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5 世紀 漢城期 百濟와 加耶 關係

        金奎運(Kim, Gyu-un) 중앙문화재연구원 2011 중앙고고연구 Vol.0 No.9

        지금까지 백제와 가야 관계에 대한 연구는 『日本書紀』 등의 문헌과 고고자료를 분석한 4세기와 6세기 전중반의 것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연구 경향을 보면 알 수 있듯이 5 세기대의 백제와 가야 관계에 대한 연구는 극히 일부에 그치고 있다. 따라서 5세기대의 한성기 백제와 가야의 관계를 엿볼 수 있는 고고자료를 분석해 그 실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대가야권역에서 출토되는 백제계 유물은 주로 금공품으로, 이를 통해 정치적인 교섭을 행하였던 것으로 파악하였다. 이와는 다르게 소가야권역에서 출토되는 백제계 유물은 대부분 토기이고, 백제권역에서 출토되는 가야계 유물 역시 대부분 소가 야양식 토기임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 토기들은 모두 백제의 남부지역 진출루트 또는 소가야와의 교섭 루트상에서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백제와 소가야의 밀접한 관련이 있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는 비단 백제와 소가야와의 교섭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이를 통해 남해안을 이용하면서 왜와 교섭을 행하였고 이러한 관계 속에서 백제의 지배지역이 아닌 고흥지역에서 길두리 안동고분과 같은 무덤이 돌발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보았다. 즉 내륙 교 섭로와 남해안의 항로를 연결하는 요충지에 안동고분의 피장자가 중요한 역할을 수행 하였고, 동시에 고창 봉덕리고분과 같이 백제 중앙의 간접지배를 받으면서 영산강유역으로 진출하기 위한 발판을 마련하는 역할도 하였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후 백제가 475년 한성함락으로 인해 약해지면서 백제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던 소가야도 쇠퇴하게 된다. 이를 틈타 대가야가 호남 동부지역으로 진출하여 임나사현 등을 대가야권역으로 포섭할 수 있게 된 것으로 보았다. Past studies on relationship of Baekje and Gaya was mostly to analyze 4th century and the first half of 6th century archeological materials and historical documents like ‘Nihonsoki’. Thus,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of 5th century Baekje and Gaya through archeological materials. Therethrough, Gaya style artifacts excavated in Baekje territory is mostly Sogaya style pottery. This Sogaya style pottery was appeared on route which was expanding south of Baekje and negotiation. meanwhile, Baekje style prestige goods excavated in Gaya territory refer to Daegaya. But Beakje is closely connected with Sogaya, because Baekje style pottery was excavated in Sogaya territory. These phenomenon doesn't mean negotiation between Beakje and Sogaya simply, its mean that Beakje had negotiated with Sogaya, and Nam River basin. Because for expanding their territory to the south, securing the negotiation route to Japan. this phenomenon was proved by sudden appearing of Gilduri group of tombs in Goheung where is not the territory of Baekje. Because Baekje's capital ‘Hanseoung’ had be taken by Goguryeo at 475 AD. Beakje's national power was Declined. So Sogaya closely related to Baekje was declined too. On this occasion, Daegaya enlarged its territory to eastern part of Honam province, so too Imnasahyun.

      • KCI등재

        단안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 노선 위치 및 혼잡도 인식

        정현우,이연희,김민수,안종현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24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34 No.2

