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인재육성을 위한 인적자원개발정책 방향 탐색

        강현주 ( Kang Hyounju ),현영섭 ( Hyun Youngsup ),신현석 ( Shin Hyunseok ),장은하 ( Chang Eunha ),최지수 ( Choi Jisoo ),권대봉 ( Kwon Daebo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문화연구 Vol.23 No.5

        최근 공공기관의 지방이전, 지역 청년 실업악화,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인구학적 변화 등의 외부적 동력과 새 정부 출범에 따른 지역균형발전 강화라는 정책 환경 변화는 국가적, 지역적 차원에서 지역인재육성에 대한 지역인적자원개발(RHRD)정책 운용을 절실히 필요로 하고 있다. 하지만 2010년대 이후 RHRD정책 지원이 축소되고 그간 RHRD 관련 연구는 실증적 분석보다는 정책 필요성, 거버넌스 구축 등을 다루는 문헌 연구들이 대부분이었다. 이에 본 연구는 RHRD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집하여 지역인재육성을 위한 향후 RHRD 정책 방향 및 과제를 개발하고 우선순위를 실증적으로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RHRD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1, 2차에 걸쳐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델파이 분석 결과, 중앙정부 수준에서 RHRD 정책 방안은 총 17개가 도출되었고 그 중 'RHRD 계획 수행에 필요한 예산 확보'를 포함한 최우선 순위 5개, '지역인재의 수도권 유출 억제 정책 마련'을 포함한 차순위군 2개가 확인되었다. 지방정부 수준에서 RHRD 정책 방안은 총 19개가 도출되었다. 그 중 '지역인재양성을 위한 예산 확보방안 마련'을 포함한 최우선 순위 7개, 'RHRD 활성화를 위한 자치단체별 전담 공무원 인력 양성 및 배치'를 포함한 차순위군 2개가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지역인재육성을 위한 RHRD 정책 활성화에 대한 논의 및 시사점, 그리고 본 연구의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Recently, the external driving force caused by the transfer of power has prompted new demands for regional human resource development (RHRD) policy. Since the early 2010s, the budget of RHRD policies has rarely been supported and the related-studies simultaneously have been on the wane. However, responding to the recent demands of RHRD policy, the empirical study to explore the current status of RHRD and suggest the new direction of RHRD policies for regional human resource cultivation needs to be conducted. With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aimed to provide and develop RHRD policy tasks in the new government. In order to accomplish the research purpose, we asked RHRD experts to revitalize RHRD policies from two perspectives, the local and the central government, by utilizing an expert Delphi technique and needs analysis. As the result of analysis, 17 policy tasks from the central government and 19 policy tasks from the local government were drawn, respectively. The top priority commonly addressed was confirmed as the security of budget to implement RHRD policies from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At the end, we provided practical implications of RHRD policies and limitations.

