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사회의 법과 인권, 민주주의: 이명박 정부 5년에 대한 평가 ; 이명박 정부 교육정책에 대한 평가와 과제 -신자유주의 고등교육정책을 중심으로-

        임재홍 ( Chae Hong Lim ) 민주주의법학연구회 2012 민주법학 Vol.0 No.50

        국립대학인 서울대학교의 법인화를 내용으로 하는 ‘국립대학법인 서울대학교 설립 운영에 관한 법률’의 제정과 반값 등록금을 요구하는 촛불시위는 이명박 정부의 고등교육정책과 그에 대한 대중의 저항을 잘 보여주는 부분이다. 국립대학의 법인화정책을 포함한 이명박 정부의 교육정책은 신자유주의 경쟁정책의 연장선상에서 이해할 수 있다. 이명박 후보의 교육공약 중 특징적인 것은 ‘취업후 학자금 상환제’ 정도이다. 그러나 이 역시 학생들의 등록금 부담을 해결하는데 한계가 많다는 것이 드러나고 있다. 이를 제외하면 이명박 정부의 고등교육정책은 김대중 정부나 노무현 정부와 크게 다를 것이 없다. 즉 국립대자율화조치로서 법인화정책, 사립대자율화정책과 부실 사립대 퇴출정책을 그대로 승계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교과부가 추진하는 국립대 법인화정책과 사립대 구조조정정책을 비판적으로 평가한다. 이를 통해 법인화정책은 국립대를 사립대학으로 만드는 공교육 포기 정책이고, 사립대 자율화정책은 사립대학에 대해서는 더 많은 자유와 특권을 보장하려는 정책으로 공적 관리의 포기 정책임을 드러내고자 한다. 이러한 신자유주의정책에 대한 대중적 저항을 기반으로 공교육을 강화하는 정책을 대안으로 제시한다. 그 출발점은 고등교육비의 국가부담이다. 구체적인 방안으로는 국공립대학 위주의 고등교육 설계 방안으로 ‘정부책임형 사립대학 구축 방안’을 제시한다. In this Paper, I intended to analyze a series of new higher education reform policies of Lee Myung-bak government. They are commonly characterized by ``marketization`` and ``autonomy and accountability`` of higher education. The ``marketization`` was an extensive introduction of competition mechanism in the field of higher education, and ``University autonomy and accountability`` was privatization. Public education system will be threatened if higher education services are included in neo-liberalistic moves. The right to get a good education becomes more and more a question of mone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emphasized national competitiveness in the 21st century knowledge-based society and the quality of human resources. But in my opinion national human resources development policy did not justify the new higher education reform policies. Because human resources development on the national level does not become the goal of public higher education. We want an education system for people, not for profits, which has been shown at a series of student demonstrations such as “tonsure protests” by university students. This also brought criticisms from the opposition, the Democratic Party. In Korea students have to pay tuitions and fees to colleges or universities. Pay increases have caused chronic controversy. Household spending on higher education has been rising inexorably over the past few years, aside from a temporary dip during the financial crisis. Significant progress is necessary in the restructuring of higher education in Korea. Korean higher education shows several distinctive features when compared with other countries. First of all, the majority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re private. About 87%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re private. About 78% of university students and 96% of professional school students enrolls in private institutions. As private institutions rely heavily on tuition revenue, their fees are considerably high. Even public universities in Korea charge substantial tuition, because governmental support for higher education in Korea is too small. Public financial expenditures on higher education as a percentage of GDP are very low at 0.3%. The net result is that the household sector bears the bulk of the financial burden for higher education. The proportion of governmental subsidies was limited to 22.3%, much lower than the OECD average(68.9%)(Education at a Glance 2011). Partly the rapid expansion of higher education supply has started to exceed the demand. In spite of the outward goal i. e., strengthening the global competitiveness of universities, the policy of the Ministry of Educations, Science And Technology has focused on shutdown of private institutions. The government has launched a campaign to restructure universities by weeding out financially-week private schools and merging state-run ones. The government`s move to weed out underperforming schools is tied to its tuition-cut drive. Korea needs to reform the universities with reviewing ways to lower tuition. But the proper way of higher education reform should begin to subsidizing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The government needs to increase financial subsidy rather than weeding out substandard schools to upgrade the quality of higher education. Korea`s public education spending per student was lower than the average of other OECD member states, according to the organization`s 2011 edition of Education at a Glance. Under purchasing power parity(PPP), the conversion index used to compare price levels for different countries, Korea`s public education spending per student stood at $9,081 for higher education schools, lower than the OECD average of $13,717. The government did not invest properly in higher education. We point out that the government needs to spend more on public education.

