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품-서비스 융합 토탈 디자인 프로세스를 적용한 화장품 개발 사례연구

        문재호(Moon, Jea Ho),홍명화(Hong, Myoung Hwa),신진우(Shin, Jin Woo)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3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3 No.-

        산업의 구조가 제조업 중심의 패러다임에서 서비스 중심의 패러다임으로 변화하고 있다. 소비자에게 새로운 가치를 제공하여 차별화된 경쟁력을 갖춰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화장품을 개발하는 전 단계에 제품(화장품)-서비스(소비자) 융합 토탈 디자인 방법론을 활용하여 프로세스를 확립하고, 이를 기반으로 경쟁력 있는 화장품 개발 및 서비스를 기획하고 개발 및 상품화를 위한 제품-서비스 융합 토탈 디자인 솔루션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디자인 전문 기업의 경쟁력강화 및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매출원 확보를 통한 기업가치 상승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방법 및 범위는 서비스디자인과 제품-서비스 통합시스템 디자인 프로세스 방법론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제품-서비스 융합 토탈 프로세스 개념을 정립하고 화장품 개발 사례연구를 통해 프로세스를 검증해보았다. 첫 번째 Discover(정보 수집) 단계에서는 인간의 삶의 가치를 개선하고 높일 수 있는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로 화장품 Shop의 클라이언트의 현장조사 및 관찰하였고, 이해관계자들의 현상조사 및 관찰을 실시하였다. 두 번째 Define(데이터 분석) 단계로 가치도출 및 데이터 분석으로 제품과 서비스의 핵심가치 도출 및 구체화하였다. 서비스 원칙 수립을 위한 데이터 분석을 하고, 현상 관찰을 통한 사용자 감정, 문제점, 기회요소, 이해관계자 등을 조사하여 정황 속 반복되는 패턴이나 구조, 이해관계 및 시사점을 키워드 별로 그룹핑하여 가치를 도출하였다. 세 번째 Develop (디자인 방향 설계) 단계로 전 단계에서 도출된 가치를 발전시키는 단계로 시나리오, 디자인 요소, 디자인 방향 설계을 통해 제품과 서비스를 시각화를 하였다. 네 번째 Deliver(디자인, 사업화) 단계로 비쥬얼 작업 및 사업화를 통해 제품과 서비스를 현실화하고 확산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디자인, 사업화 단계에서는 화장품과 관련된 기획, 디자인 개발, 상품화 등에 대한 토탈 디자인 솔루션을 토대로 디자인결과물로 도출하였다. 향후 연구 방향으로는 본 연구에서 사례연구로 제시한 화장품 개발뿐만 아니라 여러 업종의 아이템 개발을 통한 지속적인 사례연구를 통해 제품-서비스 융합 토탈 프로세스를 방법론의 단계별 세부적 내용들을 보완하여 논리적으로 더욱 탄탄하고 효과적인 서비스디자인 개발이 가능하도록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Structure of the industry is changing that paradigm of service-oriented paradigm from manufacturing center. It shall be provided with a competitive that is differentiated to provide new value to the consumer. In this study, established a process by utilizing the convergence design approach of a product (cosmetics)-services(consumers) in all stages of the development of cosmetics, and based on this, we will try to offer products-services convergence total design solutions for planning, development, commercialization a cosmetic and services competitive. Through this, the goal is a rising value of companies with a strengthening of competitiveness of a company specializing in the design and ensuring long-term sustainable revenue. Scope and method of the study, validated process through case studies of cosmetics development and established the concept of the product-services convergence total process, through a methodology theoretical study of service design and product-service integrated design process. In the first step which is a Discover collection of information, We observed the stakeholder and collected details of a cosmetics Shop client with a field research for the step of a collection of information of items that can improve and increase the value of human life. The second Define step of the data analysis, which was embodied and induce the core values of product-service with value derivation and data analysis. Analyzed data for the establishment of service principles, investigated the user emotions, problems, opportunities, stakeholder through phenomena observation, and derived the value with group by each keyword from the context of a repeated pattern or structure, interests and implications. In the third step of direction setting of design development, which is the development step that derived the values from the previous step, we visualize products-service through direction setting of design, design elements and a scenario. The fourth step is a Deliver-design and commercialization, realize and diffuse the product-service with visual design and commercialization. Cosmetics and related planning, design development, commercialization and more based on the total design solutions, design results are derived in this design, commercialization step.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it will be able to develop to logical and effective service design with complement detail of each step of methodology about product-service integrated design process through ongoing case studies which of the not only cosmetics development in this study but also development of various sectors of the items.

