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사회사업에서의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PAR)와 Action Research(AR) 모델 적용 필요성에 관한 연구

        김정희,안정선 한국임상사회사업학회 2005 임상사회사업연구 Vol.2 No.3

        사회사업 조사연구는 복잡하고 다양한 인간의 욕구와 문제들을 해결하고 예측하기 위하여 과학적 방법론을 적극 활용하여 왔다. 과학적 방법론은 인간행동의 기준을 설정하고 결과를 제시하는데 객관성을 제공한다는 이유로 선호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과학적 방법론을 사회사업실천 영역에서 사용하는데 있어서 간과해서 안 될 점은 클라이언트를 중심에 놓고 조사연구를 실행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즉, 개입을 계량화하는데 초점을 두지 않고 클라이언트를 중심에 두고 역량 강화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한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사회사업 본연의 가치인 클라이언트 중심의 조사연구 접근과 이론과 실천의 간극을 메우는 하나의 교량으로서 실행연구(AR: action research)와 참여적 실행연구(PAR: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의 개념과 과정을 소개하고 한국 사회사업실천에의 적용가능성을 모색하였다. AR과 PAR의 개념과 역사, 실행과정을 분석하고 사회사업실천에의 필요성과 적용점을 분석해 본 결과, 필요성에 있어서는 실천현장에서의 적용용이성, 지역사회기반의 일반주의 실천접근과의 적합성, 조사연구와 실천의 통합, AR기술의 실천기술로서의 활용성 등으로 나타났다. 적용상의 이점으로는 클라이언트 문제와 욕구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 다각적인 맥락에 의거한 해결방법 모색, 조사자 곧 실천가 자신의 반성과 성장, 임파워먼트 실행의 촉매제로서의 기능, 조사연구의 확대가능성, 지역사회기반의 조사연구 확대, 효과적인 사회복지 조직관리에 있어서의 적용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한국 현장에 AR을 도입하기 위해서 유의할 점으로 조사연구자로서의 실천가의 역량강화, 공동협력연구의 필요, 현장과 실천중심 연구를 강조하는 인센티브 제공, 구체적인 액션리서치의 한국형 모델 구축 등 4개의 과제를 제언하였다. The scientific methodologies have been aggressively used to solve and forecast many complicated anxieties and problems of human beings in Social Works Research. The scientific methodologies have been preferred in terms of the objectivity in establishing the standards of human behaviors and presenting the results. However, the important fact in applying the scientific methodologies to Social Works Practice Field is that the clients should be researched being positioned in the center. It is necessary to find the method to reinforce the functions of the clients with them positioned in the center, not focusing only on the intervention measurement. In this regard, this study proposes the concept and course of AR (Action Research) and PAR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as one of clients-centered research approaches and one bridge to connect the theory with the price, aiming at looking for the possibility to apply these methods to Social Works Practice. After the concept, history and performance process of AR and PAR were evaluated and the requirements and applications for AR and PAR in Social Works Practices were analyzed, it was recognized that AR and PAR have the advantages in the compatibility in requirements for Social Works Practices, matching with Community-based Generalist Practice, the integration of Research and Practice, and application of AR as a practice technology and etc. The additional advantages, which were found in application of AR and PAR are that AR and PAR give the better understanding on the problems and desires of clients, the searching for the methods from various aspects and angles, the reflection and improvement of researchers, the function as the promoter of mpowerment practice, the expandability of research, the expandability of community-based research, and the application to the efficient social welfare management systems and etc. In the conclusion, this paper proposes 4 subjects to apply AR to Korean Social Work; the build-up of capability of field workers as researchers, the need for the cooperation of researchers, the incentive systems for field and practice centered researches, and the set-up for Korean AR Model.