      • KCI등재

        대학입학전형이 대학 신입생의 사교육 경험 및 인식에 미치는 효과

        남창우(Nam, Chang-Woo),박서현(Park, Seo-Hyun),길혜지(Kil, Hyej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2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4년제 A대학교의 신입생 1,151명을 대상으로 사교육의 참여 실태를 알아보고 입학전형 유형과 사교육이 어떠한 관계가 있으며, 입학전형 유형이 고등학교 시기의 사교육 경험 및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A대학교 2016학년도 신입생 1,316명을 대상으로 간 사교육 경험에 관한 설문조사를 2016년도 11월 1개월 동안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실시하였고, 대학입학 전형에 따라 사교육 경험 및 인식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주된 분석방법은 기술통계, 교차분석, 일원분산분석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첫째, 학생들은 주로 학원 및 개인과외 등의 사교육을 경험했으며, 월 평균 비용과 이용 시간 다양하게 나타났다. 둘째, 사교육 효과에 대한 인식은 입학전형과 상관없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학수학능력시험은 다른 전형 요소에 비하여 사교육 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A대학교의 입학전형 요소 중 사교육 유발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전형 요소는 대학수학능력시험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시전형의 경우에는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수시전형의 경우에는 학생부 교과영역 확대가 공교육 내실화에 가장 적당한 전형요소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바탕으로, 사교육을 경감하고 고교 공교육 정상화를 위한 학생부종합전형 관련 교육정책 및 제도 개선에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actual condition of participating in private education of 1,151 freshmen students in university A, Busan metropolitan city in 2016 by conducting survey in November, 2016, and the effects of university admission types on private education. The data was analyzed by χ2-test, ANOVA, and Scheffè post-hoc test with the SPSS 24.0 program depending on university admission types of freshman student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have experienced private education such as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 and private tutoring, and there were wide ranges of average monthly expense, average usage hours and frequency of private education between them. Second, they perceived the effects of private education on their university admission positively, Especially, there were strongly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and dependence on private education rather than other university admission types. Lastly,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induced private education mostly among university admission types in university A. Also, for reinforcing public educational system, they perceived that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was more effective than other university admission types in the case of regular admission, and the parts of subject matters was considered more than other university admission types in the case of early admission. This study suggested some implications for decreasing private education fees by exploring how university admission types induce private education.

      • KCI등재

        위기에 처한 지방대학의 인재양성 : 어떻게 지방자치단체와의 협력을 확대할 것인가?

