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판소리 완창의 탄생과 변화

        최동현 판소리학회 2014 판소리연구 Vol.38 No.-

        우리 시대 가장 중요한 판소리 공연 방식의 하나로 자리잡은 완창은 판소리사의 초기부터 있었던 공연 방식은 아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는 판소리의 서사적구조, 당시의 공연 관습이나 장소 등을 통해서 짐작할 수 있다. 근대적인 판소리 공연은 서양식 무대에서 시작된 이른바 ‘협률사’ 공연이었다. 처음에 이 공연 방식은 장안사나 광무대와 같은 극장 무대에 여러 명의남녀 소리꾼이 동시에 출연하여 일부분씩 부르는 방식이었다. 1920년대 후반에는 ‘명창대회’라는 것이 등장한다. 명창대회의 장소는 극장인데 한꺼번에 여러명창들이 출연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명창대회는 협률사 이후 계속된극장식 공연으로 다수의 다양한 종목의 창자들이 출연하는 옴니버스 공연 형태였다. 몇몇 증언을 통해서 알 수 있는 해방 후의 공연 상황은 다음과 같다. 우선공연장은 가설 무대나 극장, 혹은 창고였지만 근본적으로는 프로시니엄 무대였다는 것, 1부와 2부로 나누어 1부에서는 승무, 병창 혹은 기악, 토막 판소리,잡가, 대가의 판소리 등을 부르고, 2부에서는 단막극이나 남도잡가를 불렀다는것이다. 해방 후의 협률사식 공연은 이처럼 거의 유형화되어 있었다. 판소리창자들은 자기가 잘하는 대목을 항상 부르니까 다 잘 부를 수밖에 없었지만,날마다 반복되는 공연의 청중들은 매번 달라지므로 공연 종목 또한 바꿀 필요가없었다. 그래서 판소리는 이제 토막소리밖에는 부르지 않게 되었다. 1960년대 들어 판소리는 절멸의 지경에 이른다. 이러한 상황에서 박동진은1968년 9월 30일 판소리 완창을 창안한다. 박동진에 의해 창안된 판소리 완창은멸실 위기에 처한 판소리에 대한 관심을 촉발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많은 사람들이 완창에서 판소리의 가치를 새롭게 발견하였고, 소리꾼들도 희망을 가지고너도나도 완창을 시도하였다. 이는 판소리에 새로운 생명을 불어넣었다. 판소리에 대한 관심의 고조에 발맞춰 뿌리깊은나무사에서 시도한 판소리감상회는, 완창은 아니지만 전판 공연을 함으로써 잃어버렸던 온전한 판소리작품의 복원에 결정적인 공헌을 하였다. 그 후 판소리 완창은 소리꾼이라면응당 거쳐야 할 필수적인 과정이 되었다. 이를 대표하는 것이 국립극장 완창판소리 발표회이다. 국림극장 완창 판소리 발표회는 1985년 3월 30일 성창순의<심청가>로부터 시작하여 2013년 12월 31일까지 총 255회를 공연하였다. 그러나 1990년대 중후반에 이르면 판소리 완창은 얼마나 어린 나이에, 얼마나 긴시간을 부르는가를 다투는 기록 경쟁처럼 되어 버렸다. 당연히 판소리 완창의효용에 문제가 제기되었다. 판소리 완창은 판소리 창자들에게는 전판을 한 자리에서 공연할 수 있는공력을 닦게 하고, 판소리 경연대회나 판소리 공연의 양상을 바꾸어 놓았으며,수많은 명창과 명고수, 귀명창이 탄생하게 하는 데 결정적인 공헌을 하였다. 그러나 판소리 완창은 판소리 본래의 공연 방식이 아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완창에 집착하다보니 예술성은 망각되고 공연자의 나이와 공연 시간이 관심의 주된 대상이 되어 버렸다. 전통 판소리는 사적인 공간에서 시간 제약 없이부르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판소리가 한 자리에서 다 부르기에는 너무 긴 것도그런 이유 때문이다. 그런데 이를 공적인 공간에서 한 번에 다 부르려다보니자연히 여러 가지 문제를 노정하게 되었다. 판소리 완창은 이제 그 형식의 변...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birth and change of pansori fullversion singing performance(완창).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belows. The full version singing performance of pansori was not original style of pansoriperformance. That could be easily assumed by the structure, performanceconventions and performance place of pansori. Major pansori performances fromformative period to the end 19th century were partial pansori singing performance(부분창). And full version singing performance was secondary. The modern pansori performance started on the western style theater calledHyeomryulsa(협률사) in 1902. The partial pansori singing was performed onthat stage. The western style performance could not accept the full version pansori. singing performance. The full version of pansori. is too long to perform at onceon one stage. So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imperialism almost of all pansoriperformance was partial singing performance, which was performed in westernstyle theater with other traditional musics and dances. We can call it an omnibusperformance. Around 1960's, pansori. was at the brink of death. Because the audience ofpansori were continually decreasing on the one hand, and the singer who cansing a full version pansori became sparse on the other hand. In 1968, Bak Dong-jintried full version pansori singing performance. It won a great success. It broughtabout a sensational attention. After that performance many full version pansorisinging performance were designed like as Ppurigipeunnamu(Deep Rooted Tree)Pansori Concert, Gungnipgeukjjang(National Theater) Pansori Full VersionConcert, etc. Ppurigipeunnamu(Deep Rooted Tree) Pansori Concert contributedto reestablish the full version pansori. Gungnipgeukjjang(National Theater) PansoriFull Version Concert started in 1984. It has won the most authoritative full versionpansori concert for 30 years. In the middle of 1990's, pansori full version singing performance changed. The age of the singers became younger and younger. At last, the elementaryschoolchildren comprised the most part of that performance. So, many peopleclaim that pansori full version singing performance should be changed. In this study I suggested a serial singing performance as an alternative. Itwould be the true to the nature of pansori and make pansori performance moreartistic.

