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후변화 완화대책으로서의 재생복사용지 소비 개선 연구

        이신,배석한 한국재난정보학회 2022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8 No.1

        Purpose: The paper aims to: 1) identify the reasons for the low usage of recycled paper in domestic workplaces and the premature state of recycled paper industry; 2) assess the environmental effects of replacing domestically consumed copy papers with recycled papers; and 3) suggest ways in which the recycled paper industry can expand in South Korea. Method: Questionnaire survey with cluster sampling is used to identify the attitudes and behavior with respect to recycled copy paper, the results of which are analyzed using SPSS. The environmental effect of replacing copy papers with recycled paper is assessed through the Life Cycle Assessment approach and Paper Calculator V4.0. Result: While the respondent’s experience in using recycled copy paper was relatively low, they tend to acknowledge the need for its use and show relatively high satisfaction with the quality of the recycled paper. The environmental benefits of replacing ordinary copy paper with 40%+ recycled paper under the 10% market share increase scenario amounts to 60,000 tons of CO2 emissions reductions. Conclusion: The results from the attitude survey and market research, five approaches to improving the recycled copy paper market are suggested. 연구목적: 첫째, 국내에서 재생복사용지가 많이 사용되지 않고 시장이 활성화되지 못한 이유를 파악하고, 둘째, 복사용지가 재생복사용지로 대체되었을 경우의 환경적 효과를 알아본다. 셋째, 재생복사용지의 시장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개선방안을 도출한다. 연구방법: 재생복사용지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SPS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Life Cycle Assessment 기법과 Paper Calculator V4.0를 사용하여 재생복사용지로의 전환에 따른 환경적 효과를 측정한다. 연구결과: 설문조사 응답자들은 재생복사용지의 낮은 사용경험에도 불구하고 재생복사용지에 대한 필요성을 인정하고 있으며 품질에 대한 만족도도 높은 편이었다. 또한 고지율40% 재생복사용지의 시장점유율이 10%로 상승 시 6만톤의 CO2 감소의 환경적 효과를 확인하였다. 결론: 인식조사 및 시장조사 결과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재생복사용지 시장 활성화를 위한 5가지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Appropriate Technology for the Paper Recycling: A New Paradigm

        Vu, Hong Ha Thi,Lai, Tuan Quang,Ahn, Ji Whan The Korean Society for Energy 2018 에너지공학 Vol.27 No.2

        Every day a huge amount of paper is being used, most of them are thrown after using. This directly impacts on the environment. Therefore, waste paper management is necessity to protect the environment from its annihilation and pollution. Paper recycling products consist of printing paper, newspaper, corrugated containers, magazine paper and so on. Reuse waste paper will reduce the consumption of wood and virgin pulp as recycling one ton of newsprint can save approximately 1 ton of wood, meanwhile recycling 1 ton of printing paper can save more than 2 tons of wood. With increasing recycling rates, lower quality paper fractions may be included. Thus the selection of a paper recycling technology is a crucial first design consideration. The paper recycling must be accompanied by appropriate technology to manage a huge volume of wastepaper. The specific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s of paper production and consumption, (2) figure out about paper recovery and utilization, (3) investigate the paper recycling in the sustainable times, (4) introduce eco-friendly recycling technology to paper industry.

      • KCI등재

        Paper Recycling of South Korea and its Effects on Greenhouse Gas Emission Reduction and Forest Conservation

        Cha, Junhee,YOUN, Yeo-Chang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2008 한국산림과학회지 Vol.97 No.5

