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Missiological Implications of “the Declaration of Reformed Life Theology 2010”

        ( Hun Tae Chang )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11 Life and Word Vol.4 No.-

        This article explained that the “Reformed Life Theology Declaration” advocated by Dr. Jong Hyun Chang in 2010 has the contents with the essentials to demand theological introspection of Korean churches and it is not only the theological identity of Dr. Jong Hyun Chang but also it is one of the two axes which move theological schools through this together with Korean churches. This article explored this researcher under the premise that appropriateness which has indispensable meaning in the situation of Korean society and churches of reformed life theology should be strongly supported, contemplates the motives of declaration of reformed life theology declaration 2010 and missionary implicature included in the contents of the declaration and discuss the method of practice to implement it specifically in the level of mission. Dr. Jong Hyun Chang declared “Theology is not study.” and at the same time under the belief that only “reformed life theology” can restore Korean churches and restore theology, “he has devoted himself to the dream continuously without giving up hope in despairing theology school and churches.” He is to find the hope for the restoration of Korean churches and theology through “Reformed Life Theology” He is always shouting “small and slowly and delicately” which is Right Livelihood Awards to find hope. The study emphasis that this is not to make new theology but by blowing life into reformism to activate reform theology” and “maintains in the declaration that in order to actively unfold practical movement of reformed life theology, seven kinds of movements namely, religious belief movement, theology restoration movement, spiritual life movement, Kingdom of God movement, prayer movement, Holy Spirit movement and sharing movement.” Reformed Life Theology is the driving force that makes the identity as Christianity university firm and fundamental purpose which the school should aim at. Namely, the fundamental of Christianity university is to ``obtain eternal life through Jesus Christ``. It can be seen to mean that all Christianity university should established on the foundation of the theology of eternal life namely life theology. The 7 great movement advocated by reformed life theology for the restoration and development of Korean churches are religious belief movement, theology restoration movement, spiritual life movement, Kingdom of God movement, prayer movement, Holy Spirit movement and sharing movement. The article mentioned that Missionary Meaning of ``the Declaration of Reformed Life Theology 2010.`` First, the core of breakthrough for the crisis of churches is the restoration of the words of God which is the Spirit and life, Second, restoration of Spiritual Vitality; third, vitalization and Movements of Missionary Work. Missionary meaning appeared in the declaration of reformed life theology was looked into. In order to give spiritual vitality to Korean churches, Asian churches and the actual spot of missionary work, we should practice the 7 great movements actively. 7 great movements in the declaration are very meaningful in Korean church history and missionary history therefore theology schools and churches should actively accept them and participate in them. This article argued that missionary method of practice of the declaration of Reformed Life Theology mention as below; First, Observing the Words (Commandments) to Enter the Life; Second, Living as a Man of Spirit and a Man of Life; Third, Educating Leaders who have Sentience of Ministry; Fourth, Restoration of Vitality of Churches by Proclaiming Pure Gospel as the Saying of the Bible. The 7 great movements emphasize “preserving continuously the knowledge on the life of Jesus Christ on this earth, and preparing for the Second Advent of Him and He knocks on the door of mind of people and tries to enter them. The pulpits of churches proclaim as the Bible, the Kingdom of God will expand. This is the core of the 7 great movements of the declaration.