      • KCI등재

        유치원의 바깥놀이 활성화를 위한 참여적 실행연구

        강은영 ( Kang Eunyoung ),정미라 ( Chung Mira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8 유아교육연구 Vol.38 No.4

        본 연구는 유치원의 바깥놀이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참여적 실행연구를 실시하고, 연구의 과정을 통한 교사와 유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에 재원하고 있는 만 5세 유아 26명과 담임교사 1명을 대상으로 참여적 실행연구를 실시하고, 참여관찰, 심층면담, 이미지 조사, 현지자료 조사와 기타자료 등을 수집하여 이를 바탕으로 해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과정을 통해 수업계획안의 개선, 환경의 변화와 관리자와 학부모의 인식변화, 유아 주도의 바깥놀이가 활성화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둘째, 교사의 바깥놀이에 대한 적극적인 태도와 상호작용의 변화를 통해 유아는 바깥놀이를 ‘즐길 수 있는 자발적인 놀이’로서 인식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의 바깥놀이 운영에 실질적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 모색과 실천이 교사의 전문성 향상과 바깥놀이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 이는 유아의 바깥놀이에 대한 인식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게 됨을 밝힘으로써 유치원의 바깥놀이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seek ways of improvement, and to apply them to the outdoor play in kindergarten through a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Their effects on teacher and children were also examined. Research questions based on the study objective were as follows. 1. How should the process of a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be arranged, for the improvement of outdoor play in kindergarten? 2. What changes did teacher and children experience through the process of a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in the improvement of outdoor play in kindergarten?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First, the urgent problems at Baram kindergarten were addressed by a participatory action process with three sessions of action cycle. Second, with the process of a participatory action for the improvement of outdoor play, significant changes for teacher and children were found. The teacher conducted outdoor play more actively, and interactions with children increased. Due to changes in the outdoor play and in the teacher’s attitude, children recognized the outdoor play as ‘an enjoyable voluntary play’, and not merely playing outside. A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on the improvement of outdoor play in kindergarten enhanced the levels of operational capacity of the teacher, while keeping teacher’s on-site control of the improvement of outdoor play.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above process could be a practical and viable plan for kindergartens.

      • KCI등재

        지역복지의 참여적 실행연구에서 컨셉트 맵핑 적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이언상(Lee, Eon-Sang),김영종(Kim, Young-Jong)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7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60

        본 연구는 참여적 실행연구(participatory action research)에 있어 컨셉트 맵핑(concept mapping)의 적용 가능성과 적용 방법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참여적 실행연구를 도입한 한일 지역복지 실천현장에서 컨셉트 맵핑을 3차례 실시하고 컨셉트 맵핑의 적용 가능성, 적용에 따른 논점, 과제, 적용방법을 검토하였다.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컨셉트 맵핑의 특성은 참여적 실행연구의 원칙과 부합하며 참여적 실행연구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론으로서 활용 가능하다. 컨셉트 맵핑의 적용에 있어서 데이터 수집 및 분석이라는 ‘과업지향 목표’와 참여 및 학습이라는 ‘과정지향 목표’ 간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의사소통 및 참여의 보장, 참여자 선정, 충분한 시간 확보, 적합한 진행자 등이 적용에 있어 핵심적인 논점이 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컨셉트 맵핑의 적용방법은 사회복지영역에서 참여적 실행연구를 확산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concept mapping on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and the method of applying it in different practices. For this, three community-based practices that used concept mapping were conducted in South Korea and Japan. Based on the results, the following were considered: its applicability, discussion points and challenges of applying it, and the method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concept mapping coincide with the principles of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and, therefore, it can be used as a method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While applying concept mapping in practices, it is important to maintain a good balance between the task goal, which is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and the process goal, which is participation and mutual learning. In addition, there are important aspects that must be discussed, such as how to secure communication and participation, choose participants, ensure adequate time for its application, and attain a well-trained facilitator. The application methods of concept mapping that are proposed in this paper will contribute to expand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 KCI등재