        선정원(Sun, Jeong-Won) 한국지방자치법학회 2021 지방자치법연구(地方自治法硏究) Vol.21 No.3

        지방대학의 위기와 지방소멸의 위기가 상호연계되어 있고, 지방대학의 위기가 지방의 소멸을 가속화시킬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 지방자치단체와 지역사회에 지역발전을 위해 필요한 지역인재가 매우 부족하다. 신규공무원을 선발해도 해당 지역에 거주하려는 의지가 부족하고 지역의 유형·무형 자산이나 지역특색에 대한 관심도 매우 부족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대학에서의 강의내용이 공공부문의 업무를 전혀 모르는 학생들의 만족도 평가에 의존한 결과 지방자치단체의 업무를 가르치고 공무원의 업무를 학문영역으로 하는 지방대학의 교육은 실무로부터 점점 더 멀어지게 되었다. 지방소멸의 위기에 처한 지역의 공무원의 역량강화는 신규채용공무원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9급 공무원들의 역량강화 없이는 아무런 성과를 내지 못할 것이다. 그동안 우리나라에서 지방공무원의 교육은 주로 지방공무원교육훈련법에서 규정하고 있는데 임용후 교육에 치중하고 있다. 국민생활에 관한 공공업무를 처리하는 자는 복잡하고 정교하게 변한 공공업무에 관하여 충실한 기본교육을 받은 자이어야 한다. 국민의 건강과 재산을 보호하는 공공업무는 그 내용의 복잡성과 전문성을 감당할 전문지식을 갖지 않은 자에게 맡겨져서는 안된다. 하지만, 아직 우리 법에서는 공무원의 임용전 교육에 관해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의무로 전혀 인식하고 있지도 않아 아무런 규정을 두고 있지 않다. 지방공무원으로 임용되기 전에 전문지식과 지역지식에 관해 충실하게 교육을 받고, 임용 이후에는 임용전 습득한 지식과 기술을 적용하면서 더 발전시킬 수 있도록 공무원임용제도를 개혁해야 한다. 이 글에서는 공무원의 임용전 교육에 관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의무이행방법과 관련하여 공사협력방식을 제안하면서 그 구체적 실행방식으로 인증제와 위탁교육제를 제시했다. 첫째, 인증제방식은 지방대학에서 공무원의 업무에 관한 필수지식을 가르치도록 하고 그 교육프로그램에 인증평가를 실시하고 나서 그 교육프로그램을 적절하게 이수한 학생들에게 가산점을 주는 방식이다. 둘째, 위탁교육제는 9급 지방직 공무원의 채용에 있어 고졸특별전형을 제한적 비율로 유지하면서 그 시험에 합격한 학생들을 지방대학들(인증을 받은 필수교육프로그램)에서 2년 정도의 위탁교육을 시키는 방식이다. The crisis at local universities is interconnected with the extinction of local society, and the crisis at local universities risks accelerating the extinction of local society. Local governments and communities are very short of local talent for regional development. Even if new public officials are selected, there is a lack of willingness to live in the region and interest in local tangible and intangible assets or regional characteristics. Nevertheless, the content of lectures at universities has relied on the satisfaction assessment of students who have no knowledge of the public sector s work, and education at local universities, which teach local governments work as academic areas, has become increasingly distant. Strengthening the capabilities of public officials in areas on the verge of local extinction will not produce any results without strengthening the capabilities of 9th-grade public officials, which account for more than 90 percent of new recruitment officials. Until now, the education of local public officials in Korea is mainly prescribed by the Local Public Service Education and Training Act, which focuses on education after appointment. A person who handles public affairs concerning the lives of the people shall be a person who has received a faithful basic education on complicated and sophisticated public affairs. Public affairs protecting the health and property of the people should not be left to those who do not have the expertise to handle the complexity and expertise of the content. However, our law does not yet have any regulations because it is not recognized as the duty of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to educate civil servants before appointment. The civil service appointment system should be reformed to ensure that expertise and local knowledge are faithfully educated before appointment as local public officials, and to further develop the knowledge and skills acquired before appointment. In this article, the author proposed a public-private cooperation method related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obligation of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on education before appointment of public officials, and proposed a certification system and a commissioned education system as a specific implementation method. First, the certification system requires local universities to teach necessary knowledge about the work of public officials, conduct certification evaluations on the education program, and give additional points to students who have completed the program properly. Second, the commissioned education system maintains a limited proportion of high school graduates in hiring level 9 local government officials and requires local universities to provide two years of commissioned education for students who pass the test.

      • KCI등재

        원불교 종립대학의 교양교육 개선방안 연구 -원광보건대학교를 중심으로-

        최미숙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24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0 No.100

        본 연구는 원불교 종립대학에서 건학이념에 바탕한 교양교육의 근본적 역할을 성찰하며, 전 세계 인류가 함께 실천해 나아가야 할 보편윤리 강령인 정산의 삼동윤리 사상을 교양교육의 핵심사상으로 하여 원불교 종립대학의 미래지향적 보편 교양교육으로의 개선 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달성을 위하여 첫째, 대학 교양교육 개요 및 특징. 둘째, 선행연구 고찰로 종립대학 교양교육 현황 및 과제. 셋째, 원광보건대학교 중심으로 종립대학의교양교육 개선방안 연구를 수행하였다. 원불교 종립대학은 대학 교양기초교육과정으로 개교정신과 도학교육에 바탕한 ‘종교와원불교’ 교양필수 교과목을운영하고 있다. 향후 이에 대한 개선 방안으로 첫째, 동원도리(同源道理)사상을기반으로 한 융복합 종교이론 체계를 구축하는 종교교육으로 교양교육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둘째, 동기연계(同氣蓮契)사상을 기반으로 한 맞춤형 생활체험훈련 중심의 인성교육프로그램으로 확대하는 교양교육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셋째, 동척사업(同拓事業)사상을 기반으로 한 지역 특성화 K-종교교양교육공조체제를 구축하는 전인교육으로의 교양교육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This study reflects on the fundamental role of liberal education based on the founding philosophy at a Won- Buddhist university, and uses Jeong San's Samdong ethics, a universal code of ethics that all mankind around the world must practice together, as the core idea of liberal education in a Won- Buddhist university. The purpose is to present improvement plans for future-oriented universal liberal arts education. To achieve this goal, first, an overview and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Second, the current status and challenges of liberal arts education at public universities based on previous research. Third, a study was conducted on ways to improve liberal arts education in public universities, focusing on Wonkwang Health University. Won- Buddhism University operates the required liberal arts subject ‘Religion and Wo n Buddhism’ based on the founding spirit and moral education as a university liberal arts basic curriculum. As a future improvement plan, first, we propose a plan to improve liberal arts education through religious education that builds a convergence religious theory system based on Dongwon Dori ideology. Second, we present a plan to improve liberal arts education by expanding it to a character education program centered on customized life experience training based on the ideology of motivation and connection. Third, we present a plan to improve liberal education toward holistic education by establishing a regional specialized K-religious liberal arts education cooperation system based on the Dongcheok Businessideology.