      • KCI등재

        개혁 교회법이 한국교회에 가지는 의의 : 엠던총회(1571)에서 아브라함 카이퍼까지, 지역교회의 보편성을 중심으로

        김재윤 한국개혁신학회 2012 한국개혁신학 Vol.35 No.-

        칼빈은 교리와 권징을 하나로 보았고 그 연속선상에서 교회법에 많은 관심을 가졌다. 그는 설교와 성례를 통해서 예배의 회복을, 요리문답서를 통해 교리의 일치를, 교회법을 통해 성경과 교리의 가르침이 교회적인 삶으로 구체화되는 것을 추구하였다. 복음 설교와 교회법의 통일성을 강조한 칼빈과 그의 영향력 아래 있는 개혁교회들은 신앙고백서와 함께 교회법을 작성하였다. 네덜란드 지역에서 진전된 개혁교회의 교회법은 초기에 제네바 교회법(1541)과 프랑스 파리 총회에서 채택된 교회규칙서(1559)를 모태로 삼는다. 가장 기초적인 네덜란드 개혁교회법은 베이절 회합(1568)의 문서에서 발견된다. 십자가 아래 있는(onder de kruis) 네덜란드 지역의 교회들 뿐 아니라 각국에 있던 피난민들의 교회들이 처음으로 모인 이 회합에서는 프랑스 교회 규칙서 제1항에서 천명되었던 ‘어떤 교회도 다른 교회위에 독재권, 지배권을 행사해서는 안된다’는 정신을 좀 더 구체화하고 심화시켰다. 노회와 총회등의 회의는 그 회의 자체의 목적보다 한 지역교회나 말씀의 직분자들이의 자유와 권리가 침해받지 않도록 하는데 있다는 정신을 세부적인 항목들에서 확인할 수 있다. 지역교회들 사이의 관계에서뿐 아니라 직분자들 사이에서도 똑같은 정신이 강조되었는데 예를 들어 목사의 죄를 다루는 항목에서 교회와 동료 직분자들에 대한 독재권을 행사하려는 명백한 혹은 은밀한 추구에 대한 시벌을 명백히 밝히고 있다. 네덜란드 개혁교회의 첫 총회로 모인 엠던 총회(1571)에서는 베이절 회합의 항목들이 가지는 반 위계질서적인 정신을 그대로 계승하고 있다. 장로와 집사의 봉사기간을 2년으로 제한할 만큼 직분자들의 독단과 지배에 대한 경계하고 있다. 각각의 지역교회들을 중심에 두고 최우선으로 삼고 있어서 지역교회들의 회합을 명명할 때 단수로 하지 않고 항상 ‘교회들’이라는 복수를 사용하였다. 베이절 회합과 엠던 총회의 교회법과 그 정신은 도르트 교회법(1619)으로 완성이 되었다. 그리고 도르트 교회법은 이후 네덜란드 개혁교회가 어두워졌을 때 교회를 갱신하는 원천이 되었다. 이는 19세기에 이루어진 두 번의 교회개혁의 흐름이었던 ‘분리’와 ‘애통’을 통해서 구체화되었다. 무엇보다도 아브라함 카이퍼와 헤르만 바빙크의 교회질서에 대한 생각은 베이절 회합이후에 이어져 온 네덜란드 개혁교회가 가진 교회법의 절정이 이루었다. 아브라함 카이퍼는 철저하게 지역교회의 보편성과 독립성을 옹호한다. 모든 각각의 지역교회들은 그 자체로 교회전체이며 그 자체로 완전한 교회이다. 각각의 교회들만이 지상에서 교회이며 모든 권세와 권위를 소유하고 있다. 각각의 지역교회들이 연결되는 것은 부차적인 것이며 그것은 철저히 지역교회들의 자유로운 연합을 통해서만 형성될 수 있다. 카이퍼는 회중교회 입장과는 달리 노회와 총회의 필수성을 매우 강조한다. 그러나 이런 광의의 회의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원칙도 동시에 지켜져야 한다. 1)지역교회들의 독립성을 절대 훼손해서는 안된다. 2)교회연합은 지역교회들의 유익을 위한 것이다. 3)교회연합의 조건과 보증은 동등함이다. 종교개혁이후 오랜 기간을 통해서 형성된 이런 개혁교회법과 그 정신은 한논문투고일:2012년7월1일. 수정투고일:2012년8월11일. 게재확정일:2012년8월15일. 편으로는 교권주의에 의해서 어려움을 겪고 ... Church order is essential in the reformed tradition. John Calvin, an influential reformer, stressed the unity of doctrina and disciplina. For that reason, he composed his Ecclesiastical Ordinances(1541) as soon as he came back to Geneva from Strasbourg. Under Calvin's influence, many Reformed church in Europe followed his model in producing their confessions and the documents about the church order and government. Early Dutch Reformed churches which composed of dutch and french speaking congregations and refugee-congregations in England and Germany had its foundation of church order in Calvin's Ecclesiastical Ordinances and the Church Order of French Reformed church accepted by the synod in Paris (1559). Especially the church government order of the French Reformed church - local church, presbytery and synod - was well settled in the Reformed churches in the Netherlands. However, an anti-hierarchical character was intensified more than in the previous church orders. When examining the articles yielded by the Wezel convention(1568) which was the first official synodic meeting, one can discover evidences to confirm anti-hierarchical tendency. Leaders gathered in Wezel understood that the presbytery and the synod must focus on safeguarding the privileges of the ministers and local churches. Articles on pastor's sin clearly demonstrated how Wezel convention consistently disapproved of the dominance of one minister or presbytery over other church offices. The first official synod of Dutch Reformed churches in Emden (1571) acknowledged this anti-hierarchical spirit of the Wezel convention. In the 19th century, dutch Reformed churches confronted secession twice, 'Afscheiding' and 'Doleantie'. Local churches, pastors, and faithful believers desired to restore the identity of the Reformed church and remain faithful to the reformed confessions. Regarding the church order, they reaffirmed the church order of Synod of Dordrecht (1619) which contained almost the same substances of Wezel's articles and the church order of the first synod in Emden. Not only Abraham Kuyper who plays a key role in 'Doleantie,' but Herman Bavinck, the successor of 'Afscheiding,' also supports the independency and universality of local church. Eventually, they