      • KCI등재

        판소리 계통 공연 예술들을 통해 본 오늘날 판소리의 나아갈 길

        손태도 판소리학회 2007 판소리연구 Vol.24 No.-

        The Way of Pansori from the View of Pansori Orign Performing ArtsSon, Tae DoPansori was made in the later Joseon dynasty so it's literary, musical, and playing elements are basically those of Joseon dynasty.As the modern society goes on, as Pansori's artistic features will be vanished. Pansori will be remained as only a classic art at last.Today, we want to have a modern performing art succeeding, and, futher more, making better Pansori's musical achievement that is very essential in Pansori's artistic aspects.Pansori had Chang-geuk (창극. musical drama like Opera in Europe), Women's Chang-geuk (여성국극), and new Pansori works through the modernized period.They weren't successive performing arts succeeding Pansori completely, but they can suggest the aspects needed to Pansori's successor in modern times. Trough the study of those Pansori origin performing arts, we can know that Chang-geuk was the most appropriate performing art succeeding Pansori in fact. It was begun as a more developed performing style art than Pansori in modern times, but couldn't be developed as a successive Pansori successor by the suffering of Korean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the prevalence of Women's Chang-geuk, and the limitation of the National Chang-geuk Company (국립 창극단) under the rule of military Governments.Now all aspects that had prohibited the development of Chang-geuk are disappeared.I expect that Chang-geuk will be a successive performing art succeeding Pansori in our days.Today, the way of Pansori must be laid to the successive Chang-geuk as a modern art. 판소리는 조선 후기에 성립된 예술이기에 문학, 음악, 연극 여러 요소들이 기본적으로 조선 시대적인 것이다. 따라서 근대 사회가 지속될수록 판소리의 예술성은 약화되고 언젠가는 단지 고전 예술로만 남을 것이다.오늘날 우리들은 단순히 판소리를 향유하는 것을 넘어 판소리 예술의 가장 중요한 점인 음악적 성과를 잇고 더 나아가 이를 더욱 발전시킬 수 있는 근대적 공연물을 가졌으면 한다. 판소리가 근대 사회에 이어지며 창극, 여성국극, 창작 판소리 등을 가졌다. 이러한 공연물들은 판소리를 완전히 잇는 성공적인 공연물은 되지 못했지만, 판소리를 이을 후계자가 어떤 것이 되어야 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모두 일정한 시사(示唆)를 하고 있다. 이러한 판소리 계통 공연물들에 대한 고찰을 통해 창극이 사실상 판소리를 잇는 가장 적절한 근대적 공연물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창극은 근대에 판소리보다 더욱 발전된 공연 방식으로 시작되었지만, 일제하의 간고(艱苦), 여성국극의 횡행, 군사 정부 시절 하의 국립창극단의 제한성 등으로 근대 판소리의 후계자적 공연물로 제대로 발전하지 못했다.이제 창극의 발전을 가로막은 여러 요소들이 없어졌다. 창극이 판소리를 잇는 우리 시대의 성공적인 공연물이 되기를 바란다. 오늘날 판소리의 길은 근대적 공연물로서의 성공적인 창극를 향해 가는 방향에 놓여 있어야 하는 것이다.

      • KCI등재

        이보형 채록 판소리 자료의 연구사적 가치 및 특징 - 1969년에서 1990년까지의 채록자료를 중심으로 -

        성기련 한국국악학회 2016 한국음악연구 Vol.59 No.-

        판소리를 연구하는 방법은 연구 목적에 따라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그중 이보형이 주로 취한 연구방법론은 현장 조사와 대담 채록 등을 통한 민족지적 연구(ethnographic methodology)가 대표적인 연구방법이다. 1960년대 이후 판소리에 대한 학술적 관심이 높아졌지만, 구전예술인 판소리의 특성상 참고할 문헌자료가 거의 없는 상황에서 1970년대 이후 꾸준히 이루어진 채록 작업은 채록자의 연구뿐 아니라 판소리사 연구에 있어서 매우 귀중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판소리와 관련한 이보형 채록자료는 첫째 채록 대상이 되는 판소리 창자의 연주를 녹음한 자료, 둘째 판소리 창자를 대상으로 판소리에 대해 면담한 자료, 셋째 옛 명창의 유적지에 찾아가 마을 사람들을 대상으로 현지 조사한 자료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보형이 소장하고 있는 1969년에서 1990년 사이의 판소리 관련 채록자료는 공연 녹음이 중심이 된 1기(1969-1980), 8명창의 유적지 조사와 명창들의 대담 자료가 채록의 중심이 된 2기(1988-1990)로 나눌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채록자료는 연구물의 출판, 음원자료의 제작, 대담 기록의 자료화 등으로 이어졌다. 이보형의 채록자료는 판소리 명창들의 출생지, 학습내력, 활동양상 등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어려웠던 상황에서 판소리 연구의 새로운 국면을 열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될 수 있으며, 특히 판소리를 부르는 창자들 중 중앙 무대에서 활동하지 않았던 지방의 창자들에게도 관심을 갖고 그들의 소리와 판소리 관련 이력을 채록해 두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이보형의 채록 작업이 없었다면 역사의 뒤안길로 흔적 없이 사라질 뻔했던 판소리 창자들이 갖고 있던 삶과 소리 학습에 대한 사연들, 그리고 그들이 남긴 소리 대목 하나하나는 판소리를 연구하는 후학들에게 귀중한 DB자료가 되고 있다. There are various ways to study Pansori according to the purposes of study. Lee Bo-hyeong, in particular, chose an ethnographic methodology through field work. Academic interest in Pansori has increased after the 1960s, but there has been almost no bibliographic data to refer to because Pansori was handed down orally. Given this situation, more recordings of Pansori have been steadily made since the 1970s and recorded data have become really precious in the study of recorders and Pansori history. Lee Bo-hyeong’s Pansori data includes data of recorded performances of Pansori singers and recorded interview of Pansori singers, and data collected after surveying residents in historical sites where old master singers lived. Lee’s recorded data about Pansori from 1969 to 1990 can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according to time of recording: the first period of 1969-1980 when data was focused on performance recording, the second period of 1981-1990 when surveys of eight master singers’ historical sites and field works about master singers were accomplished. Using such recorded data, books have been published, musical data have been collated and recordings of conversations have been tabulated into data. Lee’s data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opened a new phase of Pansori study when it was difficult to gain a specific understanding about birth places, learning records and the activities of Pansori master singers. Lee, in particular, took an interest in provincial singers who didn’t perform in central area and recorded their songs and their Pansori careers. Without Lee’s recording work, the lives of Pansori singers and stories of their learning would have totally disappeared from history. Every melody left by them has become precious data for persons studying Pansori.