        The study evaluates the greenhouse gas (GHG) reduction potential of paper recycling by paper industry in South Korea and determines the positive impact on global warming by conserving the world's forests through decreasing pulp wood use. South Korea is one of the leading countries in the world thai recycle papers with a collection rate of 71.8 percent and a recycling rate of 74.4 percent in 2005. Greenhouse gas emission reduction potential in terms of carbon dioxide ($CO_2$) equivalent from paper recycling was assessed scientifically by the use of Life Cycle Assessment (LCA). Three types of papers including newsprint, container-board, and white-board were used for assessment in this study.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CO_2$ emission reduction potential of recycling paper varies according to its types and recycling rates. Greenhouse gas emission reduction factor of 0.74869 $tCO_2$ per ton of recycled paper was derived from this study. In applying this factor. it was found out that the South Korean paper industry reduced GHG emission of around 6,364,550 $tCO_2$ by recycling paper in 2005. With this. the country's paper industry could claim that by recycling in thai particular year. approximately $23.8million\;m^3$ of woods were not harvested and thus 212,500 ha of world's forests were estimated to be saved in that particular year. Overall.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Korean paper industry was able to reduce $CO_2$ emission and was able to conserve world's forests by its high rates of paper recycling.

      • KCI등재

        Paper Recycling of South Korea and its Effects on Greenhouse Gas Emission Reduction and Forest Conservation

        차준희,윤여창 한국산림과학회 2008 한국산림과학회지 Vol.97 No.5

        The study evaluates the greenhouse gas (GHG) reduction potential of paper recycling by paper industry in South Korea and determines the positive impact on global warming by conserving the world’s forests through decreasing pulp wood use. South Korea is one of the leading countries in the world that recycle papers with a collection rate of 71.8 percent and a recycling rate of 74.4 percent in 2005. Greenhouse gas emission reduction potential in terms of carbon dioxide (CO2) equivalent from paper recycling was assessed scientifically by the use of Life Cycle Assessment (LCA). Three types of papers including newsprint, container-board, and white-board were used for assessment in this study.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CO2 emission reduction potential of recycling paper varies according to its types and recycling rates. Greenhouse gas emission reduction factor of 0.74869 tCO2 per ton of recycled paper was derived from this study. In applying this factor, it was found out that the South Korean paper industry reduced GHG emission of around 6,364,550 tCO2 by recycling paper in 2005. With this, the country’s paper industry could claim that by recycling in that particular year, approximately 23.8 million m3 of woods were not harvested and thus 212,500 ha of world’s forests were estimated to be saved in that particular year. Overall,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Korean paper industry was able to reduce CO2 emission and was able to conserve world's forests by its high rates of paper recycling.

      • KCI등재후보

        재생용지를 통한 환경디자인에 대한 소비자인식 -L백화점 재생전단용지 사용 사례를 중심으로

        김상학,양초산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06 조형미디어학 Vol.9 No.1

        This is a specific example of environmental design and research for consumer's recognition of environmental effect of LOTTE This is a specific example of environmental design and research for consumer's recognition of environmental effect of LOTTE department store's leaflet advertisement, which is made of 23,000 tons of recycled papers a year to save 60,000 crops of 30 yearling trees. It shows what effect recycled paper leaflet has on advertising expression and the store's image.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nsumer blind test for fashion expression, general leaflet has an advantage over the recycled paper one. It seems to result from the gap of print quality. On the other hand, the non-blind test shows that the environmental element of recycled paper leaflet has a positive effect on consumer's conscious and raises the store's image. The 94.7% of consumer gave a positive response for recycled paper leaflet, which means that consumers are very interested in environment and it affects the store's image. Corporate image makes brand identity. And brand has an influence on consumer's behavior. This research shows that environmental brand image contributes to creation of benefit and corporate image raise. LOTTE department store's recycled paper leaflet helps to communicate with society. It is expected to result in consumer's participation in environmental issues and extension of using recycled papers. 환경디자인의 구체적 현상제시의 하나로 롯데백화점 전단광고 제작 시 연간 2만3천 톤의 재생용지 사용하여 30년생 나무 6만 그루를 살리는 환경효과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에 대한 연구다. 백화점광고의 특성상 패션전단으로 구체적 정보전달 기능과 백화점 고급이미지 구축이라는 상황에서 재생용지 사용이 광고표현과 백화점이미지에 대해 어떠한 결과를 가져올지에 대해 소비자 인식정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인쇄품질의 차이로 발생하여 전단광고의 패션표현부분에 대한 조사결과 블라인드 테스트에서는 기존전단이 우위이다. 그러나 오픈 테스트 결과를 비교 할 때 인쇄품질로 인한 광고 표현의 차이보다 환경에 대한 긍정적인 효과로 백화점 이미지를 제고시키는 조사결과가 나타났다. 재생용지 사용을 통한 환경경영에 대한 중요성 인식을 볼 때 재생용지에 대해 94.7%가 긍정적인 결과로 소비자는 환경에 대한 인식과 관심도가 높으며 이러한 결과가 백화점 이미지와 연결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기업의 이미지는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극대화시켜 소비행동에 장기적으로 기업이윤을 창출할 것이며 또 그 이윤을 사회에 환원할 때 환경기업이미지가 일류 백화점이미지로 구축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롯데백화점 재생용지 사용은 환경과 미래를 생각하는 사회와의 공감대를 형성해 나갈 것이다. 소비자 참여와 직접 느낄 수 있는 공감대를 형성함으로써 환경을 생각하는 의식변화를 가져오며 재생용지 사용 확대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재생지 품질 향상을 위한 종이류 재활용 체계 분석 및 사례 연구-한국과 일본 사례를 중심으로-