        자율주행 기술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기술 비용 절감이 필수적이다. 특히 소규모 교통 서비스의 경우, 고가의 센서와 복잡한 알고리즘으로 인해 기술 비용이 높아 도입이 어려운 상황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정된 경로를 운행하는 소규모 교통 서비스에서 단안 카메라만을 활용한 자율주행 기술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YOLOv5와SORT(Single Online and Realtime Tracking)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하여 탐지된 객체를 기반으로 노선의 랜드마크 기반 위치 인식 방법을 설계한다. 이 방법은 Bag of Words 기법을활용해 사전에 생성한 랜드마크 기반의 노선 코드북과 탐지된 랜드마크들 간의 유사도를 판단 방식으로 구현한다. 또한 사용자 관점에서 추가적인 정보가 될 수 있는 정류장의 혼잡도검출도 제공한다. 제안된 방법들을 실제 대학 캠퍼스 내 셔틀버스에 적용한 결과, 셔틀 버스의 현재 노선 구간과 정류장 내 혼잡도를 효과적으로 예측 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Reducing technology costs is essential for commercialization of autonomous drivingtechnology.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small-scale transportation services, thetechnology costs are high due to expensive sensors and complex algorithms, makingintroduction difficult. To solve this problem, this research proposes an autonomousdriving technology using only a monocular camera in small-scale transportationservices operating on fixed routes. To this end, this paper designs alandmark-based location recognition method for routes based on detected objectsbased on YOLOv5 and SORT(Single Online and Realtime Tracking) algorithms. This method utilizes the Bag of Words technique to determine the similaritybetween a pre-generated landmark-based route codebook and detected landmarks. We also provide detection of congestion at stops, which can provide additionalinformation from the user's perspective. The results of applying the proposedmethods to a shuttle bus on an actual university campus show that it is possible toeffectively predict the current route section of the shuttle bus and the level ofcongestion within the bus stop.

      • 항로변화로 본 고구려와 왜 5왕

        김인홍 ( In Hong Kim ) 단국사학회 2014 史學志 Vol.49 No.-

        사료로 확인되는 百濟의 최초 황해횡단은 北魏의 산동반도 진출에 따른 472년 北魏遣使였다. 이후 백제는 산동반도와 옹진반도를 점유한 고구려와 북위, 양 세력을 적대시한 상황에서 어쩔 수 없이 항해 리스크가 가장 큰 사단항로의 사용을 통하여 새로운 탈출구를 모색한다. 『日本書紀』 「應神記」의 阿志使主등의 기록은 이러한 와중에 倭王이 고구려를 통해 안전한 항로를 확보하기 위해 노력한 내용이다. 『古事記』 仲哀段의 ‘渡屯家’를 기존견해와 달리 ‘渡部’와 같이 직분(職分)으로 해석, 항해와 관련된 ‘바다를 건네주는 관부’로 해석했다. 이를 통해 태왕비 신묘년조를 백제가 왜를 신묘년부터 배로 실어왔기 때문에 고구려에게 격파되는 것으로, 阿知使主의 倭朝廷망명이 應神37년조에 보이는 고구려를 통한 남조의 견사와 같은 다양한 외교루트의 개척을 불러온 것으로 파악해 보았다. 또한, 中國正史의 왜에 대한 지리적 표현에는 당시대 倭와의 교섭중심지 역할을 했던 곳에 대한 인식이 포함되어 있다. 『隋書』 등에는 왜의 대외 교류창구가 백제와 신라로 이분화 되어있던 역사적 사실이 반영되어 있어, 5세기 『宋書』의 경우도 실제 고구려의 영향력의 표현으로 이해된다. Baekje’s first Yellow Sea crossing that identified by the historical records was Send an envoy to BeiWei(北魏) A.D.472, due to the advance of BeiWei to Shandong Peninsula. Afterward, under the situation that threatening both Koguryo and BeiWei, 百濟inevitably used The traversal route which was most dangerous in order to find a way out. Nihonshoki Oujinki’s(應神紀) Achinoomi(阿志使主) is a example that shows the effort of King of Wa(倭), who tried to secure the safe sea route. Differ from the former point of view, 『Kojiki』chuai(仲哀)’s ‘Watarinomiyake(渡屯家)’ was translated as job, similar to ‘Watabe(渡部).’ which was an authority that managed sea voyage. Through this, Taewang-tomstone(太王碑) sinmyo-year(辛卯年條) implies that Koguryo defeated Baekje because Baekje’s conveyed Japanese forces by ships, from the year of 辛卯年. And also, the exile of the Japanese government of Achinoomi(阿知使主) could be understood as it brought the development of various diplomatic routes such as sending an envoy to southern dynasty through Koguryo in 응신 37. Moreover, geographic expressions on Japan by china official history imply that Baekje’s was the country that took a role as trading hub with Japan. Historical record such as Suishu(隋書) shows the historical fact that the Japan’s foreign bridge of exchange was mainly Baekje’s and Silla, which could be understood that the case of Songshu(宋書) in fifth century was the expression of Koguryo’s actual influence.

