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반려견 용품의 유형별 구매결정요인 - FCB Grid 모델의 제품범주 중심으로 -

        김세례,한지애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23 한국디자인포럼 Vol.28 No.2

        Background As the population raising pets increases, the product market for pets has been expanding, and the culture has been changing. Pet-related products have many similarities with baby products in terms of types and characteristics, but are influenced by the 'Pet humanization' and 'Flex' culture and have differences from the general product marke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pet product market considering this culture and to identify the main factors that determine the user's purchase according to the specific market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by limiting the scope of the study to dog, which accounted for the highest proportion among pets. First, purchasing determinants were reviewed through prior research and literature research in the field of marketing. Second, 22 brands sold online were analyzed for market analysis of pet products. Third, FGI, in-depth interviews, and surveys were conducted for the major purchasing decision factors by products of pet and types of them. Result First, The market was divided into five types, and products belonging to each type were presented. Second, We divided purchasing decision factors into subjective factors and product factors, and proposed purchasing decision factors by type and product. Function was an important factor in all types, and overall, product factors had more influence on purchase than subjective factors. Conclusion First, it is important to set a clear functional concept in product design for pet. It was found that the most important determinant was improved usability in terms of price on function, dog adaptation, and safety. Second, there are purchase decision factors that are considered important for a specific product type. In the design process, more accurate purchase decision factors for each product and specific pain points for each product should be presented. 연구배경 반려동물을 기르는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반려동물을 위한 제품시장이 확대되면서 그 문화가 달라지고 있다. 반려동물 관련 용품은 유아용 제품과 종류 및 특성에서 많은 유사성을 지니면서도 ‘펫 휴머니제이션’과 ‘플렉스’문화에 영향을 받아 일반 제품시장과의 차이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화를 고려한 반려동물용품 시장에 대한 분석과 세부 시장에 따라 사용자의 구매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 무엇인지 파악할 필요가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반려동물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강아지로 연구 범위를 제한하여 진행하였다. 첫째, 마케팅 분야의 선행연구와 문헌 연구를 통해 구매결정요인을 고찰하였다. 둘째, 반려견 용품의 분석을 위해 온라인에서 판매되고 있는 22개 브랜드를 분석하였다. 셋째, 반려견 용품의 유형별·제품별 주요 구매결정요인을 위해 FGI, 심층 인터뷰, 설문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반려견 용품 시장을 다섯 개 유형으로로 구분하고, 각 유형에 속하는 제품들을 제시하였다. 둘째, 구매결정요인을 주관적 요인과 제품적 요인으로 나누고, 유형별·제품별 구매결정요소를 제안하였다. 기능이 모든 유형에서 중요 요소에 해당했으며, 전체적으로 주관적 요소보다 제품적 요소가 구매에 영향을 더 끼쳤다. 결론 첫째, 반려견 용품 디자인에서 명확한 기능 컨셉 설정이 중요하다. 반려견 용품의 가장 중요한 결정요인이 가격 대비 기능, 반려견 적응, 안전성 측면에서 사용성 향상임을 발견하였다. 둘째, 특정 제품 유형에서 중요하게 여겨지는 구매결정요인이 있다. 제품별로 더욱 정확한 구매결정요인과 각 제품별 구체적 Pain points 제시가 반려견 용품 디자인 과정에서 필요하다.

      • KCI등재

        향수 구매목적이 구매결정요인과 용기디자인의 선호에 미치는 영향

        장윤진 ( Yunjin Jang ),고정욱 ( Jungwook Go ) 한국산업디자이너협회(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16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0 No.4

