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유아의 놀이성과 회복탄력성이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영향력

        최미숙,문인정 한국아동교육학회 2020 아동교육 Vol.29 No.2

        This study investigated how young children's playfulness and resilience related to school readiness. Subjects were 140 5-year-old young children at 5 kindergartens in A city. Data was collected through three different kinds of questionnaires for young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playfulness and school readiness. furthermore, young children's playfulness were an important factor to predict school readines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and school readiness. Additionally, resilience was an important factor to predict school readiness. Consequently,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young children's playfulness and resilience were related to their schools’ readiness.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의 놀이성과 회복탄력성이 학교준비도와 어떠한 관계와 영향력이 있는지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연구대상으로 A지역 국공립 유치원에 재원중인 만5세 유아 140명을 선정하여, 유아의 놀이성과 회복탄력성, 학교준비도에 관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첫째, 유아의 놀이성과 학교준비도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놀이성이 학교준비도를 예측하는 의미 있는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회복탄력성과 학교준비도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복탄력성이 학교준비도를 예측하는 의미 있는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유아의 발달과정에 있어 놀이성과 회복탄력성이 학교준비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고, 학교준비도 향상을 위해 유아의 놀이성과 회복탄력성을 높여주어야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유아 성격이 누리과정 영역별 발달에 미치는 영향

        최미숙,박지영 한국아동교육학회 2017 아동교육 Vol.2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누리과정 영역별 유아발달 수준을 분석하고 유아 성격이 발달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는 데 있다. G시 소재 유아교육기관을 임의 선정하여 만 5세 유아 173명을 대상으로 성격과 유아발달에 관한 교사평정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t검증,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첫째, 누리과정 영역별 유아발달 수준은 유아발달 전체 평균보다 신체운동건강, 의사소통, 자연탐구는 높았고, 사회관계, 예술경험은 낮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성격과 발달은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유아 성격 5요인 중 성실성, 외향성, 개방성이 유아발달을 의미 있게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 성격을 고려한 누리과정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을 제안함과 동시에, 유아의 균형 발달을 위한 환경지원 및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을 제공해야하는 타당한 근거를 제시한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tendency of young children's development evaluation based on the Nuri Curriculum, that’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and their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A survey was carried out using 173 young children in G c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echniques using the SPSS 21.0 statistics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tendency of early childhood development evaluation was higher in physical exercise and health section, communication section, natural interest section, social relationship section, and artistic experience section than the overall average of young children's development. Second, personality exhibit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Third, among personality of young children, conscientiousness, extraversion and openness significantly predicted their development. As a result, it can be suggested to provide environmental support and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balanced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 KCI등재

        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가 역할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력 및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최미숙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1 No.2

        This study explores the impact of social support on role performing abil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teaching 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role performing ability. The study administered to 219 teachers the Social Support Appraisal Scale,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Role Rating Scale: ECTRRS and th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The study analyzed the collected data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Sobel test using the computer program-SPSS/PC 21.0. The study foun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re ar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among social support, teaching efficacy, and role performing ability. Second, social support is an important factor in predicting role performing ability of teachers, and teaching efficacy had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role performing ability.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 및 교사효능감과 역할수행능력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사회적 지지가 역할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교사효능감이 가지는 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으로 G시 어린이집교사 219명을 선정하였고, 유아교사의 사회적지지, 교사효능감, 그리고 역할수행능력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과 중다회귀분석, 그리고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 및 교사효능감과 역할수행능력은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사회적 지지는 역할수행능력을 의미 있게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이 과정에서 교사효능감이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성인의 문학생활화 방안

        최미숙 한국문학교육학회 2002 문학교육학 Vol.10 No.-

        This paper aims to study methods of Practising literature for adult. For such discussion. on this paper standpoint for practising literature for adult propose to change from 'the education of liberal arts' to 'language life'. On the basis of such a discussion. finally. this paper suggests two sides relation to the methods of Practising literature for adult. Firstly, practising literature for adult have relevance to school education. Secondly, practising literature for adult have to be support aspects of social · education of society. Espicialy, the latter proposed as following : making condition to literature easily, planing various programs for Practising literature for adult, planing programs for Practising literature that community, activation of mass meeting of writing etc.

      • KCI등재

        그림책을 활용한 갈등해결활동이 유아의 도덕적 판단력 및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최미숙,박미희,임은정 한국아동교육학회 2019 아동교육 Vol.2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conflict resolution activity using picture books on moral judgement and social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The subjects were 40 five-year-olds, at S kindergarten in G city. 20 children in one class became the experimental group and 20 children in the other class became the comparative group. Conflict resolution activity using picture books was applied to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whereas a class general conflict resolution activity was applied to the children in the comparative group. The results suggested that conflict resolution activity using picture book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increasing both moral judgement and social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Therefore, this study indicates that conflict resolution activity using picture books provides positive effects for the improvement of moral judgement and social competence.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림책을 활용한 갈등해결활동이 유아의 도덕적 판단 및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 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의 대상은 G시에 위치한 사립유치원 만 5세반 2개 학급의 유아 40명을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은 그림책을 활용한 갈등해결활동, 비교집단은 일반적인 갈등해결활동 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그림책을 활용한 갈등해결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 유아의 도덕적 판단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그림책을 활용한 갈등해결활동을 실 시한 실험집단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 과는 그림책을 활용한 갈등해결활동이 유아의 도덕적 판단력과 사회적 유능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 적임을 시사한다.