      • KCI등재

        판소리의 치료적 요소와 효과에 대한 사례 연구

        김명자 ( Kim Myeong-ja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7 문학치료연구 Vol.43 No.-

        필자는 판소리치료 시론에서 밝혔던 판소리치료의 특징을 수정 보완하고 수정 보완된 판소리치료의 특징을 바탕으로 하여 판소리 취미교실의 화자A와 화자B, 그리고 판소리치료 교실의 화자C이 사례를 통하여 판소리의 치료적인 요소와 효과를 다음과 같이 밝혀내었다. 첫째, 판소리가 약이라면 개인적인 성향에 따라 한국인뿐만 아니라 국적에 관계없이 그 효험이 있을 것이다 → 이 부분은 앞서 외국인의 사례도 보았고 화자A, 화자B, 화자C 모두 판소리의 효험을 보고 있다고 봐야 할 것이다. 이들은 판소리를 통해서 생활의 활력을 얻고 있고 미래를 계획하는 창조적인 생활을 하고 있다. 둘째, 오랜 세월 집체적으로 쌓인 사설의 깊이가 사람의 감정을 섬세하게 조율할 수 있다. → 화자A는 슬픈 대목을 특히 좋아하고 화자B는 판소리 사설이 자신과 연결되지 않은 것이 없다 할 정도로 그 깊이를 실감하고 있고 겸손하고 감사한 성격으로 변모하게 되었다고 했다. 화자C의 경우 단가 <사철가>와 <강상풍월>을 통해서 인문학 공부를 한다고 생각할 만큼 깊이를 느끼고 있다. 욕심을 내려놔야한다고 느꼈고 조상들의 지혜를 느낀다고 했다. <사철가>의 `그만 먹게`란 사설을 통해서 술을 절제하게 되었다. 셋째, 판소리가 장르의 복합체란 특수성으로 인해 음악치료, 문학치료적인 면이 동시에 수행되고 치료효과도 복합적일 것이다. → 둘째 사례에서 사설로 인한 것은 증명되었고 판소리의 음악적인 부분을 좋아하는 것은 이면이 잘 그려졌기 때문이라고 본다. 넷째, 단전에서 토해지는 통성발성법으로 오장육부에 강력한 자극을 주어 몸이 기혈순환은 물론, 근·골격계, 소화기, 순환기 등에 좋은 영향을 줄 수 있다. → 이 부분은 판소리치료의 요소 중에 신체적인 부분에 가장 핵심적인 것으로 화자B와 화자C의 사례에서 누차 설명한바 있다. 다섯째, 판소리 장단은 기(起)·경(景)·결(結)·해(解), 일어나고 펼치고 맺고 푸는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푸는 것이 중요하다. 박은 리듬의 가장 작은 구성요소로 박의 나열은 안정성과 예측성을 느끼게 해주며 이로 인해서 안정감을 강화시켜 준다. → 판소리는 모두 장단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판소리로 안정감을 느꼈다면 장단을 특별히 거론하지 않더라도 그 영향으로 생각해야 한다. 여섯째, `소리는 원래 기계문화 이전의 육성(肉聲)문화로써 본인이 직접해야 재미가 나고 사람들과 같이 현장 공유를 한다면 외로움과 우울증, 화병 등의 병증에 치료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이 부분은 취미교실의 회원들에게 매우 뚜렷하게 적용되는 것으로 취미교실에 지속적으로 참여하는 사람들이 그 이유로 `사람`을 꼽는 것만 보아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판소리 활동 사례를 통해서 판소리의 치료적인 면은 호흡과 발성, 음악, 사설, 장단 등 판소리의 구성 그 자체가 치료적 요소로 작용하고 있으며 단체별로 보았을 때 판소리 취미 교실이나 판소리치료 교실 모두 판소리의 치료적 요소와 효과가 다 발견되는데 이것은 판소리의 치료적 요소가 판소리의 본래 기능에서 오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단지 판소리의 치료적 요소를 염두에 두고 판소리 전수가 되는 판소리치료 교실은 판소리 취미 교실에 비해 판소리치료의 효과가 훨씬 강력하고 빠르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The author has made corrections to and improved the claims in her previous essay about the therapeutic characteristics of Pansori. Building on her theory regarding the therapeutic characteristics of Pansori, and through case studies of Participants A and B in her Pansori hobby class and Participant C in her Pansori therapy class, the author has found the following therapeutic elements and effects of Pansori. First, as a medicine, Pansori will be effective (in accordance with the person`s situation) not just for Koreans, but regardless of nationality. We have previously seen case studies involving foreigners, and Participants A, B, and C have all been seen to be experiencing the efficacy of Pansori. Second, the depth of the narratives in Pansori, developed collectively over a long period of time, can finely tune a person`s emotions. Participant A particularly enjoyed sad passages, and Participant B keenly felt the depth of the Pansori narratives, even going so far as to say that no part of it was unconnected to him and that his character had been transformed into a humbler and more thankful one. Participant C felt the depth of Pansori so much that, through the short songs “Sacheolga” and “Gangsangpungwol,” he felt as if he were studying the humanities. He also felt that he should let go of greed and that he could feel the wisdom of the ancestors. Moreover, he reduced his alcohol consumption after listening to the “Stop Consuming” passage in “Sacheolga.” Third, because of the Pansori genre`s distinctive characteristic of being many-sided, its therapeutic effect will also be many-sided, with its music therapy and literary therapy aspects being administered simultaneously. In the second study, the effects were shown to derive from the narrative aspect, and it seems that people like the musical aspect of Pansori because it depicts the inner psyche well. Fourth, whole-body vocalization, originating from the lower abdomen, strongly stimulates the internal organs and can have a beneficial effect on blood circulation, the musculoskeletal system, and the digestive system. This feature is most central to the physical aspect of Pansori therapy and has been discussed repeatedly in the case studies of Participants B and C. Fifth, Pansori`s rhythm is in the form of “Gi, Gyeong, Gyeol, Hae”; that is, rise, spread, tie, and loose, and of these, the loosening part is the most important. The beat is the smallest element of rhythm, and so the arrangement of the beat gives a sense of stability and predictability, thereby strengthening the participant`s own sense of stability. As Pansori is made up of rhythms, if a sense of stability is felt through Pansori, even if the rhythm is not commented on prominently, its effect should be considered. Sixth, Pansori is part of the natural voice age that preceded the machine age, and so it is only fun if a person takes part directly and experiences it live with other people; this may lead to therapeutic effects in people suffering from loneliness, depression, and nervous disorders arising from pent-up anger. This aspect is very apparent in those participating in the Pansori hobby classes, and those who continually take part in these classes give “people” as their main reason for continuing to take part. In conclusion, through the case studies it has been foun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Pansori (breathing and vocalization, music, narrative, rhythm and structure of Pansori, group activity) themselves have therapeutic effects. Both the Pansori hobby classes and Pansori therapy classes have therapeutic effects, and these effects seem to come from the essential nature of Pansori itself. It was also confirmed that Pansori therapy classes, which go more deeply into the study of Pansori with a focus on its therapeutic aspects, had much stronger and more rapid therapeutic effects than Pansori hobby classes.