        최근 간편하게 선물을 결제하고 전달할 수 있는 환경이 갖추어져 선물 시장의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대부분 구매 목적에 관한 연구는 일반론을 도출할 결과이기 때문 특정 제품의 속성에 적용하여 소비자의 구매행동을 도출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구매 목적이 다른 ‘선물 구매자’와 ‘직접사용 구매자’를 대상으로 향수 구매 목적에 따른 구매결정요인 우선순위를 비교 연구를 하며 그에 따른 용기 디자인의 중요도와 선호 용기 디자인 조사와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방법은 첫째, 선행연구의 향수 고려 요인을 군집화하여 향수 구매결정요인을 도출하였다. 둘째, 향수 용기 조사를 통해EP를 이용하여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대표 향수 용기 표본을 선정하였다. 셋째, 향수 구매결정요인과 용기 디자인의 중요도, 선호 용기 디자인 차이를 조사하여 본 논문의 가설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로써는 첫째, 본인용 향수 구매 보다 선물용구매 시 용기 디자인의 영향이 더 크게 작용하였다. 둘째, 향은 선물용보다 본인용 구매 시 결정요인으로 더 중요하게 생각하였으며, 브랜드, 용기 디자인, 가격, 사용 시기, 정보 원천, 구매 장소는 본인용보다 선물용 구매 시 더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또한 선물용 향수 구매 시 용기 디자인은 다른 구매결정요인보다 브랜드에 의해 더 많은 영향을 받았다. 셋째, 남자의 경우 구매 목적에 따라 선호하는 용기는 같았으며, 여자의 경우 구매 목적에 따라 선호하는 용기는 다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내 향수 구매 상황을 바탕으로 양분된 소비행동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향수 제조업체의 제품 기획과 전략 수립의주요 방향인 기초적인 정보 제공으로의 가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 convenient environment which enables people to pay for gifts and deliver them, is leading to expanding gifts market.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priorities of purchase decision factors according to purchase purpose of perfumes, targeting ' purchaser for gifts' and 'purchaser for personal use', and examine and analyze the importance of container design and preferred container design according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tainer design had a higher influence on purchasing the perfumes for gifts than purchasing for personal use. Second, fragrance had a higher importance as a purchasing factor on purchasing for personal use than purchasing for gifts, and brand, container design, price, using time, information sources and place of purchase had a higher influence on purchasing for gifts than purchasing for personal use. In addition, when purchasing perfumes for gifts, the brand had the highest influence on the container design among the purchase decision factors. Third, while males had same preferred containers according to the purchase purpose, females had different preferred containers according to the purchase purpose. It is shown that this study has a value of providing basic information for product planning and strategies of perfume manufacturers by analyzing consumption behaviors divided into two based on purchasing perfume situations in Korea.

      • KCI등재

        한류가 한국식품에 대한 중국소비자의 구매결정요인, 구매의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왕 시(Wang, Xi),강태원(Kang, Tae-Won),고현정(Ko, Hyun-Jeung) 한국물류학회 2017 물류학회지 Vol.27 No.5

        중국의 빠른 경제성장으로 인한 소비자의 소득증가로 식품구매에 대한 요구조건이 까다로워지자 해외 식품의 수입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중국 식품시장에서 한류가 중국 소비자의 구매결정요인과 구매의도, 충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여 중국에 진출하려는 한국 식품기업에게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류가 구매결정요인, 구매 의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12개의 가설을 수립한 후, 중국 청도의 대형소매점에서 한국 식품을 구매하는 284명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유효 설문지를 수집한 후, SPSS, AMOS를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한류는 소비가치, 기업이미지, 국가이미지, 제품이미지로 이루어진 소비자의 구매결정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한 구매결정요인의 소비가치, 국가이미지, 제품이미지는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기업이미지는 구매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리고, 구매결정요인의 소비가치, 국가이미지, 제품이미지는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기업이미지는 구매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중국 소비자들이 한국식품을 구매하는데 있어 한류의 영향을 받으므로 중국에 진출한 한국 식품기업은 최대한 한류 마케팅을 활용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구매의도와 충성도를 이끌어 내는데 있어 기업이미지 보다는 소비가치, 국가이미지, 제품이미지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이는 식품 기업의 대중국 시장을 확대하기 위하여는 중국 소비자가 한국 식품에 대한 가치를 극대화하는 제품구색과, 국가이미지 제고, 좋은 제품이라는 인식이 필요하다. As Chinese consumers’ requirements for food purchase have became pickier due to the increase in their incomes thanks to the fast economic growth of China, import of overseas food has been increa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Korean Wave in Chinese food markets on Chinese consumers’ purchase decision making factors, purchase intention, and loyalty in order to provide implications to Korean food enterprises that plan to advance into China.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Korean Wave on Chinese consumers’ purchase decision making factors, purchase intention, and loyalty, 12 hypotheses were established and 284 effective questionnaire sheets were collected from consumers, who were buying Korean food at retail outlets in Qingdao, China, and statistical analyses of the questionnaire sheets were conducted using SPSS and AMO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es, the Korean Wave has positive(+) effects on consumers’ purchase decision making factors consisting of consumption value, corporate images, national images, and product images. In addition, among the purchase decision making factors, whereas consumption value, national images, and product images had positive(+) effects on purchase intention, corporate images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Furthermore, whereas consumption value, national images, and product images out of the purchase decision making factors had positive(+) effects on loyalty, corporate images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derived the implication that since Chinese consumers are affected by the Korean Wave in their purchase of Korean food, Korean food enterprises that have advanced into China should maximally utilize Korean Wave marketing. In addition, this study verified the fact that in deriving the purchase intention and loyalty, rather than corporate images, consumption value, national images, and product images play important roles. Therefore, for Korean food enterprises to enlarge their Chinese market, product assortments that would maximize Chinese consumers’ value of Korean food, the enhancement of national images, and the recognition that Korean foods are good products are necessary.