      • KCI등재

        통일신라시기의 간선교통로

        정요근(Jeong, Yo-Keun) 한국고대사학회 2011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63

        통일 후 신라는 전국을 9주로 나누고 5소경과 여러 군현을 편제하면서, 왕경과 각 지역의 주치 및 소경 간을 잇는 노선을 간선교통로로 중시하였다. 각 간선로의 노선은 ‘군’의 치소 간을 잇는 교통로들의 결합을 통해 복원할 수 있다. 왕경에서 주변지역으로 뻗어나가는 교통로는 6가지의 루트(왕경6로)로 구분할 수 있는데, 그 중 왕경서로가 가 장 중시되었다. 왕경으로부터 전국의 주요 대읍으로 향하는 간선교통로는 왕경서로를 지나 상주 방면으로 연결되는 교통로가 가장 중시되었으며, 한강 유역 확보와 백제 방면 진출이라는 신라의 국가 발전 단계와 밀접하게 연관되었다. 왕경과 각 지방의 대읍을 연결하는 통일신라의 간선교통로는 삼국통일 후 전면적인 재편을 통해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통일 이전부터 진행된 영토 확장의 과정에서 구축된 것이었다. 그러므로 시대적 흐름에 따라 각 방면의 거점들이 신설, 폐지, 이전되는 과정은 간선교통로의 시 대별 중요성 변화와도 밀접한 연관을 갖고 있었다. Silla divided whole country into nine provinces called ju(州), designated some local key points as five secondary capitals called sogyeong(小京) after the three kingdoms unification. Silla regarded routes between the royal capital and local hub cities(nine provincial capitals and five secondary capitals) as national artery roads. Line of each artery road can be restored through joining short-distance routes linking between counties. There were six routes extending from the capital for outer area in Unified Silla period, and the westward capital route, one of those six routes, was the most important line. The Artery route extending from capital which reached Sangju province through westward capital route was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of nationwide artery route between the capital and local major cities. Also, it was a main route Silla used during its national development such as occupying Han River basin and advancing to former Baekje area. Unified Silla’s Artery Routes linking between the capital and local major cities was not set up by reorganization after the unification but was actually organized through the process of territorial expansion which took place before the three kingdoms unification. Therefore, the rise and fall of local major cities performing regional hub function was deeply related with geopolitical importance’s fluctuation each artery route had with the change of era.

      • 피난시뮬레이션 데이터 기반 대피경로 안내 기술

        이상덕(Sang Deok Lee),김기성(Ki Sung Kim),송동우(Dong Woo Song) 한국화재소방학회 2022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2 No.추계

        건축물은 점차 대형화됨에 따라 건축물 내부의 요구조자 수가 증가하고, 화재 또한 대형 화재의 발생 가능성이 증가하고 있다. 건축물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요구조자의 수가 늘어남은 요구조자가 대피경로를 결정할 때 일부의 대피경로에 다수의 요구조자가 집중 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병목현상 등으로 인한 피난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최근 네트워크 기술은 인하여 많은 기기가 접속할 수 있는 초연결, 즉각적인 반응을 할 수 있는 초저지연 등 빠른 발전을 하고 있다. 그리고 CCTV, 휴대폰 등을 활용한 측위 기술도 매우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진은 사람들의 측위 정보 및 선진화된 네트워크 기술을 활용하여 요구조자에게 빠른 대피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피난시뮬레이션으로 피난데이터를 확보하여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최적의 대피경로를 도출하는 모델을 개발하였다. 연구를 위해 사용 된 피난시뮬레이션 S/W는 Pathfinder 2018 버전을 사용하였다. 시나리오의 변수는 공간의 구성, 문의 크기, 구획실의 면적, 복도의 길이, 복도 폭, 방화문의 유무, 방화문 폭, 계단의 너비, 층고, 층수, 요구조자의 밀도 등을 활용하였으며, 약 10,000건의 시뮬레이션 구동 DB를 확보하였다. 확보된 DB를 분석하여 건물에 분포된 요구조자를 더 효율적으로 대피할 수 있는 대피경로 모델을 개발하였다. 피난 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의 우선순위를 확인하였으며, 피난대피경로 안내를 위해 의사결정트리, 선형회귀분석 등의 데이터 분석 기법을 적용하였다. 개발된 대피경로 안내 모델은 최단거리로 설정한 피난시뮬레이션과 비교하여 많게는 30%까지 대피시간에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최적 대피경로 모델은 실증시험을 통해 검증하였으며, 5G 네트워크를 활용할 수 있는 휴대폰을 통해 대피경로를 안내 받은 인원이 안내 받지 못한 인원에 비해 대피시간이 단축되고, 화재의 연기로부터 오염된 지역을 우회하는 등 대피 효율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다량의 피난시뮬레이션 데이터를 활용하여 피난효율을 증가할 수 있는 대피경로 안내 기술 개발을 통해 건축물내 피난안전성 확보에 기여하고자 한다.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실시간 통신에 적합한 FANET 라우팅 프로토콜의 분석