      • KCI등재

        21세기 창작판소리의 성과와 과제

        박성환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한국전통문화연구소 2014 한국전통문화연구 Vol.14 No.-

        2000년대 들어서면서 국악전반에 걸쳐 새로운 창작을 통한 전통의 대중화가 큰 화 두가 되고, 기존의 선법과 장단, 발성까지 일탈에 가까운 변모 마저도 포용하는 사회 적 분위기 속에 소위 퓨전국악과 창작판소리가 활발히 공연되었다. 이 시기 창작판소리를 공연했던 주요 소리꾼들의 연령대는 20~40대로 대학과 대학 원과정을 마친 전공자들과 마당극등 문화운동을 했던 소리꾼들이 주류를 이루었다. 이들 젊은 소리꾼들은 몇몇이 모여 공연단체를 만들기도 했는데 대표적으로 『소리 여세』, 『타루』, 『바닥소리』등이 있다. 이시기 창작판소리의 특징을 대변할 수 있는 창작판소리 활성화의 기폭제역할을 한 작품으로는 이덕인의 <아빠의 벌금>, 박태오의 <스타 크래프트>, 김명자의 <수퍼댁 씨름 출전기>등이 있다. 동시대 대중이 실제 경험하고 있는 생활속 이야기를 재미있 고 생생하게 표현하여 큰 인기를 누렸는데, 그 외에도 박성환의 <대고구려>를 비롯하 여 이자람의 <사천가>등 30여 명의 소리꾼이 100여 편의 창작 판소리를 공연하였다. 이 시기 창작판소리의 특징은 첫째, 대학에서 판소리를 전공한 젊은 실기자들이 창 작의 주체로 참여하여 이전에 판소리를 지켜온 전통의 소리꾼들보다 폭넓은 시각을 갖고 시대의 변화에 민감하게 대응하려는 노력의 결과로 창작의 소재와 주제가 폭 발적으로 다양해졌다. 둘째, 어린이들을 위한 창작판소리가 만들어지는 등 유통과 저변확대를 위해 특정 수용자층을 겨냥한 전략적인 창작활동이 두드러진 점이다. 셋째, 사설의 문체가 대체로 현실에서 쓰는 생활어나 어린이들이 이해할 수 있는 쉬 운말로 구성되어 있어 전달력이 좋다. 넷째, 이 시기 창작판소리는 닫힌 무대를 벗어나서 마당이나 거리에서 열린 퍼포먼 스로 즉흥성과 현장성이 많이 가미된 형태로 공연된다는 점이다. 다섯째, 이 시기 창작판소리들은 현대적인 요소들의 혼입으로 인해 강한 실험성과 신기성을 띠면서 전통 판소리의 자장으로부터 멀리 벗어나 있고 내용과 형식에 있 어 그 수준이 높지 않다는 점이다. 2000년대 소위 또랑광대들이 행했던 작품들은 보다 흥미롭고 다양한 소재와 가벼운 주제에 경도되다시피하여 대중의 관심을 획득하였다하나 이는 일시적인 현상이요, 두 번 다시 보고 듣기에는 별반 가치가 없는 소모품으로 전락할 수 있다. 창작판소리의 발전을 위하여 먼저 소재나 주제에 있어 동시대성을 획득하면서도 판 소리다운 아름다운 문체와 문학적 언어를 구사하는 것은 이면에 맞는 좋은 소리를 짜기 위한 기본 토대이다. 작창에 있어서도 전통 5바탕에서 흔히 나오는 곡조를 비슷한 정서가 담긴 창작사설 에 그대로 덧씌워 작창하는 것이 아니라 독창적인 작곡을 통해 새로운 더늠들이 개발되어야 한다. 반주형태도 1인구연창에 1인 고수의 북연주로 그치지 않고 좀 더 다양한 반주와 극 적 효과를 구사하는 것도 적극적으로 개발해야 한다. 연행에 있어서도 ‘판소리는 판놀음이다’라는 주장이 지나쳐 주요 구성 요소인 음악 성이 차치되어서는 안된다. 결국 전통판소리의 원리와 실체를 파악하여 익히고, 사설, 작창, 작곡, 연행에 있어 서 각분야 전문역량의 힘을 합쳐 보다 전문성이 집약된 형태로 창작판소리를 개발 해 나갈 필요가 있는 것이다. 2000년대 창작판소리의 활성화는 매우 수구적인 판소리계에 금기처럼 여겨지던 창 작이 가능하고 의미있는 일이라는 인식의 전환과 토대를 마련하는 계기가 되었다. 전통 판소리가 많은 이들의 손과 입을 거쳐 적층된 문학과 음악, 연희의 복합체로서 오랜 시간 갈고 닦아진 결과로 훌륭한 예술이 되었듯이 창작판소리도 이제 그 내용 과 형식을 더 다듬고 닦아야하는 시기이다. 새로운 소리들이 계속해서 출현하는 가 운데 참신한 시도와 용감한 모험으로써 의미를 부여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문학적, 음악적, 연행적인 면에서 완성도를 쌓아가고 보편적인 의미와 가치를 대중 속에서 획득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과 관심이 필요하다. From the beginning of the 2000s, the popularization of gugak (Korean traditional music) increased as it became a hot issue. The social mood of this trend was flexible enough to allow musical deviation from conventional musical techniques, leading to the wider performances of fusion gugak and creative pansori (Korean traditional opera). The creative pansori singers at that time were 20 to 40 years old, and some were professionals with academic backgrounds in pansori at university, and others were madanguk (Korean traditional mask dance) performers who led the cultural movement through this style. The musical bands, such as Soriyuse, Taru, and Badaksori, were organized by those young singers. The representative works of the creative pansori singers, such as Penalty for Dad by Lee In-deo, Starcraft by Park Tae-ho, and Mrs. Super’s Wrestling Episode by Kim Myung-ja contributed to the popularity of creative pansori, as this style portrayed people’s life experiences in a vivid, humorous manner. In addition to those works, around 30 pansori musicians staged roughly 100 performances, including Great Goguryeo by Park Sung-hwan and Song of Sichuan by Lee Ja-ram. The pansori of the 2000s are characterized by several features; first, performance by young graduates with academic expertise, a wider perspective, and sensitivity to the changes of the era contributed to the effort to innovate the musical genre, helping the themes and subjects of the music flourish. Secondly, some ingenious strategies were invented to expand the publicity and the audience base for the genre. The composition of pansori pieces for children is an example. The adoption of plain language for performances also made it easy for kids to comprehend the performance. In addition, the pansori performances were staged in open places, such as yards or on streets, beyond the traditional closed theaters, and it featured a mix of improvisation and immediate responsiveness. Lastly, influenced by modern world, creative pansori showed a high degree of experimentation and novelty, distancing itself from the conventional pansori, although it was not yet sophisticated in content and form.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creative pansori, it is inevitable to speak of its refined, original, pansori language while inventing ways to draw and keep the public’s interest in it. The performers in the 2000s succeeded in attracting public attention with a variety of interesting light themes. However, the success wouldn’t be sustainable if they went so far as to lose its pansori-type qualities. Composing new creative pansori songs must be a process of creating completely original tunes rather than just applying new lyrics to existing tunes. For accompaniment, the options for various dramatic effects need to be developed rather than sticking only to a one-singer-one-drummer system. The claim that pansori is about acting may be legitimate, but it doesn’t indicate that singing must play second fiddle. Eventually, it is necessary for us to understand and familiarize ourselves with the principles and practices of pansori. We must also devote our best effort toward narrating, composing, acting, and creating tunes to develop creative pansori in which our professionalism is immersed. The creative pansori of the 2000s paved the way to raise our awareness that transforming pansori, which had been taboo in the conservative world of pansori, is feasible. After long-term endurance as a composite art of music, dance, and literature orally handed down, pansori could eventually be recognized as great art. Likewise, creative pansori needs to be polished and refined in content and form to be considered great art. Along with the willingness to challenge for betterment, continuing efforts and interest are needed to elaborate creative pansori in literary, musical, and acting terms in order to be valued by the public.