      • KCI등재

        대학태권도선수의 태권도복 구매결정요인, 선택권, 브랜드퍼스낼리티와 브랜드동일시의 인과관계

        조성균 ( Sung Kyun Cho ),김종경 ( Jong Kyung Kim ),이재돈 ( Jae Don Lee )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010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15 No.5

        본 연구는 대학태권도선수를 대상으로 태권도복의 선택과 관련한 구매결정요인과 선택권이 브랜드 퍼스낼리티와 브랜드 아이덴티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서, 2010년 현재 대학에서 태권도선수로 활동하는 있는 사람을 모집단으로 설정하 였으며, ‘제37회 전국대학태권도개인선수권대회 겸 제2회 전국대학태권도품새대회’에 참가한 1,284명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 법(convenience sampling)을 사용하여 442명에 설문을 배포하여, 최종적으로 370명의 표본을 추출하였다. 또한 설정한 모형의 검증과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AMOS 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과 공변량 분석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매결정요인은 브랜드아이덴티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은 채택(경로계수 =.246, t=3.342)되었다. 둘째, ‘구매결정요인은 브랜드퍼스낼리티에 유의 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은 채택(경로계수=.107, t=2.117)되었다. 셋째, ‘브랜드선택권은 브랜드퍼스낼리티에 영향을 미 칠 것이다.’라는 가설은 채택(경로계수=.472, t=6.338)되었다. 넷째, ‘브랜드선택권은 브랜드아이덴티티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 는 가설은 채택(경로계수=.317, t=3.188)되었다. 다섯째, ‘브랜드퍼스낼리티는 브랜드아이덴티티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 설은 채택(경로계수=.502, t=5.630)되었다. 또한 구매결정요인이 브랜드아이덴티티에 미치는 총효과는 .300이고, 구매결정요인이 브랜드퍼스낼리티에 미치는 총효과가 .107이고, 브랜드선택권이 브랜드퍼스낼리티에 미치는 총효과가 .472이고, 브랜드선택권 이 브랜드아이덴티티에 미치는 총효과가 .554이고, 브랜드퍼스낼리티가 브랜드아이덴티티에 미치는 총효과는 .502로 나타났다. 또 이러한 인과효과의 총효과는 1.935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구매결정요인과 브랜드선택권은 브랜 드퍼스낼리티와 브랜드아이덴티티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브랜드퍼스낼리티는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에 내재된 중요한 매개 변수임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ause-effect relationship among Purchasing Decision Factors, Purchase Right, Brand Personality, and Brand Identity of Taekwondo Uniform in Collegiate Taekwondo Athletes. Data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using SPSS Windows V 13.0, also analyzed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using AMOS 4.0 program. Result revealed from these research methods and analyses of data areas follows: First, purchasing decision factors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brand identity. Second, purchasing decision factors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brand personality. Third, purchase right of brand resulted in significant effect on brand personality. Forth, purchase right of brand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brand identity. Fifth, brand personality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brand identity. Sixth, the total effect of purchasing decision factors on brand identity was revealed of .300, the direct effect of purchasing decision factors on brand personality was revealed of .107, the direct effect of purchase right of brand on brand personality was revealed of .472, the total effect of purchase right of brand on brand identity was revealed of .554, and the direct effect of brand personality on brand identity was revealed of .502.