argued that Kerkverband and the broader assemblies - particular and general synod - do not have an authority over the local church. No form of hierarchy can be permitted between the church offices and between other local churches. Korean churches can benefit from the Reformed church order established through the history of struggle in two aspects. First, the presbytery or the synod often results in clericalism in Korean churches. In the reformed churches, the presbytery and the synod must serve its purpose to protect the independency and privilege of the local churches and their ministers. These broader assemblies cannot operate their dominancy over the local churches. Second, in reaction to clericalism occurred in broader assemblies, an individualistic view which negate the kerkverband (association of the confessional churches) is also pervasive in Korean churches. They will benefit if they remember that the Reformed church order was designed not to minimize the unity of the local church but to maximize its communion.

      • KCI등재후보

        한국 개혁주의 교회의 비신앙적 현상에 대한 신학과 윤리적 과제

        황봉환(Hwang, Bong-Hwan) 개혁신학회 2010 개혁논총 Vol.15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what are the unchristian elements in the reformed church in Korea and reemphasize the reformed theology and ethical norms. What kinds of unchristian elements arose in the reformed church in Korea? Now under the influence of postmodernism meaning 'postmodernity', the Korean society and reformed church are exercising postauthority, post structuralism and post conservatism. Due to the impact of postmodernity, religious pluralism arose in Korean society. Religious pluralism destroys the absoluteness of biblical truth and teaches that in every religion men can be saved from sin and eternal damnation. By such postmodern thinking the reformed church in Korea is gradually secularized. Then, what is the phenomenon of unchristian elements arose in the reformed church in Korea? First, many reformed churches consider 'God' like the array of the world's 'gods'. By such thinking the absolute sovereignty of God is weakened in the reformed theology. Second, the theological concept of sin is also weakened. The modern society considers sin as unlawful behavior and an unrighteous life. Third, in the reformed church, ethical norms disappeared because of modern society's refusal of ethical norms of the Bible and taking relative ethical norms as absolute ones. Fourth, many churches implement the marketing methods of business to promote church growth. This is taken from George Barna, who teaches that the church needs to use management techniques of business for church growth. Then, what are the reformed theology and ethical norms to reestablish for the reformed church under such influence? First, the reformed church and pastors must emphasize the theological balance between God's divine transcendence and immanence. Second, it needs to reestablish the biblical doctrine of church. If the church is called the spiritual community that God called out of the world, the church must practice biblical evangelism, worship that the Bible teaches, doctrinal teaching and church discipline for the believers. Third, it needs to reemphasize Christian ethical norms. The ethical norms must be founded on the Bible for the judgment of Christian words and deeds, good and bad behavior, right and wrong and justice and injustice in their lives. In order to practice these theological tasks and ethical norms the Ten Commandments must be emphasized, Christian love Christ has done for us must be done and social justice must be practiced. It is possible for ethical practices to emphasize that God is holy, God is against sin, evil thoughts and acts, and God's absolute authority of His word must be acknowledged. Recognizing such theological and ethical tasks, all believers in the Korean church must maintain the right relationship with God, promoting a loving church community which demonstrates sincerity and faithfulness in their living, while devoting themselves to serve one another.