        한양희,신재욱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22 조형미디어학 Vol.25 No.2

        One day, because resources are not source of all resources are consumed in the future, we must find new resources or substitutes.In addition, continuing resource consumption is There is also the problem of environmental pollution.Progressing research continues to find a substitute, but still completely substitute that can replace an existing resources should not exist, and substitutes the present situation it is difficult as a complete solution for a limited duration.For this reason, to start the limited resources started recycling for human being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status of paper recycling based on the laws and recycling systems of Korea and Japan, analyzed what differences affect the quality differences in the recycling systems of the two countries, and conducted a study to find out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Korea's paper recycling system. First, Korea's tributary recycling system was analyzed based on the separate discharge application of my hand made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the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the packing material and structure evaluation system of the Korea Packaging Recycling Business Credit Union, and the Resource Conservation and Recycling Promotion Act. Next, the paper recycling system in Japan was analyzed based on the container packaging recycling method and the highland recycling certification system. In this study, it is meaningful to compare and analyze how laws related to paper recycling are stipulated and implemented by country, and to find out what differences in the recycling system affect the quality difference on recycled paper. However, since the separate collection of notices for recycling cannot be achieved through individual efforts, it is expected that the national level will supplement the loopholes in the system and increase the ratio of recycled paper. 자원은 무한히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언젠가의 미래에 모든 자원이 소모되면 인류는 새로운 자원이나 대체재를 찾아 나서야 한다. 더불어 계속되는 자원 소모는 환경오염의 문제도 있다. 대체재를 찾는 연구는 계속해서 진행되고 있지만 아직 기존 자원들을 완벽히 대체할 수 있는 대체재는 존재하지 않다고 봐야 하며, 대체재가 현 상황의 완전한 해결책이라고 보기에는 어렵다는 한계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한정되어있는 자원을 아껴 쓰기 위해 인류는 재활용을 시작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일본의 재활용 관련 법률과 재활용 체계를 바탕으로 종이류 재활용 현황을 분석하고, 두 나라의 재활용 체계에 어떤 차이점이 재생지에 품질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궁극적으로 우리나라의 종이류 재활용 체계의 발전 방향을 알아보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환경부와 한국환경공단에서 제작한 내 손안의 분리배출 어플리케이션과 한국 포장재 재활용 사업공제조합의 포장재 재질·구조 평가제도, 한국 순환자원유통 지원센터의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을 토대로 대한민국의 지류 재활용 체계에 대해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용기포장 리사이클법과 고지 재활용 인증 제도를 토대로 일본의 종이류 재활용 체계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별로 종이류 재활용 관련 법률이 어떻게 규정되고 시행되고 있는지 비교 분석하고 재활용 체계의 어떤 차이점이 재생지에 품질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데에 의의가 있다. 다만 재활용을 위한 고지의 분별 회수는 개인의 노력으로 이룰 수 없는 부분이기 때문에 국가 차원에서 제도의 허점을 보완해주기를, 그리고 더욱 재생지의 사용 비율이 늘어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종이멀칭 재배가 벼 생육 및 잡초방제에 미치는 영향