      • KCI등재

        대학 교양교육에서 ‘역량기반교육’의 의미와 적용 타당성에 대한 고찰

        조남민(Cho, Nam Min),손달임(Shon, Dal Lim),황미경(Hwang, Mi Kyeung) 한국교양교육학회 2022 교양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국가의 교육정책으로서 역량기반교육은 타당성을 갖는지, 둘째, 역량기반교육 이 대학의 교양교육에 적용 가능한지, 셋째, 역량기반교육에 대한 교양교육을 담당한 구성원의 인식은 어떠한지를 논하는 데 있다. 우선, ‘역량’의 정의는 조직에 속한 개인의 구체적인 직무 수행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것에서 기원했으 며, 이와 같이 조직의 전략적 측면에서 고려된 ‘역량’은 OECD의 ‘DeSeCo Project’, EU의 ‘Key Competences’ 합의, 미국의 P21 위원회의 21세기 핵심역량 제안 등에서 인간의 ‘성공적인 삶’에 필수적인 요소로 그 개념이 확장되었으나, 현재 대부분의 국가들이 목표로 하는 ‘경제성장’, 혹은 국가 경쟁력 강화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인력이 갖추어야 할 능력을 의미하게 되었다. 그리고 핵심역량의 개념을 바탕으로 한국 정부는 공교육에 있어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편 작업을 시행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초⋅중⋅고등 학교 및 대학 교육도 투입(input)과 산출(output), 즉 수치화된 교육적 효과나 취업 등의 결과를 목표로 하게 되었다. 둘째, 이러한 사실은 국내외 대학의 역량 중심의 교육과정을 적용한 사례들을 통해 뒷받침된다. 외국의 경우 핵심역량 기반 교육이 순수 학문이나 교양⋅예술 분야가 아닌 실용적⋅전문적 분야에 선택적으로 적용되고 있으며, 정부에서 주도적으로 이를 실시하더라도 대학에 상당한 자율성을 부여하 고 있었고 운영에 필요한 지원을 하는 역할을 하고 있어 한국과는 사정이 매우 다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대학의 교수자를 대상으로 ‘역량기반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조사 결과 본 조사의 응답자들은 각 대학이 핵심역량을 설정하고 교과목에 대한 핵심역량을 매핑할 때 교수자들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지 못했기 때문에 교수-학습 과정이나 성취도 평가 과정에 적용하기 에 어려움이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역량기반교육이 현 사회가 요구하는 역량을 증진하는 데 기여하는 바가 있고, 전공 영역이나 도구적⋅실용적⋅전문적 특성을 갖는 특정 교과에 적용하는 것은 효과를 기대할 만하지만, 인문사회 영역을 포함한 교양 영역 전체에 일괄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견해가 주를 이루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역량기반교육이 특정 분야에 한하여 효과적일 수 있으나 인문⋅사회⋅예술 등을 포함한 교양교육 분야를 아우르는 교육 방안이 될 수는 없으며, 더 나아가 공교육과 대학교육에 대한 국가의 교육정책으로서 타당하지 않다는 사실과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많은 문제가 있음을 이론적 측면, 사례 분석, 인식 조사 등의 근거 제시를 통해 밝혔다. This study will discuss three topics. First, whether competency-based education as a national educational policy has validity, second, if competency-based education is applicable to liberal arts education at universities, and third, how members in charge of liberal arts education perceive competency-based education. First, this paper revealed that the definition of competency originated from evaluating the specific job performance ability of individuals belonging to an organization. In this way, the concept of “competency” considered in the strategic aspect of the organization has expanded to be essential to a person’s “success in life” according to the OECD s “DeCo Project,” the EU s “Key Components” agreement, and the US P21 Committee s proposal for the 21st century. Based on the concept of core competencies, the Korean government implemented competency-based curriculum reorganization in public education, and accordingly aimed at the input and output of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 and university education, that is, it quantified educational effects and employment rates. Second, this fact was supported through examples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s at domestic and foreign universities. In foreign countries, competency-based curriculum is selectively applied to practical and professional fields rather than pure learning and liberal arts. Even if it is conducted by the government, it is given considerable autonomy within universities and plays a role in providing necessary support, which is different from the examples found in Korea. Third,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perception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for university instructors. As a result of the survey, respondents of this survey recognized that it was difficult to apply competency to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or achievement evaluation process because each university did not sufficiently collect opinions from instructors when setting core competencies and mapping core competencies for their subjects. In addition, competency-based education contributes to enhancing the competencies required by the current society, and it is expected to be effective when applied to specific subjects with instrumental, practical, and professional characteristics. However, it is expecting too much for it to be applied to the entire liberal arts area. In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that competency-based education can be effective only in certain fields, but it cannot be an educational method encompassing liberal arts education, including the humanities, society, and the arts. In addition, this study also revealed that competency-based education is not appropriate as a government’s policy for public education and university education based on various perspectives, such as the theoretical approach, case studies, and perception surveys.

