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웨어러블 카메라를 활용한 클라우드 기반 라이프로깅 서비스용 제품-서비스 디자인 개발

        송경곤(Song, Kyung Gon),오윤규(Oh, Yun Kyu)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6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6 No.3

        디지털 기술의 발달에 따라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단말을 활용한 라이프로깅 상용화의 시도가 본격화 되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일상적인 삶의 기록에서부터 건강, 편의, 생산성향상등의 라이프로깅 데이터들을 수집-분석-가공하여 사용자에게 유용한 정보로 재생산하여 전달하는 IoT 서비스가 산업 경쟁력의 핵심요소로 자리 잡았다. 현재 사용자의 라이프로깅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웨어러블 기기들은 손목에 착용하여 사용자의 건강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목적의 기기들이 주를 이루고 있는 반면, 일상생활의 기록이나 개인의 특별한 추억과 같은 라이프로깅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단말들은 대부분 스마트폰에 탑재된 카메라, 혹은 기존의 디지털카메라에 의존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카메라가 갖고 있는 선천적 사용성의 한계로부터 빚어진 UX의 결핍은 이미 높아진 사용자 경험을 충족시키기 어렵고, 사용자의 일상생활에 대한 라이프로깅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 모델 확보에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본 연구는 사용자의 유용한 라이프로깅 데이터생산에 필요한 제품 UX를 정의하고, 이를 적용한 웨어러블 카메라의 개발에 목적이 있으며, 또한 생산된 데이터를 수집-가공하여 사용자에게 의미 있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클라우드 기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개발과 궁극적으로 라이프로깅 서비스용 제품-서비스 모델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가설검증을 위한 설문조사와 제품-서비스의 실증적 검증을 위한 크라우드 펀딩유치 및 펀딩성공을 통해 제시하고자 하는 라이프로깅 기반 제품-서비스 모델이 유용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연구결과가 다양한 라이프로깅 서비스 저변확대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attempts of commercialization of life-logging functions by utilizing smart-phones and wearable devices has accel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Based on this development IoT service providing useful information to people by collecting, analyzing and processing the life-logging data which is supposed to improve the level of health, convenience of life and productivity of users has planted itself in industry as a key element. There are 2 types of life-logging data collected in different ways. One is health related life-logging data which collected by the devices mostly worn on the wrists of users. The other is daily logging data which collected by the smart-phone cameras or digital cameras to capture their moments and keep the special memories. Unlike other devices the camera is inherent complication of managing in certain level which prevents people from using it with ease. Most of time shooting photos is not the final step of using camera and the users need to download or upload the photos from the flash drive or to the hard drive to save the photos with batteries and cables. It requires a bit of patience, sometimes requires knowledge and sometimes even technical environment. These requirements are the biggest huddle of developing dynamic service models of camera related life logging data for users. This study defined a UX to create useful life-logging data and develop a wearable camera. Also the study included the description of a mobile application and a service model which enable users to enjoy their life logging data with more meaning and benefit. To verify our hypothesis numerous face-to-face & online surveys have been performed and crowdfunding event was successfully completed and attracted attention from international audience. Theses trials and efforts will help people to aware of the concept of life-logging related service models little by little in the global market.

      • KCI등재

        PSS 디자인 프로세스를 활용한 서비스 디자인 개발 연구

        송경곤(Kyung Gon Song),김원경(Won Kyung K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7 No.4