      • KCI등재
      • KCI등재

        제품기반 서비스디자인 툴킷 개발 - 실무 디자인교육 중심으로 -

        이장미(주저자) ( Lee Jang Mee ),이장미(교신저자) ( Lee Jang Mee )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2020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9 No.2

        4차 산업혁명의 중요성이 전 세계로 확산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다양한 산업에서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접목한 제품과 서비스를 출시하고 있으며, 제품과 정보통신기술의 융합을 통한 새로운 서비스디자인 접근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헬스케어, 공공디자인을 중심으로 서비스디자인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는 이루어지고 있으나, 제조업 기반의 제품-서비스 융합 디자인을 위한 서비스디자인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 제조기반 서비스디자인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을 체계화하기 위해 제품기반 서비스디자인 툴킷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툴킷은 서비스디자인의 4D프로세스를 8단계로 세분화하고, 각 단계별 8개의 툴을 통해 총 64개의 세부 항목 및 워크시트로 구성된 서비스디자인 툴킷 개발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기술기반 제품-서비스 개발을 위한 제품기반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디자인 산업과 교육의 간격을 줄이기 위해 기술성숙도(TRL)와 직무능력표준(NCS)의 두 표준을 활용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할 수 있는 제품기반 서비스디자인 툴킷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The importance of Industry 4.0 is expanding throughout the world. Domestically, products and services that incorporate Industry 4.0 are launched in various industries, and the importance of service design through the convergence of products and ICT is emphasized. However, there are many studies focusing on the healthcare and public design in the service design field, but there are not many studies on the manufacturing-based product-service convergence design. This research develops the product-based service design toolkit in order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manufacturing-based service design and to systemize the service design methodology in Industry 4.0. The developed toolkit will be segmented into eight different stages of the 4D process for service design. A total of 64 design methods are proposed for eight detailed items by eight stages. This study proposes the methodology of service design for the technology based the product-service convergence. To reduce the gap between field and academia, we intended to develop the service design toolkit that can be applicable to the various fields using TRL and NCS standards.

      • 서비스디자인 프레임워크를 활용한 제품·서비스 융합 공동창의 연구 - 어린이 안전 XR 디자인 워크숍을 중심으로 -

        황유경,김선아 한국컨설팅학회 2024 컨설팅융합연구 Vol.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서비스디자인을 활용한 프레임워크를 설계하고, 설계한 프레임워크를 사용하는 워크 숍 진행을 통해 제품과 서비스가 융합된 디자인 개발을 하는 것이다. 연구방법과 내용은 첫째, 선행연구를 통해 제품과 서비스의 융합 및 서비스디자인과 공동창의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한다. 둘째, 통합적 개발 방식인 서비 스디자인의 대표적인 더블 다이아몬드 모델을 활용하여 제품·서비스 융합 공동창의 연구를 위한 프레임워크를 설계한다. 셋째, 설계한 프레임워크를 활용하기 위한 기획, 제품, 서비스 디자이너를 포함한 융합팀을 구성하여, 제품·서비스 융합 디자인 개발을 위한 워크숍을 수행한다. 연구결과, 서비스디자인 프레임워크를 활용한 제품·서 비스 융합 공동창의 워크숍이 신제품 개발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제품과 서비스 융합제품의 필요성 이 증가하는 가운데 본 연구에서 제시한 서비스디자인 기반의 공동창의 프레임워크는 제품·서비스 융합제품 개 발의 선행적 사례를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 framework using service design that combines products and services in workshops that use the designed framework. For research methods and contents, first, a theoretical review of the convergence of products and services, service design, and joint creativity is conducted through prior research. Second, we design a framework for product and service convergence co-creativity research using the double diamond model, a representative of service design, which is an integrated development method. Third, in order to utilize the designed framework, a convergence team including planning, product, and service designers is formed and a workshop is conducted to develop the product and service convergence design. As a result of the study,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product and service convergence joint creativity workshop using the service design framework is effective for developing new products. As the need for product and service convergence increases, the service design-based co-creativity framework presented i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esents a leading example of convergence product development.