      • 지역인적자원개발에 있어 교육청의 정책적 기능 및 역할

        이성 한국산업교육학회 2008 산업교육연구 Vol.17 No.-

        본 연구의 목적은 지식경제사회에 지역차원에서의 인적자원개발이 중요하며, 이러한 지역 인적자원개발에서 교육청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점에서 지역인적자원개발을 위한 교육청의 역할을 구명하는데 있다. 구체적인 목적은 지역인적자원개발에 있어서 교육청의 역할에 대 한 지역관련 기관의 요구분석, 교육청과 각 지역의 지역인적자원개발 관련 기관간 협력 강 화 방안 모색, 지역인적자원개발을 위한 교육청의 정책적 역할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지역인적자원개발 전문가 10명에 대한 인터뷰와 114명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지역인적자원개발을 위해 교육청은 다음과 같은 역할이 필요한 것으 로 분석되었다. 첫째,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지역인적자원개발에 대한 책무성을 강화해야 한다. 지역인 적자원개발은 지방자치단체에서 주도하지만 학생에 대한 지역인적자원개발은 교육청이 주도 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교육청 내 지역인적자원개발을 전담하는 조직이 필 요하다. 전담조직이 없기 때문에 일관성 있는 정책실행 및 타부서와 협조도 어렵다는 것이 다. 셋째, 지역 내 인적자원 양성기관의 프로그램을 학생을 대상을 적극 활용하여야 한다. 이는 지역사회학습공동체 형성 차원에서도 중요하다. 넷째, 지역사회인적자원개발과 관련된 전문가 양성과 활용, 평가에 적극 개입해야 한다. 전문가의 활용이 지역사회 주민 및 학생 대상의 교육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다섯째, 학교시설의 적극적 개방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학교라는 시설은 주민들이 접근하기 가장 쉽고 심리적인 만족감을 주는 곳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oles of education administration bureau with the concepts that regional human resources development(RHRD) is important in knowledge economy. The specific purpose were as follows; 1)to analysis the needs of RHRD institutions on roles of education administration bureau for RHRD, 2)to identify the cooperation ways among RHRD institutions and education administration bureau, and 3)to suggest roles of education administration bureau on RHRD policy. For this study, interviews for 10 experts on RHRD were conducted and survey from 114 respondents were analyzed. The result of this study reported followings; 1) The education administration bureau should have the responsibility of RHRD for students. 2) Organization for RHRD is needed in education administration bureau. 3) Students need to take courses provided by teachers and trainers of RHRD. 4)The education administration bureau needs to actively intervent to educate, utilize, and evaluate the educators and trainers of RHRD. 5) The school should be opened for RHRD because it is convenient place for RHRD.

      • 지역인재육성사업의 내부역량 강화 방향과 과제

        김종한 한국지역고용학회 2009 지역고용노동연구 Vol.1 No.2

        이 글은 지역인재육성사업의 내부 역량강화와 관련된 실현가능한 정책과제를 모색하는데 기본목 적을 두고 있다. 이 글에서 논의 대상으로 되는 핵심인력은 RHRD지원센터의 인력이고, 좀 더 넓게 보면 지자체, 교육청, 노동청 등에서 이들 인력과 직간접적으로 교류하면서 지역인적자원개발 업무 를 담당하고 있는 인력을 포함한다. Ⅱ장에서는 지역인재육성사업관련 인력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 았다. Ⅲ장에서는 지역인재육성사업의 활성화를 위한 인력 역량강화 방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결국 지역인재육성사업의 성공은 사업을 추진하는 인력의 내부역량 강화와 함께 RHRD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중앙과 지역의 유관기관간의 효율적인 파트너십 구축에 달려있다 하겠다. This research basically aims for reinforcing internal ability of manpower and searching for feasible related politic tasks of Regional Human Resource Development (RHRD) Program. The subject of this paper, the core manpower, is the manpower of RHRD Service Center, and in a broad sense, it includes the manpower who undertakes affairs of Regional Human Resource Development as communicates with people in Local Government, Office of Education, Office of Labor etc.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In ChapterⅡ, the present state of manpower related Regional Human Resource Promoting Project and the connected problems are examined. Conclusively, the success of Regional Human Resource Promoting Project depends on strengthening the manpower who propels the project and constructing efficient partnership between the central government agencies and regional related institution with RHRD Service Center takes the lead.

