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Photographic analysis of geometric features in spider webs

        Gil Young Park(박길영),Doo Young Lee(이두영),Yung Chul Park(박영철),Joo-Pil Kim(김주필) 한국거미연구소 2006 한국거미 Vol.22 No.1

          왕거미류가 생산하는 원형거미줄의 구조 및 기하학적 특징들을 분석하는 데 있어서, 포토샵 프로그램은 매우 편리하고 매우 유용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거미 그물의 좌표값들은 그물의 다양한 수학적 표현 및 컴퓨터 모델링 과 시뮬레이션을 위한 기초자료들이다. 따라서 이번 연구를 통해서 포토샵을 이용한 왕거미류의 원형그물의 구성 성분들에 대한 좌표를 구하려고 시도하였다. 만약 포토샵으로부터 계산한 그물의 좌표들이 실제 측정한 좌표들과 통계적으로 다르지 않다면, 좌표값을 이용한 원형그물의 다양한 구성성분의 분석 절차는 매우 단순화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번 연구는 포토샵을 이용해 계산된 좌표값이 원형그물의 실제 좌표값들과 어느 정도 일치하는지 검정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먼저, 포토샵 프로그램에 원형그물의 사진을 입력한 후, 소프트웨어에 있는 영상분석툴(image analysis tool)을 이용하여 좌표값을 구하였다. 그리고 직접 계산한 좌표값과 포토샵을 이용한 좌표값들을 비교하였다. 결과에 따르면 두 좌표값들은 통계적으로 중요한 차이가 없었다 (P > 0.05).   Adobe Photoshop would be a very convenient and easy tool which can be used for analysis of geometric features in spider’s orb-webs. The coordinates can be used as basic raw data for various mathematical expressions and computer-based simulations of spider webs. Thus, we have tried to obtain the Photoshop-based coordinates of geometric features in spider orbwebs. If the web coordinates obtained using the Photoshop do not differ significantly from the hand-based coordinates, procedures for the analysis of orb-webs can be simplified. Thus we tested whether our method using the Photoshop software provides accurate coordinate measures of the features in spider orb-webs. We imported orb-web photographs into the software program to obtain the coordinates of components in orb-webs, and measured the coordinates using image analysis tools implemented in the software. Finally, we compared the Photoshop-based coordinates with hand-based coordinates. The coordinates based on the Photoshop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from the hand-based coordinates (P > 0.05).

      • 포토샵을 이용한 아트메이크업에 관한 연구

        김세희,이정민 한국메이크업디자인학회 2007 한국메이크업디자인학회지 Vol.3 No.3

        This paper aims: to raise more attention to the make-up expression by introducing art make-up skill with using photoshop: to find possibility to use photoshop program in the make-up field; to research better works through graphic work. This paper finds different points that by means of applied photoshop composing skill it can make diverse and subtle reactions and even same transforming skill can make different results such as editing and feels of material. Given that due to the proliferation of the internet, people around the world are currently concentrating on the computer, it is possible to make speedy exchanges of various methods and trials. If we take an advantage of the endless possibility and imagination exclusively in the Photoshop, and use its strong messages in a right way, it can deliver new images in a stronger and faster way than ones done with any other delivering systems. I expect that by developing this kind of research, we can extend the range of image-delivering of the art make-up with photoshop, provide endless possibility for the creation, and play a significant role in developing diverse domains of make-up.

      • KCI등재

        Adobe Photoshop?을 이용한 가상성형수술의 유용성

        최준영,김종환,홍인표 대한성형외과학회 2005 Archives of Plastic Surgery Vol.32 No.5

        Digital imaging is emerging as a standard method for patient documentation in clinical setting. Managing patient expectations before aesthetic surgery can greatly improve patient satisfaction after surgery. The patient who visited for plastic surgery wants a predicted figure after the operation. A virtual plastic surgery software is necessary in order to satisfy the desire of patients. Adobe Photoshop is the professional standard in desktop digital imaging, offers indispensable new features for graphic and web design, photography, and video. Using imaging technology, it takes just minutes to realistically simulate the results of double eyelid operation, liposuction, rhinoplasty or any other aesthetic procedu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ignificance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nd to introduce the virtual plastic surgery using Adobe Photoshop.