      • KCI등재

        PSS 디자인 프로세스를 활용한 서비스 디자인 개발 연구

        송경곤(Kyung Gon Song),김원경(Won Kyung K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7 No.4

        서비스 산업이 각광을 받고 있는 오늘날 세계경제의 흐름에 따라 각계각층에서 디자인의 역할에 대한 고찰이 시도되고 있다. 학계와 업계 모두 제조 산업기반의 산업디자인 프로세스를 재조명함과 동시에 사용자 경험 위주의 서비스 디자인 연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전통적 제조기반의 글로벌 기업들 역시 그간 가동해 왔던 생산라인을 폐쇄하고 서비스 상품개발에 열을 올리는 모습을 쉽게 관찰할 수 있다. 최근 모토로라와 구글의 M&A 합병 사례는 더 이상 제조품만으로 세계시장의 선두를 이끌어 나갈 수 없음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예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시대적 변화에 따라 산업디자인 분야에서는 서비스 상품 영역으로 그 범위를 확장하여 제품-서비스 디자인 방법론(Product-Service Design Process)을 구축하고 있다. PSS(Product-Service System)란 제조 산업을 중심으로 서비스를 개발하는 시스템의 하나로서, 1999년 Goedkoop에 의해 처음으로 도입되어 현재까지 국내외 학계와 업계에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본 연구는 세계경제가 점차 서비스산업으로 전환 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제조업 중심의 산업디자인 프로세스가 서비스를 기반으로 새로운 가치를 창출 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는 취지로부터 시작되었다. 이를 위해 현재까지 연구되어져 온 기존의 PSS(Product-Service System)를 통해 서비스를 개발하는 시스템을 디자인 개발 프로세스의 관점으로 재정립하여 PSS를 적용한 디자인 프로세스를 도출하고자 국내외 D/B를 통한 자료조사와 관련서적, 연구논문 등을 통한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PSS와 서비스디자인의 이론적 고찰 및 개념을 이해하고 필수요소를 정의하였다. 진행된 학제적 PSS 디자인 프로세스 연구는 이후 실제적 서비스 개발을 목표로 하이브리드 카메라 시장에서의 비즈니스 포인트 도출 및 이를 서비스화 하는 과정과, 개발된 서비스를 롤-플레잉 과정을 통해 Prototyping하여 검증 후 Service Blueprint를 도출하는 단계로 진행하였으며, 궁극적으로 Photo Clinic이라는 서비스로 거듭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실질적인 서비스 디자인의 프로세스를 이해하고 나아가 심도 있는 연구를 통해 미흡한 연구가 보완되어 완성된 서비스 디자인 프로세스로 거듭나게 된다면 혁신적인 비즈니스 모델로 산업 각계에서 각광받을 것이라 기대한다. Today, the service industry is in the limelight, and the consideration about the role of design is attempted in all levels of society following the flow of the global economy. Both the academic world and the business circles are reinterpreting the industrial design process based on manufacture industry and at the same time are giving an impetus to the service design research centering on user experience. The global companies based on traditional manufacture are also easily observed to close the production lines that have been operated and to become enthusiastic over the service product development. The recent case of the M&A of Motorola and Google can be called as a flat example that shows that one cannot lead the global market with only manufactures any more. Following this change of the times, the industrial design field is establishing the Product-Service Design Process by extending its range to the service product area. PSS(Product-Service System) is one of the systems that develop services centering on the manufacturing industry and was first introduced by Goedkoop in 1999, and so far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the academic world and the business circles. This study began with the purpose to find the direction that manufacturing-oriented industrial design process can create new value based on service at the present time that the world economy will change to the service industry. To achieve this, this study redefined the system to develop the service in terms of the design development process through existing PSS(Product-Service System) that is studied so far and understand PSS and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the concept of service design and defined the essential elements on the basis of the investigation through home and abroad D / B and the literature search through related materials books, research papers, and research literature to draw the design process applied PSS. The conducted interdisciplinary PSS design process study proceeded to step to produce a Service Blueprint after verification by Prototyping with the aim of developing practical service since this study through deriving the business point in hybrid camera market and the process of creating it as a service and process to role-playing developed service, and ultimately became the service called Photo Clinic. If the process of the substantial service design is understood through this study, and if further the insufficient researches are supplemented through in-depth studies and it will be born again as a completed service design process,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in the limelight in every field of industry as an innovative business model.

