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모가 인식하고 있는 일상적 바깥놀이 실태 분석 (경기도를 중심으로)

        김용숙,윤희봉,유지은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1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and condition of children’s playgrounds in K which parents recognize as in Gyeonggi-do and provide basic data for the qualitative environment for daily outdoor play of young Children. To do so, a survey of 269 parents living in Gyeonggi-do was conducted and reconstructed based on the advanced research related to outdoor play. Also it was evaluated and revised after consultation with 3 children education specialists. The repossessed questionaries were frequency-analyzed with SPSS 20.0 program. The result of the analysis on outdoor playgrounds is in the following. First of all, it was analyzed that parents required 1 or 2 hours for their children to play outdoors in a type of “forest playgrounds.” Moreover, they said that it was really important for the children to feel “interesting and funny” during the outdoor play, and they recognized that the play would be helpful for the children’s socialization. However, they felt that a risk factor of the outdoor play was “a vehicle risk in streets.” Secondly, the study suggested that there were outdoor playgrounds around parents’ houses, and a type of the outdoor play was “a playground installed in the apartment complex.” Furthermore, most of the parents weren’t satisfied with the outdoor play because the apartment neglected the management of the playgrounds, and there were no playing facilities that were good enough to derive children’s curiosity and adventurous spirit. The result also showed that most of the children played outdoors with “their mothers,” and they participated in indoor activities, especially playing a game or watching TV rather than outdoor activities after attending a children educational institute. Lastly, when it comes to areas of outdoor play to be improved, it was necessary to “expand playgrounds that children can use for each season,” build “safe playgrounds” for a type of the outdoor play,” provide “playing spaces” for a spatial type, and “control vehicles around the playgrounds and deal with dangerous things” to prevent safety accidents. The result can expand the understanding of outdoor play for Young Children and offer discussions about the relevant organizations and studies. 본 연구의 목적은 경기도 K시의 부모가 인식하고 있는 일상적 바깥놀이의 실태를 분석하여 바깥놀이의 질적 환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부모 26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으며, 바깥놀이 관련 선행연구의 내용을 바탕으로 재구성 한 후 유아교육전문가 3인의 협의 하에 수정․보완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는 SPSS 20.0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바깥놀이터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바깥놀이 현황에서는 부모들은 바깥놀이에 대해 필요한 시간은 1-2시간, 형태는 “숲 놀이터”이며, 이를 통해 “재미”를 느끼고, 사회성 발달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오고가는 길에 차량의 위험” 으로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었다. 둘째, 바깥놀이 실태에서는 집 주변에 대부분 바깥놀이는 “아파트 단지 내에 설치되어 있는 놀이터”이었으며, 대부분 엄마와 함께 놀이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바깥놀이에 대해 만족하지 못하였으며, 이유는 관리의 소홀함과 호기심과 모험심을 자극할 말한 놀이 시설이 없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부분 바깥놀이 보다는 집안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었으며, 특히 게임 또는 TV 시청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바깥놀이의 개선점으로 영역은 “계절별로 이용할 수 있는 시설 확대”, 형태는 “안전을 강조한 놀이터”, 공간형태는 “놀이 공간”이며,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주변 차량 통제 및 위험물 관리”를 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영유아 바깥놀이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고 관련기관 및 연구에 논의를 제공할 수 있다.

      • KCI등재

        영국 및 핀란드 유아교육기관의 실외놀이:

        나귀옥(Nah, Kwi-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9

        본 연구는 영국과 핀란드의 유아교육기관에서 어떻게 질 높은 실외놀이가 이루어 지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각 국가에서 실외놀이가 우수하다고 인정받는 4개 기관을 추천받아 2016년 8월부터 2017년 9월 사이에 2차례씩 방문하여 실외 환경구성 및 제공되는 자원과 재료, 운영, 및 영유아들의 실외놀이를 관찰하고, 실외놀이의 가치에 대하여 교원을 면담하였다. 그 결과, 이들 기관에서는 모든 환경 구성과 활동이 자연을 지향하였고, 실외놀이는 건강과 웰빙을 위해 실행되었다. 또한 날씨에 구애받지 않고 실외놀이를 실시하며, 위험성이 있는 놀이에 도전하도록 허용하면서도 안전점검을 통하여 도전과 안전이 공존하는 양상이었다. 그들은 단순한 실외놀이를 넘어서서, 실내 영역과의 통합을 추구하였으며, 유아들의 흥미와 선택권을 존중하여 유아들끼리 주도적으로 활동하도록 함으로써 자율성과 독립심을 성취하도록 격려하는 모습이었다. 우리나라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의 웰빙과 건강, 실내외활동의 연계와 확장, 유아의 주도성, 상상력, 창의력, 문제해결력을 증진시키는 실외 놀이의 실현을 위하여 이러한 측면들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how quality outdoor play is implemented in preschools in England and Finland. The four preschools in each country which were known as high quality in terms of outdoor play were selected as samples. The researcher visited these institutions twice, once in warm season and once in cold season as the outdoor play is implemen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weather and seasons. She observed children’s outdoor play, the environment of outdoor areas, resources and materials provided, the management of outdoor areas in terms of time and space. She also interviewed with the educators in order to find out their perspectives on the importance and values of outdoor pla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outdoor areas of these preschools were characterized as ‘towards nature’, and the outdoor play was implemented for ‘wellbeing and health’. The outdoor areas were opened in all weathers and risky play was allowed. However, challenges and safety were co-existed by achieving balance between proper safety check and challenging and risky play. They pursuit the integration of indoor and outdoor activities, beyond just simple outdoor play, through constitution of a variety of areas and various resources and materials in outdoor environment. They encouraged children’s autonomy and independence through child-initiative play and activities among children by regarding children’s interests and choices. In preschools in our country, we need to consider these characteristics of outdoor play in England and Finland in order to promote children’s wellbeing and health, connection and extension of indoor and outdoor play and activities, children’s initiatives, imagination,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capacity.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 실외놀이터의 질적 수준과 교사의 실외놀이 인식에 따른 군집별 유아 실외놀이 정도에 대한 인식 차이

        김명순 ( Kim Myoung Soon ),김지연 ( Kim Ji Yeon ),최지예 ( Choi Ji Yea ),윤선영 ( Yoon Sun You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2 유아교육연구 Vol.42 No.1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기관 실외놀이터의 질적 수준과 교사의 실외놀이 인식에 따른 군집별 유아 실외놀이 정도에 대한 인식 차이에 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 지역 유아교육기관 12개소의 실외놀이터와 해당 기관에 근무하는 교사 7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외놀이터 질적 수준과 교사의 실외놀이 인식, 교사가 인식하는 유아의 실외놀이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실외놀이터 질적 수준 평가 척도와 실외놀이 교사 인식 척도를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일원변량분석, 사후검증, 계층적 군집분석 및 K-평균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교육기관 실외놀이터 질적 수준과 교사의 실외놀이 인식은 유아의 실외놀이 정도에 상관이 있었으며, 유아교육기관의 실외놀이터 질적 수준과 교사의 실외놀이 인식의 군집별 유아의 실외놀이 정도에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의 실외놀이를 장려하기 위해 실외놀이터 환경과 교사의 인식 개선에 관해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outdoor play of children according to the quality level of outdoor playground of child center and teacher’s perception of children’s outdoor pla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1 teachers, who worked at 12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The Korean Outdoor Playground Quality Assessment Scale(K-OPQAS; Kim, Choi, & Kim, 2018) and Outdoor play perception scale(Fisher, Hirsh-Pasek, Golinkoff, & Gryfe,2008) were used to evaluate the quality level of outdoor playground environment and teacher’s perception of children’s outdoor play.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 Pearson's correlation, one-way ANOVA, Post-hoc test, hierarchical clustering, and K-means clustering via SPSS 21.0 program. There were correlations among the quality level of outdoor playground of child center, teacher’s perception of children’s outdoor play and the degree of outdoor play of children.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cluster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quality level of outdoor playground of child center and teacher’s perception of children’s outdoor play were found in the degree of outdoor play of childre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rovement of the outdoor playground environment and teacher perception were proposed to encourage outdoor play of children.