      • KCI등재

        《은밀한 강박관념》작품론

        양혜정 ( Yang Hye Jung ),신성균 ( Sheen Sung Kyoon ) 한국사진학회 2021 AURA Vol.- No.47

        The Secret Obsession is a photographic work that expresses the inferiority complex of beautiful legs that women have with stockings as a medium. Stockings are more than a simple consumable and have a duality that makes them accept the inconvenience of wearing to supplement the desire for body beauty. Photographer Hyejung Yang deals with the subject of passion and obsession for beauty as a two-sided psychological action projected on stockings through this work. However, she no longer used stockings to symbolize the oppression or the complex produced by obsession. Instead, Yang tried to reproduce the psychological desire for a slender leg shape as a positive photographic image combined with joy and freedom. In the process of contemplating, photographing, cutting, attaching, and assembling stockings of various designs, the obsession that has been secretly working so far begins to appear healthy to the outside. It contains metaphorical, parody, and sometimes simile messages behind strong patterns, rhythms, decorations, and colors. Yang placed a mannequin with stocking on a background and objects that she separately produced, photographed with a digital camera, and edited with Photoshop.

      • KCI등재

        게임 그래픽 리소스 관리를 위한 레이어 방식 활용에 관한 연구

        신현숙(Shin Hyunsuk)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08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8 No.2

        게임그래픽디자인은 게임 플레이에서 보이는 모든 시각적인 요소로 플레이어의 게임선호도 기준이 되며 화려한 화면을 위해서 기술적인 연구가 가장 많은 분야이다. 특히 게임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그래픽디자인은 다른 분야보다 많은 시스템적 제한을 받고 있으며. 이러한 제한을 인지하며 디자인을 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게임 제작의 난이도가 높아짐에 따라 분업과 전문화로 게 제작업무과 세분화 되어 가고 있다. 근래의 게임제작 환경은 분야별 게임시스템에 대한 의존성이 커졌다. 특히 이러한 복잡하고 규모가 큰 게임에 들어가는 그래픽 리소스가 차지하는 용량은 데이터로 제작하는 과정에서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며 독창적이고 창의적인 디자인개 발을 저해한다. 본 연구는 많은 게임그래픽디자인 개발자가 사용하는 비트맵 그래픽 프로그램인 Adobe Photoshop에 있는 레이어 기능을 활용하여 한 개의 모델링에 들어가는 여러 개의 텍스쳐를 한 개의 파일로 압축하여 리소스 관리를 좀 더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고 리소스로 만들기 위한 데이터 추출기의 예상 되는 고려사항을 제시하여 그래픽디자이너가 좀 더 창의적인 디자인업무에 시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The graphic design of game is all visual components seeing on the play screen and the technical studies are actively under way for the flash screen. Particularly the graphic design consisting many parts of game is limited to system environment compared to other design field and it is difficult to design recognizing the limitation. Game production is getting segmented due to work break down and specialization as development of games becomes very complicated. In the recent environment of game production dependency toward the sectoral game systems is growing up. Especially graphic resources used in complicated and large scaled games require quite amount of time to make them into data and they also hinder originative and creative design development. This study is to propose that many game graphic design developers create little amount of resource to do resource management more efficiently and to let graphic designers make time for more creative design works.