      • KCI등재

        PSS 디자인 프로세스를 활용한 서비스디자인 개선안 연구 - 냉장고 서비스디자인을 중심으로 -

        손지혜,최명식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4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2 No.2

        최근의 산업구조는 제품생산 중심의 제조업에서 서비스와 마케팅이 융·복합된 서비스업으로 변화하고 있다. 가치 창출 구조가 바뀜으로써 기업 전반에서도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창출로 인한 차별화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서비스 부문에 높은 가치를 두고 있다. 하지만 현재 많은 제조 기업이나 디자인 기업에서는 체계화된 제 품-서비스 디자인 프로세스를 구축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산업구조의 변화에 발맞춰 현재 국내 성균관대 창의성 디자인연구소에서 연구가 활발히 진 행, 개발되고 있는 ‘제품-서비스 통합 시스템(Product Service System) 디자인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연구를 실행하였다. 냉장고 PSS 디자인 프로세스 모델링 개발체계를 제품디자인에 효율적으로 적용하여 제품-서비 스디자인(PSSD)을 연구하였다. 제품디자인 분야를 서비스디자인 영역으로 확대하여 소비자 사용성의 질과 만족도를 높이는데 중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PSS 디자인 프로세스에 적용하여 전자제품 냉장고시장을 중심 으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을 정립하고, 요구조건을 도출하여 사용자 니즈를 가치기준에 따라 분류, 분석하였 다. 냉장고 사용자는 의식주와 직접 연관된 주방 공간의 청결과 사용제품의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청소, 관리 를 원하며 식자재 유통기한 인지를 통한 음식물 쓰레기의 낭비를 최대한 줄이려는 니즈가 강했다. 이런 사실 을 토대로 냉장고 케어서비스와 냉장고 제품이 연동된 스마트 앱 서비스를 디자인하였다. 또한 제품 사용고객 개개인의 생활패턴을 고려한 맞춤형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디자인적 요소나 제품에 대한 단순한 사용성보다 사용자의 니즈와 가치 기준에 부합하여 사용자경험을 극대화하는 미래의 새로운 냉장고 서비스디 자인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The structure of industry is currently shifting from the manufacturing industry focusing on goods production to the service industry merging and combining service and marketing. The companies are placing a higher value on the area of service to gain a competitive edge with the creation of a new business model. but beside of many manufacturing companies, Design companies do not have or develop a strategic product-service design process. In keeping with these changes in the structure of industry, this study uses 'Product-Service Systems design(PSS) Research' that is widely researching and developingby cooperating CDI at Sungkyun-Kwan Univ and applied the 6 stages of modeling development system of PSS design process to the manufacturing of refrigerators. The stages applied are the gathering of consumer/user needs, drawing of target values based on E3, identifying interested parties and analyzing PSS behavior and the generation of scenarios leading to the creation of service design concepts. the field of goods design to be researched is extended to the area of service design and various interested parties surrounding the refrigerator market are identified while the interested parties' needs are gathered. Refrigerator users were discovered to want cleanliness of a kitchen space which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necessities of life, as well as systematic and professional cleaning and management of a product which was used. Also, they had strong needs for reducing food waste as much as possible by recognizing the expiration date of food materials. Based on these facts, smart app service in which a refrigerator care service and a refrigerator product are linked with each other was designed. Tailored service in consideration of the life pattern of each of the users who use the product can be offered to users. The needs of the users are categorized and analyzed to suggest goods design features maximizing the user's experience and improvements in the new future service design of refrigerators.