      • KCI등재

        바깥놀이에 대한 유아교사의 어린시절 놀이경험, 인식, 실행 수준 간 관계 : 한-일 비교연구

        이유미(Lee, You Me),김선정(Kim, Sun 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4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바깥놀이에 대한 한국과 일본의 국가 간 비교를 통해서 유아교사의 어린시절 놀이경험, 인식, 실행 수준의 일반적 경향성과 차이를 분석하고, 바깥놀이 실행을 활성화 시키기 위한 내재적 변인 간 관계를 파악하는데 있다. 방법 연구대상은 한국 유아교사 240명, 일본 유아교사 245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신뢰도분석, 독립표본 t-검증, 상관관계분석과 매개효과 검증을 위한 위계적 회귀분석 및 유의성 검증을 위해 부트스트래핑 방식을 통한 검증을 적용하였다. 결과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바깥놀이에 대한 유아교사의 어린시절 놀이경험, 방해요인, 실행 수준의 한-일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한-일 유아교사의 어린시절 바깥놀이 경험, 인식, 실행 간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바깥놀이에 대한 유아교사의 어린시절 놀이경험과 실행 간 관계에서 한국과 일본 모두 바깥놀이에 대한 인식의 완전매개 효과가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 유아교사의 바깥놀이에 대한 어린시절 놀이경험, 인식, 실행 간의 비교 분석을 통한 국가 간 차이점의 확인, 어린시절 바깥놀이 경험이 바깥놀이 실행에 미치는 간접적 영향력 및 바깥놀이에 대한 인식이 실행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한국과 일본의 사회적 맥락의 유사성과 연구결과에 따른 차이점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유아교육기관 바깥놀이 활성화 방안에 대한 방향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the general tendency and the level of play memories, perception, and oper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rough comparison between Korea and Japan on outdoor play, and to identify the intrinsic variables to activate the execution of outdoor play.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40 Korean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245 Japanes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reliability analysis, t-tes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5.0 program, and th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by bootstrapping method. Results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Korea and Japan in memories of outdoor play, obstacles and operating level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eco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emories of outdoor play, perception and oper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Korea and Japan.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emories of outdoor play and operation, both Korea and Japan showe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of perception. Conclusions This study was significant in that it identified differences between countrie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childhood outdoor play memories, perceptions, and operations of Korean and Japanese childhood teachers and confirmed that indirect influence on outdoor play and awareness of outdoor play are key factor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imilarities in the social contexts of Korea and Japan and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results were examined, and the directions and implications for the revitalization of outdoor pla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Korea were discussed.

      • KCI등재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실외놀이의 어려움과 활성화 방안

        김은희,유준호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2 유아교육학논집 Vol.1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eachers' perception of outdoor play and difficulties in implementing outdoor activitie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comprehended the meaning of outdoor play as follows: 'communion with nature', 'creative play', 'stress relief', 'communication'. Second, the major causes for the difficulties of implementing outdoor activities are as follows; 'the teacher's role confusion between safety director and play participant; and conflicts in outdoor activities', 'the conflict between results-oriented and process-oriented', 'shortage of teacher's educational belief in outdoor play'. Third, the methods on how activate outdoor play are as follows: 'outdoor play with ties to indoor play related to life themes', 'offering outdoor guidance and strengthening supervision ', 'providing an attractive outdoor educational instrument', 'improving teacher's awareness about outdoor play'. 본 연구에서는 유치원 교사를 통해 본 실외놀이의 의미와 교사들이 생각하는 실외놀이의 어려움, 실외놀이 활성화방안은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했다. 연구대상은 경기, 인천, 강원 지역 유치원 교사 10명이며 2010년 1월부터 4월에 걸쳐 심층면담을 실시했고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사들은 실외놀이의 의미를 ‘자연과의 교감’, ‘창의적 놀이’, ‘스트레스 해소’, ‘소통’으로 이해했다. 둘째, 교사가 인식하는 실외놀이 실행의 어려움은 ‘안전지도와 놀이 참여자 사이의 갈등’, ‘결과 위주의 교육과 과정 중심 교육 사이의 갈등’, ‘실외놀이에 대한 교사의 교육적 신념 부족’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가 인식하는 실외놀이 활성화 방안은 ‘생활주제를 중심으로 실내활동과 연계된 실외놀이 운영’, ‘실외놀이의 지침서 제공과 장학지도 강화’, ‘매력적인 실외놀이 교구 제공’, ‘교사의 인식 개선’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어머니의 실외놀이 태도와 지역사회 놀이환경 인식이 초등학생 아동의 실외놀이 참여 수준에 미치는 영향