        이충렬 공주대학교 자원과학연구소 2023 자원과학연구 Vol.5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cycled paper mulching on weed occurrence, growth and yield of rice. To obtain this, a single fold of newspaper or two folds of newspaper is used. Recycled papers with basis weight of 120, 180, 250g/m2 were fabricated from recycled corrugate container. It took about from 27 to 70 days for the mulch paper to reach 50% decomposition according to type of mulch paper. Paper mulching was more effective in controlling the weed than non-mulch. The plant height and leaf area was more or less high at the control, and is similar to in that of the paper mulch treatment. The number of tiller is high at the control in the comparison with non-mulch treatment. The number of panicle for plant is similar to the control in the case of recycled paper mulch treatment too. However, but it show decreasing tendency above 50% in both the non-mulch and newspaper mulch. Newspaper give the yield of 243-305Kg/10a while, recycled paper mulch and control give yields of 448-459Kg/10a and 468Kg/10a respectively. Therefore, it could be concluded that paper mulching can not only be used as an alternative for non-herbicidal weed control but only ensure as high yield as the conventional weed control method by herbicide in transplanting rice field.

      • KCI등재

        유연 종이 식품 포장재의 개질 아크릴 에멀젼 코팅 특성 및 재활용성 평가

        이명호,조인석,이동철,이윤석 한국포장학회 2023 한국포장학회지 Vol.29 No.3

        최근 소비자들의 소비 형태가 온라인 쇼핑 및 간편식, 배 달 음식 등 비대면 소비를 위한 서비스 시장이 크게 확대 됨에 따라 플라스틱 일회용 제품의 소비가 급증하게 되면 서, 사용한 플라스틱 폐기물에 의한 여러 환경오염 문제들 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제적으 로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고, 환경친화성 및 재활용성이 높 은 지속 가능 물질로 대체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재활용성이 높은 종이에 다양한 종류의 배리어 코팅을 적용한 종이 시료의 물성과 배리어 특성 및 재활용 성 등을 평가하여 실제로 식품용으로 사용되는 종이의 코 팅층 종류와 이에 따른 물성 및 배리어성 개선 효과 및 재 활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배리어 코팅종류는 PE와 PP, 개질 아크릴 코팅이 된 종이 시료를 사 용하였으며, 코팅 처리하지 않은 종이를 대조군으로 하여 평가를 진행하였다. 형태학적 분석을 통해 PE의 코팅층은 약 30 μm, PP는 약 20 , 개질 아크릴은 10 μm의 코팅층 두께를 보여주었으며, 섬유조직 형태를 보여주던 대조군의 표면과 달리 배리어 코팅 종이는 코팅층으로 인하여 매끈 한 표면 형태를 보여주었다. 기계적 물성 평가에서는 PE 코팅 종이와 개질 아크릴 코팅 종이에서 대조군이 비해 인 장강도와 파열강도에서 개선되는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PP 코팅 종이에서는 파열강도 외에 대조군과 유의적 차이를 보 여주지 않았다. 공기 투기도 평가로 배리어 코팅층이 없는 대조군에서 약 2.24 μm/Pa·s로 가장 높은 투기도 값을 보여 주었으며, 배리어 코팅 종이의 경우 모두 0.003 μm/Pa·s 이 하의 상대적으로 낮은 투기도 값을 보여주었다. 또한 Cobb 사이즈도 대조군에서 약 43.77 g/m2로 가장 높은 흡수 특성 을 보였으며, 배리어 코팅 종이 시료에서는 2.80 g/m2 이하 의 흡수 특성을 보여주었다. 이는 이미 내수성 및 기체 차 단 특성을 가진 고분자의 특성으로 종이의 차단 특성도 개 선된 것으로 판단된다. 내유성 평가에서도 PE 코팅 종이와 PP 코팅 종이에서 최고 측정값인 12 등급으로 내유성이 높 은 특징을 보여주었으며, 개질 아크릴 코팅 종이는 5 등급 으로 PE, PP 코팅 종이 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내유성을 보여주긴 하였으며, 대조군은 0 등급으로 내유성이 없는 모 습을 보여주었다. 