      • KCI등재

        개혁 교회법이 한국교회에 가지는 의의; 엠던총회(1571)에서 아브라함 카이퍼까지, 지역교회의 보편성을 중심으로

        김재윤 ( Jae Youn Kim ) 한국개혁신학회 2012 한국개혁신학 Vol.35 No.-

        칼빈은 교리와 권징을 하나로 보았고 그 연속선상에서 교회법에 많은 관심을 가졌다. 그는 설교와 성례를 통해서 예배의 회복을, 요리문답서를 통해 교리의 일치를, 교회법을 통해 성경과 교리의 가르침이 교회적인 삶으로 구체화되는 것을 추구하였다. 복음 설교와 교회법의 통일성을 강조한 칼빈과 그의 영향력 아래 있는 개혁교회들은 신앙고백서와 함께 교회법을 작성하였다. 네덜란드 지역에서 진전된 개혁교회의 교회법은 초기에 제네바 교회법(1541)과 프랑스 파리 총회에서 채택된 교회규칙서(1559)를 모태로 삼는다. 가장 기초적인 네덜란드 개혁교회법은 베이절 회합(1568)의 문서에서 발견된다. 십자가 아래 있는(onder de kruis) 네덜란드 지역의 교회들 뿐 아니라 각국에 있던 피난민들의 교회들이 처음으로 모인 이 회합에서는 프랑스 교회 규칙서 제1항에서 천명되었던 ``어떤 교회도 다른 교회위에 독재권, 지배권을 행사해서는 안된다``는 정신을 좀 더 구체화하고 심화시켰다. 노회와 총회등의 회의는 그 회의 자체의 목적보다 한 지역교회나 말씀의 직분자들이의 자유와 권리가 침해받지 않도록 하는데 있다는 정신을 세부적인 항목들에서 확인할 수 있다. 지역교회들 사이의 관계에서뿐 아니라 직분자들 사이에서도 똑같은 정신이 강조되었는데 예를 들어 목사의 죄를 다루는 항목에서 교회와 동료 직분자들에 대한 독재권을 행사하려는 명백한 혹은 은밀한 추구에 대한 시벌을 명백히 밝히고 있다. 네덜란드 개혁교회의 첫 총회로 모인 엠던 총회(1571)에서는 베이절 회합의 항목들이 가지는 반 위계질서적인 정신을 그대로 계승하고 있다. 장로와 집사의 봉사기간을 2년으로 제한할 만큼 직분자들의 독단과 지배에 대한 경계하고 있다. 각각의 지역교회들을 중심에 두고 최우선으로 삼고 있어서 지역교회들의 회합을 명명할 때 단수로 하지 않고 항상 ``교회들``이라는 복수를 사용하였다. 베이절 회합과 엠던 총회의 교회법과 그 정신은 도르트 교회법(1619)으로 완성이 되었다. 그리고 도르트 교회법은 이후 네덜란드 개혁교회가 어두워졌을 때 교회를 갱신하는 원천이 되었다. 이는 19세기에 이루어진 두 번의 교회개혁의 흐름이었던 ``분리``와 ``애통``을 통해서 구체화되었다. 무엇보다도 아브라함 카이퍼와 헤르만 바빙크의 교회질서에 대한 생각은 베이절 회합이후에 이어져 온 네덜란드 개혁교회가 가진 교회법의 절정이 이루었다. 아브라함 카이퍼는 철저하게 지역교회의 보편성과 독립성을 옹호한다. 모든 각각의 지역교회들은 그 자체로 교회전체이며 그 자체로 완전한 교회이다. 각각의 교회들만이 지상에서 교회이며 모든 권세와 권위를 소유하고 있다. 각각의 지역교회들이 연결되는 것은 부차적인 것이며 그것은 철저히 지역교회들의 자유로운 연합을 통해서만 형성될 수 있다. 카이퍼는 회중교회 입장과는 달리 노회와 총회의 필수성을 매우 강조한다. 그러나 이런 광의의 회의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원칙도 동시에 지켜져야 한다. 1)지역교회들의 독립성을 절대 훼손해서는 안된다. 2)교회연합은 지역교회들의 유익을 위한 것이다. 3)교회연합의 조건과 보증은 동등함이다. 종교개혁이후 오랜 기간을 통해서 형성된 이런 개혁교회법과 그 정신은 한편으로는 교권주의에 의해서 어려움을 겪고있는 한국교회에 각 지역교회들과 말씀의 봉사자들의 독립성과 보편성, 자유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생각하게 해 준다. 노회나 총회가 광의의 회의로서 지역교회를 세우고 돕기 위해 존재한다는 점이 좀 더 강조되어야 하겠다. 반면에 교권주의의 결과로 개교회주의의 위협 또한 심각한데 교회의 지역교회들의 연합적인 하나됨을 최소화하지 않고 최대화하는 개혁교회법은 교회법과 규례, 광의의 회의를 통한 연합적 결속을 무시하면서한 직분자의 지배와 더 큰 무질서 속에 빠져 들어가는 위험에 대해서도 도움이 줄 수 있다고 본다. Church order is essential in the reformed tradition. John Calvin, an influential reformer, stressed the unity of doctrina and disciplina. For that reason, he composed his Ecclesiastical Ordinances(1541) as soon as he came back to Geneva from Strasbourg. Under Calvin`s influence, many Reformed church in Europe followed his model in producing their confessions and the documents about the church order and government. Early Dutch Reformed churches which composed of dutch and french speaking congregations and refugee-congregations in England and Germany had its foundation of church order in Calvin`s Ecclesiastical Ordinances and the Church Order of French Reformed church accepted by the synod in Paris (1559). Especially the church government order of the French Reformed church - local church, presbytery and synod - was well settled in the Reformed churches in the Netherlands. However, an anti-hierarchical character was intensified more than in the previous church orders. When examining the articles yielded by the Wezel convention(1568) which was the first official synodic meeting, one can discover evidences to confirm anti-hierarchical tendency. Leaders gathered in Wezel understood that the presbytery and the synod must focus on safeguarding the privileges of the ministers and local churches. Articles on pastor`s sin clearly demonstrated how Wezel convention consistently disapproved of the dominance of one minister or presbytery over other church offices. The first official synod of Dutch Reformed churches in Emden (1571) acknowledged this anti-hierarchical spirit of the Wezel convention. In the 19th century, dutch Reformed churches confronted secession twice, ``Afscheiding`` and ``Doleantie``. Local churches, pastors, and faithful believers desired to restore the identity of the Reformed church and remain faithful to the reformed confessions. Regarding the church order, they reaffirmed the church order of Synod of Dordrecht (1619) which contained almost the same substances of Wezel`s articles and the church order of the first synod in Emden. Not only Abraham Kuyper who plays a key role in ``Doleantie,`` but Herman Bavinck, the successor of ``Afscheiding,`` also supports the independency and universality of local church. Eventually, they argued that Kerkverband and the broader assemblies - particular and general synod - do not have an authority over the local church. No form of hierarchy can be permitted between the church offices and between other local churches. Korean churches can benefit from the Reformed church order established through the history of struggle in two aspects. First, the presbytery or the synod often results in clericalism in Korean churches. In the reformed churches, the presbytery and the synod must serve its purpose to protect the independency and privilege of the local churches and their ministers. These broader assemblies cannot operate their dominancy over the local churches. Second, in reaction to clericalism occurred in broader assemblies, an individualistic view which negate the kerkverband (association of the confessional churches) is also pervasive in Korean churches. They will benefit if they remember that the Reformed church order was designed not to minimize the unity of the local church but to maximize its communion.