        참여적 실행연구를 통한 연구자와 참여교사의 전문성 발달 과정

        강은영(Kang Eun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참여적 실행연구 과정과 그 이후 교류의 과정을 통해 연구자와 참여교사의 전문성 발달 과정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4년 5월부터 2015년 1월까지 참여적 실행연구를 실시하고, 2015년 2월부터 2019년 8월까지 교사의 수업과 관련한 연구자와의 대화 및 교류의 과정을 수집하여 연구자와 교사의 전문성 발달 과정을 탐색하였다. 연구자와 참여자의 지속적인 교류의 과정을 통해 연구자와 참여자가 서로에게 도움을 주고, 반성의 과정을 실제 유아교육현장에서 ‘함께’ 거듭하였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으며, 이를 연구자와 참여교사의 전문성 발달 과정 관점에서 살펴보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참여적 실행연구의 과정이 종료된 후 연구자와 참여교사가 어떤 관계를 유지하고 어떤 노력을 기울이는지에 따라 연구의 장기적 효과가 달라질 수 있음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process of researcher and teacher through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process. For the purpose, researcher’s and teacher’s journal were collected during the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cycle from May 2014 to August 2019, and after the cycle in-depth interview with the teacher were conducted.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the researcher and the teacher looked at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process. Therefore, this study provides an implication that the long-term effects of the study may vary depending on how the researcher and the teacher maintain the relationship after the process of the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 KCI등재

        지역사회복지관 한부모 자조집단 실천에대한 사회복지사의 성찰 연구 -참여실행연구 자료를 중심으로-

        양혜원 ( Yang Haewon ),최정숙 ( Choi Jung Sook ),김희수 ( Kim Heesoo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18 한국가족복지학 Vol.62 No.-

        본 연구는 지역사회복지관 한부모 자조집단 실천방안 모색을 위한 참여실행연구 자료를 활용하여, 연구를 수행한 사회복지사들이 참여실행연구과정에서 성찰한 내용이 무엇인지를 구체적으로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참여실행연구에는 지역사회복지관 한부모 자조집단 실천의 어려움을 공유한 사회복지사와 교수자 9명이 참여했고, 10회기의 연구모임을 통해 동료 수퍼비전을 비롯한 다양한 활동을 하면서 사회복지사들이 소속된 기관의 4개 자조집단 실천에대한 계획-실행-성찰-재계획을 반복하는 순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현장에 밀착된 다양한 실천방안이 도출되었는데, 그 중 핵심은 사회복지사의 인식이 변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참여실행연구에서의 성찰을 통해 사회복지사의 인식이 변화된 것에 주목하고, 연구모임 녹취록 등 참여실행연구에서 생성된 자료를 활용하여 성찰의 구체적 내용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자조집단에 적합한 실천이 미흡했음을 깨닫고 고민함’, ‘회원-사회복지사 관계에 대한 변화된 관점을 바탕으로 사회복지사 역할을 다시 알아감’, ‘당사자 주도 실천의 가능성을 확인함’, ‘지역사회복지관 한부모 자조집단을 더 세밀하게 이해함’, ‘지역사회복지관 한부모 자조집단의 발전을 새롭게 인식함’ 등 5개 주제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지역사회복지관 한부모 자조집단을 중심으로 역량강화 실천과 성찰·반성적 실천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ocial workers’ reflections developed during the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seeking practice methods in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single parent self-help groups. Nine social workers and researchers sharing difficulties in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single parent self-help group practice were involved in the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We performed a circulatory research repeating ‘plan-action-reflection-replan’ cycles through ten sessions of research meetings including peer supervision in parallel with 4 self-help group practices. Multiple practice methods were derived as the result among which change in the social workers’ perception was the key. We focused on the result that the social workers’ perception was changed by reflections from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and the contents of the reflections were qualitatively analyzed using materials acquired during the study. As a result the following 5 themes were derived; ‘recognition and worry on the lack of appropriate practice for the self-help group’, ‘specification of the social workers’ role based on the changed perspective on the member-social worker relation’, ‘confirmation of the possibility of the concerned person initiated practice’, ‘detailed understanding of the single parent self-help group in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and ‘renewed recognition of the development of the single parent self-help group in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Based on these results, empowerment and reflection/reflective practice for single parent self-help group in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were discussed.