      • KCI등재

        디자인 서비스 수준 분류에 따른 산업디자인 서비스 상품 개발에 관한 연구

        홍성수(Sung Soo Hong),송경곤(Kyung Gon So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7 No.4

        최근 국내외 각국의 글로벌 기업들이 혁신을 통해 세계적인 경쟁력을 확보하게 된 사례의 중심엔 항상 ``디자인``이라는 키워드가 있었다. 20세기말 소니와 삼성의 사례, 그리고 21세기 초 애플의 도약이 이를 뒷받침 해준다. 오늘날 디자인이라는 의미는 그 개념이 확장되어 산업 곳곳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이는 역시 산업 각계에서 디자인의 의미가 갖는 중요성이 아직 유효하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아직까지도 현대 산업사회에서 디자인의 역할은 기업의 생존전략에 핵심요소로 작용하고 있고, 수많은 기업들이 주요 경영전략에서 디자인을 배재할 수 없는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전통적 제조 강국인 우리나라의 경우 많은 수의 중소제조업체들이 디자인의 중요성은 인식하고 있으나 현재 어떤 디자인을 필요로 하는지, 어느 방향으로 디자인 개발을 설정해야 하는지에 대한인지가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이로 인해 디자이너 혹은 디자인 업체에서 디자인 개발 시 정확한 솔루션을 제공하기가 어렵고, 혁신적인 서비스를 개발하였다 하더라도, 해당 서비스 가치를 파악하지 못하거나 변화에 대한 반사적인 거부반응으로 일관하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무형의 상품 혹은 서비스를 개발하는 프로세스 각 단계에 산업디자인이 제공하는 디자인 서비스에 대한 범위와 내용을 정의하여 상품개발이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는 Road Map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기초가 될 수 있는 상품개발 프로세스를 정의하기 위해 현대 산업의 생산관리, 경영관리 기법을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PLM(Product Lifecycle Management), 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Six Sigma를 위주로 국내외 인터넷 D/B와 관련서적, 논문 등의 문헌조사를 통해 연구하였고 각 기법의 상세 세부실행 사항을 상품개발 3단계 프로세스(기획-개발-유통/판매)에 맞게 재정립 하였다. 이와 동시에 산업흐름에 따른 디자인의 변화와 내용을 고찰하고 현대사회가 필요로 하는 디자인의 가치를 도출하여 각 상품개발 세부실행사항에서 디자인의 역할을 정의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해당 단계에 따른 디자인의 수준(LEVEL)을 구분 짓는 핵심요소로써 ``창조성``의 개념을 정립하고, 구분된 디자인 수준(LEVEL)이 상품개발 프로세스에서 제공되어져야 할 요소를 연구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수준별 산업디자인 서비스는 항상 일관된 서비스 품질을 실현해주고, 상품개발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상황에 정확한 디자인 진단을 가능하게 해 줄 수 있다. 또한 표준화된 디자인 서비스는 정량적인 가격책정에 도움이 되며 이는 디자인 개발자에겐 항상 저 측정된 프로젝트 가격으로 인한 디자인 서비스 품질저하를 예방하고, 디자인 의뢰자에겐 보다 다양한 서비스 제공을 경험할 수 있는 토대가 될 것이다. 그리고 궁극적으로 건강하고 발전된 디자인 시장을 형성함으로써 디자인관련 산업에 충분한 인력확보가 마련된 우리나라의 디자인 경쟁력이 한층 강화되는 계기로 작용되리라 기대해 본다. Recently, the keyword of ``design`` was always at the center of the cases of global companies of various countries to come to secure worldwide competitiveness through innovation. The case of Sony and Samsung of the end of the 20th century and the leap of Apple at the beginning of the 21st century back up this. Today the concept of the meaning of design is extended and is being used on all sides of industry, and this is also contrary evidence that the importance of the meaning of design is still effective in every field of industry. Still in the modern industrial society the role of design is functioning as a core element in the survival strategy of companies and is also a reason why many companies cannot exclude design from their main management strategies. However, the reality is that in Korea, which is a traditional manufacture strong power, a number of small and medium-sized manufacturer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design but lack the recognition about what design is needed currently and in which direction the development of design should be set. Due to this, designers or design companies have difficulties to provide accurate solutions when developing design, and even if they have developed an innovative service, frequently they fail to grasp the pertinent service value or consistently show reflective rejection symptoms to change. Therefore, this study intended to provide a road map for product development to move forward in the right direction by defining the range and contents of design service provided by industrial design in each stage of process to develop material and immaterial product or service. In order to define the product development process that can be the basis of study, the production management and business management techniques of modern industry were studied centering on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PLM(Product Lifecycle Management),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and Six Sigma through literature examination of the Internet D/B at home and abroad, related books, papers and so on, and the detailed execution matters of each technique were reshaped so that they will fit the product development 3-stage process (planning - development - distribution/sales). At the same time, the changes and contents of design following the industrial flow were considered and the value of design needed by the modern society was drawn and thereby the role of design in the detailed execution matters of each product development was defined. On the basis of that, the concept of ``creativity`` was established as a core element classifying the levels of design following the pertinent stage, and the element in which the classified design levels should be provided in the product development process. The industrial design service for each level developed like this can realize the service quality which is always consistent and enable an accurate design diagnosis for various situations. In addition, a standardized design service helps quantitative pricing, and this will prevent the deterioration of design service due to the measured project price always for the design developer and become a basis for design clients to experience more diverse service provision. Moreover, it is expected it will ultimately form a healthy and developed design market and thereby function as a change for the design competitiveness of Korea where sufficient manpower security for design-related industries is arranged to be further strengthened.

