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의 온라인 문학 수업에 관한 교수자의 인식 연구

        박치범 ( Park Chibeom ) 우리어문학회 2021 우리어문연구 Vol.70 No.-

        이 연구는 대학의 온라인 문학 수업에 관한 교수자들의 경험과 인식을 구체적으로 살피고, 대학의 온라인 문학 수업을 개선하기 위해 필요한 조건을 탐색할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대학에서 온라인 문학 수업을 진행한 경험이 있는 교수자 4명을 대상으로 개별 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 참여자들은 온라인 수업이 갑자기 도입되면서 문학 수업의 특성에 맞는 온라인 수업 방식을 선택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고, 대면 수업에 비해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입하였다. 학교의 지원에 있어 소프트웨어 지원은 조금 나았지만 하드웨어 지원은 상당히 부족한 편이었다. 또 참여자들은 온라인 수업을 맞춤 수업이지만 소통이 어려운 방식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온라인 문학 수업에서 나타난 문제나 어려움을 해결하는 방식은 대부분 교수자의 시간과 노력을 투입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점에서 이번 면담은 문학 수업의 핵심인 ‘참여’와 ‘소통’을 온라인 수업 공간에서 구현하기 위해 참여자들이 펼친 고군분투의 기록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면담의 결과 대학의 온라인 문학 수업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온라인 문학 수업 방식을 결정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인프라나 강의 규모 등의 요인을 적극적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 둘째, 대학 본부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직급에 따라 큰 차이가 나타나는 지원 방식도 개선되어야 한다. 셋째, 온라인 문학 수업에서의 소통을 지원하고 촉진하기 위한 플랫폼 구축과 교수·학습 방법 개발이 필요하다. 넷째, 온라인 문학 수업의 과정에서 교수자가 저작권 문제에 방해받지 않고 적절한 자료를 활용할 수 있고, 자신의 저작권이 침해받지 않도록 하는 장치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The study aims to specifically examine professor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online literature classes at universities and explore the conditions necessary to improve online literature classes at universitie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is study conducted individual interviews with four professors who had experience in conducting literature classes online at universities. Interview participants had difficulty choosing an online class method that matched the characteristics of literature classes with the sudden introduction of online classes, and spent more time and effort than face-to-face classes. Software support was a little better in supporting university, but hardware support was significantly lacking. Participants also recognized that online classes are customized classes, but they are difficult to communicate. And the way to solve the problems and difficulties that emerged in online literature classes was to devote most of the professor's time and effort. Nevertheless, participants have become more or less positive about online literature classes than before in 2020. This was a change in perception as a result of the new experience of online classes, which had been vaguely thought. Meanwhile, the interview resulted in the following implications for improving online literature classes at universities. First, it is necessary to actively improve factors such as infrastructure and lecture size that affect determining online literature teaching methods. Second, the support, which is centered on the university headquarters and varies depending on the position, should also be improved. Thir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latform and develop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o support and promote communication in online literature classes. Fourth, in the online literature classe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device that allows professors to use appropriate materials without being disturbed by copyright issues and prevents their copyrights from being infringed.

      • KCI등재

        온라인 수업의 다학제적 학습효율성에 관한 연구 -소규모 고등학생 대상으로-

        김혜진(Kim, Hye Ji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1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9 No.5