      • KCI등재

        환경변화에 따른 지역인적자원 개발 정책 방향과 과제

        강일규 한국인사행정학회 2010 한국인사행정학회보 Vol.9 No.3

        RHRD(지역인적자원개발) 정책은 지역의 실정과 특성에 적합한 인재를 육성하여 지역발전과 지역주민의 삶의 질 향상에 주목적이 있다. 특히 지방화를 강조하는 현 시점에서 국가 차원의 RHRD 정책은 그 필요성과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관련 RHRD 관련 선행연구 분석을 통한 기존 연구의 시사점 도출과 SWOT분석을 통한 기존 정책에 대한 종합평가와 문제점을 도출하고, RHRD의 정책 환경변화를 녹색성장과 관련한 산업.노동.시장 일자리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를 바탕으로 기존의 RHRD 정책은 새로운 환경에 적합한 정책 방향과 과제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즉 최근 지역인재개발 정책은 새 정부의 출범과 함께 새로운 정책 환경을 맞이하고 있고, 기존의 환경에서 많은 변화와 새로운 도약이 요구되고 있다. 주요 정책방향은 녹색성장과 연계하는 RHRD 정책과 광역권개발과 연계하는 RHRD 정책을 제안하고, 주요 과제로 관련 요인의 유지와 개선, 지역차원의 RHRD 역할 강화, 중앙과 지역의 공동 협력 강화, 그리고 녹색성장 기업과 지역인재개발의 연계 강화를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지역인재개발 정책 환경의 새로운 변화는 지역인재개발 정책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요구하고 있고, 정부와 민간 모두 변화의 흐름에서 능동적인 정책적 대응과 준비가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정부의 광역경제권 정책 변화에 따른 지역의 SRHRD 모형 개발

        박수홍(Su-Hong Park)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10 역량개발학습연구 Vol.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정부의 광역경제권 정책변화에 따른 지역의 RHRD 대응방안을 마련하는 것으로서 국내.외 광역경제권 정책 및 사례 분석을 통하여 타 권역과 차별화되는 동남 광역경제권의 비전, 목적, 실현 방안 등을 도출하고, 이에 터하여 지역의 RHRD 대응방안으로서 SRHRD 모형을 개발하였다. 지역의 RHRD 방안의 초안을 마련하기 위해 우선 문헌연구, 사례 연구를 통하여 정부의 광역경제권 정책변화, HRD 현황 등을 파악하였으며 이를 통해 정부의 광역경제권 정책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지역의 RHRD가 역량을 기반으로 한 SRHRD 형태로 변모해야 한다는 결론에 다다랐다. 이에 따라 지역의 SRHRD 초안을 구안하였다. 그리고 구안된 초안을 바탕으로 2회에 걸친 전문가 형성평가를 통하여 SRHRD의 역량 초안에 대한 수정.보완 하였고 그 결과 지역의 SRHRD의 완성본을 수립할 수 있었다. 최종 수립된 지역의 SRHRD의 역량은 모두 7가지로서 `동남권 미래지향적 틈새산업 창조를 위한 창조실천력`, `녹색패러다임 실천력`, `동남권 거버넌스 구축력`, `동남권 연구인력의 지식융합력`, `마인드 고취를 위한 혁신변화 촉진력`, `초광역권 구축을 위한 국제의사소통력`, `초광역 경제권 내의 다문화활용력` 등이 바로 그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역량은 궁극적으로 동남권 융합서비스를 창출하고 새로운 틈새산업을 도출함으로서 미래지향적 동남광역경제권을 구축하는 기반이 된다. 그리고 위와 같은 역량을 육성하기 위한 역점과제를 선정하고 이를 구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수행공학에 기반한 영역별 지원요소를 마련하였다. The research purpose was to develop a strategic regional human resource development(SRHRD) model suitable for a southeast region which is one of seven wide area of economic one. For this purpose,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y were conducted in order to prepare a first version of the model. By conducting formative evaluation from the experts including educational technologists, HR professionals, and field experts, the first version of the model was revised. As a result, relevant mission, goals, seven kinds of SRHRD competencies in the model were established. The seven kinds of competences encompass `entrepreneurship for the niche industry creation`, `green paradigm practicality`, `construction of southeast regional governance`, `knowledge conversion among researchers`, `facilitation of new mindset for innovation`, `global communication ability for building mega-economic region`, and `enrichment of multi-cultural approach within the region`. These competencies could be crucial for creating new services and new niche industries in southeast of Korea. The findings has the potential to become the foundation for economic drive and growth in southeast Korea. Also, concrete supporting methods for developing the competencies were suggested.