      • KCI등재

        유아의 자아존중감이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놀이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미숙,김나래 열린부모교육학회 2022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자아존중감, 리더십, 놀이몰입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자아존중감이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놀이몰입의 매개효과에 대해서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G시 공립유치원 만 4∼5세 유아 180명을 선정하였고, 유아의 자아존중감, 리더십, 놀이몰입에 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 그리고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놀이몰입, 리더십은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자아존중감은 리더십을 의미 있게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놀이몰입이 두 변인 간 부분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유아의 리더십 발달에 있어 자아존중감과 놀이몰입이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 KCI등재

        식품영양전공과 비전공 여대생의 식행동과 영양지식에 관한 연구

        최미숙,최도점 한국식품영양학회 1999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12 No.3

        본 연구는 식품영양전공과 비전공 여대생의 일반환경, 식태도, 식행동 및 영양지식을 파악하여 영양에 관한 과목을 수강한 학생들과 수강하지 않은 학생들의 식태도, 식행동 등이 신장, 체중 및 비만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연구하고자 청주에 있는 2년제 대학 식품영양학과 여학생 98명과 비전공 여학생 98명을 선정하여 설문지를 통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식품영양전공과 비전공 사이에 거주형태, 동거인, 부모의 연령 및 교육수준에 차이가 별로 없이 거주형태는 자택이 많았고, 동거인은 가족 모두가 함께 살고 있는 여대생이 많았다. 어머니의 연령은 40∼49세가 대부분이었으며 아버지의 교육수준은 고졸이 많았고 어머니는 중졸이 많았다. 월수입은 100∼150만원인 중간 소득층이 식품영양전공과 비전공 여대생 모두의 가정에 많았고 150만원 이상은 전공 여대생의 가정보다 비전공 여대생 가정에 더 많았다. 식태도에 있어서 전공 여대생은 맛과 영양을 더 고려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비전공 여대생은 맛, 가격, 분량 및 음식이 나오는 시간을 더 고려하였다. 식행동을 살펴보면 아침식사는 식품영양전공과 비전공 여대생 모두 먹는 편이었고 결식한 경우는 "늦게 일어나서"가 그 이유로 가장 많았으며 저녁식사는 전공과 비전공 모두 주로 집에서 하나 비전공 여대생의 경우 외식이 전공 여대생보다 많았다. 또한 저녁식사는 약 반 정도가 일정한 시간에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간식은 전공과 비전공 여대생 모두 점심과 저녁 사이에 가장 많이 섭취하고 있었으나 비전공 여대생의 경우 저녁식사 후에 간식을 전공 여대생에 비해 더 많이 먹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영양전공 여대생의 영양지식 점수는 난이도가 있는 영양지식에서 더 높았고 기본적인 영양지식에서는 거의 비슷하였다. 평균 체중은 식품영양전공과 비전공 여대생간에 비슷하였으나 평균 신장은 비전공 여대생이 유의적인 차이를 보여 전공 여대생보다 더 컸다. 비만도에 의하면 식품영양전공 여대생이 정상체중을 더 많이 유지하고 비전공 여대생은 저체중이 더 많았다. 결론적으로 식품영양전공 여대생은 영양에 관한 수업을 받았기 때문에 영양지식이 많아 식태도와 식행동이 더 바람직하였고 정상체중을 더 많이 유지하였으므로 영양교육이 올바른 식생활을 영위하는 데 기여한 것으로 나타나 적절한 영양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식품영양 비전공 여대생들에게도 영양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ietary attitudes, food behaviors and nutrition knowledge of food and nutrition major and non-major female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98 food and nutrition majors and 98 non-major.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by them. Food and nutrition majors gave a serious consideration of taste and nutrition in selecting foods while non-majors considered taste, food price, amount of food and preparing time. Food and nutrition majors got higher scores in higher level of nutrition knowledge than non-majors and both got about the same scores in basic nutrition knowledge. The mean body weights of both were about the same and mean height of non-majors was higher than food and nutrition majors. According to obesity index ideal body weight was more in food and nutrition majors and underweight was more in non-majors. Dietary attitudes, food behaviors and nutrition knowledge of food and nutrition majors were better than those of non-majors. Therefore nutrition non-majors need nutrition education on order to improve their food behaviors and nutrition knowled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