      • KCI등재

        ‘2010 개혁주의생명신학 선언문``의 선교적 의미

        장훈태 ( Hun Tae Chang )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11 생명과 말씀 Vol.4 No.-

        본 논문은 2010년 장종현 박사가 주창한 “개혁주의생명신학 선언문”은 한국 교회의 신학적 반성에 대한 촉구를 골자로 하는 내용으로 장종현 박사의 신학적 정체성일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한국 교회와 함께 신학교라는 두 축을 움직이는 두 축이다. 이로 인해 백석학원은 학교의 높은 위상에 자부심을 갖게 됐다. 본 논문에서는 개혁주의생명신학에 대한 용어의 문제이기 보다는 태도와 마음가짐에 집중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자는 개혁주의생명신학의 한국 사회와 교회의 상황에서 필연적인 의미를 갖는 당위성을 견지해야 한다는 전제하에 2010년 개혁주의생명신학 선언문의 선언동기와 선언문 내용에 포함되어 있는 선교적 함의를 고찰하고, 선교적 차원에서 실행하기 위한 실천방안을 논의하고자 한다. 장종현 박사는 “신학은 학문이 아니다”라는 선언을 함과 동시에“개혁주의생명신학”만이 한국 교회의 회복, 신학을 회복할 수 있다는 믿음아래 “절망적인 신학교와 교회에서 희망을 버리지 않고 끊임없이 꿈을 향해 정진”해 왔다. 장종현박사는 “개혁주의생명신학”을 통하여 한국 교회와 신학의 회복을 위한 희망을 찾으려 한다. 그는 항상 “작고 느리고 섬세하게” 희망을 찾는 바른 생활상(Right Livelihood Awards)을 외치고 있다. 이는 개혁주의생명신학을 주창하게 된 동기 즉 “다른 신학을 주장하는 것이 아니라 죽어 있는 개혁신학을 살려야 한다. 장종현 박사는 개혁주의생명신학의 실천적 운동을 활발히 전개하기 위해 선언문에 일곱 가지 운동 즉 신앙운동, 신학회복운동, 영적생명운동, 하나님 나라운동, 기도운동, 성령운동, 그리고 나눔운동을 주장 한다. 결과적으로 개혁주의의 가장 근본적인 주장인 “성경대로 돌아가서 성경이 말씀하는 대로 믿고 성경이 말씀하는 대로 사는 것이 죽어버린 신학을 살리는 길”이다. 이것이 개혁주의생명신학 운동의 핵심 내용이다. 개혁주의생명신학은 기독교대학으로서 정체성을 견고히 하는 원동력이며, 학교가 지향해야 할 근본적인 목표이다. 즉 기독교대학의 근본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영원한 생명을 얻도록``하는 것이다. 이것은 모든 기독교대학이 영생의 신학 곧 생명신학의 토대위에 세워져야 함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개혁주의생명신학 선언문을 발표하게 된 동기의 핵심은 교회의 발전을 통한 하나님 나라 확산과 선교적사명 완수이다. 한국 교회의 회복과 발전을 위해 개혁주의생명신학이 주창한 7대 운동은 “신앙운동, 신학회복운동, 영적생명운동, 하나님 나라운동, 기도운동, 성령운동, 나눔운동”이다. 개혁주의생명신학의 교회의 올바른 회복과 발전의 동기는 이 선언문의 중심 내용 즉 “신학은 학문이 아니라 생명을 살리는 복음”이며, “교회와 세상을 변화시키는 원동력”이라는 근본취지에서도 드러난다. 2010 개혁주의생명신학 선언문``의 선교적 의미적 의미는 한국 교회위기의 돌파구의 핵심은 영이요, 첫째는, 하나님의 말씀 회복이다. 모든 주의 백성들이 하나님의 말씀을 듣고, 주 안에서 누릴 때 교회의 위기 돌파구가 보이게 될 것이다. 둘째는, 영적 생명력 회복이다. 장종현박사의 “생명의 말씀”은 교회와 세상을 살리는 원동력이란 의미다. 이러한 주장은 예수 그리스도의 지상명령 즉 대위임령(마 28:18-20)과 예수그리스도의 복음을 땅 끝까지(행 1:8)전하라는 명령과 일치한다. 셋째는, 선교 활성화 및 운동이다. 장종현 박사는 계속해서 “개혁주의신학의 핵심인 하나님이 주시는 영적 생명을 놓치고, 이론 중심의 신학연구에 머무르는 것을 보며 안타까운 마음을 금할 길이 없다”고 표현하며 개혁주의생명신학 운동을 활발히 전개하기 위해 7대 운동을 펼치게 되었음을 밝히고 있다. 본 논문에서 개혁주의생명신학 선언문의 선교적 실천방안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역설하였다. 첫째는, 생명에 들어가기 위한 말씀(계명) 지키기이다. 둘째는, 영적인 사람, 생명의 사람으로 살기이다. 셋째는, 사역의 감각성을 지닌 지도자 양성이다. 넷째는, 순수한 복음을 성경말씀대로 선포하여 교회의 생명력 회복이다. 개혁주의생명신학 선언문의 7대 운동의 전반적인 내용은 복음전도의 목적이 담겨 있다. 7대 운동은 “이 땅에서의 예수 그리스도의 삶에 관한 지식을 계속 보존하는것, 그리고 그분의 재림을 위해 준비하는 것, 그분이 사람들의 마음 문앞에서 두드리고 그들 속으로 들어가려고 함”을 강조하고 있다. This article explained that the “Reformed Life Theology Declaration” advocated by Dr. Jong Hyun Chang in 2010 has the contents with the essentials to demand theological introspection of Korean churches and it is not only the theological identity of Dr. Jong Hyun Chang but also one of the two axes which move theological schools through this together with Korean churches. This paper explored this researcher under the premise that appropriateness which has indispensable meaning in the situation of Korean society and churches of Reformed Life Theology should be strongly supported, contemplates the motives of declaration of reformed life theology declaration 2010 and missionary implicature included in the contents of the declaration and discuss the method of practice to implement it specifically in the level of mission. Dr. Jong Hyun Chang declared “Theology is not study.” and at the same time under the belief that only “reformed life theology” can restore Korean churches and restore theology, “he has devoted himself to the dream continuously without giving up hope in despairing theology school and churches.” He is to find the hope for the restoration of Korean churches and theology through “Reformed Life Theology” He is always shouting “small and slowly and delicately” which is Right Livelihood Awards to find hope. The study emphasis that this is not to make new theology but by blowing life into reformism to activate reform theology” and “maintains in the declaration that in order to actively unfold practical movement of reformed life theology, seven kinds of movements namely, religious belief movement, theology restoration movement, spiritual life movement, Kingdom of God movement, prayer movement, Holy Spirit movement and sharing movement.” Reformed Life Theology is the driving force that makes the identity as Christianity university firm and fundamental purpose which the school should aim at. Namely, the fundamental of Christianity university is to ``obtain eternal life through Jesus Christ``. It can be seen to mean that all Christianity university should established on the foundation of the theology of eternal life namely life theology. The 7 great movement advocated by reformed life theology for the restoration and development of Korean churches are religious belief movement, theology restoration movement, spiritual life movement, Kingdom of God movement, prayer movement, Holy Spirit movement and sharing movement. The article mentioned that Missionary Meaning of ``the Declaration of Reformed Life Theology 2010.`` First, the core of breakthrough for the crisis of churches is the restoration of the words of God which is the Spirit and life, Second, restoration of Spiritual Vitality; third, vitalization and Movements of Missionary Work. Missionary meaning appeared in the declaration of reformed life theology was looked into. In order to give spiritual vitality to Korean churches, Asian churches and the actual spot of missionary work, we should practice the 7 great movements actively. 7 great movements in the declaration are very meaningful in Korean church history and missionary history therefore theology schools and churches should actively accept them and participate in them. This article argued that missionary method of practice of the declaration of Reformed Life Theology mention as below; First, Observing the Words (Commandments) to Enter the Life; Second, Living as a Man of Spirit and a Man of Life; Third, Educating Leaders who have Sentience of Ministry; Fourth, Restoration of Vitality of Churches by Proclaiming Pure Gospel as the Saying of the Bible. The 7 great movements emphasize “preserving continuously the knowledge on the life of Jesus Christ on this earth, and preparing for the Second Advent of Him and He knocks on the door of mind of people and tries to enter them. The pulpits of churches proclaim as the Bible, the Kingdom of God will expand. This is the core of the 7 great movements of the declaration.