      • KCI등재

        ‘교육의 기회균등’의 헌법적 의미와 개선방안

        장영수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2018 고려법학 Vol.0 No.89

        After liberation, South Korea’s education shifted from elite education to public education. The popularization of education contributed in boosting national competitiveness in various areas, economic development, as well as serving as an important foundation for the enhancement of democracy. Nonetheless, there have been criticism that equal educational opportunities in South Korea has deteriorated, making rags to riches story no longer feasible today. As can be confirmed from Korea’s contemporary history, education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that determines an individual’s as well as the nation’s future. When regarding the fact that better education contributes to a better future, education can be viewed as a definite future investment. Therefore, discrimination in education means discrimination in future development possibilities. One typical problem that critics point out is the parent’s economic competence, resulting in unequal educational opportunities. It is natural for the parents to use their wealth to provide better education for their children. However, the problem is that educational opportunities differ depending on the parent’s economic competence; a factor that is irrelevant to one’s ability or effort and is threatening equal educational opportunities, not to mention the foundation of democracy. The deterioration of equal educational opportunities as well as the educational system that is connected to this issue is not a problem that is limited only to those serving in the field. Instead, it should be regarded as a problem that the nation and the public needs to actively participate in and resolve. This article takes such idea as a premise and has searched for the meaning of equal educational opportunity, the reason of its deterioration, as well as feasible solutions. First, the article overviews the concept and character of education as well as the importance of equal educational opportunity. Next, the article reviewed the normalization of public education as a premise for equal educational opportunity and confirmed its importance. Furthermore, to realize equal educational opportunity, the article searched for a way to reform university entrance exam, as well as examining vocational training and lifelong education issues. The future of Korea is determined by education and the future of education is determined by equal opportunity. Since the future Korea without equal education opportunity will undergo extreme discrimination and social conflicts, equal education opportunity is an essential value that cannot be abandoned. Therefore, the effort to expand and strengthen equal educational opportunity should begin right now. If there is no immediate movement for equal educational opportunity, social structure will stiffen, social hierarchy will become fixed, and equal opportunity in the future may be delayed or be lost forever. 해방 이후 대한민국의 교육은 엘리트교육에서 대중교육으로 변화해 왔다. 교육의 대중화를 통해 다양한 분야에서 국가경쟁력이 제고되었고, 교육은 경제발전뿐만 아니라 민주주의의 성장을 위해서도 중요한 기초가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한민국에서 교육의 기회균등은 오히려 악화되고 있으며, 개천에서 용 나오기가 더 힘든 사회가 되었다는 지적들이 많아지고 있다. 교육은 개인과 국가의 미래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의 하나이며, 이는 우리 현대사를 통해서도 확인되고 있다. 보다 훌륭한 교육을 받음으로써 더 나은 미래를 형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교육은 곧 미래에 대한 가장 확실한 투자이다. 이러한 교육에서 차별이 발생한다는 것은 바로 미래의 발전가능성에 차별이 생긴다는 것이다. 가장 대표적인 문제로 지적되는 것이 부모의 경제적 능력에 따른 교육의 기회균등 왜곡이다. 부가 편중되고 세습되면서 부를 이용하여 자식에게 더 좋은 교육을 시키려는 경향이 커지는 것은 인간의 본성에 비추어 볼 때 자연스러운 일이다. 그러나 그로 인하여 본인의 능력이나 노력이 아닌, 부모의 경제력에 따라서 교육의 기회가 달라지는 것은 교육의 기회균등을 매우 심각하게 위협할 뿐만 아니라, 자칫 민주주의의 기초를 훼손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교육의 기회균등 악화 및 이와 결부되어 있는 대한민국 교육제도의 문제상황은 교육종사자들만의 문제가 아닌 국가 전체, 국민 전체의 문제로 인식되어야 할 것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 또한 그래야 할 것이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초하여 교육의 기회균등이 갖는 의미와 그 악화의 원인 분석, 그리고 대안을 모색하였다. 먼저 교육의 개념과 성격 및 기회균등의 중요성에 대해서 개관하고, 이와 연결하여 교육의 기회균등을 위한 전제로서의 공교육 정상화를 검토하면서 공교육이 교육의 기회균등에서 얼마나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지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를 위한 조건으로서 교육의 기회균등을 실질화하기 위한 대학입시의 개혁방향을 모색하였고, 이와 더불어 교육의 기회균등과 직결되어 있는 문제로서 교육의 기회균등과 직업교육의 실질화와 평생교육을 통한 교육의 기회균등을 살펴보았다. 대한민국의 미래는 교육이 결정하며, 교육의 미래는 기회균등이 결정한다. 기회균등이 없는 교육에 기초한 미래 대한민국은 훨씬 더 심각한 불평등과 사회갈등을 겪을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교육의 기회균등은 결코 포기될 수 없는 가치다. 그렇기 때문에 교육의 기회균등을 확대⋅강화하기 위한 노력은 지금 당장 시작되어야 한다. 오늘 바로 교육의 기회균등을 위해 움직이지 않으면, 그리고 그로 인해 사회구조가 더욱 경직되고 사회적 계층이 고착화된다면 미래의 기회균등은 10년 더 늦어질 수도 있고, 영영 때를 놓칠 수도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새로운 대학 이념으로서 생태주의 대학 이념