코팅 처리별 종이의 재활용성 평가에서 대조군의 리젝트율은 5.25%로 모든 시료 중 미해리분이 가 장 낮은 모습을 보여주었으며, PE 코팅 종이와 PP 코팅 종이는 각각 19.04%, 16.57%로 리젝트율이 증가함을 나타냈다. 상대적으로 높은 리젝트율 값은 PE 코팅 종이와 PP 코팅 종이는 해리 시 코팅 층이 작은 크기로 조각나 미분 화되어 슬릿에 걸러지는 것으로 확인하였으며, 이는 미해리 분으로 인해 재활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것으로 판단된다. 개질 아크릴 코팅 종이의 리젝트율은 6.25%로 대조군과 유 사하게 미해리분 없이 스크린을 거의 통과되는 현상을 보 여주었다. 이 결과는 개질 아크릴 수지의 수해리성이 높아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PE 및 PP 코팅 종이에 비교하여 개질 아크릴 코팅 종이가 재활용성 평가에서 더 효율적인 결과를 가짐을 나타내며, 추가 해리되어 스크린 업셉트된 펄프 슬러리를 사용하여 제조한 재활용지에 대한 종이의 품 질 변화는 향후 보강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worldwide effects of COVID-19 have led to a surge in online shopping and contactless services. The consumption pattern has caused the issues such as the environmental pollution together with the increase of plastic waste. Reducing the reliance on the petroleum based plastic use for the package and replacing it with environmentally friendly material are the simple ways in order to solve those problems. Paper is an eco-friendly product with high recyclability as the food packaging materials but has still poor barrier properties. A barrier coating on surface of the paper can be achieved with the proper packaging materials featuring water, gas and grease barrier. Polyethylene (PE) or polypropylene (PP) coatings which are generally laminated or coated to paper are widely used in food packaging applications to protect products from moisture and provide water or grease resistance. However, recycling of packaging containing PE or PP matrix is limited and costly because those films are difficult to degrade in the environmen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cyclability of modified acrylic emulsion coating papers compared to PE and PP polymer matrixes as well as their mechanical and gas barrier properties. The results showed that PE or modified acrylic emulsion coated papers had better mechanical properties compared to the uncoated paper as a control. PE or PP coating papers showed strong oil resistance property, achieving a kit rating of 12. Those papers also had a significantly higher percentage of screen reject during the recycling process than modified acrylic coated paper which had a screen rejection rate of 6.25%. In addition an uncoated paper had similar value of a screen rejection rate. It may suggest that modified acrylic emulsion coating paper can be more easily recycled than PE or PP coating papers. The overall results of the study found that modified acrylic emulsion coating paper would be a viable alternative to suggest a possible solution to an environmental problem as well as enhancing the weak mechanical and poor gas barrier properties of the paper against moisture.