      • KCI등재

        그리스도의 주권적 통치에 대한 고백과 헌신: 제2스위스 신앙고백(1566)의 교회론 연구

        김요섭 ( Yosep Kim ) 한국복음주의역사신학회 2021 역사신학 논총 Vol.39 No.-

        본 논문의 목적은 1566년 스위스 개혁파 교회가 제정하고 공인한 제2스위스 신앙고백의 교회론 관련 진술들을 이 신앙고백과 연관성이 있는 여러 개혁파 신앙고백들과 비교함으로써 각 지역의 서로 다른 역사적 상황 가운데에서도 개혁교회들이 동일하게 강조한 교회론적 강조점을 확인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먼저 제2스위스 신앙고백 작성에 영향을 준 주된 역사적 배경을 이 신앙고백의 제정 목적과 관련해 고찰한 후, 개혁파 신앙고백으로서의 구조적 특징들을 검토한 후 이 신앙고백의 교회론 관련 조항들을 다른 개혁파 신앙고백들의 해당 내용과 비교하며 분석한다. 신앙고백의 17장은 교회를 정의하고 교회의 다양한 구분을 설명하면서 하나님의 뜻과 그리스도의 유일한 주권이라는 원리 위에서 종교개혁의 대의를 변호하고 개혁교회의 연대를 추구한다. 또 참된 교회의 표지와 관련해서도 같은 교회론적 원리 위에서 잘못된 교회론에 맞서 개혁교회가 함께 추구해야 할 방향을 천명한다. 신앙고백의 18장은 교회의 머리이신 그리스도의 주권을 교회 제도의 기초라고 강조하면서 특히 목사직과 관련한 교회 제도 개혁을 구체적으로 제안한다. 위의 비교 분석을 통해 제2스위스 신앙고백들 비롯한 16세기 여러 나라의 개혁교회들은 공통적으로 교회의 유일한 머리이신 그리스도의 주권을 확립하는 것을 개혁의 목적으로 삼았고, 그 위에서 참된 교회들 사이의 일치와 연대를 추구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nifest the key ideas of the church among sixteenth-century reformed churched by comparing the ecclesiological statements of the Second Helvetic Confession with the other reformed confessions: the First Helvetic Confession(1537), Genevan Confession(1536), French Confession(1559), Scottish Confession(1560), and Belgic Confession(1561). Comparative examination of the ecclesiological statements in those confessions shows the common and consistent understanding of the Church and its reformation, even though each reformed church in the sixteenth-century Europe faced the diverse political challenges in the specific situations. In the first plac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Second Helvetic Confession concerning its aims, and then reviews its structural features as a reformed confession. The seventeenth chapter of this confession, which discusses the definition and the classification of the Church, attempts to defend the cause of reformation and pursue the solidarity of the reformed churches. The theological principle of Solus Christus plays a pivotal role in the ecclesiological statements of this confession. In the same chapter, the Second Helvetic Confession deals with the marks of the true church for same purses on the same theological ground of Solus Christus. In the eighteenth chapter, the confession states the church government and its reformation. The sovereign authority of Christ is emphasized not only as the foundation of the church government, but also as the standard of reforming the church. Accordingly, the same chapter of the confession suggests the practical measures for church reformation especially concerning the office of pastors. As the ecclesiological statements of the Second Helvetic Confession clarify, sixteenth-century reformed churches shared the common theological principle of Solus Christus for their understanding of the Church. Furthermore, this ecclesiological principle helped them to form the solidarity for reforming their churches against the criticism and threat of the Roman Catholic side.

      • KCI등재

        화란개혁주의 관점에서 조명한 개혁주의생명신학

        안인섭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23 생명과 말씀 Vol.35 No.1

        This article studies how the core value of the Christian Gospel, “the Kingdom of God,” should be interpreted in relation to the theological theme of “Church and Stat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eformed perspective. First, with the methodology of the historical theology, I study the Dutch Reformed theology in the early modern era of the sixteenth century interprets the Kingdom of God, and examine how the Reformed Life Theology interprets this theme. In the end, the Reformed Life Theology is illuminated from the viewpoint of the Dutch Reformed. According to Dutch Reformed Theology, the Kingdom of God begins with a spiritual Kingdom where the Word of God is proclaimed and sinners gain the life. Faced with the rising problems of the Korean church and theology, Reformed Life Theology also finds a solution in the Gospel of Life of Jesus Christ. In this respect, Reformed Life Theology shows theological characteristics consistent with Dutch Reformed Theology. The Dutch Reformed Church was able to actively and positively contribute to modern history by applying Calvin’s theology of the Kingdom of God to the dynamic situation of the Netherlands, which was developing into a modern united republic. Calvin and the Dutch Reformed Theology understood the Kingdom of God as God's dual rule, and emphasized that the state must have the justice, while Church and State that carry out the reign of God are distinguished. Reformed Life Theology clearly interprets the Kingdom movement as a movement that realizes the lordship of Jesus Christ through the power of the Holy Spirit in all areas of faith and life. In this context, an in-depth study of the Reformed Life Theology on God’s reign through the State and society is required. The history of Dutch Reformation shows that when the Christians, who gained the life of salvation through the Word of God, lived according to their faith in the Kingdom of God, they contributed to the opening of modern civil society, as well as to the Dutch Reformed Church. Reformed Life Theology, which has a clear orientation to the Kingdom of God, is also expected to make a historical contribution to supplying spiritual life to the secularized and power less modern church and theological world and establishing God's justice in the modern society. 본 논문은 기독교 복음의 핵심 가치인 “하나님 나라”가 “교회와 국가”라고 하는 신학적 주제와 관련해서 어떻게 해석되어야하는지 개혁주의 관점에서 연구한다. 먼저 16세기 근세 초 화란개혁주의 신학은 하나님 나라를 어떻게 해석하고 있는지 역사신학적으로 고찰하며, 개혁주의생명신학은 이 주제를 어떻게 해석하고 있는지를 살펴본다. 결국 화란개혁주의의 관점에서 개혁주의생명신학을 조명한다. 화란개혁주의에 의하면 하나님의 나라는 하나님의 말씀이 선포되어 죄인이 생명을 얻게 되는 영적인 나라에서 시작한다. 한국 교회와 신학의 한계 상황을 직면하면서 개혁주의생명신학도예수 그리스도의 생명의 복음에서 해결을 찾는다. 이런 면에서 개혁주의생명신학은 화란 개혁주의와 일치되는 신학적 특징을보여주고 있다. 화란 개혁교회는 칼빈의 하나님 나라 신학을 근대적 연방공화국으로 발전하던 네덜란드의 역동적 상황에 적용함으로 근세 역사에 적극적이고 긍정적으로 공헌할 수 있었다. 칼빈과 화란개혁주의는 하나님의 나라를 하나님의 이중의 통치로 이해하면서 하나님의 통치를 수행하는 교회와 국가는 구별되면서도 국가는 반드시 정의로와야 한다고 강조했다. 개혁주의생명신학은 하나님나라운동을 신앙과 삶의 모든 영역에서 성령의 도우심을 통해 예수 그리스도의 주되심을 실현하는 운동이라고 명확하게 해석해내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국가와 사회를 통한 하나님의 통치에대한 개혁주의생명신학의 심화된 연구가 요청된다. 화란 개혁주의 역사는 하나님의 말씀으로 구원의 생명을 얻은성도들이 하나님 나라 신앙대로 살아갔을 때 교회를 살릴 뿐 아니라 근대 시민사회가 열리는 데 공헌하게 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하나님 나라 지향성이 선명한 개혁주의생명신학도 세속화되고 무기력해진 현대 교회와 신학계에 영적 생명을 공급하고 하나님의 정의를 세우기 위한 역사적 공헌이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개혁교회 전통에서 본 교회와 국가의 관계에 대한 연구

