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양에 대한 호기심과 친근감 향상을 위한 해양캠프 프로그램의 적용: 2004~2012년

        박경애,우혜진,김경렬,이수광,정종률,조병철,강현주,Park, Kyung-Ae,Woo, Hye-Jin,Kim, Kyung-Ryul,Lee, Soo-Kwang,Chung, Jong-Yul,Cho, Byung-Cheol,Kang, Hyun-Joo 한국해양학회 2013 바다 Vol.18 No.3

        해양에 대한 관심과 친근감을 함양하기 위하여 해양캠프 '여름바다학교'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2004년부터 2012년까지 9년 동안 4학년에서 9학년까지 초등 및 중등학교 학생들에게 적용하였다. 여름바다학교의 프로그램은 스노클링 해상 훈련과 인근 해양관련 연구소 및 박물관 견학활동, 해양 관련 각종 체험 학습, 해양 및 지구과학 관련 야외답사 활동, 그리고 해양에 관한 다양한 주제의 강연으로 구성되었다. 본 해양캠프에 참가한 학생들의 정의적 및 인지적 특성 변화 및 해양학적 소양 변화를 평가하기 위한 9가지의 설문지를 작성하여 실시하였다. 통계 분석 결과, 여름바다학교 시행 후 정도의 차이는 보이나 모든 학생들이 해양에 대한 흥미, 호기심, 열정 등 정의적 특성이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13가지 소양 항목으로 분석한 해양에 관한 인지적 특성도 40%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여름바다 학교에 대한 학부모들의 반응도 조사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초기에는 전공분야로서 해양에 대한 관심이 크지 않았던 몇몇 학생들이 수 년이 지난 후 앞으로의 전공 분야로 해양학을 선정한 사례도 발견되었다. 이는 해양캠프 활동이 해양 분야의 잠재적 과학영재의 지원 체계로서 성공적인 기능을 한 것으로 평가된다. 본 연구는 여름 해양캠프 활동의 장기 수행이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잠재적 능력이 즉각적으로 나타나지 않더라도 가까운 미래에 발현하게 할 수 있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보였다. 이는 차세대 해양 인력 양성을 위해 과학 캠프와 같은 프로그램들이 좀 더 발전적으로 개발되고 수행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In order to enhance scientific interest and a sense of affinity about ocean, the programs of the oceanic camp 'oceanic summer school' were developed and applied to $4^{th}$ and $9^{th}$-grad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for 9 years from 2004 to 2012. It was composed of oceanic training for snorkeling, a tour to oceanic institutes and museums near the camp academy place, experimental learning in oceanic-related field, field trips for ocean and earth sciences, and lectures on various subjects of ocean. We developed and implemented 9-kinds of inquiry surveys to evaluate changes in cognitive and affective characteristics, and ocean literacy of students participated at the present oceanic summer camp. Based on the statistical analysis, affective characteristics such as interest, inquisitiveness, passion, and so on, were enhanced. Analysis of ocean literacy revealed that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were increased by 40%. We presented parents' responses on the programs of oceanic summer school. Some students with less initial interest of ocean have positively changed to make up their minds to be a oceanographer in several years later. In light of this, the summer school can be evaluated to be successfully functioned as a long-term support system for potentially young-talented students in the field of ocean science. This study addresses that long-term implementation of the summer oceanic camp may trigger students with potential talent toward in-depth science in the near future even though it could not bring positive effect immediately. This addresses the necessity of policy supports in order that various programs like the scientific camp should be more constructively developed and executed for next-generation manpower in oceanographic fields.

      • KCI등재

        해양리터러시 개념에 기반한 해양교육 모델코스 개발에 관한 연구

        정우리(Woo-Lee Jeong),문성배(Serng-Bae Moon) 한국항해항만학회 2014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38 No.5