        오종욱 ( Oh Jong Wook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8 교육철학연구 Vol.40 No.2

        이 연구는 새로운 대학 이념으로서 생태주의 대학 이념의 가능성과 의의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재 고등교육을 지배하고 있는 신자유주의 대학 이념은 대학의 본질을 훼손하고 인식론적 불균형을 초래하며 공익적 역할을 하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최근 논의되고 있는 생태주의 대학 이념은 신자유주의 대학 이념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생태주의 대학은 대학과 관련된 다양한 생태계와의 상호연관성을 증진하고 그들의 지속가능성, 잘삶, 개선에 기여하는 대학 이념이다. 생태주의 대학 이념은 대학이 맺고 있는 주체들과의 상호연관성 증진을 통해 대학의 본질을 회복하고, 총체적인 관점에서 대학의 인식론적 영역을 확대해 나갈 수 있다는 점에서 현재 대학의 이념적 한계를 극복하고 있다. 또한 복잡성으로 얽혀진 사회 주체와의 관계를 진지하게 고려하고, 세계 내의 형식적·비형식적 의사소통과정의 참여를 통해 다양한 관점과 공존을 허용한다는 점에서 사회적·시대적 맥락에 적합한 새로운 대학 이념으로 볼 수 있다. 이 같은 생태주의 대학 이념은 위기에 처한 오늘날의 대학에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시사점을 줄 수 있다. 첫째, 새로운 대학 이념의 형성 가능성 제공한다. 둘째, 인식론적 영역의 보존과 확장에 기여한다. 셋째, 대학의 공익적 성격을 강화한다. 생태주의 대학이념은 대학과 관련된 모든 생태계의 지속가능성과 잘삶을 증진함으로써 세계와의 공존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폐허’가 아닌 긍정적인 대학의 미래를 상상할 수 있게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ossibility and significance of ecological university as a new idea of a university. Within higher education neoliberalism has been criticized for its undermining the essence of the university, causing epistemological imbalance, and failing to play a public role. The ecological university being discussed recently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new alternative to overcome the limits of the neoliberalism. The ecological university promotes university's interconnectedness with various ecosystems and contributes to their sustainability, well-being and improvement. It can restore the essence of the university through the enhancement of its correlation with the subjects and expand the epistemological sphere of the university from the holistic view. In addition, the ecological university could be considered a new idea of a university in that it takes into serious consideration the relationship with the social entities in its complex interconnection and accepts various perspectives through participating in the formal and informal communication processes in the world. The ecological university ha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or the university in crisis. First, it provides the possibility of forming a new idea of a university. Second, it contributes to the preservation and expansion of the epistemological sphere. Third, it strengths the aspect of the public good of the university.