        정성순,김아란 대한전자공학회 2021 전자공학회논문지 Vol.58 No.5

        FANET is a self-organizing wireless network that allows flying nodes such as unmanned aerial vehicles (UAV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the absence of a fixed network infrastructure. With the combination of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he performance of unmanned aerial vehicles (UAVs) is rapidly expanding. Recently, the combination with 5G mobile communication is facing an opportunity for a new leap forward. Accordingly, several studies are currently being conducted for convergence with mobile communication. However, most of the studies are related to the analysis and evaluation of 5G or LTE networks that are currently mainly used, and studies on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in FANET are insufficient. Therefore,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communication performance of the FANET routing protocol according to the change of real-time mobile communication data and analyze whether it is the least affected by real-time data increase or decrease among the routing protocols. FANET은 무인 항공기 (UAV)와 같은 비행 노드가 고정 네트워크 인프라가 없는 상태에서 서로 통신 할 수 있도록 하는 자체 구성 무선 네트워크이다. 최근 통신 기술과 인공지능과의 결합으로 무인항공기(UAV)의 성능은 빠르게 확장되고 있으며 또한 5G 이동통신과의 결합으로 무인항공기(UAV)분야는 새로운 도약의 기회를 맞이하고 있다. 이에 현재 이동 통신과의 융합을 위한 여러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는 5G 또는 현재 주로 사용되는 LTE 네트워크의 분석과 평가에 관한 분야로 FANET에서의 통신 환경에 관한 연구는 미흡하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이동 통신 데이터의 변화에 따른 FANET 라우팅 프로토콜의 통신 성능을 분석하여 라우팅 프로토콜 중 실시간 데이터 증감에 가장 덜 영향을 받는지를 분석한다.

      • KCI등재후보

        고려 개경의 경제 공간과 교통로

        신안식(Shin, Ansik)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21 서울학연구 Vol.- No.83