        해양리터러시는 우리에게 바다가 미치는 영향 그리고 우리의 삶이 바다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해양리터러시 개념에 기반한 부산지역 23개 기관에서 시행하고 있는 해양교육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7개의 해양교육 모델코스를 개발하였다. 7개의 해양교육 모델코스는 실내이론, 실내체험, 현장탐방, 현장체험 등 4가지 형태의 교육방법이 다양하게 조합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해양교육을 학생과 일반인들이 쉽게 구분하고 선택할 수 있도록 76cm*56cm 크기의 해양교육 안내지도를 제작하였다. 이는 부산지역의 지리적 여건과 관광지가 결합된 형식이며, 교육기관, 교육내용, 교육시간 등 상세한 내용이 포합되어 있어서 수요에 따라 계절적 변화요인 또는 기호에 맞게 피교육생들이 탄력적으로 운영이 가능하다. 해양교육 모델코스를 이용한 해양교육 안내지도의 제작은 해양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초석이 될 것이며, 해양교육의 궁극적인 목표인 해양의식 함양과 바다와의 친숙화를 통한 해양전문인력 육성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해양교육용 교재 및 부교재의 개발, 교육보조재를 활용한 실내교육의 단점보완, 동영상 콘텐츠 개발을 통한 사이버 해양교육 개발 등을 통한 후속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Ocean Literacy is an understanding of the ocean’s influence on you and your influence on the ocean. This research developed the 7 ocean education model courses using ocean literacy based on the analysis of ocean education programs which executed 23 agencies in Busan. These model courses are combined in the type of indoor theory, indoor experience, field study and field experience. Also, this makes the guide map for ocean education in a 76cm*56cm size to distinguish and choose the course easily. This map is the format combined in geological location and tourist attraction spots in Busan, includes education centers, contents, lead time and so on, and it is possible for educatees to handle their preference and seasonality elastically. This map including ocean education model course is a milestone to activate ocean education, and is helpful to reach the goal of ocean education and to lead ocean professionals. In addition, this research presents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training aids to complement the weakness of indoor education, the development of cyber education through making video contents as the activation measures of ocean education.

      • KCI등재

        전구 대양의 극저 해수면온도 공간 분포와 지구과학교과서 데이터 시각화 분석

        박경애,손유미 한국지구과학회 2020 한국지구과학회지 Vol.41 No.6

        Sea-surface temperature (SS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oceanic variables for understanding air-sea interactions, heat flux variations, and oceanic circulation in the global ocean. Extremely low SSTs from 0oC down to −2oC should be more important than other normal temperatures because of their notable roles in inducing and regulating global climate and environmental changes. To understand the temporal and spatial variability of such extremely low SSTs in the global ocean, the long-term SST climatology was calculated using the daily SST database of satellites observed for the period from 1982 to 2018. In addition, the locations of regions with extremely low surface temperatures of less than 0oC and monthly variations of isothermal lines of 0oC were investigated using World Ocean Atlas (WOA) climatology based on in-situ oceanic measurements. As a result, extremely low temperatures occupied considerable areas in polar regions such as the Arctic Ocean and Antarctic Ocean, and marginal seas at high latitudes. Six earth science textbooks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how these extremely low temperatures were visualized. In most textbooks, illustrations of SSTs began not from extremely low temperatures below 0o C but from a relatively high temperature of 0oC or higher, which prevented students from understanding of concepts and roles of the low SSTs. As data visualization is one of the key elements of data literacy, illustrations of the textbooks should be improved to ensure that SST data are adequately visualized in the textbooks. This study emphasized that oceanic literacy and data literacy could be cultivated and strengthened simultaneously through visualizations of oceanic big data by using satellite SST data and oceanic in-situmeasurements. 해수면온도는 해양-대기 상호작용, 열속 변화, 대양의 해양 순환을 이해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해양 변수들 중의 하나이다. 0oC 이하 −2oC까지 극저 해수면온도는 기후변화 및 지구환경 변화를 유도하고 조절하기 때문에 다른 범위의 해수면온도보다 더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 전구 대양에서 이러한 극저 해수면온도의 시간적 공간적 변동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1982년부터 2018년까지의 기간 동안 관측된 인공위성 일별 해수면온도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평균 기후장을 산출하였다. 또한 장기간의 해양 실측 자료에 기반하여 생산된 표층 수온의 기후 평균장을 활용하여 극저 해수면온도가 전구 대양에서 존재하는 해역과 0oC 등온선의 월별 공간 변동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극저 해수면온도는 북극해와 남극해와 같은 극지 해역과 고위도의 연해에서 상당한 해양의 표면적을 차지하고 있었다. 이러한 극저 해수면 온도가 어떻게 시각화되어 있는지 검토하기 위하여 6종 지구과학교과서를 분석하였다. 대부분의 교과서에서 해수면온도 삽화는 0oC 혹은 그 이상 수온에서 부터 도시하여 학생들이 극저 해수면온도에 대한 개념과 역할에 대한 이해를 획득하는 것을 저해하고 있었다. 데이터 시각화는 데이터 리터러시의 주요한 요소 중에 하나이므로 위성 해수면온도 자료가 교과서에 적절하게 시각화되도록 교과서 삽화의 개선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인공위성 해수면온도 자료와 해양 실측 자료를 활용하여 해양 데이터의 시각화를 통하여 해양학적 소양과 데이터 리터러시가 동시에 함양되고 강화될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

        해양리터러시 개념에 기반한 해양교육 모델코스 개발에 관한 연구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정우리,문성배 한국항해항만학회 2014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38 No.5