      • KCI등재

        지역 노사정 주체의 전략적 선택과 지역인적자원개발간의 관계 연구

        우상범(Woo Sang Beom)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8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5 No.1

        지역의 대표적인 고용 및 일자리창출 수단 중 하나가 인재를 양성하여 고용율을 제고하는 지역인적자원개발 정책이다. 최근 우리나라는 지역분권화 논의가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지역 산업특성을 반영하여 지역인적자원개발을 살펴본 연구는 많지 않으며, 특히 직·간접적인 이해관계가 있는 노사정 주체들을 중심으로 지역인적자원개발을 분석한 연구는 드물다. 따라서 본 논문은 지역 주체들이 전략적 선택으로 지역인적자원개발을 추진할 때 성과뿐만 아니라 사업의 지속성이 담보될 수 있음을 광양만권HRD센터 사례로 보이려고 한다. 분석결과 광양지역 환경은 제철, 조선, 석유·화학, 발전소 등 중공업이 발달하여 숙련된 용접기술이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었다. 또한 지역 환경을 고려하여 노사정 주체들은 자신들의 이해를 제고하기 위해 인적자원개발을 전략적으로 선택했다. 먼저 노조는 조직 확대 및 지역 발언권(voice) 강화, 재정지원 확보, 일자리 확보 및 노조 충성도를 제고하고, 둘째 사용자는 원청으로부터 지속적 수주 획득, 계약기간내 공사완료 및 수주 악화 방지, 안정적 기능공을 확보하며, 셋째 광양시는 고용율 70% 달성 및 민선시장 연임, 평생교육시설 확보, 온건노조를 확보하여 안정적 노사관계 형성, 고정적인 취업처 확보를 위해 전략적 수단으로 광양만권HRD센터 설립을 추진했다. 광양만권HRD센터가 제도화 된 이후 교육대상, 교육기간, 커리큘럼 등이 안정적이고 체계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또한 성과의 경우 훈련생들은 광양만권HRD센터의 인적자원개발 프로그램에 높은 만족도를 보였고, 수료생의 94%가 정규직으로 채용되는 등 높은 취업률을 달성했다. 이외에 센터는 정부로부터 우수한 인적자원개발 기관으로 평가받았다. 본 논문은 이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고, 논문한계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과제를 제시했다. A main policy of local-based employment strategy is RHRD that trains talented person and creates new job. Recently, Korea is discussing decentralization from new government. Although discussion of decentralization increases, article for RHRD is lack. This paper shows RHRD that it is built by local actors(trade union, employers and government) based on local environment from Gwangyang HRD center case. The tripartite acted a strategic choice for RHRD. As result research, industrial environment of Gwangyang has developed heavy industry(such as steel, shipbuilding, petrochemistry, power plant) since 1990, and needed skilled welder for industry. Regional tripartite made a strategic acts to increase their interests. First of all, trade union hoped to extend size of trade union and strength of union voice in the Gwangyang, to receive financial aid for managing HRD center and to supply decent job for union member in region, second employers want to have interests for continuous order from main contracts, to secure skilled welder, and to improve profit. third, a local government wanted to achieve stable industrial relations through business union, to get constant company to employ trainee, to achieve 70% of employment rate, and to make lifelong education organization. HRD center accomplished good performance both high employment rate, satisfaction of trainee, and best class from government’s valuation(including winning the grand prize of a competitive exhibition for job crea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contributions of the study are suggested and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presented.

      • 인적자원개발이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

        박철용,함창모 서원대학교 미래창조연구소 2011 과학과 문화 Vol.8 No.1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human capital indicators on the national economy growth by using indicators that could afford regional data among national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dicat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empirically the effect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on economic growth and propose the alternative plan for the continuing creation and use of indicators. The numbers of NHRD indicators that could be used in regional unit by investigating indicators developed from preceding studies were 66. On the basis of investigation result, 43 variables that are able to continually use regional data from 1980 to 2005 were selected as proxies of human capital. From the result of empirical tes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uman capital proxies on national economy growth, 33 variables were verified to have statistical significance as human capital. Finally, this study proposed the continuing creation and use plan of RHRD indicators to analyze the competitiveness of human resource and to construct the supporting system for decision making related to RHRD policies.