      • KCI등재

        인터넷 홈페이지 제작사의 제작환경요인과 기업특성이 구매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양준열 ( Yang Joon-yeol ),이선규 ( Yi Seon-gyu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08 한국디자인포럼 Vol.21 No.-

        본 연구는 기업들이 홈페이지를 통해 효과적인 광고와 마케팅활동을 하기 위해서는 고객기업특성에 맞는 홈페이지를 만들어야하고 그 과정에서 홈페이지 제작업체는 어떠한 요인에 의해서 선정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먼저 홈페이지 제작환경요인들과 홈페이지 구매의사결정과정과의 인과관계를 살펴보고, 구매의사결정과정에 관련된 최고경영자의 성향과 기업이미지의 매개변수의 역할을 실증적으로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홈페이지 디자인 질과 가격 및 성과물이 구매의사결정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디자인 질이 구매의사결정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기업특성의 경우 최고경영자 성향, 기업이미지 모두 구매의사결정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최고경영자 성향이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제작환경요인과 구매의사결정과의 관계에서 기업특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면 기업이미지만이 유의한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력 및 업력은 구매의사결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못하지만 기업이미지를 통해서 구매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며, 기업이미지는 제작환경요인과 구매의사결정과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companies shall create the homepage satisfying the customers` characteristics as well as their own characteristics for effective advertising and marketing activities through the homepage. Thu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on the selection of homepage creators. To this end, this study examine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homepage creation and decision making process of homepage creation. Next, it will empirically verify the roles of parameters of corporate image and propensity of CEO related to the purchase decision making proces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research, the design quality, price and outcome of homepage have the significant impact on the purchase decision making process. In particular, the design quality had more impact on the purchase decision making process. For the corporate characteristics, the propensity of CEO and corporate image demonstrated the significant impact on the purchase decision, and especially the propensity of CEO showed more impact. In case of the mediating effect of corporate characteristics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production and purchase decision, only the corporate image indicated the significant relationship. While the technology and corporate capability couldn`t have direct impact on the purchase decision, the corporate image had impact on the purchase decision. The corporate image demonstrated the complet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production and decision making.

      • KCI등재

        스포츠용품 소비자의 인구통계학적특성에 따른 구매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김봉경 한국스포츠학회 2022 한국스포츠학회지 Vol.2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purchasing decision factors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purchasing decision factors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sporting goods consumers. From May to June 2022, customers who have purchased at sporting goods stores located in Seoul, Gyeonggi, and Gangwon for the past year were selected as the population, and a total of 311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For data processing, frequency analysis, chi-square(χ2) analysis, and one-way ANOVA were performed using SPSS 23.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consumers' purchasing decision factors, the reason for choice sporting goods is design, the importance of purchase is style(design), the source of purchasing information is the Internet, the place of purchase is a factory store, the number of purchase is 1-2 times every 6 months, and the wearing situation is when going out such as shopping, the preferred style showed the highest stylishness. Second, Th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wearing situation depending on gender, the reason for choice and importance of purchase according on marriage, the reason for choice, importance of purchase and number of purchase on age, the importance of purchase, source of purchasing information, place of purchase and number of purchase on monthly income, the reason for choice and importance of purchase on education level and job. 본 연구의 목적은 스포츠용품 소비자시장 파악을 위하여 구매결정요인을 분석하고 소비자의 인구통계학적특성에 따른 구매결정요인의 차이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여 각 특성에 맞는 효율적인 마케팅 활동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22년 5월부터 6월까지 서울, 경기, 강원에 소재한 스포츠용품 매장에서 지난 1년 동안 스포츠용품 구매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모집단으로 선정한 후, 총 311부의 설문지가 실증분석에 이용되었다. 자료처리는 SPSS 23.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과 카이제곱(χ2) 분석 및 일원분산분석을 수행하였고,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의 구매결정요인 중 스포츠용품 선택이유는 디자인이 마음에 들어서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구매중요도는 스타일(디자인)이, 구매정보원은 인터넷을 통해서가, 구매장소는 직영매장에서가, 구매정도는 6개월에 1~2회가, 착용상황은 쇼핑 등 외출 시가, 선호스타일은 스타일리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소비자의 인구통계학적특성 중 성별에 따라서는 착용상황에서, 결혼에 따라서는 선택이유와 구매중요도에서, 연령에 따라서는 선택이유와 구매중요도, 구매정도에서, 월수입에 따라서는 구매중요도와 구매정보원, 구매장소, 구매정도에서, 교육수준과 직업에 따라서는 선택이유와 구매중요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 KCI등재