        개경은 고려의 국도이다. 국도는 한 나라의 중심지로서 많은 인구가 상주하거나 외국 사신 혹은 상인 등이 몰려드는 곳이기도 하였다. 이를 위해 국도로 향하는 교통이 발달하게 되었고, 도성 내에도 많은 거주 공간 및 이를 연결하는 도로가 복잡하게 연결되었다. 이 글에서는 개경이 국도로 정해지기까지의 역사성 및 공간 구조의 중심성과 방사형 도로의 형성 과정을 추적하려고 한다. 이를 위해 개경의 공간 구조를 일찍부터 존재했던 구시가지와 국도로 정해지면서 새롭게 구축된 신시가지로 구분하였다. 개경의 공간 구성은 그 역사성을 담고 있었고, 기존의 자연 촌락에서 새로운 국도로 성장하는 과정을 모두 수용하였다. 개경은 고대사회부터 형성된 자연 촌락과 후고구려의 도성 및 고려 국도로 건설되면서 조성된 새로운 시설들을 모두 포함하였다. 이는 곧 구시가지와 새롭게 조성된 신시가지의 복합형 도시였음을 보여주고, 그 제도적 편제가 5부방리였다. 즉 북부와 중부·동부의 일부분으로 이루어진 신시가지, 중부·동부의 남쪽 지역과 남부·서부로 이루어진 구시가지로 구조화되었다. 국도 개경은 궁궐 구역이 서북 지역으로 치우침으로써 도시의 중심이 남대가와 십자가로 귀결되었다. 이들 도로를 중심으로 경제 공간 즉, 시전이 형성되었다. 시전은 단순히 시장 기능뿐만 아니라 여론이 집합되고 교통로의 중심 등 다양한 기능을 하였다. 그리고 수창궁이 이들 지역에 조성됨으로써 왕실의 권위를 보조할 수 있었다. 따라서 경제 공간은 국도의 중심부였으며, 도성의 정체성을 보여주는 중요 공간이었다. 개경의 교통로는 구시가지와 신시가지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개경의 특성을 담고 있었다. 관도·남대가·십자가를 중심으로 신시가지가 형성되었고, 자연 촌락 지역이었던 구시가지에는 다양한 미로형의 도로들이 혼재되었다. 국도 개경의 모든 도로는 십자가로 집합되었고, 그에 따른 개경의 공간은 십자가를 중심으로 한 방사형의 도시 형태로 구조화되었다. 따라서 현종대의 나성이 건설되면서 25개 성문이 조성되는 배경에는 신시가지와 구시가지의 도로들을 모두 반영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결국 개경의 경제 공간과 교통로는 국도의 공간 구조를 이해하는 기초가 되며, 개경의 파괴와 복구 과정에서의 중심성을 유지할 수 있는 토대였다. 하지만 그 실체에 다가가기가 어려운 현실을 고려하면, 각 주제에 대해 좀 더 세분된 연구가 필요하다. Gaegyeong is the capital of the Goryeo Dynasty. The capital was also the place that a large population lives or foreign envoys or merchants crowd as the center of a country. For this, transportation toward the capital got to develop and there were many living spaces and busy roads which connect them to one another even in the capital city. This thesis tries to track ‘Historica’ until Gaegyeong was decided as the capital, ‘Centrality’ of the spatial structure, and the formation process of radial roads. For this, the spatial structure of Gaegyeong was divided into the old town which existed early and the new town newly built as it was decided as the capital. The space organization of Gaegyeong had its historicity and accepted all the process that it grew as the new capital from the existing natural village. Gaegyeong included all of the natural villages formed since the ancient society and new facilities created as it was built as the capital city of the later Goguryeo Dynasty and the capital of the Goryeo Dynasty. This showed that Gaegyeong was the complex city of the old town and the new town newly created. And its institutional organization was Obubangri. That is, it was structuralized as the new town which consists of the north and part of the center and east and the old town which consists of the southern regions of the center and the east and the south and the west. As the palace of Gaegyeong, the capital, leaned to the western region, the center of the city resulted in Namdaega and Sibjaga. An economic space, that is, Sijeon was formed with these roads as the center. The market shops had various functions including a simple market, collecting public opinions, and the center of traffic routes. And Suchang Palace could assist the authority of the royal household as it was created in this area. Therefore, the economic space was the center of the capital and important space which showed the capital city’s identity. The traffic routes of Gaegyeong had its characteristics that combined the old town with the new town. The new town was formed with Gwando, Namdaega, and Sibjaga as the center and various roads of labyrinth patterns were mixed in the old town which had been the natural village region. All the roads in Gaegyeong, the capital, had the assemblage of cross roads and accordingly, its space was structuralized as a radial urban form with cross as the center. Therefore, the background that 25 castle gates were created as Naseong was built in the reign of Hyeonjong of Goryeo can be the result that all the roads of the new town and the old town were reflected. In conclusion, the economic space and traffic routes of Gaegyeong are the basics of understanding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capital and the foundation that could keep centrality in the process of destroying and restoring it. However, considering reality that it is difficult to approach the truth, more detailed studies on each subject are required.