      • KCI등재

        新羅 종이문서의 現狀과 裝幀·廢棄·再活用 과정

        윤선태(Yoon, Seon-tae) 신라사학회 2020 新羅史學報 Vol.0 No.50

        「신라촌락문서」와 사하리가반에 부속되어 발견되었던 「사하리가반부속문서」는 실물로 전하는 신라 當代의 종이문서라는 점에서 남다른 가치가 있다. 촌락문서와 가반문서는 문서의 내용 판독과 해석도 중요하지만, 그에 못지않게 문서의 裝幀 방식이나 재활용 과정 전체에 대한 관련 정보들도 수집 정리되어야 한다. 관문서의 작성 과정에는 최초 종이의 생산에서, 종이의 연접, 괘선 긋기 등 문서의 裝幀 등 물질적 준비가 먼저 이루어진다. 또 문서가 작성된 후 일정한 보존기간이 지나 그 용도가 폐기되면, 문서 裏面의 백지(空紙)를 재활용하여 새로운 문서 작성이나 기타 여러 방식으로 재활용하는 과정이 있었다. 촌락문서와 가반문서로 볼 때, 신라의 관문서 작성에 사용된 종이는 두꺼운 楮紙로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완전한 형태로 남아있는 촌락문서 제작에 사용된 기본 종이는 그 크기가 29.5×52㎝로 추정되어, 대체로 당시 종이는 唐尺을 기준으로 1척×2척의 크기로 생산되어 용도에 맞게 다시 재단하여 사용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종이 생산은 통일기에는 이미 일반화되어 지방 군현에서도 종이제작기술자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신라의 관문서는 이러한 기본 크기의 종이를 여러 장 연접하여 두루마리 형식의 卷子本으로 裝幀하였다. 연접방식은 오른편 종이가 왼편 종이의 위로 오도록 붙이는 ‘純繼’와 그 반대의 ‘逆繼’ 방식이 모두 나타나는데, 일정 기간 보존했던 보관용 문서인 촌락문서는 순계로 연접되었고 먹줄이나 자를 사용해 괘선을 정연하게 그어 내용을 정리하였다. 반면에 메모용 문서로 추정되는 가반문서 파편 부분은 역계의 방식으로 연접되었고 괘선도 손으로 대충 그어 사용하였다. 신라에서는 메모가 다 되었거나, 보존기간이 끝난 관문서들은 문서를 작성했던 관청내부나 다른 관청 또는 사찰 등에 불하되었다. 이 불하된 관문서들은 불특정의 크기로 다시 잘라 해체한 뒤에, 최초 문서의 이면 백지를 다른 용도로 재활용하였다. 촌락문서는 사찰에 불하되어 『華嚴經論』의 經帙 제작에 재활용되었고, 가반문서는 관청에 불하되어 다시 또 다른 메모용의 문서로 재사용되었다. 한편 앞뒷면의 종이가 모두 서사된 뒤에도, 관문서는 버려지지 않고 다른 용도로 재활용되었다. 가반문서나 쇼소인 소장의 유기 숟가락 포장 상태 등으로 볼 때, 신라에서는 관문서를 손으로 찢어서 對일본 교역물품에 흠집이 나지 않도록 하는 충전용 종이나 포장지로 재활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비록 신라의 종이문서는 현재 촌락문서와 가반문서, 이 두 가지 사례밖에 없지만, 一當百처럼 일본의 正倉院文書에 못지않게 신라의 종이 제작, 문서의 생산과 폐기, 문서의 재활용 과정 전반에 관한 유익한 정보들을 소상히 알려준다. 이러한 정보들을 미리 체계적으로 정리해두면, 앞으로 쇼소인 소장의 신라 숟가락 셋트를 포장했던 신라 종이문서들이 공개될 때, 그 문서적 특징을 간취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Silla Village Register Document(新羅村落文書 SVR)” and the “Document attached to the Sahari-Kaban(佐波理加盤附屬文書 DAS)” which were found at the Shosoin in Japan, are of extraordinary value in that they are actually paper documents of the Silla Dynasty. While reading and interpreting the content of documents is important for studying Silla history, relevant information on the making and Recycling Process of Paper Documents should be collected and organized as much as for the method of binding and the entire recycling process of the documents. In the process of preparing the documents of the government office, material preparation, such as the production of the first paper, the bond of the paper, and the binding of the documents, such as drawing the line, are carried out first. In a ddition, after the document was prepared and its use was discarded after a certain period of preservation, there was a process of recycling the white paper on the back of the document to prepare new documents or recycle them in various ways. The SVR and the DAS indicate that the paper used to make documents for the government offices of Silla was made of Dak-paper(楮紙). The basic paper used in the production of the SVR, which remains in full form, is estimated to be 29.5×52㎝ in size, and it is generally thought that the paper was produced in the s ize of 1×2check(尺) based on the scale of the Tang Dynasty of China and was re-cut and used according to its purpose. Paper production has already been generalized during the Unified period, so the existence of paper-making engineers can be confirmed in local county. The oficial do cuments of Silla were made in a scroll format by bonding several pieces of paper of this basic size. The bonding method shows both ‘Soongye(純繼)’, which is a general method of attaching the right paper to the top of the left paper, and ‘Yeokgye(逆繼)’, which is a rare method of attaching it to the opposite of Soongye. While the SVR was bonded to Soongye and arranged the lines neatly, the DAS assumed to be for short-term memos were bonded by Yeokgye, and the lines were roughly drawn and used by hand. In Silla, the documents of government offices, which had been completed or whose preservation period had expired, were referred to inside the government offices, other government offices, or temples. These loaded official documents were cut back into unspecific sizes and then recycled for other purpo ses the white paper on the back of the original document. The SVR was reused as paper cloth for wrapping various scrolls of Buddhist scriptures, while the DAS was returned to the government office and reused as another document for memos. On the other hand, even after all the paper on the front and back sides was written, was not discarded and recycled for other purposes. Based on the packing conditions of the brass spoon at the Shosoin, it can be seen that Silla used the documents of government offices to tear them by hand and recycle them as packaging for trade goods sent to Japan. Although Silla currently has only examples of the SVR and the DAS documents, it provides useful information on the overall process of paper making, binding and discarding of documents, and recycling documents as well as numerous ancient Japanese government documents as the Shoso in Documents. If such information is organized in advance, it will be a very useful reference to captu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documents when the documents of Silla government offices, which had packaged the Silla spoon set of Shosoin, are released.