      • KCI등재

        PSS 디자인 방법론을 활용한 시니어 남성을 위한 헤어케어 제품-서비스디자인 개선안 연구

        서홍석(Seo, Hong Seok)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2 한국디자인리서치 Vol.7 No.1

        본 연구에서는 시니어 남성을 위한 헤어케어 제품의 서비스디자인 개선을 위해 헤어케어 제품 시장과 사용자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제품기반 서비스 요소가 연계될 수 있도록 제품-서비스 통합시스템(PSS) 디자인 방법론을 활용하였다. 이를 위해 시니어 세대 중 헤어케어 제품에 대한 구매력이 크고 트렌드 민감성이 높은 50대 남성을 대상으로 대표적인 헤어케어 제품인 샴푸와 린스, 염색 제품을 연구의 범위로 설정하였다. 연구의 과정은 첫째, 문헌 조사 및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PSS 디자인의 개념과 구성 체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둘째, 시니어 남성 헤어케어 제품 시장 현황 분석과 구매 실태에 대해 조사하였고, 주요 브랜드의 헤어케어 제품-서비스를 조사하였다. 또한 사용자 분석을 위해 설문조사 및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다음은 PSSD 프로세스 중에서 제품 라이프사이클 분석 방법을 이용해 사용자의 요구조건 및 경험 가치 도출을 위한 이해관계자 지도를 작성하여 페르소나를 모델링하였다. 셋째, 사용자 여정 맵을 통해 문제점을 도출하고, 제품-서비스디자인 솔루션을 제시하기 위해 E3 Value 분석을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프로토타입 제작 및 사용자 리뷰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로서 시니어의 시각적 특성을 고려한 폰트와 색상, 인포그래피가 적용된 패키지디자인과 휴대용 튜브형 용기를 제안하였다. 또한 구매과정에서 모발 정보를 입력하면 소비자의 모발 상태를 파악하고 전문 헤어케어 어드바이저와 연계되는 스마트 헤어케어 앱 서비스 콘셉트를 제안하였다. The hair care product market and user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to improve the service design of hair care products for senior men, and the Product-Service System (PSS) design methodology was used so that product-based service could be linked. For this purpose, shampoo, conditioner, and dye products, which are representative hair care products, were set as the scope of the study for men in their 50s who have high purchasing power for hair care products and high trend sensitivity among the senior generation. First, PSS design were examined through literature and theoretical review. Second, analysis of the market status and usage of senior men s hair care products was investigated, and hair care products-services of major brands were investigated. In addition, survey and in-depth interview were conducted for user analysis. Next, the persona was modeled by creating a stakeholder map for deriving user requirements and experience value using the product lifecycle analysis method among the PSSD process. Third, E3 Value analysis was conducted to derive problems through the user journey map and to present product-service design solutions. Finally, prototype production and user review was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study, a package design and portable tube-type container with font, color, and infographic applied considering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seniors were proposed. we proposed a smart hair care app service concept that accurately identifies the hair condition of consumers when they input their hair information during the product purchase process and is linked with a professional hair care advisor.