        김명순 ( Kim Myoungsoon ),신혜영 ( Shin Hyeyoung ),신보원 ( Shin Bowon ) 열린부모교육학회 2021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3 No.2

        본 연구에서는 McFarland 외(2011)가 개발한 ‘자녀 실외놀이에 대한 부모 태도(PACOR)’ 척도의 요인 구성 및 타당도를 평가하고, 어머니의 실외놀이 태도와 지역사회 놀이환경 인식이 아동의 주중과 주말 실외놀이 참여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인천, 경기, 광주, 전주, 부산 지역에 거주하며 초등학교 1~3 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어머니 766명의 응답을 활용하여 PACOR 척도에 대해 SPSS 25.0 프로그램과 AMOS 26.0을 이용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연구모형 검증을 위해 기술통계, 상관분석 및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자녀 실외놀이에 대한 부모 태도(PACOR)’ 척도는 4요인 20문항으로 최종 구성되었고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되었다. 둘째, 초등학교 1~3학년 아동들의 주중 실외놀이 참여에는 어머니의 지역사회 놀이환경 인식이, 주말 실외놀이 참여에는 어머니의 실외놀이 태도와 지역사회 놀이환경 인식이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아동의 주중과 주말 실외놀이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에 질적으로 우수한 놀이환경이 조성되는 것이 중요하며 주말 실외놀이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 실외놀이 태도도 함께 개선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validity of the 'Parental Attitude toward Children's Outdoor Play (PACOR)' scale, developed by McFarland et al(2011)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mothers' attitude toward outdoor play, perceived neighborhood quality for play, and children’s participation in outdoor play. Th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766 mothers with children aged 6~8 living in Seoul, Incheon, Gyeonggi, Gwangju, Jeonju, and Busan.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collected data using SPSS 25.0 program and AMOS 26.0. The normality of the data was review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were analyz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arent Attitude towards Children's Outdoor Play (PACOR)' scale was composed of 20 items with 4 factors, and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secured. Second, mother's perceived neighborhood quality for pla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weekday outdoor play participation of children. And mother's attitude toward outdoor play and perceived neighborhood quality for pla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weekend outdoor play participation of children. Therefore, in order to promote children's outdoor play participation, it is important to create high quality play environment in local community and strengthen mother’s attitude toward outdoor play.