      • 플래시를 이용한 아동 교육용 컨텐츠 개발

        박관미(Kwanmi Park),한새론(SaeRon Hann),김성환(SeongHwan Kim),최관순(KwanSun Choi),임종식(Jongsik Im),이순흠(SunHeum Lee),전흥구(HeungGu Jeon) 한국정보기술학회 2010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10 No.-

        본 연구에서는 유아들을 위한 교육용 컨텐츠를 플래시와 일러스트레이터, gold wave, photoshop을 이용하여 동화나라, 동요나라, 숫자나라, 글자나라로 구성된 교육시스템을 제작하였으며, 이것들을 통해 아이들에게 재미있고 유익한 정보를 얻을 수 있게 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작한 교육용 컨텐츠는 유아들에게 재미와 교육의 효과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paper we implemented educational contents for children using nash, illustrator, gold wave, photoshop. It is composed of fairy tale land, ,nursery song land, number land and letter land. Therefore children get fun and have a possibility of getting the benifical informations from the system. In the paper, the educational contents are expected to provide children with fun which are satisfied with the effect of education simultaneously.

      • KCI등재후보

        온몸의 연속절단면영상 만들기

        황성배(Sung Bae Hwang),정민석(Min Suk Chung),박진서(Jin Seo Park),강군용(Goon Yong Ghang),박형선(Hyung Seon Park) 대한해부학회 2003 Anatomy & Cell Biology Vol.36 No.2

        온몸의 연속절단면영상이 있으면 온몸을 3차원영상으로 재구성할 수 있고, 각 해부구조의 구역화영상이 있으면 각 해 부구조를 3차원영상으로 재구성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해부영상에서 보이는 피부, 뼈, 간, 허파, 콩팥, 방광, 심장, 뇌의 테두리를 구역화하기로 하였고, 소화관, 호흡관, 동맥 내강의 테두리를 구역화하기로 하였다. Adobe Photoshop에서 자석올가미도구를 써서 해부구조의 테두리를 따라서 선택을 반자동으로 그리고 고친 다음에 올가미도구를 쓰거나 작업패스를 거쳐서 선택을 수동으로 고쳤다. 선택 속에 빛깔을 채워서 구역화영상을 만들었다. 모든 구역화영상의 행과 열을 쌓아서 관상구역화영상과 시상구역화영상을 만든 다음에 관상구역화영상과, 시상구역화영상을 살펴서 틀린 구역화영상을 찾았고, 틀린 구역화영상을 고쳤다. 이 연구에서 마련한 구역화영상 8,507개는 간격이 0.2mm였고, 해상도가 3,040×2,008였고, 화소크기가 0.2mm였고, 빛깔이 8 bits color였다. 따라서 구역화영상 1개의 파일크기가 5.8 Mbytes였고, 8,507개의 파일크기가 48.3 Gbytes였다. 이 구역화영상을 바탕으로 해부구조의 3차원영상, 가상해부 소프트웨어, 가상내시경 소프트웨어를 만들면 해부학과 내시경을 익히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While three dimensional (3D) images of the whole body can be reconstructed by using the serially sectioned images, 3D image of each anatomical structure can be reconstructed by using the segmented images. In this research, outlines of skin, bones, liver, lungs, kidneys, urinary bladder, heart, and brain in the anatomical images were decided to segment, and luminal outlines of digestive tract, respiratory tract, and arteries were decided to segment too. On the Adobe Photoshop, selections were semiautomatically drawn along outlines of the anatomical structures and semiautomatically corrected using magnetic lasso tool. Successively, selections were manually corrected either using lasso tool or through work path. The selections were filled with colors to make segmented images. By stacking rows and columns of the segmented images, coronal and sagittal segmented images were made. The coronal and sagittal segmented images were observed to find incorrect segmented images, which were revised. 8,507 segmented images with 0.2 mm intervals, 3,040×2,008 resolution, 0.2 mm pixel size, and 8 bits color depth were achieved, so that file size of 1 segmented image and 8,507 segmented images was 5.8 Mbytes and 48.3 Gbytes, respectively. These segmented images will be th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3D images of the anatomical structures and software of virtual dissection and virtual endoscopy, which are helpful in studying anatomy and endoscopy.