        본 연구는 코로나 19로 인한 사상 최초로 벌어진 교육과정 전 과목 온라인 수업에 관한 연구로 온라인수업으로 진행함에 따른 학과별 문제점과 한계점을 설명하고 대안점을 모색한다. 고등학생 대상으로 FGI와 설문조사로 온라인 학습효과 및 온라인 수업에 적절성에 관한 논의를 하여, 온라인 수업의 다학제적인 학습효과 및 방안을 모색하고자 시작되었다. 해외 온라인 학교 설립과 온라인 공개수업(MOOC)에 관한 이슈를 반영하여 K-MOOC, 즉 수강인원이 제한 없이(Massive), 수강 가능한(Open,) 웹 기반(Online) 강좌(Course)를 2015년부터 2017년까지 130억 예산을 들어 사업에 착수했다. 그러나 온라인 수업을 이용하는 학생과 이수율은 저조했으며, KOCW(Korea OpenCoursWare, 대학 공개강의 공동 활용 서비스)사업 강좌와 중복 사용되는 점 등을 들어 예산과 효율성에 관해 문제가 대두되었다. 코로나 19로 인해 전 교과과정을 온라인 수업으로 진행에 학과별 유형과 특징이 있을 것으로 보고, 학과별 온라인 수업을 적용했을 때에 공통되는 문제점과 한계점을 살펴보았다. 온라인 수업에 관한 공통적인 문제점으로 상호작용과 학업 수준에 따른 플랫폼 개선으로 보았다. 이과는 실습하는 과목에 대한 질적 개선이 두드러지게 보였고, 실시간 온라인 수업 형태보다는 동영상 온라인 수업을 선호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문과는 학습환경 조성에 다른 기기적인 문제점이 대두되었고,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대해 긍정적인 학습 태도를 보였다. 예체능 학과는 다른 학과보다 온라인 학습하기에 많은 문제점과 한계점이 있었다. 학습자료 부족으로 관련 콘텐츠를 사용함에 저작권 문제와 학습활동 저장 및 유포에 따른 문제, 질의응답이 자유롭지 못한 문제점 등을 고려하여 수업 과정을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못하며, 수업 내용전달의 어려움으로 제도적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 같은 내용을 바탕으로 고등학생 1학년 5명, 2학년 3명, 3학년 2명 총 10명 대상으로 2회에 걸쳐 FGI와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2회로 진행한 FGI의 결과는 온라인 수업은 과학, 수학, 국어, 영어, 상담이론으로 이론 수업에 적합하다고 보았고, 컴퓨터 기기 상태 및 접속상태에 이른 학습집중력 저하와 상호소통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보았다. 설문조사는 인적사항 이외 10문항으로 온라인 이해, 온라인 학습집중력, 온라인 수업의 학습도움, 온라인 수업의 만족도, 온라인 학습영향력, 온라인 수업 시 다른 활동, 온라인 수업 시 딴생각 정도로 총 10문항으로 구성했으며, 문항 신뢰도 통계량 Cronbach의 알파 0.748로 측정되었다. 분석결과 온라인 수업의 효과를 증대하기 위해서는 학업 수준을 고려한 완충 학습방법에 관한 충분한 상호작용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다양성을 갖춘 콘텐츠제작과 제도적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 19로 온라인 교육에 대한 새로운 인식전환이 더 나은 미래 교육문화에 발전적인 안착을 위해서는 다학제 간의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a study on online classes in all subjects of the curriculum for the first time in history due to COVID-19, explaining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of each department and seeking alternatives. It was started to find ways to effectively grow online classes by discussing the effectiveness of online learning and appropriateness of online classes through a survey with FGI for high school students. Reflecting the issues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overseas online schools and online open classes (MOOC), the project began with a budget of 13 billion won from 2015 to 2017 for K-MOOC, Massive, and Online courses. However, the completion rate of students using online classes was low, and problems regarding budget and efficiency emerged, citing overlapping use with the Korea Open CoursesWare (KOCW) project course. Considering that there will be different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department to conduct all curriculum as online classes due to COVID-19, we looked at common problems and limitations when applying online classes for each department. It was viewed as a common problem with online classes as interaction and platform improvement according to academic level. The science department showed remarkable qualitative improvement in the subjects practiced, and it was found that video online classes were preferred over real-time online classes. In liberal arts, other device problems emerged in creating a learning environment, and a positive learning attitude was shown for real-time online classes. The department of arts and physical education had more problems and limitations in online learning than other departments. Due to the lack of learning materials, they cannot actively participate in the class process in consideration of copyright problems, problems caused by storage and distribution of learning activities, and problems of not being free to answer questions, and have institutional limitations due to difficulties in delivering class contents. Based on these contents, a survey with FGI was conducted twice with a total of 10 high school students: 5 first-year high school students, 3 second-year students, and two third-year high school students. The results of the two-time FGI showed that online classes were suitable for theoretical classes with science, mathematics, Korean, English, and counseling theories, and that the biggest problems were poor concentration and mutual communication. The survey consisted of 10 items, including online understanding, online learning concentration, online class learning help, online class satisfaction, online learning influence, other activities during online class, and thinking online with a total of 10 items. Item reliability statistic Cronbach The alpha of 0.748 was measured. As a result,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online classes, sufficient interaction should be made on the buffer learning method considering the academic level, and it seems that various contents production and institutional measures should be sought. A new perception shift on online education due to COVID-19 should be a continuous study for a better future educational culture.