        서비스 산업이 각광을 받고 있는 오늘날 세계경제의 흐름에 따라 각계각층에서 디자인의 역할에 대한 고찰이 시도되고 있다. 학계와 업계 모두 제조 산업기반의 산업디자인 프로세스를 재조명함과 동시에 사용자 경험 위주의 서비스 디자인 연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전통적 제조기반의 글로벌 기업들 역시 그간 가동해 왔던 생산라인을 폐쇄하고 서비스 상품개발에 열을 올리는 모습을 쉽게 관찰할 수 있다. 최근 모토로라와 구글의 M&A 합병 사례는 더 이상 제조품만으로 세계시장의 선두를 이끌어 나갈 수 없음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예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시대적 변화에 따라 산업디자인 분야에서는 서비스 상품 영역으로 그 범위를 확장하여 제품-서비스 디자인 방법론(Product-Service Design Process)을 구축하고 있다. PSS(Product-Service System)란 제조 산업을 중심으로 서비스를 개발하는 시스템의 하나로서, 1999년 Goedkoop에 의해 처음으로 도입되어 현재까지 국내외 학계와 업계에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본 연구는 세계경제가 점차 서비스산업으로 전환 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제조업 중심의 산업디자인 프로세스가 서비스를 기반으로 새로운 가치를 창출 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는 취지로부터 시작되었다. 이를 위해 현재까지 연구되어져 온 기존의 PSS(Product-Service System)를 통해 서비스를 개발하는 시스템을 디자인 개발 프로세스의 관점으로 재정립하여 PSS를 적용한 디자인 프로세스를 도출하고자 국내외 D/B를 통한 자료조사와 관련서적, 연구논문 등을 통한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PSS와 서비스디자인의 이론적 고찰 및 개념을 이해하고 필수요소를 정의하였다. 진행된 학제적 PSS 디자인 프로세스 연구는 이후 실제적 서비스 개발을 목표로 하이브리드 카메라 시장에서의 비즈니스 포인트 도출 및 이를 서비스화 하는 과정과, 개발된 서비스를 롤-플레잉 과정을 통해 Prototyping하여 검증 후 Service Blueprint를 도출하는 단계로 진행하였으며, 궁극적으로 Photo Clinic이라는 서비스로 거듭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실질적인 서비스 디자인의 프로세스를 이해하고 나아가 심도 있는 연구를 통해 미흡한 연구가 보완되어 완성된 서비스 디자인 프로세스로 거듭나게 된다면 혁신적인 비즈니스 모델로 산업 각계에서 각광받을 것이라 기대한다. Today, the service industry is in the limelight, and the consideration about the role of design is attempted in all levels of society following the flow of the global economy. Both the academic world and the business circles are reinterpreting the industrial design process based on manufacture industry and at the same time are giving an impetus to the service design research centering on user experience. The global companies based on traditional manufacture are also easily observed to close the production lines that have been operated and to become enthusiastic over the service product development. The recent case of the M&A of Motorola and Google can be called as a flat example that shows that one cannot lead the global market with only manufactures any more. Following this change of the times, the industrial design field is establishing the Product-Service Design Process by extending its range to the service product area. PSS(Product-Service System) is one of the systems that develop services centering on the manufacturing industry and was first introduced by Goedkoop in 1999, and so far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the academic world and the business circles. This study began with the purpose to find the direction that manufacturing-oriented industrial design process can create new value based on service at the present time that the world economy will change to the service industry. To achieve this, this study redefined the system to develop the service in terms of the design development process through existing PSS(Product-Service System) that is studied so far and understand PSS and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the concept of service design and defined the essential elements on the basis of the investigation through home and abroad D / B and the literature search through related materials books, research papers, and research literature to draw the design process applied PSS. The conducted interdisciplinary PSS design process study proceeded to step to produce a Service Blueprint after verification by Prototyping with the aim of developing practical service since this study through deriving the business point in hybrid camera market and the process of creating it as a service and process to role-playing developed service, and ultimately became the service called Photo Clinic. If the process of the substantial service design is understood through this study, and if further the insufficient researches are supplemented through in-depth studies and it will be born again as a completed service design process,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in the limelight in every field of industry as an innovative business model.

      • KCI등재

        디자인 서비스 수준 분류에 따른 산업디자인 서비스 상품 개발에 관한 연구

        홍성수(Sung Soo Hong),송경곤(Kyung Gon So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7 No.4