      • KCI등재후보

        온몸의 연속절단면영상 여덟째 보고 : 팔 구조물의 구역화

        신동선(Dong Sun Shin),정민석(Min Suk Chung),황성배(Sung Bae Hwang),박진서(Jin Seo Park),정원석(Wonsug Jung) 대한해부학회 2009 Anatomy & Cell Biology Vol.42 No.4

        한국 남성 시신의 온몸을 연속절단하여 절단면영상을 만들었다. 절단면영상에서 구조물의 테두리를 그리면, 그 구조물을 3차원영상에서 구조물의 테두리를 그리면, 그 구조물을 3차원영상으로 만드는 등 그 활용도가 높아진다. 따라서 저자들을 다리에 이어서 팔 구조물도 구역화하기로 하였다. 왼팔의 절단면영상 628개에서 구조물 91개(피부 1개, 팔뼈 32개, 팔근육 49개, 동맥 6개 및 신경 3개)를 구역화하였다. 이 과정에서 구조물의 테두리를 이전보다 더욱 빨리 그리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포토샵에서 절단면영상을 필터링한 다음에 테두리를 빠른선택도구 등으로 그렸고, 컴버스천 소프트웨어에서 보간하여 테두리를 자동으로 만들기도 하였다. 관상구역화영상과 시상구역화영상, 연속절단면영상 둘러보기 소프트웨어, 부피 3차원영상과 표면 3차원영상을 만들어서 구조물의 테두리를 올바르게 그렸는데 확인하였다. 이 연구에서 만든 팔의 구역화영상을 절단면영상과 함께 퍼뜨리면, 다른 연구자가 팔의 3차원영상과 여러 소프트웨어를 만들 수 있으며, 나아가 의학 교육과 연구를 위해 폭 넓게 쓸 것으로 기대된다. Whole body of a Korean male cadaver was serially milled to make sectioned images. Segmentation of various anatomical structures can expand the utilization of the sectioned images such as three-dimensional(3D) reconstuction of the structures of real human. Following previous outlining of lower limb's structures, we decided to make segmented images of upper limb's structures in detail. Ninety-one structures(a skin, 32 bones, 49 muscles, 6 arteries, and 3 nerves) in the left upper limb were segmented in 628 sectioned images. While doing this, we developed more efficient technique for segmentation. To draw the outlines of various structures more quickly, sectioned images were filtered first and then outlines were drawn by 'quick selection' tool and other tools on the Photoshop. Also, outlines were automatically generated by interpolation using Combustion software. We made coronal and sagittal segmented images, browsing software of the serially sectioned images, volume 3D images, and surface 3D images for verifying segmentation. These segmented and sectioned images of the upper limb are expected to help other researchers make 3D images and various software of upper limb and to have widespread applications in both medical learning and research.