      • KCI등재

        만 5세 유아의 성별, 기질, 그리고 바깥놀이 환경이 바깥놀이 행동 유형에 미치는 영향

        박희숙(HEE SOOK PARK),이효림(Lee Hyo Rim) 한국육아지원학회 2015 육아지원연구 Vol.10 No.3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바깥놀이 행동유형을 분석하고, 유아의 바깥놀이 행동유형과 유아의 성별, 기질 및 바깥놀이 환경 간의 관계와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만 5세 유아 77명(남아 34명, 여 아 43명)이다. 연구 결과, 첫째, 유아의 바깥놀이 행동유형은 신체적 활동, 창의적 활동, 비놀이 순으로 나 타나 전체적으로 바깥놀이에서 신체적 활동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유아의 바깥놀이 행동유형은 성별에 따라 신체적 활동 중 규칙에 얽매이지 않는 게임, 고정된 시설을 이용한 대근육 활동, 규칙 있는 게임, 창 의적 활동 중 가상놀이, 조작적 가상놀이, 비놀이 중 탐색 및 텃밭활동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바깥놀이 행동유형과 유아의 기질 및 바깥놀이 환경 간의 관계에서 순한 기질의 유아일수록 규칙 있는 게임과 조작적 가상놀이를 즐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바깥놀이 환경의 질이 좋을수록 유아들은 규 칙 있는 게임, 신체적 조작활동, 조작적 가상놀이, 가상놀이, 구조물 놀이를 하였다. 셋째, 유아의 성별, 기 질, 바깥놀이 환경 중 유아의 바깥놀이 행동유형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은 바깥놀이 환경으로 나타 나 바깥놀이터의 시설이나 도구지원, 안전을 위한 관리 및 점검, 놀이 확장을 위한 교사의 지원이 유아의 성별이나 기질보다 유아의 바깥놀이 행동유형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유아교육현장에서 바깥놀이가 교육적 기능을 할 수 있도록 교사는 신체적, 창의적 활동이 균형 있게 일어나도록 유아를 격려하며 바깥놀이의 질을 관리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s of children’s outdoor play behaviors with children’s gender, their temperament and outdoor environment. A total of 77 5-year-old children(34 boys and 43 girls) were observed. Results show that, first, physical play was majority of outdoor play behaviors, followed by creative play and non-play activity in an order of presence. Children's outdoor play behavior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children’s gender in games free from a rule, large muscle activity, games with rules, pretend play, manipulation-pretend play, and non play activities (exploration and gardening). Second, in terms of child’s temperament, children with mild temperament seemed to enjoy the games with rules and manipulation-pretend play. Children in better outdoor play environment enjoyed games with rules, physical manipulation play, manipulation-pretend play, pretend play, and constructive play. Third, among three factors (outdoor environment, gender, and temperament), the outdoor environment was the most powerful factor impacting the types of outdoor play behavior. The implication of the results suggested that outdoor environment and support system, safety and monitoring, and the support for teachers to be able to extend outdoor play were more influential factors than child’s gender or temperament. Teachers need to monitor the quality of the outdoor play by facilitating the balance of children’s physical and creative play to support the educational value of outdoor play.

      • KCI등재

        유치원의 실외놀이활동 실태 및 교사의 실외놀이에 대한 인식

        신동주 한국유아교육학회 2004 유아교육연구 Vol.24 No.6

        본 연구는 유치원 실외놀이활동 실태 및 교사의 실외놀이에 대한 인식을 조사·분석함으로써 유아의 발달적 요구 및 흥미에 적합한 실외놀이를 제공할 수 있는 준거를 마련하기 위한 것으로, 전국에 위치한 500개 국·공립 및 사립 유치원의 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유치원 실외 놀이활동 실태를 살펴보면, 조사 대상 유치원의 95%가 실외놀이 시간이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실외놀이활동 1회당 20-30분(54%)정도를 할애하고 있었다. 실외놀이 편성시간은 간식시간에서 점심시간 사이가 가장 많았으며, 유아들의 실외놀이 시 교사는 유아의 안전과 놀이를 관찰한다는 응답이 67.7%로 가장 많았다. 또한 조사 대상 대부분의 교사들이 실외놀이가 유아의 인지발달, 창의성 발달, 정서적 안정감 제공 및 정서발달, 자연학습의 기회 기회제공, 건강과 신체발달, 사회성 발달, 언어발달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실외놀이를 매일 실시하고, 실외놀이에 대한 구체적인 활동을 계획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실외놀이를 보다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안전한 실외놀이시설 제공 및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는 실외공간과 시설을 구비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42.7%로 가장 많았으며, 이와 관련하여 실외놀이 활동을 운영하는 데 가장 큰 어려움으로 실외놀이 시설의 부족(35%)을 들었다. Seeking to provide a basis for developing sound outdoor play activities and environmen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s, this study explores the current conditions and content of outdoor play activit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s, and teachers' perceptions of that outdoor play. Data as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presented to teachers on the conditions and content of outdoor play. Four hundred twenty seven kindergarten were randomly selected from different geographic areas. Of these, 216 kindergartens were public, and 211 kindergartens were private.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407 kindergartens (95%) have outdoor play time, and 37% of the kindergartens have outdoor play time everyday. Most of kindergarten teachers perceived outdoor play to be as important as indoor play, and the teachers all believed outdoor play supports children's physical, cognitive, social, and language development.