        신규 공동주택의 구매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송인규,정한경 글로벌경영학회 2017 글로벌경영학회지 Vol.14 No.6

        If the existing apartment market is predominantly focused on suppliers, the new apartment market has been reorganized from the supplier - oriented to the consumer - oriented and the purchasing decision factors directly connected to the purchase intention are also complicated and diversified. Therefore, it will be necessary to understand how the factors of consideration that increase the purchase intention and the satisfaction of the marketing activity of the pre-sale affect the purchase intention of the apartment hous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new apartment complex, it is found that the factors of location environment and economic environment have more influence on the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decision, and only the social environment factors and the structural environmental factors are relatively insignificant. Second, Satisfaction Factor of Employee Description of Satisfaction of Marketing Activities is an important factor in consumer decision making. Therefore, satisfaction of employee explanation when visiting a model house is a necessary parameter to increase the purchasing intention of buyer and it is important to purchase decis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ocus on employee education and staff management to satisfy the customers who visit the model hous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more effective results can be obtained when customized marketing campaigns are matched to the needs 기존의 공동주택 시장이 공급자 위주로 편중되었다면 신규 공동주택 시장은 공급자 위주에서수요자 중심으로 개편되었고 구매의도에 직결되는 구매 결정요인 또한 복잡하고 다양화 되고 있다. 따라서 구매의도를 높이는 우선적 고려 요인과 분양마케팅 활동의 만족도가 공동주택 구매의도를 높이는 데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규 공동주택에서는 입지 환경요인과 경제적 환경요인이 수요자의 구매의도 결정에 더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이 되며 단지 사회적 환경요인과 단지 구조적 환경요인은 비교적 중요하지 않음을 알 수 있게 되었다. 둘째, 분양마케팅 활동의 만족도의 직원 설명에 대한 만족도요인은 수요자 구매 결정요인에서 중요한 요인이 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모델하우스 방문 시 직원설명에 대한 만족도는 수요자의 구매의도를 높이는데 필요한 변수이며 구매결정에 중요하게 작용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공동주택 분양자는 모델하우스에 방문하는 수요자를 만족 시킬 수 있도록 직원 교육 문제와 직원 관리에 중점을 둘 필요가 있다. 또한 수요자의 욕구와 필요에 부합한맞춤형 분양마케팅 활동을 할 때 보다 더 효과적인 성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대형 할인 매장 스포츠 용품 소비자의 소비 행동과 구매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권오성(Kwon o-sung),김미향(Kim mee-hyang)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003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8 No.2