      • KCI등재

        무선 센서 네트워크 환경에서 단-방향 해쉬 함수 기반 다중 경로 보안 전송 기법

        이윤정(Yunjeong Lee),김동주(Dongjoo Kim),박준호(Junho Park),성동욱(Dong-ook Seong),유재수(Jaesoo Yoo)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1

        다양한 센싱 모듈의 개발과 무선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해, 한정된 통신 능력과 제한된 연산 능력을 갖춘 다수의 센서 노드를 활용하여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러한 센서 노드는 무인 환경이나 적지와 같은 환경에 배포되기 때문에 보안에 취약하다. 특히 실생활 응용에 사용될 때, 데이터가 노출되면 치명적인 피해를 입을 수 있기 때문에 보안에 대한 고려는 필수적이다. 하지만 기존 네트워크에서의 보안 기법은 센서 노드의 제한된 성능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 적용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무선 센서의 제한된 성능을 고려한 에너지 효율적인 보안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원본 데이터의 해독을 어렵게 하기 위해 단-방향 해쉬 함수인 MD5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변환 후, 분할하여 다중 경로를 통해 전송함으로써 보안성을 강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성능 평가 결과, 제안하는 기법은 기존 기법의 약 6%의 에너지만 소비하였다. With the development of sensing devices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wireless sensor networks are composed of a large number of sensor nodes that are equipped with limited computing performance and restricted communication capabilities. Besides, the sensor nodes are deployed in hostile or unattended environments. Therefore, the wireless sensor networks are vulnerable to security. In particular, the fatal damage may be occurred when data are exposed in real world applications. Therefore, it is important for design requirements to be made so that wireless sensor networks provide the strong security. However, because the conventional security schemes in wired networks did not consider the limited performance of the sensor node, they are so hard to be applied to wireless sensor networks. In this paper, we propose a secure multipath transmission scheme based on one-way hash functions in wireless sensor networks considering the limited performance of the wireless sensor nodes. The proposed scheme converts a sensor reading based on one of one-way hash functions MD5 in order to make it harder to be cracked and snooped. And then, our scheme splits the converted data and transfers the split data to the base station using multi-path routing.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our proposed scheme consumes the energy of just about 6% over the existing security scheme.

      • Characterization of gaseous pollutants and PM<sub>2.5</sub> at fixed roadsides and along vehicle traveling routes in Bangkok Metropolitan Region

        Kim Oanh, N.T.,Kongpran, J.,Hang, N.T.,Parkpian, P.,Hung, N.T.Q.,Lee, S.B.,Bae, G.N. Pergamon Press ; Elsevier [distribution] 2013 Atmospheric environment Vol.77 No.-

        Traffic is a major source of air pollution in urban areas of developing countries that leads to high exposure risk of urban dwellers. This study comparatively investigated levels of fine particles (PM<SUB>2.5</SUB>), SO<SUB>2</SUB>, NO<SUB>2</SUB>, and BTEX (benzene, toluene, ethylbenzene and xylenes) at fixed roadsides and on traveling routes in congested urban and less congested suburban areas of Bangkok in 2010. The roadside air quality monitoring was done at two opposite sites across the selected roads. The traffic counting was made simultaneously in these roads and hourly flows of 8 different vehicle types were determined. Roadside PM<SUB>2.5</SUB> levels during dry season were high in both the city center and suburban area, significantly above the wet season, with 65-75% measurements exceeded 24 h Thailand ambient air quality standard of 50 μg m<SUP>-3</SUP>. Oppositely, roadside BTEX levels measured in the city center during wet season were higher than dry season and well above those in suburban area. Diurnal variations and the results of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analysis showed associations between roadside pollutants levels and hourly traffic flows. The differences in pollution levels between 2 monitoring sites across a road were explained by road configurations and prevalent wind directions. On-route pollution levels were measured simultaneously both inside and outside selected vehicles (van, pickup), and on motorcycle. The on-route PM<SUB>2.5</SUB> levels along the urban route were higher during the dry season than wet season. PM<SUB>2.5</SUB> levels inside the vehicles were lower than outside whereas the opposite was observed for BTEX. BTEX were higher on more congested urban sub-routes with lower vehicle speeds. Higher pollution levels suggest a high risk of expos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