        최근 국내외 각국의 글로벌 기업들이 혁신을 통해 세계적인 경쟁력을 확보하게 된 사례의 중심엔 항상 ``디자인``이라는 키워드가 있었다. 20세기말 소니와 삼성의 사례, 그리고 21세기 초 애플의 도약이 이를 뒷받침 해준다. 오늘날 디자인이라는 의미는 그 개념이 확장되어 산업 곳곳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이는 역시 산업 각계에서 디자인의 의미가 갖는 중요성이 아직 유효하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아직까지도 현대 산업사회에서 디자인의 역할은 기업의 생존전략에 핵심요소로 작용하고 있고, 수많은 기업들이 주요 경영전략에서 디자인을 배재할 수 없는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전통적 제조 강국인 우리나라의 경우 많은 수의 중소제조업체들이 디자인의 중요성은 인식하고 있으나 현재 어떤 디자인을 필요로 하는지, 어느 방향으로 디자인 개발을 설정해야 하는지에 대한인지가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이로 인해 디자이너 혹은 디자인 업체에서 디자인 개발 시 정확한 솔루션을 제공하기가 어렵고, 혁신적인 서비스를 개발하였다 하더라도, 해당 서비스 가치를 파악하지 못하거나 변화에 대한 반사적인 거부반응으로 일관하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무형의 상품 혹은 서비스를 개발하는 프로세스 각 단계에 산업디자인이 제공하는 디자인 서비스에 대한 범위와 내용을 정의하여 상품개발이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는 Road Map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기초가 될 수 있는 상품개발 프로세스를 정의하기 위해 현대 산업의 생산관리, 경영관리 기법을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PLM(Product Lifecycle Management), 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Six Sigma를 위주로 국내외 인터넷 D/B와 관련서적, 논문 등의 문헌조사를 통해 연구하였고 각 기법의 상세 세부실행 사항을 상품개발 3단계 프로세스(기획-개발-유통/판매)에 맞게 재정립 하였다. 이와 동시에 산업흐름에 따른 디자인의 변화와 내용을 고찰하고 현대사회가 필요로 하는 디자인의 가치를 도출하여 각 상품개발 세부실행사항에서 디자인의 역할을 정의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해당 단계에 따른 디자인의 수준(LEVEL)을 구분 짓는 핵심요소로써 ``창조성``의 개념을 정립하고, 구분된 디자인 수준(LEVEL)이 상품개발 프로세스에서 제공되어져야 할 요소를 연구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수준별 산업디자인 서비스는 항상 일관된 서비스 품질을 실현해주고, 상품개발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상황에 정확한 디자인 진단을 가능하게 해 줄 수 있다. 또한 표준화된 디자인 서비스는 정량적인 가격책정에 도움이 되며 이는 디자인 개발자에겐 항상 저 측정된 프로젝트 가격으로 인한 디자인 서비스 품질저하를 예방하고, 디자인 의뢰자에겐 보다 다양한 서비스 제공을 경험할 수 있는 토대가 될 것이다. 그리고 궁극적으로 건강하고 발전된 디자인 시장을 형성함으로써 디자인관련 산업에 충분한 인력확보가 마련된 우리나라의 디자인 경쟁력이 한층 강화되는 계기로 작용되리라 기대해 본다. Recently, the keyword of ``design`` was always at the center of the cases of global companies of various countries to come to secure worldwide competitiveness through innovation. The case of Sony and Samsung of the end of the 20th century and the leap of Apple at the beginning of the 21st century back up this. Today the concept of the meaning of design is extended and is being used on all sides of industry, and this is also contrary evidence that the importance of the meaning of design is still effective in every field of industry. Still in the modern industrial society the role of design is functioning as a core element in the survival strategy of companies and is also a reason why many companies cannot exclude design from their main management strategies. However, the reality is that in Korea, which is a traditional manufacture strong power, a number of small and medium-sized manufacturer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design but lack the recognition about what design is needed currently and in which direction the development of design should be set. Due to this, designers or design companies have difficulties to provide accurate solutions when developing design, and even if they have developed an innovative service, frequently they fail to grasp the pertinent service value or consistently show reflective rejection symptoms to change. Therefore, this study intended to provide a road map for product development to move forward in the right direction by defining the range and contents of design service provided by industrial design in each stage of process to develop material and immaterial product or service. In order to define the product development process that can be the basis of study, the production management and business management techniques of modern industry were studied centering on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PLM(Product Lifecycle Management),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and Six Sigma through literature examination of the Internet D/B at home and abroad, related books, papers and so on, and the detailed execution matters of each technique were reshaped so that they will fit the product development 3-stage process (planning - development - distribution/sales). At the same time, the changes and contents of design following the industrial flow were considered and the value of design needed by the modern society was drawn and thereby the role of design in the detailed execution matters of each product development was defined. On the basis of that, the concept of ``creativity`` was established as a core element classifying the levels of design following the pertinent stage, and the element in which the classified design levels should be provided in the product development process. The industrial design service for each level developed like this can realize the service quality which is always consistent and enable an accurate design diagnosis for various situations. In addition, a standardized design service helps quantitative pricing, and this will prevent the deterioration of design service due to the measured project price always for the design developer and become a basis for design clients to experience more diverse service provision. Moreover, it is expected it will ultimately form a healthy and developed design market and thereby function as a change for the design competitiveness of Korea where sufficient manpower security for design-related industries is arranged to be further strengthen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