        해양리터러시는 우리에게 바다가 미치는 영향 그리고 우리의 삶이 바다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해양리터러시 개념에 기반한 부산지역 23개 기관에서 시행하고 있는 해양교육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7개의 해양교육 모델코스를 개발하였다. 7 개의 해양교육 모델코스는 실내이론, 실내체험, 현장탐방, 현장체험 등 4가지 형태의 교육방법이 다양하게 조합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해양교 육을 학생과 일반인들이 쉽게 구분하고 선택할 수 있도록 76cm*56cm 크기의 해양교육 안내지도를 제작하였다. 이는 부산지역의 지리적 여건 과 관광지가 결합된 형식이며, 교육기관, 교육내용, 교육시간 등 상세한 내용이 포합되어 있어서 수요에 따라 계절적 변화요인 또는 기호에 맞 게 피교육생들이 탄력적으로 운영이 가능하다. 해양교육 모델코스를 이용한 해양교육 안내지도의 제작은 해양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초석이 될 것이며, 해양교육의 궁극적인 목표인 해양의식 함양과 바다와의 친숙화를 통한 해양전문인력 육성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해양교육용 교재 및 부교재의 개발, 교육보조재를 활용한 실내교육의 단점보완, 동영상 콘텐츠 개발을 통한 사이버 해양교육 개발 등을 통한 후속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Ocean Literacy is an understanding of the ocean’s influence on you and your influence on the ocean. This research developed the 7 ocean education model courses using ocean literacy based on the analysis of ocean education programs which executed 23 agencies in Busan. These model courses are combined in the type of indoor theory, indoor experience, field study and field experience. Also, this makes the guide map for ocean education in a 76cm*56cm size to distinguish and choose the course easily. This map is the format combined in geological location and tourist attraction spots in Busan, includes education centers, contents, lead time and so on, and it is possible for educatees to handle their preference and seasonality elastically. This map including ocean education model course is a milestone to activate ocean education, and is helpful to reach the goal of ocean education and to lead ocean professionals. In addition, this research presents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training aids to complement the weakness of indoor education, the development of cyber education through making video contents as the activation measures of ocean education.

      • KCI등재

        공공 플랫폼 기반 중학교 과학 교과서 해양 조석 데이터 시각화 탐구 활동 개발

        정인진,박경애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2022 현장과학교육 Vol.16 No.4

        A tide is a representative oceanographic phenomenon characterized by the periodic rising sea level. It affects coastal regions’ navigation, tidal flats, aquatic resources, and meteorology. Korean coasts have an optimal environment for educating students about the importance of tides. Examining the tide-related inquiry activities of the five science textbooks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science curriculum revealed that the textbooks presented insufficient inquiry activities by introducing the Korean Oceanographic Hydrographic Agency website for graphs and tables. Therefore, this study developed an educational activity program for middle-school classes using tide data including all aspects of data literacy, such as ocean data collection, processing, analysis, visualization, and interpretation. Since this study aims at the middle-school inquiry activity, we selected accessible public platforms by excluding complicated data processing or commercial software. The inquiry activity is designed to visualize the tide level measurement data concerning time using a simple process. In addition, a bubble map was designed to understand the spatial distinction of the tides in the Korean Peninsula’s coastal region.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awareness of improving inquiry ability through this ocean actual data inquiry activity showed that 88.9 % and 98.1 % of 27 students and 53 teachers, respectively, responded positively. The study is expected to be extensively used in school classes and ultimately enhance students' data literacy and oceanic data literacy. 조석은 해수면이 주기적으로 상승하는 대표적인 해양학적 현상으로서 연안 해역에서 항해, 갯벌, 수산자원 또는 기상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한반도 해안은 학생들에게 조수의 중요성을 교육하기에 최적의 환경을 갖추고 있다.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중학교 과학 교과서 5종의 조석 관련 탐구 활동을 분석한 결과, 각 교과서에서는 국립해양조사원 홈페이지의 그래프와 표를 소개하는 등 미흡한 탐구 활동을 제시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해양 데이터 수집, 처리, 분석, 시각화, 해석 등 데이터 활용 능력의 모든 측면을 포함할 수 있도록 조석 데이터를 활용한 중학교 조석 탐구 활동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중학생 대상 탐구 활동이기 때문에 복잡한 데이터 처리나 상용 소프트웨어를 배제한 공용 플랫폼을 선택하여 활용하였다. 제안된 탐구 활동은 간단한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시간에 따른 조석 데이터를 시각화하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한반도 연안의 조석의 공간적 차별성을 이해하기 위해 버블 맵(풍선 지도)을 디자인하였다. 본 탐구 활동을 통한 탐구 능력 향상 인식 조사 결과, 학생 27명과 교사 53명의 88.9 %, 98.1 %가 긍정적인 응답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실측 해양 데이터를 활용한 탐구 활동이 학교 수업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되어 궁극적으로 학생들의 데이터 리터러시 및 해양 데이터 리터러시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중국의 국민해양의식 담론과 해양의식교육 추진 방향