      • KCI등재

        근로자의 건강증진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참여적 실행연구와 지역사회기반 참여연구 중심으로

        황원주,하지선,조현희 한국융합학회 2018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9 No.12

        This study investigated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n local and international literatures focusing on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PAR), Community Based Participatory Research(CBPR) in workplace and community. Eighty percent of the 10 studies reviewed included research involving health professionals, community networks, workers, and university researchers. Health promotion programs varied from health and safety awareness, smoking cessation, diabetes management, physical activity, self-efficacy enhancement, cardiovascular disease,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mental health. PAR, CBPR are required to participate actively in research through community collaboration to promote health. We can solve problems at the community level. And identified sustainable effects when developing and implementing a health promotion program. PAR and CBPR are expected to continuously pursue change by adjusting the scope of individuals, organizations, communities, and institutional dimensions. They are also expected to be implemented for workers in the various workplace. 본 연구는 사업장과 지역사회에서 이루어진 PAR, CBPR을 중심으로 국내·외 문헌을 체계적 고찰을 하였다. 검토된 10개 논문의 연구 참여자는 보건전문가, 지역사회 네트워크, 근로자, 대학 연구자가 포함된 연구가 80%였고, 적용된 실행연구 기반 건강증진 프로그램은 안전·건강관리인식, 금연, 당뇨관리, 신체활동, 자기효능감 증진, 심혈관 질환, 근골격계 질환, 정신 건강 등 다양했다. 건강증진을 위해서는 지역사회 공동 작업을 통해 연구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이런 과정을 통하여 지역사회 차원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협력하며 건강증진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했을 때 지속가능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PAR, CBPR은 개인과 조직, 지역사회, 제도적 차원의 범위를 조정하여 지속적인 변화를 추구할 것으로 사료되므로 다양한 사업장에서 근로자를 대상으로 활발히 수행되길 기대한다.

      • KCI등재

        비행청소년을 위한 자기통제력 강화프로그램 개발 -소년원생을 대상으로 한 참여적 실행연구 -

        문영숙,최승희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3 학교사회복지 Vol.- No.2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elf-control enhancement program which is one of personal and psychological risk factors of juvenile delinquency and re-delinquency, through the process of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The study consisted of 3 steps. First step was to establish a direction of the program by investigating the needs and problems with first participants and to develop the first program. The second step was to let the second study participants experience the first program and collect qualitative data to modify/supplement the first program in order to develop the second program. And the third step was to let the third participants experience the second program and collect the qualitative data to modify and supplement the second program in order to develop the final program.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Mann-Whitney U Test was conducted. As a result of this test, self-control after conducting the second program was higher than the before. As a significant result p<0.05 was shown, effectiveness of the enhancement program is proven and the final program was developed after modifying and supplementing the second program. And also, from the results of participants' self-assessment, descriptive survey, class assessments from class research and assessment of teachers this program was proven to be effective in changing the six factors of the lower self-control and raise the self-control. Thus, it is believed that the program developed from this study is appropriate to enhance the self-control of juvenile offenders in a juvenile detention center. And it is meaningful as this is a user-driven program which users' needs and problems have been reflected on through the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본 연구의 목적은 참여적 실행연구(Participatory Action Research)의 과정을 통해 청소년 비행과 재비행의 개인적․심리적 위험요인 중의 하나인 자기통제력을 강화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들은 모두 9호처분을 받은 여자보호소년들로 구성되었으며 연구는 3단계의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연구1단계에서는 1차 연구참여자들과 함께 욕구와 문제의 발견을 통해 프로그램의 방향을 설정하고 1차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2단계는 2차 연구 참여자들을 1차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하고, 질적 자료들을 수집하여, 수정된 2차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연구 3단계는 3차 연구참여자들을 2차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한 후 2차 프로그램을 수정․보완하기 위한 질적 자료를 수집하여, 최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을 위한 맨 위트니 유 검정(Mann-Whitney U Test)을 실시하여 2차 프로그램에서 사전․사후 검사를 비교한 결과 p<0.05 수준에서 효과성이 있는 것이 입증되었다. 그 외에 참여자들의 자기평가 결과, 서술형 설문, 소년원 교사대상 평가에서도 본 프로그램이 낮은 자기통제력의 여섯가지 요인들을 변화시키고 자기통제력을 높이는데 유용하다는 긍정적 평가를 받았다. 본 연구의 의의는 참여적 실행연구(Participatory Action Research)를 통해 수요자의 욕구와 문제가 적극적으로 반영된 수요자 중심 프로그램 개발이라는 점이다.