      • KCI등재

        식품 포장재로서 재활용 및 비재활용 종이 상자의 안전성 분석

        오정민,신소향,권상조,조아름,김성진,이윤정,조헌주,한재준 한국포장학회 2012 한국포장학회지 Vol.18 No.1

        본 연구에서는 식품포장재로 이용되는 재활용 및 비재활 용 종이류가 안전한지를 평가하기 위해 식품공전 규격에 준 하여 실험하였다. 식품포장재 중에서도 피자상자를 선택하 였는데, 이는 피자가 고온에서 조리되어 포장되며 다량의 기 름 성분을 함유하여 오염물질이 이행될 가능성이 상대적으 로 높을 것으로 예상됐기 때문이다. 식품공전에서는 PCBs, 납, 카드뮴, 수은, 6가크롬, 비소, 포름알데히드 및 형광증 백제의 허용 잔존농도를 정하여 식품포장재로 이용되는 종 이류에 잔존하는 유해물질을 규제하고 있다. PCBs의 여섯 개의 표준품과 모든 시료의 피크가 일치하지 않았으므로 피 자상자에는 PCBs가 잔존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카드 뮴, 수은, 6가크롬에 대한 재질규격 평가를 위한 분석이 추 가적으로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비소와 납은 모든 시료에서 기준치의 10배 이하의 양이 검출되어 식품포장재로 사용되 었을 때 안전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포름알데히드는 모든 시료에서 기준치보다 낮은 농도로 검 출되었지만 잉크를 많이 함유하고 있는 표면에서 미량이지 만 상대적으로 높게 검출되었다. 형광증백제는 비재활용 종 이 소재의 상자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그러나, 상자 내 피자 포장 유무나 잉크의 함량 정도에 상관없이 재생용지 로 만들어진 상자 시료에서는 형광증백제가 검출되었다. 형 광증백제는 불검출이 기준이므로 포함된 재활용지를 식품 포장으로 이용할 때는 식품과의 직접 접촉을 피하기 위해 중간에 안전성이 입증된 간지 등을 삽입하는 방법을 사용 하여 최종 식품의 안전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There are many possibilities that recycled papers adulterate contaminants during the process.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evaluate safety of paper-based packaging materials for food, especially commercial pizza boxes in Korea. Ultimately, we compared recycled and non-recycled commercial paper packaging materials. This study was based on Korean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FDA) regulation. PCBs were measured by GC-ECD. Arsenic and lead were analyzed using an ICP-MS. Formaldehyde was determined by LC-MS. Fluorescent materials were detected by UV lamp.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non-recycled paper packaging materials meets all the tested hygienic specifications for food packaging materials, whereas recycled paper-based paperboard box may be contaminated by fluorescent whitening agent. Though these results need to be further studied, it is recommended to avoid using recycled paper in direct contact with food when used in food packag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