      • KCI등재

        창작판소리 <예수전> 연구

        이유진 판소리학회 2009 판소리연구 Vol.27 No.-

        "Jesujeon" is a newly created pansori work which is written based on the Bible, by the popular playwright Ju Taeik (1918-1978). It consists of two parts: "The Birth of Jesus Christ" (1969) and "the Passion and the Resurrection of Jesus Christ" (1970-1972?). Both of them were arranged and performed by the great pansori singer Park Dongjin (1916-2003), who devoted himself to the restoration of the old pansori works which are not transmitted any more and to the creation of the new pansori works, and became one of his masterpieces being performed more than 300 times while he was alive. On this account, "Jesujeon" came into the spotlight and has been mentioned in many papers and articles. However, "Jesujeon" has not been studied yet. Since some critics and scholars underestimated this work in the 80s and in the 90s, there has been no scholar who tried to take a close look at this work. But, the underestimation of "Jesujeon" seems to be based on false premises. Many critics and scholars regarded the five traditional pansori works as the canon of pansori and made the qualities of the five traditional pansori works the criteria for all pansori works. Consequently, it was unavoidable that newly created pansori works including "Jesujeon" were underestimated because newly created pansori works are basically different from traditional pansori works. A traditional pansori work had been formed and transformed by many singers in a long time. A newly created pansori work, on the other hand, is written by an individual writer. So, it is natural that there is a fundamental difference between traditional pansori and newly created pansori. Now we must change our view of newly created pansori and revaluate "Jesujeon". "Jesuje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newly created pansori works, not because it is the masterpiece of the great pansori singer Park Dongjin, but because it is the first work that has proved that a newly created pansori work could be as successful as a traditional pansori work. This paper discusses the qualities of "Jesujeon" from a new point of view and examines its significance in pansori history. 창작판소리 <예수전>은 실전판소리 작품의 복원과 새로운 판소리 작품의 창작에 힘썼던 박동진 명창이 직접 곡을 붙이고 가창하여 널리 알려진 작품이다. 그래서 다른 창작판소리 작품들에 비해 학계의 주목을 많이 받았고, 박동진 명창 관련 논문 또는 창작판소리 관련 논문에서 자주 언급되었다. 그러나 이제까지 한 번도 이 작품이 자세히 연구된 적은 없었다. 아마도 이 작품이 처음 논단에 올라왔을 때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기 때문에 일찍부터 연구자들의 관심 밖으로 밀려나 버린 듯하다. 그런데 <예수전>에 대한 과거의 부정적인 평가는 창작판소리에 대한 이해의 부족에서 비롯된 것이다. 적층문학 또는 구비문학인 전통판소리와 개인문학 또는 기록문학인 창작판소리의 근본적인 차이를 인정하지 않고, 전통판소리를 보는 시각에서 창작판소리를 보았기 때문에 <예수전>이나 그 밖의 다른 창작판소리 작품들이 모두 실패작처럼 보일 수밖에 없었다. 실제로 <예수전>은 1969년 첫 발표 이래 현재까지 40년 동안 꾸준히 향유되면서 창작판소리 작품도 전통판소리 작품 못지않은 성공을 거둘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준, 우수한 작품이다. 이제 편견을 버리고 공정한 시각에서 <예수전>을 재평가해야 하며, 그렇게 하기 위해서 먼저 작품을 자세히 연구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그 동안 잘 알려지지 않았던 <예수전>의 창작 경위와 자료의 실상을 밝히고, 작품을 세밀하게 분석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작품의 성과와 판소리사적 의의를 고찰했다.