      • KCI등재

        빈곤지역 마을교육공동체 형성을 위한 참여실천연구 - 지역교육네트워크 화월주의 ‘마을협의체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

        한혜정,양병찬 한국미래교육학회 2022 미래교육연구 Vol.12 No.4

        This study considered that the healthy growth of children and adolescents in poverty-stricken areas is possible only when members of the local community take the lead and solve them together. Therefore, we conducted a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to consider our task and apply it to our practical activities. As a practical matter, a consultation and communication structure called the ‘Wolsan-dong Village Educational Activists Council’ was organized, and local education issues were learned through workshops, seminars, and consulting. Based on this, a village education course was developed and operated, and a space for youth base was prepared. Characteristics of the practice process are: First, the orientation toward the region (village) was strongly revealed in designing the subject, space, and activity. Second, the start of the activity came from the process of sharing and agreeing with the actors. Third, with the unique capabilities and roles of HwaWolJu as an intermediate supporter, it plays a leading role in establishing the foundation in the beginning, then sets the parties as the subject of the activity and transfers the authority and role. Fourth, self- or mutual reflective practice was confirm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through the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process, local problems were solved and the possibility of independent growth of residents and establishment of a village education community was confirmed. 본 연구는 빈곤지역 아동청소년의 건강한 성장은 지역사회의 구성원들이 주체가 되어 빈곤 아동청소년의 문제를 지역 과제로 인식하고 함께 해결해갈 때 가능하다고 보았다. 따라서 우리의 과제를 우리 스스로 고민하고 궁리하여 실천 활동에 적용하고자 ‘참여실천연구’를 진행하였다. 실천 내용으로는 ‘월산동마을교육활동가협의회’라는 주체들 간 협의‧소통 구조를 조직하였고, 워크숍, 세미나, 컨설팅 등을 통해 지역 교육 문제를 논의하고 학습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학교 교사와 마을활동가의 협동을 통해 마을교육과정을 개발·운영하였고, 마을 공유공간이자 청소년 거점 공간을 마련하였다. 실천 과정에서의 특징은 첫째, 주체나 공간, 활동을 구상하는데 있어서 지역(마을)에 대한 지향이 강하게 드러났다. 둘째, 활동의 시작이 주체들이 함께 논의하고 공유, 합의하는 과정에서부터 비롯하였다. 셋째, 중간지원자인 화월주의 독특한 역량과 역할로 초반에는 주도적으로 기반을 조성하는 역할을 하다가 당사자들을 활동의 주체로 세운 다음 권한과 역할을 넘겼다. 넷째, 실천 과정에서 자기 또는 상호 간 반성적 실천 모습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당사자 참여실천연구 과정을 통해 지역 과제를 해결해나가고 마을 주민의 주체적 성장과 마을교육공동체 형성의 실체를 확인하였다는 데에 있다.

      • KCI등재

        만 4세 슬기반 역할놀이 활성화를 위한 참여적 실행연구

        박선영,이은영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9 유아교육학논집 Vol.23 No.4

