHIST TALE: “SŎNYUL COMES BACK TO LIFE” (SŎNYUL HWANSAENG 善律還生) IN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SAMGUK YUSA 三國遺事)

        나희라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16 Acta Koreana Vol.19 No.2

        Buddhism introduced the concept of hell to East Asia, and many tales of hell were circulated. The narrative “Sŏnyul comes back to life” accompanied the dissemination of the concept of hell in the Unified Silla period. This story describes suffering in hell as retribution for the unwholesome act of stealing monastery possessions. However, the punishment in hell is not eternal in this story, and one can be saved through performing a memorial service for the dead. Memorial services for the dead are done by making offerings to the Three Jewels—the Buddha, Dharma, and Saṃgha—by giving one’s possessions to monasteries. The story “Sŏnyul comes back to life” seems to have been written by monks and been circulated as a karma tale of a Buddhist ceremony for the production of sutras and for appreciating the teachings of the sutras. Buddhist ceremonies were constructed and performed for the purpose of amassing meritorious virtues and expelling calamities through such things as reading sutras and understanding their content. Among these, dramatic preaching of the dharma was performed to communicate to ordinary people in a more lively and interesting manner than the teaching of the sutras. Animated stories of hell about actual people who could have been the listeners’ own neighbors were performed, and the story of “Sŏnyul comes back to life” seems to have been told at such a ceremony. In a story performed in a lifelike manner, sympathetic people willingly contributed their hearts and possessions to the Buddha, monks, and monasteries for the sake of their own futures.

      • KCI등재

        『삼국유사』에 나타난 구원 의식

        나희라 한국사상사학회 2023 韓國思想史學 Vol.- No.73

        This article aims to organize the contents of Samhuk Yusa from the perspective of ‘salvation’ and to understand the intention and meaning of the compilation of Samguk Yusa through the results. Samguk Yusa talked about the meaning and value of human beings, society and history based on the Buddhist worldview. Buddhism, like most religions, is said to complete human beings, society, and history through salvation. Therefore, Samguk Yusa contains many tales dealing with salvation. Most of the stories of salvation in Samguk Yusa tell of salvation through the divine existence of Buddhism, ascetic practices, offerings. Ultimately, Samguk Yusa teaches that humans should use the methods suggested by Buddhism to realize salvation personally and socially. Offerings were essential things that supported the temple economy of Buddhism. Although the Buddhist world faced new challenges ideologically and economically during the Yuan[元] Intervention period, it had a conservative attitude that focused more on defensive defense. Salvation story in Samguk Yusa, there are many stories of offering and giving to the three treasures[三寶] and the king rewarding Buddhist salvation for having already been achieved. It implicitly revealed the position of the Buddhist world at the time this book was compiled. 이 글은 ‘구원’의 관점에서 『삼국유사』의 내용을 정리해보고 그 결과를 통해 『삼국유사』 편찬과 관련한 의미를 이해해보려는 것이다. 『삼국유사』는 불교적 세계관에 입각해서 인간과 사회와 역사의 의미와 가치를 이야기하였다. 대부분의 종교가 그렇듯이 불교 역시 인간과 사회와 역사의 완성은 구원을 통해 이루어진다고 한다. 따라서 『삼국유사』에는 구원을 다룬 설화들이 많이 수록되어 있다. 구원은 무엇으로부터의 구원인가, 누가 구원을 요청하는가, 구원은 누가하고 어떻게 하는가, 구원은 어디서 실현되는가 등의 범주로 나누어서 그 성격과 의미를 살펴볼 수 있다. 『삼국유사』의 구원담에서는 이러한 범주에서 파악할 수 있는 이야기 요소들을 모두 찾아볼 수 있다. 『삼국유사』 구원담 대부분은 불교의 신성한 존재와 수행법과 공양과 보시를 통해 구원이 이루어졌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결국 『삼국유사』는 개인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인간이 구원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불교에서 제시하는 방법을 써야 한다고 가르쳐주고 있는 것이다. 공양과 보시는 불교의 사원경제를 지탱하는 중요한 것 중의 하나였다. 원 간섭기 불교계는 사상적으로나 경제적으로 새로운 도전을 받고 있었지만, 수세적 방어에 보다 집중하는 보수적 태도를 가지고 있었다. 불교 교단은 기존 사원경제의 규모를 유지하거나 확대하려고 했지만, 이러저러한 사정으로 사원 토지를 빼앗기는 일도 발생하고 사원 경영을 위해 최고권력의 힘에 의지해야 하는 상황이 전개되기도 했다. 『삼국유사』 구원담에서 사찰에 재물을 시주하는 등 삼보를 향한 공양과 보시가 구원을 위한 방법이라는 이야기와 이미 불교적 구원이 이루어진 것에 대해서 국왕이 보상을 하는 이야기가 많은 것은 『삼국유사』 편찬 당시 불교계의 입장을 은연중에 드러낸 것이라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