      • KCI등재

        『하재일기(荷齋日記)』를 통해 본 19세기 말기 판소리 창자와 향유층의 동향

        김종철 판소리학회 2011 판소리연구 Vol.32 No.-

        Hajae’s Diary[Hajae-ilgi, 荷齋日記] was written by Kyu-shik Ji(1851~?)who was a Gongin[貢人] capitalist and a partner at the Bunwon Gongso(分院貢所: the pottery branch under government-turned-private management at Bunwon village, Kyounggi province). His diary reflects movements of singers and audience of pansori at the closure of 19th century which are unknown so far. The movements are as follows. 1. His diary informs us of several native pansori singers in Kyounggi province in 19th century. They are Man-seong Kim from Yangguen, Ki-jong Kim from Yeoju, and You-hak Han from Yicheon. Their existence means that there were genealogies of pansori in Kyounggi province in 19th century. Besides his diary informs us of another pansori singers : Man-eok Choi and Yang-woon Jo. Jo was a disciple of famous western style singer Chang-yun Lee. 2. Kyu-shik Ji and his colleagues listened to pansori performance often at their pottery office and Kyu-shik Ji took pleasure in listening to pansori performance several times at hotel in Seoul. So factory and hotel became new performance hall for pansori at the closure of 19th century. 3. Kyu-shik Ji and his colleagues were ‘Gongin[貢人]’ capitalists who invested their money in Bunwon Gongso which became a ceramic company afterwards. Their frequent listening to pansori means that merchants and industrial capitalists appeared on stage as new pansori fans at the closure of 19th century. 4. The estimated average reward for one time pansori performance of a master singer in the latter half of 19th century was fifty ‘nyangs[兩]’. This information is useful for the sociological approach to pansori. 5. There were a classification of pansori singers by age in the latter half of 19th century. Adult pansori singers were called ‘Changbu[唱夫]’ and boy singers were called ‘Changdong[唱童]’ means a master singer of young age. Besides Hajae’s Diary has lots of information about Korean pre-modern novels, Korean traditional dramas, and Korean traditional religious rituals of Bunwon Gongso and Bunwon village. 『하재일기』(荷齋日記)는 경기도 양근(陽根)의 분원공소(分院貢所)의 공인(貢人) 지규식(池圭植:1851~?)이 1891년부터 1911년까지 약 20년 7개월동안 쓴 일기이다. 이 일기에는 분원공소의 운영에 참여했던 지규식의 업무와 개인 생활이 비교적 상세하게 담겨있는데, 그 중에 판소리, 소설, 연극향유 기록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지규식의 판소리 향유 기록은 다섯 가지 점에서 가치가 있다. 첫째, 경기도 출신 판소리 창자를 비롯한 새로운 판소리 창자의 연행 활동이 기록되어 있다. 새로 발굴된 경기도 출신 판소리 창자는 양근(陽根)의 김만성(金萬成), 여주(麗州)의 김기종(金基宗), 이천(利川)의 한유학(韓有學) 등 세명이다. 이 외에 최만억(崔萬億)과 조양운(趙良雲)도 새롭게 발굴되었다. 조양운은 이창윤(李昌允)의 제자로 밝혀졌는데, 경성구파배우조합의 간부로 활동하는 등 1910년대까지 활동한 창자였다. 둘째, 판소리가 분원공소라는 공업 생산 현장과 서울의 여관에서 공연된 점이 확인되었다. 이 두공간은 기존의 연행 공간과 다른 것이어서 판소리가 사회 경제적 변화에적극적으로 대응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셋째, 지규식은 공인(貢人)에서 근대적인 자본가로 변신해갔던 인물이다. 이런 인물이 판소리 향유에 적극적이었다는 사실은 판소리가 19세기를 경과하면서 상인층 내지자본가층을 향유층으로 확보했음을 보여준다. 이 사실은 19세기 후반 판소리 향유층 구성과 관련하여 주목될 필요가 있다. 넷째, 19세기 후반 판소리명창들의 일반적인 공연 보수를 짐작케 해주는 자료가 포함되어 있다. 1회연행에 50냥이 평균적인 보수로 보이는데, 이는 판소리의 예술사회학적 연구에 유용한 정보이다. 다섯째, 19세기 후반에 창동(唱童)이란 용어가 소년(少年) 명창(名唱)을 지칭하는 용어로서 성인(成人) 창자를 지칭하는 창부(唱夫)와 구별되어 쓰였음을 알 수 있다. 하재일기에는 판소리 향유 기록 외에 소설과 연극의 향유, 민간 신앙의례의 전승과 관련된 기록이 비교적 풍부하게 들어 있다. 그리고 전통적인 유교적 교양을 가진 지규식이 애국계몽기에 자기 지역에서 학교 설립을주도하는 등 계몽운동에 헌신하고, 개인적으로는 기독교에 입문했다가 천도교로 개종하는 등 신앙 편력을 한 기록도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사실들은 근대 전환기 지방의 문화를 입체적으로 이해하는데 유용한 자료라 할수 있다.