        최윤배 한국조직신학회 2020 한국조직신학논총 Vol.58 No.-

        기독교 역사 속에서의 “교회와 정치와의 관계 유형”, 곧 교회와 국가의 관계 유형을 다섯 가지로 분류하는 바, 그 유형들은, 곧 ① 중세 로마 천 주교회나 오늘날의 로마 바티칸공국처럼 교회가 정치권력을 지배하 는 경우, ② 국가가 교회를 지배하는 에라스티언니즘(Erastianism)의 영국 국교회인 성공회의 경우, ③ 16세기 재세례파처럼 교회와 국가가 서로 완전히 분리된 경우, ④ “루터파” 교회처럼 상호 독자적이면서 상 호 불간섭하는 경우, ⑤ “개혁파” 교회처럼 상호 독자적 영역을 인정하 는 동시에, 양자(兩) 영역에서 하나님의 주권(主權)을 실현하려는 경 우이다. 우리가 본 논문에서 분석한 바와 같이 “개혁교회 전통”에서 교회와 국 가의 관계 유형은 다섯 번째 유형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개혁교회 전통은 대체로 교회와 국가의 독자적인 영역을 인정하면서, 양 영역에서 하나님의 주권을 실현하려는 유형이며, 두 왕국 사상에 따 라 교회와 국가의 독자적 영역을 인정하되, 국가의 영역에서도 하나님 의 말씀에 대한 순종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교회와 국 가의 관계에 대한 이해가 개혁교회 전통 속에서조차도 넓은 틀 속에서 공통점을 가지면서도 각 시대에 따라 또는 같은 사람일지라도 그의 생 애에 따라 어느 정도의 편차(偏差)도 발견된다. The five types of “relationship between church and politics” in the history of Christianity, t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church and state, are: ① like the medieval Roman Catholic Church or today’s Roman Vatican, the church dominates the state, ② the Anglican Church, the state church of the Erastian- ism, where the state dominates the church, when they are mutually independent and mutually intrusive, ⑤ it is a case of realizing God’s sovereignty in both domains while acknowledging mutually independent domains like the “Reformed” church. As we have analyzed in this paper, the type of relationship between church and state in the “Reformed tradition” belongs to the fifth type. In other words, the Reformed tradition is a type that seeks to realize God's sovereignty in both domains, generally acknowledging the independent realms of the church and state, and acknowledges the independent realms of the church and state according to the ideas of the two kingdoms. However, while the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urch and the state has something in common in the broader framework, even in Reformed traditions, some variation is found in each age or even in the same person, depending on his life.

      • KCI등재

        Church Government in French Churches in the 17th Century

        Paul Wells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2016 갱신과 부흥 Vol.17 No.1

        본 논문은 17세기 프랑스 개혁교회에서 교회정치가 어떻게 형성되 었는가를 고찰한 논문이다. 칼빈의 교회 정치 개념으로부터 영향을 받은 프랑스 개혁교회는 1559년에 제정된 ‘라 로쉘 고백문’(La Rochelle Confession)과 함께 채택되었던 38개 항목의 ‘교회권징 조례’(La disicipline ecclésiaque)를 1659년까지 252개의 항목 으로 발전시켰다. 교회의 조직 구조는 장로-총회식 제도(le régime presbytéro-synodal)로 불리는데 지역적 다양성의 원리와 통합적 일치성의 원리 사이에 상보성에 주목하면서 교회의 권위가 회중에게 놓여 있음이 강조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회중성의 강조가 곧 회중주 의(cogreatationalism)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었다. 프랑스 개혁교 회의 정치형태는 오히려 반계급적이면서도 권위를 인정하는 일종의 피라미드식 구조를 지니게 되었다. 교회의 권위는 지역교회에서 장로회 또는 당회로, 그리고 장로회 또는 당회에서 지역 총회로, 그리고 지역 총회에서 전국 총회 또는 대회의 구조로 발전되었다. 이는 프랑스 개혁교회가 발전시킨 독특한 형태의 장로교주의로서 칼빈의 교회 정치 개념을 프랑스 개혁교회의 필요성에 맞게 수정시킨 것이었 다. 이 구조는 당회와 총회의 지속적 모임을 정당화했으며 이를 통해서 정규적 사역과 권징의 실천적 시행이 프랑스 개혁교회에서 가능해 졌다고 볼 수 있다. 프랑스 개혁교회 총회에서 주로 다루어졌던 주제들은 크게 두 가지로 윤리적 문제들과 신학적 논쟁에서 비롯된 문제들이었다. 첫째, 윤리적 문제와 관련해서 장로회, 즉 목사와 장로로 구성된 당회는 모든 교회 멤버들에게 주어진 권위로부터 위임받아 권징을 시행했는데 이는 주로 행정적인 것으로 해석되었다. 장로회는 또한 교회에 의해서 파견된 대표자들로서 정당성을 지니고 총회에 참석했다. 총회의 권위는 상대적 권위 이상의 것이 아니었으며 성경에 복종하는 한, 교회 들의 뜻을 정당하게 대변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총회가 인간적 제도이므로 사실상 새로운 교리와 의식을 제정하는 권한이 주어지지 않았던 것이다. 둘째, 신학적 논쟁과 관련해서 로마 가톨릭, 알미 니우스주의, 소무르 지역에서 출발한 아미로주의의 주장들에 대한 신학적 독단성을 교회 법정에서 처되어야 한다는 결정을 내렸다. 17 세기 프랑스 교회의 주요 논쟁 주제는 알미니우스주의와 논쟁에서 파생된 신학적 문제들이었다. 일반적으로 총회는 이들에 대해서 단호한 입장을 취했지만 자신들의 신학적 주장을 과격하게 내세우려 하지 않는 자들에게는 어느 정도의 관용을 베풀고 건전한 교리로 이들을 설득해야 한다는 태도를 취하였다. This article deals with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the church government in the reformed churches in the 17th century. French churches, heavily influenced by Calvin s understanding of church government, had further expanded “the Church Discipline”(1559) with its original 38 articles into 252 articles until 1659. The structural system of the church was called the presbyterian-synodal system. This system especially emphasized the fact that ecclesiastical authority lies in the congregation while noting there is a factor of complementarity between the principles of diversity and unity. But this emphasis does not mean church had adopted congregationalism. In fact, the French church in the 17th century had developed a pyramidal governing system characterized by combining anti-hierarchical attitude and that of submissive to authority. The authority of church, which is originated from local church, is now represented by presbytery or session, from presbytery to local general assembly, from local general assembly to national synod or general assembly. This was a original church government system developed by French Reformed Church. It was modified version of Calvin s understanding of church government suited for the necessity of French Reformed Church. It provided a rationale for the consistent meeting of session and general assembly.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conduct regular ministry and practical discipline in the French Reformed Church. There were two subjects which had been mainly dealt with in the general assemblies of French Reformed Church: ethical problems and problems related to the theological controversies. First, regarding ethical problems, presbytery, which was composed of ministers and elders, practiced church discipline utilizing the power originally given to church members. General assembly had a relative authority. The meaning of relativity was interpreted as representing the will of local churches as long as general assembly was subjected to Scripture. Sec-ond, regarding problems resulting from theological controversies, general assembly dealt mainly with Roman Catholicism, Arminianism and Amyraldism. The French Reformed Church had decided dogmatism exhibited by these groups should be prohibited by church court. One of the most controversial issues in the French Reformed Church in the 17th century was problems related to the controversies against Arminians. General assembly had maintained very strict attitude towards them in general. Yet some degree of tolerance had been shown to those who were not radically propagating their thoughts along with maintained an attitude of persuading them with sound doctrines.