      • KCI등재

        언택트 시대 비대면 온라인 강의를 위한 대학 교양 수업의 방향 탐색

        김혜정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2

        Exploring the Direction of University Liberal Arts Classes forNon-face-to-face Online Classes on Untact EraHyejeong Kim Abstract: Due to the COVID-19 pandemic, learners have confronted an educational transition from face-to-face classes to non-face-to-face online classes. Rather than returning to traditional face-to-face classrooms in the post-coronavirus era, it seems essential to properly combine face-to-face instruction with non-face-to-face online instruction.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explore the future direction of non-face-to-face online classes. In this report, a case study of a university liberal arts reading comprehension class conducted as a non-face-to-face online class is presented. An open-ended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analyze the learner’s perceptions of a non-face-to-face online class using e-Campus, the university’s virtual learning platform, and Zoom video lessons. As a result of the study, learners were found to be highly satisfied with non-face-to-face online classes (90.1%); the specific reasons for their satisfaction were the quality of course content, satisfaction with textbooks, the role of the instructor as a facilitator, and online usage. The paper concludes that teachers need to work hard to strengthen non-face-to-face online classes to produce an online course that is as effective as face-to-face classroom learning. Key Words: Non-face-to-face Online Classes, University Liberal Arts Classes, Zoom Video Lessons, e-Campus, 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Class 언택트 시대 비대면 온라인 강의를 위한 대학 교양 수업의 방향 탐색김 혜 정* 요약: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학습자들은 대면 수업에서 비대면 온라인 수업으로의 교육적 전환을 맞이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 기존 대면 수업으로의 회귀보다는 대면 수업과 비대면 온라인 수업의 적절한 혼용이 필요해 보인다. 따라서 비대면 온라인 강의의 나아갈 방향 탐색은 필요한 일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대면 온라인 강의로 진행된 대학 교양 영어 독해 수업의 사례 연구를 제시하였다. 가상대학(e-Campus)과 화상 강의로 진행된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 대한 학습자 반응과 인식을 분석하기 위해 개방형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학습자들은 비대면 온라인 강의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90.1%). 그리고 이들이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 만족하는 구체적인 이유는 수업 내용의 질, 교재에 대한 만족, 촉진자로서의 교수자의 역할과 온라인 활용으로 나타났다. 교수자들은 대면 수업 못지 않은 효율적인 수업 효과를 내기 위해 비대면 온라인 수업의 강화를 위해 매진할 필요가 있다. 핵심어: 비대면 온라인 수업, 대학 교양 수업, 줌 화상 강의, 가상대학, 영어 독해 수업 □ 접수일: 2022년 2월 9일, 수정일: 2022년 3월 10일, 게재확정일: 2022년 4월 20일* 국민대학교 교양대학 부교수(Professor, Kookmin Univ., Email: naa4907@kookmin.ac.kr)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온라인 한국어 말하기 수업의 학습자 만족도 조사 연구

        강소산 국제인문사회연구학회 2024 Studies o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SHSC) Vol.6 No.2