      • KCI등재

        사립대학 폐교의 문제점과 공공성 회복을 위한 개선방안

        주용기 한양법학회 2019 漢陽法學 Vol.30 No.4

        As we already know, it is clear that the key cause of the occurrence of closed private universities is the cliff of school-aged population. However, it is difficult to accept that the rapid declin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is a sufficient condition for the closure of the university. If the sharp decline in school age population comes to the 'market logic' that means the closure of the university, although the fundamental cause of the closure of the already closed universities is the negation and corruption(or crimes) of the founders and operators of the university, the responsibility for the university's insolvency and closure is only asked by the current university members while avoiding the fundamental causes. In addition, there is a risk that the related organizations, such as the National Assembly or Ministry of education, which should prepare not only the realistic preliminary measures for the university to grow like a university, the mass unemployment and the delayed wage of the staff due to the closure of the university, but also the post-measures to solve the problem of devastation of the local economy, will take advantage of market principles without taking responsible efforts and see college closures too optimistic and future-oriented. The starting point of all these problems can be said to be ‘5.31 education reform’, which is represented by Normativsystem establishment of a university, which has been maintained in the government since then. Although the autonomy for university reform was emphasized, it was insufficient to ask for responsibility according to authority(negation, corruption), and despite the emphasis on autonomy faithful to market principles, the education reform led by the government was promoted, so the university reform did not achieve half success. The core of this paper is that the origin of the existing university closure should not be overlooked as the negation and corruption of university establishment and operators. The autonomous university reform, which is being pursued without considering this point, is at high risk of ending only with ‘securing property rights of the corrupt and the irregular’. Almost all the universities that have been closed are buried in the logic of property rights, and the settlement is delayed, and the establishment of social safety nets for members of the closed universities is not clear. Therefore, in order to eradicate private school corruption, it is revised to improve the publicity, democracy, and transparency of related laws and systems including the Private School Act, an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solve the career interruption of professors of closed schools. I would like to finish this article by urging the forward-looking construction of the social safety net including the same plan suggested in IV.(improvement plan).

      • KCI등재

        지역사회의 참여를 통한 지방사립대 공영화의 공익적 가치에 관한 연구

        이건근(Lee, Geon Geun) 한국부패학회 2021 한국부패학회보 Vol.26 No.3

        2020년대 초 학령인구 감소위기가 본격화되면서 사학비리와 부실한 운영으로 인해 지방 고등교육 생태계 붕괴 상황이 두드러짐에 따라 대학평가를 통한 사후적인 선별조치로 재정을 지원하기보다 이러한 폐단을 근원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체계가 필요하다. 이 논문은 사학비리를 예방하고 처리할 수 있는 방안으로 가칭 지방고등교육자치위원회 설립을 통한 공영형 사립대학 제도 도입을 제안한다. 연구방법으로 사립대학이 한계대학으로 전락한 배경과 현황 그리고 사학비리와의 관계를 논하고, 2020년에 생산된 공영형 사립대학 실증연구보고서 3편에 소개된 대학과 지역사회의 협력 방법과 이 제도에 대한 지역민의 인식을 고찰한다. 이어서 지방 사립대학 공공성 확보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그 방안으로서 공영형 사립대 제도와 관련한 담론을 살핀 뒤 지역사회가 참여하는 지방고등교육자치위원회의 신설을 제안한다. 연구결과 2000년 이후 폐교된 18개교 중 절대다수가 사학비리와 연루되어 결국 부실한 운영으로 종료되었다는 점에서 이를 가장 효과적으로 관리·감독할 수 있는 공영형 사립제도를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지방고등교육자치위원회가 지역민을 대표해서 한계대학의 공영화와 폐교문제 처리 그리고 공영형 사립대학 선정 및 관리를 투명하고 공정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는 2004년까지 급속하게 감소하게 될 학령인구와 입학정원 때문에 발생할 수 있는 지방 고등교육 환경의 변화에 대한 대안을 제시함으로써 고질적인 사학비리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 점에 의의가 있다. As the crisis of the school-age population decline has been in full swing in the early 2020s revealed the collapsing situation of the local higher education ecosystem due to the corruption and poor management of private universities, it is found that the system that will block out such a negative effect by the roots rather than the financial support that is made ex post facto through university evaluation. This essay suggests to introduce the system of publicized private universities through establishing a tentatively named Regional Higher Education Autonomous Committee as a way to prevent and deal with private school corruption. As a research method, this article shows the background and current situation of the universities collapsing from general private ones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 corruption of private universities, and then observes the method and system of cooperation between universities and local communities introduced in the Empirical Research Reports on publicized private universities produced in 2020 and the perception of local people about it. Next, the paper emphasizes the necessity of securing the public nature of local private universities and proposes the establishment of a regional autonomous committee for higher education in which the local community participates after examining the discourses related to the university system. As a result of study, it is argued that a public-run private system, which can manage and supervise these issues most effectively, should be introduced, as the majority of 18 universities that have been closed since 2000 were involved in corruption and ended in poor management. In addition, the Regional Higher Education Autonomy Committee will be able to transparently and fairly handle the publicization and closure of collapsing universities, and the selection and management of publicized private universities on behalf of the local peopl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a way to fundamentally solve chronic private university corruption by suggesting alternatives to changes in the local higher education environment that may occur due to the rapidly decreasing school-age population and admission quota by 2004.