      • KCI등재

        포토샵을 활용한 수채화 기법 패션일러스트레이션 연구

        김미현 ( Mi Hyun Kim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2 기초조형학연구 Vol.1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빠르게 변화하는 디지털 환경에서 그 활용도가 증가하고 있는 포토샵 프로그램을 이용한 패션일러스트레이션의 수채화 표현 기법에 관한 연구와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이다. 이는 표현 영역의 확대에 따른 컴퓨터 그래픽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회화적인 느낌을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기법에 대한 연구로 그 의의가 있다. 연구방법은 문헌고찰과 실증고찰로 진행되며, 이를 바탕으로 패션일러스트레이션 작업 시 포토샵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수채화 표현기법의 활용 방안으로 모색하고, 결과로써 6작품을 제작한다. 작품을 제작하여 도출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 수채화 기법이 가진 여러 번 덧칠하면 색이 탁해지거나 종이가 일어나는 특성을 포토샵을 이용함으로써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둘째, 포토샵을 이용하여 수채화 효과를 내는 경우에는 수정이 손쉬우며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포토샵의 불투명도나 브러시를 조절하여 여러 번 덧칠하더라도 맑은 색감의 수채화 결과물을 얻을 수 있어 더욱 효과적인 표현이 가능할 것이다. 포토샵 프로그램의 기능을 활용하여 회화적 느낌의 번지기, 겹쳐 칠하기 기법, 점묘법 (Stippling), 담채 기법, 알라프리마 기법(alla puima), 드라이 브러싱(dry brushing) 등의 수채화 표현 기법을 표현한다면, 기계적 느낌의 디지털 패션일러스트레이션을 위한 새로운 표현 기법을 제시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사료된다.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nvolves investigating expressive techniques of the watercolor painting by fashion illustration and methods of using them employing the Photoshop program which is increasingly used in the rapidly changing digital environment. This study is meaningful as a study of method which can effectively express pictorial feeling by using computer graphic programs due to expansion of the areas of expression. Research methods are literature review and empirical studies, and based on this, we seek for how to use expressive techniques of the watercolor painting to use the Photoshop program while working with fashion illustration, and produce 6 pieces of work as a result.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duced by creating works are as stated below. First, effective expression is possible by using photoshop in order to express the effect of colors being polluted or papers arose when painting over, which is a method of traditional watercolor. Secondly, in the case of making watercolor effect by using photoshop it is easy to alter and can increase effectiveness of working. Finally, by adjusting opacity or brush in photoshop, we can have more effective expression since we can have watercolor works with clear color although we paint over. It is thought that if the expressive techniques of the watercolor painting are employed including paint bleed technique, layered painting technique, stippling, light coloring technique, alla prima technique, dry brushing etc. making use of the Photoshop program, it will help to propose new expressive techniques for digital fashion illustration with mechanical feelings.

      • KCI등재

        포토샵 레이어 기능을 활용한 동양회화 구도수업

        박하나(Ha-Na Park),허윤정(Yoon-Jung Huh)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10

        동양회화 수업이 소홀히 여겨지는 이유는 교사의 부담과 용구의 준비와 사용의 번거로움 때문이다. 이러한 부담감은 매체의 전환으로 극복될 수 있다. 본 연구는 동양회화 수업의 단점을 극복하고 학생들의 흥미를 높이며 효과적인 구도 수업을 위한 방안으로 포토샵 프로그램의 레이어를 활용한 동양회화 구도 수업을 제시하였다. 포토샵을 활용한 동양회화 구도 수업 안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고등학교 1학년 60명을 대상으로 수업 전과 후에 설문조사를 시행하고 수업 결과물을 분석하였다. 대다수(75%)가 동양회화 구도 수업에 포토샵 수업이 적절하며, 포토샵을 활용한다면 주제에 상관없이 참여하겠다는 의견이 58.3%로 포토샵에 높은 흥미를 나타내었다. 포토샵 프로그램을 활용한 수업의 장점으로 직접 그리지 않아 부담이 적은 점(33.3%), 다양한 표현이 가능한 점(30%), 준비물이 없는 점(26.6%) 등을 답하여 포토샵 활용이 기존 동양회화수업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Oriental painting lesson is considered neglectedly, because of pressure on teachers and troublesomeness of preparing and using for art supplies. However, change of medium can solve pressure on teachers and students for Oriental painting lesson enough. Therefore this study will present composition of Oriental painting lesson planning using photoshop program as a way of overcoming weak points, increasing students interests and giving effective composition lesson. We developed composition of Oriental painting lesson planning using layer of photoshop program. Then We surveyed 60 students who are two classes of the first grade in G high school to know the effect and possibility of the lesson planning and analyzed the results. The most(75%)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composition of Oriental painting lesson planning using photoshop program was appropriate. The more than half (58.3%) respondents wanted to participated in lesson regardless of any subjects. That shows highly interest for photoshop program.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 merits of this lesson using photoshop program are less pressure for drawing(33.3%), possibility of variety expression(30%), not requiring art supplies(26.6%). So this study shows using photoshop program for art class can solve weak points of Oriental painting less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