      • KCI등재

        헬스케어 서비스디자인 개념을 적용한 제품디자인 연구

        유승우,이근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6 조형미디어학 Vol.19 No.3

        Decrease of death rate and disease incidence with the development of state-of-the-art medical technologies has caused worldwide aging of population. As the paradigm changes from post treatment to prior prevention, people are more interested in longer and healthier life, which has led to the expansion of 'Healthcare' industry that means overall health management. Thus, counties of the world consider 'Healthcare' as a new growth engine and global 'Healthcare' industry is growing enormously. From the perspective of product (commodity, item) design, 'Service' means material and immaterial activities to enhance the value of a product (commodity, item) through main and supplementary functions and 'Service design' means activities to develop and present services of a product (commodity, item) necessary for the users. From the perspective of product (commodity, item) design, 'Healthcare service design' means a design to satisfy customers focusing more on the development of supplementary functions rather than main function (of healthcare) for the healthcare products by grafting service design to healthcare products and presenting specific services based on user demands and behavior patterns for healthcare products. This study researched on domestic and overseas cases of product design which applied concept of healthcare service design while in next study presented 'Healthcare service design for a chair for office worker' which applies the concept of healthcare service design. This 'Healthcare service design for a chair for office worker' helps office worker prevent, diagnose and treat spinal diseases by using a chair which provides service of 'consistent thought' on right posture in healthcare terms and of 'consistent behavior' to correct to and maintain right posture for the long hours working on the chair. 첨단 의료 기술의 발달로 질병발병률, 사망률이 낮아짐에 따라 세계적인 인구 고령화가 나타나고 있다. 사후 치료에서 사전 예방으로 ‘패러다임’이 변하면서 사람들은 더 건강히, 더 오래 사는 방법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이러한 관심들의 증가에 의하여 전반적인 건강관리를 의미하는 ‘헬스케어’산업의 확대로 이어지고 있다. 이 때문에 세계 각국에서도 ‘헬스케어’를 새로운 동력산업으로 주목하고 있으며 글로벌 ‘헬스케어’ 산업이 크게 성장하고 있다. 제품(상품, 사물)디자인의 관점에서 ‘서비스(Service)’는 제품(상품, 사물)의 본 기능과 다른 부가 기능을 통하여 제품(상품, 사물)의 가치를 높이는 유형적, 무형적 활동이며 ‘서비스디자인(ServiceDesign)’은 사용자에게 필요한 어떤 제품(상품, 사물)의 서비스를 개발, 제시하는 활동을 말한다. 제품(상품, 사물)디자인의 관점에서 헬스케어서비스디자인은 헬스케어 제품에 서비스디자인을 접목하여 헬스케어 제품의 헬스케어적 본 기능보다 부가 기능의 개발에 초점을 두고 고객만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디자인으로 헬스케어 제품에 대한 사용자 요구와 행동패턴 등을 바탕으로 구체적인 서비스를 제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국내외 헬스케어서비스디자인 개념이 적용된 제품디자인 사례들을 연구하였으며 사무 종사자들이 활용하는 의자를 대상으로 헬스케어서비스디자인 개념이 적용된 ‘사무 종사자 의자의 헬스케어서비스디자인’을 제시하였다. 이 ‘사무 종사자 의자의 헬스케어서비스 디자인’은 사무 종사자들이 의자에 앉아 작업하는 긴 시간 동안 헬스케어적인 올바른 자세에 대한 ‘지속적인 생각’과 올바른 자세로 교정하고 유지하는 ‘지속적인 행동’을 하게 하는 서비스가 제공되는 의자를 활용함으로써 사무 종사자들은 척추질환을 예방, 진단, 치료 할 수 있도록 한다.