      • KCI등재후보

        판소리 눈대목의 장르분화와 현대적 재창조의 과제 판소리<춘향가> 중 ‘사랑가’ 대목을 중심으로 -*

        조순자 한국인간과자연학회 2022 인간과자연 Vol.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the task of genre differentiation and re-creation of Pansori, paying attention to the ‘Love song’ of <Chunhyangga>, which was developed through the deonum of several master singers. Today, Pansori ‘Sarangga’ is performed along with traditional Pansori in Gayageum Byeongchang, Changgeuk, crossover, fusion Korean music, and fusion genres. The details from the perspective of Pansori 'typical'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editorials of ‘Jajinsarangga’ handed down through the deonum(더늠) of Go Soo-gwan, ‘Eumsik Taryeong(음식타령)’ is sung by all singers regardless of school.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usical characteristics, the buchimsae(부침새) and melodic composition of the lyrics were maintained without change in the same genealogy, and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the genealogies of different genealogies. However, the cadence of the melody appeared the same regardless of the class or genre. Third, Gayageum Byeongchang and Changgeuk, which are derived from genres of Pansori, maintained the lyrics as typical, and Gayageum Byeongchang had a change in melodic progression. Fourth, in the case of crossover, fusion Korean music, and fusion genres grafted with Pansori, the composition method of ‘Aniri-Chang’ was maintained in common, and there were differences by singers in melody or rhythm. The task of recreating Pansori in the 21st Century begins with identifying the elements of archetype. For the development of Pansori, traditional pansori must be handed down in its original form, and the typical elements that represent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pansori must be maintained in grafting with other genres including creative Pansori and Gayageum Byeongchang. When the identity of Pansori-likeness is maintained, the meaning of re-creation as a modern transmission of Pansori can be secured. In the future, Pansori can spread in various aspects to create modern performing arts and be incorporated into the performance field. And I hope that related follow-up studies will continue. 본 연구의 목적은 여러 명창의 더늠으로 발전된 <춘향가>의 눈대목 ‘사랑가’에 주목하여 판소리의 장르분화와 재창조의 과제를 모색하는 데 있다. 오늘날 판소리 ‘사랑가’는 전통판소리와 더불어 가야금병창, 창극, 크로스오버, 퓨전국악, 융합 장르 등에서 공연되고 있다. 판소리 ‘전형’의 관점에서 살핀 세부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수관 더늠으로 전승된 ‘자진사랑가’의 사설 중 ‘음식타령’은 유파를 막론하고 모든 창자가 부르고 있다. 둘째, 음악적 특징을 살핀 결과, 동일계보에서는 사설의 붙임새와 선율구성 변화 없이 유지되었으며, 계보가 다른 창자들에서는 차이가 존재했다. 다만, 선율의 종지는 유파나 창자의 구분 없이 동일하게 나타났다. 셋째, 판소리의 파생 장르인 가야금병창과 창극은 사설을 전형대로 유지하였으며, 가야금병창은 선율진행에 변화가 있었다. 넷째, 판소리와 접목한 크로스오버, 퓨전국악, 융합장르의 경우 아니리와 창을 하나로 묶는 ‘아니리-창’의 구성방식이 공통으로 유지되었으며, 선율이나 장단에 있어 창자별 차이를 나타냈다. 21세기 판소리 재창조의 과제는 전형의 요소를 확인하는데서 출발한다. 판소리의 발전을 위해서는 전통판소리는 반드시 전형대로 전승해야 하고, 창작판소리, 가야금병창을 비롯한 타 장르와의 접목에서 판소리의 본질적 특징을 나타내는 전형의 요소가 유지될 수 있어야 한다. 판소리다움이라는 정체성을 유지할 때, 판소리의 현대적 전승이라는 재창조의 의미를 확보할 수 있다. 향후 판소리가 현대적 공연예술로 거듭날 수 있는 다양한 확산 가능성을 살려 공연현장에 접목할 수 있기를 바라며, 또한 관련 후속 연구가 이어지기를 희망한다.

      • KCI등재

        판소리 사설 문장의 종결어미(語尾)와 가야금 가락과의 관련성 고찰 -진양조로 불려지는 가야금 병창곡을 중심으로-

        유선미 한국국악학회 2012 한국음악연구 Vol.51 No.-

        판소리는 민중의 삶 속에서 태동한 무가(巫歌)에 근원을 두면서 전통 음악 어법을 수용하여 발전한창악적(唱樂的) 구비서사시(口碑敍事詩)로 기악 독주곡인 산조에 절대적인 영향을 주었다. 판소리에 바탕을 둔 산조가 등장한 것과 비슷한 시기에 가야금에 판소리를 얹어 부르는 병창 형식이 나타났다. 판소리에서 사설을 제외한 것과 음악 구성 요소가 똑같은 산조는 가야금을 연주하면서 판소리를 부르는 병창과 종지 형태가 같을 것이라는 추론 하에 종지형이 음악 단락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를분석하기 위해 사설 내용 전개에 따른 판소리 종지형을 관련지어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본 논문에서는 선율적으로만 연구된 종지형이 아닌 판소리 사설 문장의 종결어미에 붙는 선율의 종지음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그 종지음이 판소리의 내용 전개와 어떤 관련이 있으며, 음악 문단 종지음에서 반주되는 가야금 가락이 어떠한 유형으로 연주되며, 그 유형은 사설 내용 전개에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그 관련성을 논하였다. 그 결과, 판소리의 사설 문장 종결어미(종결기능을 가진 연결어미도 포함)에는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판소리의 종지인 본청의 ‘동도 종지’나 본청의 ‘4도 하행 종지’음이 붙는다는 점을 확인했다. 이때사설의 종결어미가 ‘문제제기, 전제(前提), 이유, 명령’ 등의 의미를 갖고 있으면 주로 본청의 4도 하행 종지음이 붙으면서 다음 단락과 내용을 연결을 해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사설의 종결어미가 ‘나열, 감탄, 추측, 알림, 청유’ 등 서술의 의미를 지닐 경우에는 선율에동도 종지음이 붙으면 종지 역할을 하고, 4도 하행 종지음이 붙으면 다음 단락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판소리 가야금병창에서 가야금 가락의 반주는 판소리 사설의 종결어미가 갖고 있는 의미,선율의 종지음에 따라 판소리 단락을 종지하는 가락, 다음 단락으로 연결하는 가락으로 분류되고 이러한 가야금 가락의 종지 유형은 가야금산조에서 나타나는 종지 유형과 유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판소리 사설 문장 종결어미에 따른 가야금 가락 종지형들을 기초삼아 가야금산조에 대한 전반적인 분석‧고찰을 통해 판소리 사설 문장이 가야금산조의 산조 음악 단락을 구성하는데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Pansori was inherited from the shaman songs which had been created from the lives of Korean commoners. These songs have included the accepted traditional Korean musical characteristics and heavily influenced sanjo, a solo instrumental music. Byungchang, which is pansori sung along with the accompaniment of gayageum,emerged around the same time that sanjo and pansori formed. Thus, sanjo which has the same component as pansori, excluding its texts, can be assumed to have the same cadence style as pansori. Therefore, for analyzing the role of the cadence in sanjo, this paper aims at the study of the cadence of pansori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the words of pansori. For this purpose, this paper analyzes the formation of the cadence added to the end words of a sentence in pansori, not just focusing on the melodic cadence of pansori. Additionally, it includ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dence and the plot of pansori as well as of the melodies of gayageum as accompanied by the cadence of pansori. This study also focuses on the roles of these melodic gayageum cadences in relationship to the developing plot of pansori. This study assures that the end words (including the connecting words of the concluding roles) were added to the tonic note of the cadence or to the cadence transposed below the fourth from the tonic, previously known as the pansori cadence. When the end word of the texts means ‘suggestion’, ‘premise’, ‘cause’, or ‘order’, the notes below the fourth from the tonic note perform the role of connecting the next paragraph and notes. However, when they mean ‘arrangement’, ‘exclamation’, ‘supposition’, ‘information’, or ‘recommendation’, the notes with the tonic tone perform the role of its cadence. In addition, the end words as well as the notes below the fourth from the tonic note perform the role of connecting the next paragraph and notes. According to these results, this study identifies that byungchang singing pansori along with the accompaniment of gayageum has either a concluding cadence or a connecting cadence depending on the meaning of the end words of the pansori text and that the cadence style is similar to that of gayageum sanjo. Furthermore, the following studies expect the roles of the melodic cadence of gayageum sanjo to form the music.