      • KCI등재

        만 4세 유아의 실외 모래놀이 양상과 참여 태도에 관한 연구

        권영선(Young-Sun Kwon),김순환(Soon-Hwna Kim) 융복합지식학회 2021 융복합지식학회논문지 Vol.9 No.3

        본 연구는 만 4세 바다반 유아의 실외 모래놀이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실외 모래놀이 양상과 놀이 참여 태도를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위치한 사립 유치원의 만 4세 바다반 유아 27명을 대상으로 모래놀이 관찰 및 영상촬영, 유아 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만 4세 바다반 유아들의 실외 모래놀이는 반복적으로 참여하는 놀이, 자연물과 함께하는 놀이가 빈번하게 나타났다. 이는 실외 모래놀이에 대한 높은 참여율을 의미하며, 특히 남아들의 참여율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다양한 주제로 모래놀이가 진행되는 가운데, 한 개의 주제가 반복 심화되어 나타나기도 함을 의미한다. 게다가 실외 모래놀이는 자연물과 함께 이루어 질 때 새로운 역할을 만들어 내는 등 더욱더 풍성한 놀이가 가능함을 의미한다. 둘째, 만 4세 바다반 유아들의 실외 모래놀이에 참여하는 태도는 크게 적극적인 참여 태도, 제한적이거나 소극적인 참여 태도, 방관자적 참여 및 비참여 태도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만 4세 유아의 실외 모래놀이 양상과 놀이에 참여하는 태도에 대하여 사례를 통해 구체적으로 밝힘으로써 실외 모래놀이에 관한 이해를 넓히고 실외 모래놀이가 갖는 중요성을 재확인해 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observe the outdoor sand play by children aged 4 at the Bada Class so understand aspects of the play and their participation attitudes towards the play. The research subjects consisted of 27 children aged 4 who were attending the Bada Class, a private kindergarten, which is located at Seoul. In order to collect data for research, the study observed children’s outdoor sand play with video recording, conducted interviews with children.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outdoor sand play by the Bada Class children aged 4 had an aspect of sand play which always continues, yesterday, today and tomorrow, and play with natural objects. It means that they showed a high level of participation in the outdoor sand play enough to enjoy it about every other day, in particular, boys had a higher level of participation. Furthermore, it also means play at a sand playground is done with various themes but sometimes a single theme is repeated and intensified. Besides, outdoor sand play created a new role when they played with natural objects, leading to more active play. Second, as for the attitudes 4-year-old Bada Class children showed when they participated in the outdoor sand play, they had an active participation attitude, limited or passive attitude, onlooking or non-participatory attitude.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extended the understanding of the outdoor sand play and reconfirmed its importance via specific case analysis on aspects of the outdoor sand play by 4-year-old children at the Bada Class and their participation attitudes.

      • KCI등재

        미취학아동의 1일 활동량, 활동계수 평가 및 유아보육시설의 실외놀이 실태

        김재희(Jae Hee Kim),김은경(Eun Kyung Kim)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009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Vol.14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physical activities and activity coefficient of preschool children and was to give some concrete information to activate outdoor play and to probe the suggestions to activate outdoor play. 42 preschool children (17 boys and 25 girls) were included. Body weight and height were measured and one-day activity diaries were collected by interviewing with their parents and kindergarten teachers. To measure physical activity during outdoor play, this study was researched the current conditions and content of outdoor play activity in daycare centers, and teacher`s perceptions of that outdoor play. The average age of the subjects was 5.0 years. Average height, weight, body fat and body muscle of subjects were 108.9 cm, 18.9 kg, 17.7% and 26.8%, respectively. The subjects spent about 10 hours 39 minutes sleeping; 4 hours 16 minutes personal hygiene and computer working. They spent 88.2% of 24 hours (one day) in very light activities and 11.3% in light activities. Activity coefficient (1.34) of weekday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weekend (1.21). And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most of daycare centers (87.7%) have outdoor play space, 95.2% of them were garden. The teachers recognized that have a outdoor play frequency everyday (48%), three or four times (46%) in a week but they have three or four times (38%), one or two times (30%) because of various indoor program. Also, they recognized that have a outdoor play expending time 21- 30 minutes (48%), 31-40 minutes (26%) but they have 21-30 minutes (64%). They answered that have frequency and expending time less than their recognition of outdoor play. Most of daycare center teachers perceived outdoor play to be as important as indoor play, and the teachers believed outdoor play supports children`s physical, cognitive, social, and language develop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used to utilize as a basic data for estimate physical activity for preschool children and developed that exercise program to increase physical activity of daycare center outdoor play.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4(6): 777~788, 2009)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