        본 연구는 대형 할인 매장 스포츠 소비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구매 용품 종류 및 구매 특성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스포츠 용품 구매 결정 요인의 차이를 규명하여 스포츠 용품 산업 발달에 필요한 실증적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인천, 수원, 분당, 일산에 위치한 5개 지역의 C 대형 할인 매장 이용자를 모집단으로 설정하고, 임의 표집법을 이용하여 565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조사 도구는 Mullin 등(2000)과 박영옥 등 (1998)의 스포츠 산업 분류에 근거하여 스포츠소비자 유형을 분류하고 소비 행동 특성을 조자하였고, 구매 결정 요인은 김수잔 등(2002), 이승철 등(2002)과 이종호ㆍ최종필(2001)의 연구에서 사용된 바 있는 설문지를 토대로 문항을 작성하여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자기평가 기입법으로 작성하였고, 자료 처리는 Windows용 SPSS 10.07 Version을 이용하여 신뢰도 분석, 요인 분석, 교차 분석, 일원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자료 분석의 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대형 할인 매장 스포츠 용품 소비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소비 행동에는 차이가 있었다. 스포츠 참여 형태에 띠라 살펴보면, 관람 참여자가 성별, 연령별, 직업별, 소득 수준별 분류에서 직접 참여자보다 많은 수를 나타냈다. 스포츠 용품의 구매 종류는 성별, 연령별, 학력 수준별, 직업별, 가계 소득별 분류에서 대형 할인 매장 소비자들은 신발을 가장 많이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포츠 용품 구매 시 고려 사항은 성별, 연령별, 학력 수준별, 직업별, 가계 소득별 분류에서 대형 할인 매장 소비자들은 제품의 질을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형 할인 매장 스포츠 용품 소비자의 소비 행동 특성에 따른 구매 결정 요인에는 차이가 있다. 스포츠 참여 형태에 따른 분류에서 구매 편의성 요인에서, 스포츠 용품 구매 종류에 따른 분류에서는 구매 편의성 요인과 상품의 전문성 요인에서, 구매 시 고려 사항에 따른 분류에서는 상표 의존성 요인, 구매 편의성 요인, 상품의 전문성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ffer empirical datum for sports products industry development by construing of consumers' behaviors characteristics of sports products and identifying the difference of purchase decision factors of sports products according to consumers' behaviors characteristics through the analysis of purchase decision factors of sports products according to consumers' behaviors characteristics. The entire population of pollee in this research was consumers of C super super-markets in Seoul. In-chon, Su-won, Bun-dang and Il-san. The datum of 565 persons were col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method. For examination of this study, consumers' behaviors characteristics based on sports industry classification of Mullin(2000) and Park, Young Ok(1998) were examined for the factors of purchase decision, This study was adapted and utilized the survey used by Kim, Su San(2002), Lee, Seng Chul(2002) and Lee Jong Ho(2001). The survey was worked out using self-administration method. Using SPSS 10.07 version for windows as materials management, This study was executed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cross-tab analysis and one-way ANOVA. The conclusion is as following; First, there is difference in consumers' behavior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sports products consumers. According to sports participation conformation, there were more participators who sport directly than audience participators in the classification of sex, age, job and income. The consumers of big discount markets purchased shoes the most in the classification of sex, age, school. year, job and income. The consumers of big discount markets considered the quality of products the most in the classification of sex, age, school year, job and income. Resent corroborated data about how the ski manias' experience reveals on the flow and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To explain more exactly, the study adopted both of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Second, there is difference in purchase decision factors of sports products according to behaviors characteristics of sports products consumers. In the classification according to sports participation conformation, the factors of sports products purchase decision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statistically in the factor of purchase convenience. In the classification according to sports products purchase kinds, it showed difference in the factor of purchase convenience and product specialty. In the classification according to purchase consideration, it showed difference in the factor of brand name dependency, purchase convenience and products specialty.

      • KCI등재후보

        안경구매결정요인 및 브랜드자산 인식이 구매만족과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김인규,이주희,전진,유근창,이석주 대한시과학회 2012 대한시과학회지 Vol.14 No.1

        Purpose: We investigated the correlations among the purchasing decision factors, brand equity,purchasing satisfaction and word of mouth after buying spectacles. Meterials and Methods: October to December 2011 in Gwangju, Daegu, Daejeon, eye glasses shop for the purchase of glasses for customers who visited the store 437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Using SPSS 18.0 statistical program, we analyzed the correlations for purchase decision factors and analyzed purchase satisfaction and word of mouth over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We can find that the purchasing decision factors were design & service for customer,product characteristics, buying experience and contents & community in order. and find that brand equity were perceived quality, brand awareness and brand image in order. Conclusion: For improving purchasing satisfaction and word of mouth, we equipped for the competitiveness for design & service for customers and needed to effort to improve the quality for the brand equity. 목 적: 안경구매자의 구매결정요인과 브랜드 자산인식이 구매만족과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상호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11년 10월부터 12월까지 광주지역, 대구지역, 대전지역의 안경원 구매고객을 대상으로 437부의설문지가 자료분석에 사용되었다. SPSS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매결정요인에 대한 상관관계분석과 구매만족과 구전의도에 대해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 과 : 구매결정요인은 고객서비스 및 디자인요인, 상품특성요인, 구매경험요인, 컨텐츠 및 커뮤니티요인순으로 나타났고, 안경구매 소비자의 브랜드자산 인식에 대한 구매만족 및 구전의도는 브랜드에 대한 지각된품질, 브랜드 인지도, 브랜드 이미지 순으로 나타났다. 결 론 : 안경구매자의 구매만족과 구전의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고객서비스 및 디자인에 대해 경쟁력을갖추어야 하며 브랜드에 대한 지각된 품질을 향상시키는 노력이 필요하겠다.