      • 특집 : 공익인권 법무 분야의 현황과 전망; 서울대학교 로스쿨 공익인권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조연민 ( Yeon Min Cho ),홍인 ( Hong In ) 서울대학교 BK21 법학연구단 공익인권법연구센터 2013 공익과 인권 Vol.13 No.-

        로스쿨 도입에 앞서 많은 논자들은 공익인권교육의 활성화와 그에 따른 공익인권법무의 활황을 점쳤다. 사법개혁의 취지와 로스쿨의 제도적 특징(변호사 중심 양성 시스템, 변호사 수의 양적 확대, 특성화 교육, 실무영역 및 지역사회와의 연계 강화 등)이 이를 전격적으로 지지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에 본 글에서는 로스쿨 도입 5년 차에 이른 현재, 로스쿨 법학교육의 내용과 방식이 사법개혁의 취지에 발맞춰 내실화되고 있는지에 대한 평가의 일환으로 서울대 로스쿨에서의 공익인권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한다. 연구방법으로서는 먼저 서울대 로스쿨이라는 공간에서 현재까지 5년여간 이루어진 공익인권교육의 성과와 한계에 대한 객관적 분석을 진행하고, 동시에 재학생 및 졸업생을 대상으로 한 심층 인터뷰를 통해 학생들의 주관적 인식에 대한 질적 연구를 시도하였다. 서울대 로스쿨의 현황을 교과목 운영, 공익인권법센터, 임상법학의 세 측면에서 진단한 결과, 공익인권교육의 형해화가 여실히 드러났다. 그 원인은 ① 로스쿨의 엄격한 학사관리 제도 및 변호사시험의 정원제라는 구조,② 전문분야로서 공익인권교육의 제도화 미비, ③ 임상법학의 위상 불명료로 좁혀질 수 있다. 이러한 현실에 직면한 서울대 로스쿨 학생들은 제도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인권법학회를 통해 ‘자력구제형’ 활동을 펼쳐 왔지만, 이 역시 동력과 재생산의 문제, 기회비용의 문제 및 진로와의 연계성 문제 등으로 일정한 한계점을 내포하고 있다. 심층 인터뷰 결과, 공익적 관심을 가진 로스쿨 학생들은 학교가 공익인권교육에 있어서 담보해야 할 역할을 충분히 해내고 있지 못하다고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자력구제형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공익인권 활동 및 실무와의 연계, 진로 탐색 등의 과정이 효과적이고 지속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제도화가 필요함에 공감했다. 치열한 학점 경쟁, 공익인권 분야에 대한 정보부족, 잘못된 선입견, 진로와의 불투명한 연계 등 로스쿨 내외의 제도적?문화적 장애요인에 시달리고 있는 학생들의 공익적 관심을 유지시키고 발전?구체화시키기 위해서는 학교 차원에서 현실적인 정보 제공, 체계적인 학습 기회의 제공, 실무영역과의 체계적 공조 등이 요구된다. 그러나 그러한 역할수행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현재의 상태는 학생들로 하여금 공익인권 관련 진로를 포기하게 만드는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학교 차원에서 공익인권 특성화 프로그램의 올바른 정비를 통해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려는 노력이 요구된다. Prior to the introduction of law school system in South Korea, many authors anticipated vitalization of public interest and human rights education (and subsequent activation of public interest lawyering) in law schools because it was supported by the purpose of Korean judicial reform and its institutional features. Based on such expectations, this article attempts to analyze the status and problems of the public interest and human rights education in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Law School in a bid to evaluate the internal stability of legal education at Korean law schools in the light of the intent of the judicial reform. First, we analyzed the education programs that took place in the SNU Law School for the past 5 years and their performance on the objective side. Second, we attempted a qualitative research on the subjective awareness of the affected, based on in-depth interviews with both enrolled students and graduates of the SNU Law School. By analyzing the actualities of the public interest education in the SNU Law School on the operation of courses, Human Rights Law Center, and legal clinics, it can be concluded that its public interest education is falling apart. This results from three factors: ① structural problems of Law School - strict management system of GPA and the quota system of the bar exam, ② lack of institutionalization of human rights education, ③ ambiguous position of clinical legal education. Students under such circumstances are struggling to make up for the defect of the system; they compose the Human Rights Law Society and carry out so-called ‘self-help’ activities. However, such efforts have only limited attainments due to practical problems related to reproduction, opportunity cost and career. According to the results of in-depth interviews, students who have concerns for public interest and human rights are very aware that their school is not performing its role on the public interest education sufficiently. Also, many agreed on the necessity of institutionalization of the “self-help type” processes including human rights activities, in-service training, career exploration etc. to make them effective and continuous. Students` suffering under severe competition, lack of information about the public interest field, wrong preconceptions, and uncertain career path call for adequate help from the school by providing information, opportunities of systematic education, and cooperation with the field of practice. Such support could maintain students` interest and help them develop and concretize their vague orientation into specific careers. However, the school is currently not successful in preforming such role and such situation is acting as a factor causing students to give up their careers in the public interest or human rights field. Thus, law schools should put in active efforts to organize their specialized educational programs on the public interest law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pointed ou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