      • KCI등재

        판소리를 수용한 산조의 음악 양식에 관한 연구

        유선미 판소리학회 2010 판소리연구 Vol.29 No.-

        Sanjo had been developed as a music having improvising with a fixed foam under the influence of Pansori from the Heotuen melody of Korean Shamanism music. Currently, this traditional musical characteristic of Sanjo has been loosed by adapting the Western music notation and approaches. For this reason, this study considered Sanjo and Pansori had the same musical style by comparing Sanjo and Pansori influenced to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Sanjo, and aimed to understand the traditional musical characteristic of Sanjo. The followings were the results after comparing the musical style of Sanjo and Pansori. ․Both Sanjo and Pansori were based their origins on Korean Shamanism music. ․The names of Sanjo Jangdan, the constitution of the Jangdan by Ki․Kyung․ Kyul․Hae of Jinyangjo, and the Naedueruem of each Jangdan and the foam of Doseop Jangdan are the same with those of Pansori. However, Pansori used Jangdan by the contents of its texts, and the Sanjo Jangdan having no its texts had fixed the foam by the orders of tempo, like Jinyang‐Jungmori‐JungJungmori‐Jajinmori‐Hwimori. ․The musical mode of Sanjo used those of Pansori, like Utjo․Pyungjo․Gyemyunjo which had used in Gagok or Youngsanhwoesang, and had been developed by the content of its texts. However, the mode of Sanjo having no its texts expressed by subdividing that of Pansori. ․After the Sigimsae of Pansori considered the sound with combining its melody, and compared the sounds by the melodies of Sanjo, this paper concluded that Sanjo expressed the Sigimsae of Pansori using instruments. Consequently, since Sanjo is the music which absorbed and developed the musical style of Pansori, it is improper that this music has been taught, and played by the Western musical approaches for the simple reason of its convenience. Furthermore, the author argued that the Jangdan, Sigimsae, and mode of Sanjo should be understood by the Korean traditional musical style although the music wrote by the Western notation. She also proposed that the learners of Sanjo need to be familiar to the Jangdan, Sigimsae, and mode of Pansori by learning or deep listening it. 산조는 무악(巫樂)의 흩은 가락에서 판소리의 영향을 받아 정형적(定刑的)이면서도 즉흥성이 살아있는 음악으로 발전해 왔다. 그러나 오늘날 서양음악 형식의 채보와 교육방법에 의해 산조가 지니는 전통적인 음악 특징을 잃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산조 형성과 발달에 절대적 영향을 끼친 판소리의 음악양식과 오늘날 산조의 음악양식을 비교하여 산조가 판소리와 동일한 음악양식을 갖고 있음을 고찰하고, 산조의 전통적인 음악특징을 바르게 이해하는 데 목적을 둔다. 본 고에서 산조와 판소리의 음악양식을 비교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판소리와 산조는 음악적 근원을 무악에 두고 있음이 같다. ․산조장단의 ‘명칭, 진양조 기(起)경(景)결(結)해(解)에 따른 장단구성, 각 장단의 내드름, 도섭장단형식’ 등이 판소리의 그것과 같다. 다만 판소리는 사설 내용에 따라 장단이 사용되며, 사설이 없는 산조는 장단을 ‘진양-중모리-중중모리-자진모리-휘모리’등 빠르기 순으로 정형화 하였다. ․산조의 악조(樂調)는 판소리의 악조와 같은 것을 사용한다. 판소리의 악조는 이전부터 전해 내려 온 전통음악, 즉 가곡이나 영산회상 등에서 사용하던 우조․평조․계면조를 사용하되 사설의 내용에 따라 좀더 세분화시켜 발전되었고, 가사 없는 산조의 악조(樂調)는 판소리의 악조를 더욱 세분화 시켜 악상을 표현하였다. ․판소리의 시김새를 선율과 결합되어 있는 목으로 분류 고찰하고, 산조의 선율에 따른 성음들을 비교 분석한 결과 산조는 판소리의 시김새를 악기로 표현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산조는 판소리의 음악양식을 그대로 흡수 발전시킨 음악이다. 이러한 음악을 단지 편하다는 이유로 서양 음악의 리듬과 박자, 그리고 음 이름을 사용하여 교육하고, 또 서양음악 어법으로 이해하여 연주하는 것은 올바르지 않다. 본 연구자는 산조를 교육하고 연주하는데 있어 표기는 서양음악식 기보를 사용하더라도 음악의 장단․시김새․악조(樂調) 등은 국악어법으로 이해해야 한다고 본다. 또한 산조를 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산조 선행학습으로 판소리를 배우거나 많이 들어서 장단․시김새․악조(樂調)등이 익숙해지도록 할 것을 제언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