        온라인 한국어 말하기 수업의 학습자 만족도 조사 연구 강 소 산 연구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외국인 학부생 대상의 온라인 한국어 말하기 수업의 사례를 소개하고 수업에 참여한 학습자의 만족도를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 방법: 국내의 B 대학에서 개설된 ‘한국어회화연습’ 수업에서 실시간 화상 수업과 동영상 수업으로 한국어 말하기 수업을 실시하고 학습자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연구 내용: 첫째, 온라인 한국어 말하기 수업에 대한 학습자 만족도는 5점 만점에 4.63점으로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시간 화상 수업과 동영상 수업의 만족도는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시간 화상 수업에서 실시된 활동 중 학습자간 활동보다 교사와의 활동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온라인으로 진행하는 한국어 말하기 수업이 학습자의 요구를 충족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이 연구를 통해 말하기 수업에서 동영상 수업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앞으로 한국어 말하기 수업의 실시간 화상 수업에서 학습자간 활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교육 방법을 면밀히 설계할 필요가 있다. 핵심어: 온라인 수업, 한국어 말하기 수업, 학습자 만족도 조사, 실시간 화상 수업, 동영상 수업 A Study on Investigating Learner Satisfactionin Online Korean Speaking Classes Sosan Kang**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cases of online Korean speaking classes targeting foreign undergraduate students and to analyze the satisfaction of learners participating in the classes. Real-time video classes and video-based classes were conducted for Korean speaking classes in the “Korean Conversation Practice” course offered at university B in South Korea, and learner satisfaction was surveyed.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learner satisfaction with online Korean speaking classes was observed to be high, scoring 4.63 out of 5 points. Secondly, satisfaction levels between real-time video classes and video-based classes were similar. Thirdly, among the activities conducted in real-time video classes, there was a higher preference for activities involving teachers over activities among learner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demonstrating the potential of online Korean speaking classes to meet learners’ needs. Furthermore, it confirms the viability of utilizing video-based instruction in speaking classes. There is a need for meticulous design of teaching methods to facilitate smooth learner interaction in real-time video based Korean speaking classes. Key Words: Online Classes, Korean Speaking Classes, Learner Satisfaction Survey, Real-time Video Classes, Video-based Classes □ 접수일: 2024년 3월 20일, 수정일: 2024년 4월 15일, 게재확정일: 2024년 4월 20일* 이 논문은 2024년도 부산외국어대학교 학술연구조성비에 의해 연구되었음. ** 부산외국어대학교 한국어교육전공 교수(Professor, Busan Univ. of Foreign Studies, Email: sosan@bufs.ac.kr)

      • KCI등재

        온라인수업과 대면수업의 만족도 차이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오대영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3 교육문화연구 Vol.29 No.1

        Since schools began conducting online classes because of COVID-19 in 2020,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decreased in many countries, including Korea. To learn why the academic achievement of online classes was lower than that of offline classes,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t effects of online and offline classes on academic achievement by surveying 680 students. The research model assumed that class satisfaction affects academic achievement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through learning attitude, while interaction, class quality, and immersion in classes affect class satisfaction. The scores of interaction, class quality, immersion, and class satisfaction that students perceived in online classes were all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offline classes.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class satisfaction on the academic achievement in online classes were lower than those in offline classes. The gap in class satisfaction was the primary reason that the academic achievement of online classes was lower than that of offline classes. Immersion in classes had the most influence on class satisfaction in online classes, whereas interaction greatly influenced offline classes. Thus, to increase academic achievement in online classes, class satisfaction must be improved by increasing immersion. 2020년 코로나19로 학교에서 온라인수업이 전면 시행되면서 한국 등 많은 국가에서 학생들의 학업성취도가 저하되었다. 그 이유를 알아보기 위해 중·고생 680명을 설문조사해서 온라인, 대면수업이 학업성취도에 주는 효과의 차이가발생하는 이유를 분석하였다. 온라인, 대면수업에서 수업만족도는 학업성취도에 직접영향을 주거나 학습태도를 매개로간접영향을 주며, 수업만족도에는 상호작용, 수업품질, 몰입도가 영향을 준다는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학생들이온라인수업에서 인식하는 상호작용, 수업품질, 몰입도, 수업만족도의 점수는 모두 대면수업 때보다 상당히 낮았다. 수업만족도가 학업성취도에 주는 직접효과와 간접효과에서도 온라인수업이 대면수업보다 모두 낮았다. 온라인수업의학업성취도가 대면수업 때보다 낮아지는 이유는 수업만족도가 낮은데 있었다. 그런데 상호작용, 수업품질, 몰입도가수업만족도에 주는 영향력은 수업방식에 따라 달랐다. 온라인수업에서는 몰입도, 대면수업에서는 상호작용의 영향력이가장 컸다. 온라인수업의 학업성취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학생의 수업 몰입도를 높여 수업만족도를 향상시켜야 하는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줌(Zoom)을 활용한 온라인 비대면 영어 수업의 방향 탐색