      • KCI등재

        Effects of Cosmetics Purchase Decision Factors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and Taiwan on the Korea Cosmetics Satisfaction

        Yun-Kyoung Oh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20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Vol.18 No.4

        목적: 한국과 대만의 20대 여대생을 대상으로 화장품 구매결정요인의 차이를 분석하고, 구매결정요인에 따른 한국화장품의 만족도 와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한국화장품 제품개발 및 소비자 마케팅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한국과 대만의 20대 여대생을 대상으로 2019년 12월 10일부터 2020년 3월 20일까지 설문지 법에 의한 자료수집을 실시하였다. 조사문항은 화장품 구 매결정요인, 화장품 만족도,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화장품 사용특성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지는 총 297부가 수집되었고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요인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화장품 구매의 주요 정보원은 한국과 대 만 모두 인터넷•SNS를 통해서 얻는 경우가 많았고 화장품 구매 장소의 경우 로드샵, 인터넷 쇼핑몰이 많았다. 둘째, 한국과 대만 여 대생의 구매결정요인은 품질, 디자인, 가격, 브랜드, 사용정보 5가지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구매 평가차이를 알아본 결과 대만이 한 국보다 디자인과 가격을 더 고려하는 반면 한국이 대만보다 사용정보를 더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과 대만 여대생의 한국화장품에 대한 만족도는 보통 이상의 만족도를 나타냈으며 품질과 화장품 재구매 항목에 대한 만족도는 한국 여대생이 더 높았 다. 넷째, 화장품 구매결정요인이 한국화장품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한 결과 화장품 구매 시 한국은 화장품의 품질과 사용정 보를, 대만은 품질, 브랜드, 사용정보를 중요하게 고려한 경우 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결론: 한국 화장품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 기 위해서 화장품 구매 시 한국과 대만 여대생이 제품의 품질과 사용정보를 구체적이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으 며, 대만 여대생을 대상으로 한 경우에는 화장품 브랜드를 적극적으로 홍보하는 전략을 세울 필요가 있다 Purpose: The study analyzes and compares the factors of cosmetic purchase decision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South Korea (“Korea” hereafter) and Taiwan and elucidates their relationship with satisfaction in terms of Korean cosmetic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via a questionnaire survey conducted from December 10, 2019 to March 20, 2020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their twenties in Korea and Taiwan. The survey items focused on the factors of cosmetic purchase decision, satisfaction with cosmetics,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subjects, and characteristics of cosmetic use. A total of 297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SPSS 18.0. Results: First, the main sources of information for purchasing cosmetics were obtained through the Internet and social networking sites (SNSs) in Korea and Taiwan. Second, five factors of purchase decision were identified, namely, quality, design, price, brand, and usage information. Third, the satisfaction of Korean and Taiwanese female university students with Korean cosmetics was higher than average, whereas satisfaction with quality and cosmetic repurchase items was high for only the Korean students. Fourth, when purchasing cosmetics, the satisfaction rate was higher when the Korean students considered the quality and usage information of the cosmetics, whereas the Taiwanese considered quality, brand, and usage information. Conclusion: To increase satisfaction with Korean cosmetics, ensuring that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and Taiwan can accurately identify product quality and usage information when purchasing cosmetics is necessary. Alternatively, the Taiwanese students should develop strategies to actively promote cosmetic bran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