      • KCI등재후보

        지역인적자원개발 사업의 유형 및 특징 분석

        배상훈(Sang Hoon Bae)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11 역량개발학습연구 Vol.6 No.1

        이 연구는 지역에서 다양하게 추진되는 인적자원개발 사업을 유형화하고, 각 유형별 특징과 한계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정책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다양한 사업을 유형화하여 분석하기 위한 개념적 틀로 ‘인적자본 개발’과 ‘사회적 자본 형성’을 하위 변수로 하는 ‘정책 목표’와 공공기관과 민간기관을 하위 변수로 하는 ‘사업 추진주체’를 설명 변수로 하는 ‘지역인적자원개발 정책모형’을 수립하여 활용하였다. 이 방법에 따라 지역인적자원개발 사업을 개념적으로 분류하면, 공공기관 주도의 인적자본 개발 사업, 공공기관 주도의 사회적 자본 형성 사업, 민간 기관 주도의 인적자본개발 사업, 민간기관 주도의 사회적 자본 형성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분류에 따라 중앙정부의 재정지원 아래 추진되어 온 지역인적자원개발 사업을 시범 분석한 결과, 인적자본 개발과 사회적 자본 형성을 위한 사업은 대체로 균형적으로 추진되고 있었지만, 공공 기관은 상대적으로 사업에 외부성이 존재하는 사회적 자본 형성을 위한 분야를 주로 담당하고, 인적자본 개발과 관련된 사업은 전문성이 있는 민간기관과의 협력 아래 추진되는 경향이 있었다. Since Regional Human Resources Development (RHRD) was proposed in 2001 as a part of comprehensive National Human Resources Development (NHRD) initiatives, it has evolved as an effective public policy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regions by promoting human capital development and social capital formation. A wide range of RHRD programs has been provided by local government authorities and many private HRD agencies in order to offer considerable benefits to various groups of local residents. From a public policy persp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concept and development trajectory of the RHRD policy in Korea and sought to build an explanatory and conceptual model to better understand theoretical and practical characteristics of the RHRD policy.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the model contributes to theoretical development of the RHRD policy, helps promote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analysis of RHRD programs and effective RHRD policy planning at the local level, and may be of great use in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the RHRD policy at the national level.

      • KCI등재

        정부의 광역경제권 정책 변화에 따른 지역의 인적자원개발 역량 육성 방안: P광역시를 중심으로

        박수홍,안영식,김두규,홍광표 한국직업교육학회 2011 職業 敎育 硏究 Vol.30 No.1

        The goal of the research was to develop of training program for enhancing core competencies of regional human resource development where it follows in a wide area of economic bloc shift in policy of the government. To gain the goal of the research, we have 2 tasks. The first is prototype of training program. The Second is complete version of training program according to result of FGI during 2 times. The result of the research have 3 core competencies- entrepreneurship, eco-paradigm, making governance- and 3 methodology each competence. This has the prtential to become the foundation for economic drive and growth in southeast Korea. These competencies can be implementation via performance support sustems developed specifically for each key area. 본 연구의 목적은 정부의 광역경제권 정책변화에 따른 지역의 인적자원개발 역량 육성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지역의 RHRD 역량 개발을 위해 우선 문헌연구, 사례 연구를 통하여 정부의 광역경제권 정책변화, HRD 현황 등을 파악하였으며 그 결과 정부의 광역경제권 정책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P광역시의 RHRD 역량은 ‘동남권 미래지향적 틈새산업 창조를 위한 창조실천력’, ‘녹색패러다임 실천력’, ‘동남권 거버넌스 구축력’ 등으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이를 육성할 수 있는 방안을 역량별로 각각 3가지씩을 마련하여 그 초안을 바탕으로 전문가 형성평가를 거친 후 역량 육성 방안을 마련하게 되었다. 이러한 역량은 궁극적으로 동남권 융합서비스를 창출하고 새로운 틈새산업을 도출함으로서 미래지향적 동남광역경제권을 구축하는 기반이 된다. 그리고 위와 같은 역량을 육성하기 위한 역점과제를 선정하고 이를 구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수행공학에 기반한 영역별 지원요소를 마련하였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