        김혜정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1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7 No.1

        본 연구는 온라인 비대면 영어 수업의 효율성을 파악하여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도 지속 가능한 온라인 비대면 수업의 확장 가능성과 온라인 비대면 영어 수업이 한 단계 더 발전해서 나가야 할 방향에 대해 교육학적 제언을 제 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줌을 활용한 온라인 비대면 영어 독해 수업 사례를 소개하고 이것이 학습자들의 독해 학 습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고, 이에 대한 학습자들의 만족도와 그 이유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온라인 비대면 영 어 수업은 학습자들의 독해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자들은 온라인 비대면 독해 수업에 대체로 만족한다는 반응을 보여 주었고 만족하는 이유로는 체계적인 수업 진행 및 수업의 질, 학습의 효율성 등을 제시하였다. 교수자들은 온라인 비대면 독해 수업의 확장 가능성을 인지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효율적인 온라인 수업 방안을 미리 대비하고 철저히 준비해야 할 것이다. 또한 교수자들은 효율적인 온라인 수업 활동을 제시 하고 세세한 내용 설명과 빠르면서도 적절한 피드백을 통해 체계적으로 수업을 구성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fficiency of online non-face-to-face English classes to propose possibilities for expanding these types of classes in a sustainable way even in the post-COVID era. Moreover, the study suggests pedagogical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s that should be further explored for online non-face-to-face English classes. To this end, the study employed an online non-face-to-face English reading class using Zoom and investigated the effects of online teaching on college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via two achievement tests. The study also analyzed learners’ satisfaction or dissatisfaction with this online non-face-to-face English reading class (and their reasons) through a questionnaire. Ultimately, the study found that online non-face-to-face English reading classes have a positive effect on learners’ reading comprehension learning. In addition, the reasons for learners’ satisfaction with online non-face-to-face classes include systematic class progress, class quality, and efficiency of learning. Instructors must be aware of the need to expand online non-face-to-face classes, for which they will have to be thoroughly prepared in advance. Instructors will also need to implement efficient online class activities, organize classes systematically with detailed explanations, and provide quick and useful feedback.

      • KCI등재

        온라인과 오프라인 영어 수업에서 초등학생의 의사소통의지에 관한 비교 연구

        전하성 ( Hasung Jun ),윤현숙 ( Hyunsook Yoon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22 외국어교육연구 Vol.36 No.4

        Individual learners’ communicative inclinations in online classes are gaining more and more attention. However, there has been little comparative analysis on how learners’ willingness to communicate (WTC) in English varies in offline and online classes. This study aims to compare elementary school students’ L2 WTC in the two class situations and analyze the difference in relation to the learner’s individual differences. Forty-two students participated in six sessions of English speaking classes: three sessions via Zoom video conference and the other three in face-to-face classes. Three rounds of the survey were carried out after the classes to measure their L2 WTC (online & offline) and the other five learner variables: communication anxiety, English learning motivation, international posture, self-perceived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frequency and amount of communication in English (online & offline). Then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a focus group of three pairs of students. The results found that their L2 WTC was lower in online classes than in offline classes. The thematic analysis of the interviews revealed that limited interaction patterns, less social presence, limited nonverbal communication, and technological issues reduced online L2 WTC. In addition,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each learner variable had a stronger correlation with WTC in offline than in online classes.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online classes should be used as an auxiliary for face-to-face classes and that interaction patterns suitable for individual learners should be us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online classes and increase students’ WTC.