      • KCI등재

        제품-서비스 통합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학습기 개발사례

        김원경(Won Kyoung Kim),김은영(Eun Young K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7 No.4

        최근 들어서 기업 간에 경쟁이 치열해지고, 자원고갈 문제가 심각해짐에 따라 기업의 가치 창출 구조가 변화하고 있다. 과거에는 제품을 생산하는 제조 부문이 가치창출에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했다면, 최근에는 서비스 부문이 상대적으로 높은 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따라서 제조 기업들은 서비스 중심의 패러다임 변화에 대처하면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의 창출로 경쟁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제품과 서비스를 융합한 방법을 찾는데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그러나 아직은 많은 전문 디자인 기업뿐만 아니라, 많은 제조 기업에서도 전략 기반의 제품-서비스 디자인 프로세스를 구축하거나 보유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현재 성균관대 창의성 디자인연구소와 중앙대 산업디자인연구소가 함께 진행 중인 ``제품 서비스 디자인통합 시스템 연구``를 기반으로 PSS (Product Service System)디자인 프로세스를 효율적으로 제품디자인 개발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본 연구를 실행하였다. PSS 디자인 프로세스 구축 과정의 분석관찰과 인지과정 모델링을 위한 사례 도출을 위해 전자사전용 학습기를 연구 분석의 대상제품으로 선정하였다. 전자 사전의 사용을 PSS 디자인 프로세스에 적용하고 사용자 행위분석을 통하여, 실제 제품 서비스개발 과정에 필요한 프로세스를 연구하였다. 결과적으로 PSS 디자인 전략 프로세스의 적용과 관찰 분석을 통하여, 전자사전용 학습기가 사용자에게 디자인적인 요소보다는 학습을 위한 통합적 서비스 시스템이 더욱 중요한 것임을 본 연구의 결과로서 예측되어졌다. Nowaday, business competitions are getting more tough, and the enterprising structure of creating core value are changing dynamically with risky perception of wasting row materials. Even though manufacturing area which was producing products was taking the main roles of creating core value for the industry in the past, but service areas are relatively getting more involved in creating higher value recently. Manufacturing companies begin to have an interest in exploring methodologies which are merging product and service development enforcing competent power with new business models, as they are disposing on the change of new paradigm oriented service. However, besides of major design companies, many manufacturing companies do not have or develop a strategic product-service design process. Based on the study of Product-Service System and PSS Design Process which is developing by cooperating CDI at Sungkyun-Kwan Univ. and DMC at Chung-Ang Univ., the study was implementing for searching a possibility and a proper application of product design area efficiently. A digital learning book was selected as a studying product to develop a analysing observation and perceptional modeling of constructing procedure on the PSS design process. The study was concentrated on the developing process which was essential for creating practical result of product-services according to the user research and analysing user activities conducted by applying PSS design process. Conclusionally, this study was suggested a main clue of output issues which was more important with integrated service system point rather than styling product design point to user of a digital learning book related a digital dictionary, according to an analysis of applying and observing the product-service system design pro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