      • KCI등재

        종교개혁전통의 교회력과 성서정과의 채택여부에 관한 연구–루터와 칼빈을 중심으로

        김명실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18 장신논단 Vol.50 No.2

        In spite of an claim that the reformers in the 16th century abolished the church year and the lectionary, there is enough evidence that the reformers observed the church year reflecting the salvation story of Jesus Christ and read the biblical texts selected for a certain day’s preaching. In the middle of the 20th century, the liturgical renewal movement of the Second Vatican Council abbreviated the middle age’s liturgical calendar to recover the biblical tradition in the church year and left the lectionary organized into three-year cycles of readings. Being influenced by the movement, the Protestant churches also developed a common three-year lectionary together as a part of ecumenical movement, and have been popularizing the three-year lectionary. However, some scholars and ministers belonging to the Reformed tradition in Korea have been arguing that the system of liturgical calendar and lectionary was criticized and abandoned by the reformers in the 16th century, insisting that only lectio continua is appropriate for Reformed churches, not lectio selecta based on the church year. Thus, this article examines on whether the reformers, especially Martin Luther and John Calvin, abolished the liturgical calendar and the lectionary, and the historical backgrounds why many people have had such a preconceived idea. Although Luther and Calvin had criticized and/or minimized the church year and the lectionary, they didn’t deny the liturgical system itself, but objected to aspects of the liturgical calendar as corrupted, including saint worship and unsuitable biblical tests for the feasts throughout the Middle Ages. In addition, this article examines the development of the liturgical calendar and the church year in Scottish Church, which has been one of the most important references for most Korean Reformed churches. Proving that Church year and the lectionary system was originated from Jewish tradition, it is suggested that to develop the early church’s worship traditions in a way that addresses modern contexts is appropriate to the spirituality of Reformation tradition, and should not be abandoned. 16세기 종교개혁자들이 중세 로마 가톨릭이 사용하던 교회력과 그에 기초한 성서정과를 폐기했다는 주장에도 불구하고, 종교개혁자들이 예수 그리스도의 구속사를 중심으로 한 기본적인 교회력을 준수하였고 그에 맞도록 선택된 성경본문에 따라 설교한 기록된 증거들은 충분하다. 20세기 중반에 시작된 제 2 바티칸 공의회의 예배개혁운동은 성경적 교회력의 회복과 그에 따른 3년 성서정과라는 위대한 예배유산을 남겼다. 이에 영향을 받은 세계 개신교 주류 교단들은 교회연합의 일환으로 3년 단위의 공동성서정과를 만들었고, 현재 활발히 보급 중에 있다. 그러나 개혁전통에 속한 몇 몇 한국의 신학자나 목회자들이 이러한 교회력과 그에 따라 성경본문을 선택해서 설교하는 방식이 16세기 종교개혁자들에게 비판을 받은 실행이라고 문제를 제기해오고 있다. 이들은 종교개혁자들, 특히 칼빈은 교회력과 상관없이 연속적 성경읽기 방식을 통해 설교했기에, 교회력을 반영하는 선택적 성경읽기가 아니라 연속적 성경읽기 방식으로 설교해나가는 것이 개혁전 통에 적합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따라서 이 논문은 16세기 종교개혁자들, 특히 루터와 칼빈이 교회력과 그에 따라 선택된 성서정과를 사용했는지의 여부를 밝히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초기 개혁자들이 비록 중세 교회력과 성서정과를 비판하고 축소하였으나 그것은 교회 력과 성서정과 제도 자체를 부정한 것이 아니라, 성인숭배 등으로 오염된 교회력과 절기에 맞지 않게 선택된 성서정과를 비판했던 것이다. 또한 칼빈의 영향을 받은 스코틀랜드 교회가 급진적인 개혁을 단행하며 거의 모든 교회력을 폐지하였으나 자체적으로 개혁적인 예배회복을 통해 교회력을 새롭게 복원하여 실행하고 있음도 밝히고 있다. 스코틀랜드 장로교회는 한국 개혁교회들의 주요한 참고 중 하나이다. 또한 이 논문은 교회력과 성서정과가 중세의 산물이 아니라 유대교 회당 예배의 전통을 계승하며 발전시킨 기독교의 예배전통임을 증명하며, 기독교 초기 부터 형성된 예배전통을 폐기하기 보다는 각 시대정신에 맞게 발전시켜나가는 것이 개혁전통의 참 정신이라고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