      • KCI등재

        대학생의 온라인 수업 유용성 및 용이성, 기술준비도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장승환 한국상업교육학회 2022 상업교육연구 Vol.3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usefulness and ease of use of online classes, technology readiness index,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for online non-face-to-face instructional software that was rapidly introduced and used due to COVID-19. The population was 200 students attending university in Seoul, and 177 out of 200 copies of the total survey were collected, and a total of 158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excluding unfaithful respondents and missing values. The research model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AMOS 18.0 program through verification stages such as the concentrated validity of each measurement variable, the concentrated validity of latent variables, and discriminant validity. As a major conclusion, first, optimism among the drivers of technology readiness index and innovativeness showed a positive (+) effect only on the ease of use of online classes. In other words, as a result of hypothesis verification, it was found that optimis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ease of use of online classes. Second, among the inhibitors of technical readiness index, both discomfort and insecurity showed a negative (-) effect on the ease of use of online classes and the usefulness of online classes. This depends on the ability of students to use online class software, and it is judged that this had a negative effect.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structural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online class usefulness, online class ease of us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This indicates that the usefulness of online classes and ease of use of online classes are factors that indicate university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 KCI등재

        초등 체육전담교사의 온라인 체육 수업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김정희 한국초등체육학회 2023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29 No.1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direction and specific teaching methods of future physical education classes by exploring the experience of online physical education classes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a situation where they cannot go to school altogether due to COVID-19. To this end, it was studied through the research method of the advisory technology magazine, and data such as teacher reflection log, class plan, class video recording data, class evaluation data, and interview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should first select a class platform to communicate with students. They are interactive communication class windows such as ZOOM, shared boards such as PADLET, video and assignment boards such as e-learning centers, and evaluation tools. Second, you need to produce class materials suitable for online classes. They are video data, detailed explanation data, discussion data, and evaluation data that can be used online. Third, it is necessary to secure a connection with school classes. Depending on the COVID-19 situation, the class situation frequently changes to full-scale school classes, online and school parallel classes, and full-scale remote classes. Therefore, when school classes are conducted at any time, online physical education classes should be conducted so that they are connected. Fourth, teachers should be physical education creators. Online classes in physical education subjects are likely to be conducted in a way that conveys theoretical knowledge. Physical activities, which are the natural goals of physical education that can be done through interactive classes, should be sufficiently carried out. As such, the direction and teaching method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es are rapidly changing. Teachers should prepare well for this so that important physical education classes for students are operated with value.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하여 전면 등교가 불가한 상황 속에서 초등 체육전담교사의 온라인 체육 수업의 경험을 탐색함으로써, 미래 체육 수업의 방향과 구체적인 수업 방법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자문화기술지 연구 방법을 통해 연구하였으며 교사반성일지, 수업계획안, 수업 영상 녹화자료, 수업 평가자료, 면담자료 등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 체육전담교사는 첫째, 학생들과 소통할 수업 플랫폼을 선택해야 한다. ZOOM과 같은 쌍방향 소통 수업 창구, PADLET과 같은 공유 게시판, e학습터와 같은 영상 및 과제 게시판, 평가 도구 등이다. 둘째, 다양한 체육 수업 콘텐츠를 마련해야 한다. 온라인에서 활용할 수 있는 영상자료, 자세한 설명자료, 토론자료, 평가자료 등이다. 셋째, 온․오프라인 수업의 연계성을 확보해야 한다. 코로나-19 상황에 따라, 전면등교 수업, 온라인과 등교 병행수업, 전면 원격수업 등으로 수시로 수업 상황이 변한다. 따라서, 언제든지 등교수업이 실시될 때, 연계성을 가지도록 온라인 체육 수업을 실시해야 한다. 넷째, 교사는 체육 크리에이터가 되어야 한다. 체육교과의 온라인 수업은 이론적 지식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쉽다. 쌍방향 수업을 통해서 할 수 있는 체육 본연의 목표인 신체활동을 충분히 실시해야 한다. 이처럼 학교 체육 수업의 방향과 수업 방법이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다. 교사는 이에 잘 대비하여 학생들에게 중요한 체육 수업이 가치 있게 운영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