        The study aims to explore means of activating role-play in the classroom and to analyze changes among teachers and children during that process via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For this study, a spiral circulation process model created by Kemmis and McTaggart (2005) was applied twice from May 7 to October 19, 2018. Data such as non-participant observation, interviews, discussion, the teacher’s reflective journals, photos, video recording, and lesson plan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ole-playing in the Seulgi classroom for 4-year-olds had several problems such as non-participation, difficulty in choosing a play theme, returning to familiar play, and a fixed role-playing environment. Based on these problems, the first stage of action research aimed to understand the teacher’s role play strategy, to craft a role-playing activity based on the direct and concrete experiences of young children, and to rearrange the environment according to themes. However, other problem were discovered in the reflection process, hence the second activity focused on encouraging child-centered role-playing, evaluating their role-play experiences, and encouraging boys' participation. Second, according to teacher’s and children’s changes during the research process, teachers showed a positive change in their understanding of role-play, teaching competency, and belief in the capabilities of 4-year-old children. On the other hand, young children showed increased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role-playing, improved problem solving ability, self-expression, initiative, and expanded awareness of role play. This study yields significant practical solution for teachers who are having difficulties with implementing effective role-play in their classrooms and can provide a means to make meaningful changes in teaching methods. 본 연구는 참여적 실행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역할놀이 운영의 문제점을 토대로 역할놀이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실행 과정에서의 교사와 유아의 변화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8년 5월 7일부터 10월 19일까지 Kemmis와 McTaggart(2005)의 나선형적 순환과정 모형을 두 차례에 걸쳐 적용하였다. 비참여관찰, 심층면담 및 협의, 교사저널, 사진 및 동영상, 교육계획안 등의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먼저, 만 4세 슬기반에서 관찰된 역할놀이는 역할놀이가 아닌 역할놀이, 놀이 주제 선정의 어려움, 익숙한 놀이로의 회귀, 고정된 역할놀이 환경의 측면에서 문제점이 드러났다. 이에 1차 실행방안으로 교사의 역할놀이에 대한 이해 도모, 유아의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경험에 기반한 역할놀이 전개, 놀이주제에 맞는 환경구성을 계획하고 실행에 옮겼다. 1차 성찰에서 또 다른 문제가 제기되어 유아가 주도하는 역할놀이, 역할놀이에 대한 평가 실시, 남아의 역할놀이 참여 격려라는 계획에 따라 2차 실행이 이루어졌다. 다음으로 실행과정에서의 교사와 유아의 변화가 나타났다. 교사는 역할놀이에 대한 명확한 이해 도모, 역할놀이 운영을 위한 교수역량 증진과 만 4세 유아들에 대한 신념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한편, 유아는 역할놀이에 대한 흥미와 참여도 증가, 문제해결력 증진, 자기표현력과 주도성 향상, 역할놀이에 대한 인식 확장이 일어났다. 본 연구는 유아교육현장에서 역할놀이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교사에게 구체적인 해결 방안을 제안하고, 실제 변화를 이끌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특수학교 교사들의 핵심어손짓기호체계 지도에 관한 협력적 실행연구

        윤숙자 ( Yun Suk Ja ),임경원 ( Lim Kyoung Won )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구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018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4 No.4

        이 연구의 목적은 비구어 발달장애학생에게 핵심어손짓기호체계를 지도하는 특수교사들의 협력적 실행연구의 과정과 그 과정에서 도출된 교육적 의미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비구어 발달장애인을 위한 핵심어손짓기호체계 지도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해 연구자를 포함한 특수학교 전공과 교사 4명으로 구성된 참여자들이 사례회의를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한 분석 결과, ‘소통을 위한 항로 설정’, ‘어휘를 선정하다’, ‘여럿이, 여러 방법으로’, ‘핵심어손짓기호체계를 배우다’, ‘우려와 난관을 넘어 자신감으로’, ‘핵심 어손짓기호체계로 성장하는 교사들’의 6개의 상위범주와 17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 교사들이 대상 학생과 어휘를 선정하고 이를 지도·수정해 가는 과정이 7회의 사례회의를 통하여 드러났으며, 이 과정에서 비구어 발달장애학생들이 핵심어손짓기호를 학습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교사들은 협력적 실행연구 방법에 대한 긍정적 태도가 형성되었다. 이 연구를 통하여 핵심어손짓기호체계를 협력적 실행연구방법으로 현장에 적용할 수 있으며, 이의 효과적인 지도를 위해서는 손짓기호 사용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변화 및 관련 기초연구가 더욱 확산될 필요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Key Word Signing (KWS) teaching process to students with non-verbal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 post secondary program and to offer the implications on teaching KWS to the students with non-verbal developmental disabilities by searching its whole meaning and educational meaning on teaching KWS.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with case-conferences was applie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Case-conference members who consist of 4 teachers in the post secondary program including a researcher had participated in 7 times of case-conference. The results of the qualitative analysis are following. Six upper classes are categorized.: ‘Setting the sea course to communication’, ‘Selecting words and manual signs’, ‘together, with various methods’, ‘Learning KWS’, ‘Overcoming worries and difficulties for self-confidence’, ‘Developing teachers thanks to KWS’. Upper classes have 17 subcategories and 53 semantic units. As a result, there was the process that the teachers had selected the words, taught and modified them for 7 times of case -conference and they found that the students with severe non-verbal developmental disabilities could learn KWS. And the teachers showed their positive attitude to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This study found that the method of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could be applied to school to teach KWS and that the change of teachers’ attitude to manual sign and that related and extensive studies were needed for effective teaching KW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