        권기영 중국문화연구학회 2024 중국문화연구 Vol.- No.63

        신해양 시대를 맞이하여 해양강국 건설을 국가 전략 목표로 설정한 중국 정부는 그것이 무엇보다 해양에 관한 국민들의 이해와 지지를 기반으로 할 때 실현 가능하다는 점을 분명히 인식하고, 특히 청소년을 중심으로 전국민의 해양의식 제고를 위해 많은 노력과 자원을 투입했다. 본 논문은 국민해양의식 제고를 위해 중국에서 진행된 해양의식 관련 담론의 특징과 중국 정부가 역점을 두고 추진했던 해양의식교육 정책 방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했다. 국민해양의식에 관한 중국 내 연구와 정책 방향은 ‘인간과 해양의 관계’를 강조하면서 국가 전략 차원에서 해양의 중요성과 가치를 인식시키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때문에 해양의식 가운데에서도 특히 해양주권, 해양영토, 해양자원, 해양역사 등의 분야에 관심과 교육이 집중되는 경향을 보인다. 이것은 기존의 육지중심적 사고, 그러니까 국가의 주권·영토·자원·역사에 대한 중국의 주장을 이제 해양으로까지 확장시킨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중국식 해양의식 담론에서 이른바 ‘육지중심의 사고에서 해양중심의 사고로의 전환’, 혹은 해양의식을 통한 새로운 철학적 비전과 인식 패러다임의 전환을 기대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난 20년 동안 국민해양의식 향상을 위해 중국 정부가 추진했던 주요 정책들과 실천 경험들은 최근 비슷한 문제의식 속에 <해양교육문화법>을 제정했으나 추진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우리에게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지점, 즉 정책 추진체계 구축, 중국에서 개발한 국민해양의식 평가지표체계 및 국민해양의식 조사 등에서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major policies and research results in China surrounding ‘National Marine Awareness’ since the 2000s and to derive its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In the new maritime era, the Chinese government, which has set the construction of a maritime power as a national strategic goal, clearly recognized that it is feasible based on public understanding and support for the ocean, and devoted a lot of efforts and resources to raise the people’s marine awareness, especially among young people. Research and policy directions in China on national maritime awareness are focused on recognizing the importance and value of the ocean at the level of national strategy, emphasi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the ocean’. Therefore, among marine awareness, interest and education tend to be concentrated in areas such as marine sovereignty, marine territory, marine resources, and marine history. This can be seen as extending China’s claim to the existing land-centered thinking, namely the sovereignty, territory, resources, and history of the state, to the ocean. In this Chinese-style discourse of maritime awareness, it seems difficult to expect a shift in a new philosophical vision and perception paradigm through so-called “transition from land-centered thinking to ocean-centered thinking”.

      • KCI등재

        도둑게의 유생털이를 위한 이동 특성을 활용한 해양 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류미,김재근 한국환경교육학회 2019 環境 敎育 Vol.32 No.2

        We developed an ocean environmental program using the Sesarma haematocheir’s rhythm of releasing zoea for promoting ocean environmental literacy. During breeding season, ovigerous female land crabs migrate to the sea to release zoea and return to their habitat. Accordingly, female crabs get killed by automobiles especially along coastal roads. Developed program consists of four parts: “Explaining crab’s life history,” “Observing release of zoea,” “Monitoring roadkills”, and “Discussing how to mitigate roadkills.” The program was implemented in Namhae-gun in 2017 and 2018. The program participants understoo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fe history of S. haematocheir and the interaction with people, they were amazed and awed as they observed the release of zoea, and showed social sharing of emotions through empathy. This deep sympathy has led participants to recognize the issue of crab roadkills as an issue associated with them. They actively discussed over how to mitigate roadkills and acted to help the crabs by stopping traffic to let them pass. This program can be an educational methodology for raising ocean environmental literacy. The main point of this program is to approach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ocean and human beings intelligently, emotionally, cognitively, and encourage participation in the process of direct meeting with marine life and addressing ocean environmental issues in an integrated manner. This program is meaningful to recognize marine environmental problems and even propose solutions based on wonderful experiences and pleasures, focusing on the observation and interpretation of life history of marine life, without harming marine life. 본 연구에서는 해양환경소양을 증진하기 위하여 도둑게의 유생털이 리듬과 로드킬 쟁점을 활용한 해양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도둑게는 우리나라 서해와 남해에 서식하는 육지성 게로 성게가 되었을 때 만조선보다 높은 육지에서 살지만 산란기가 되면 포란한 암컷이 보름달이나 그믐달이 뜨는 사리 때 야간 만조에 바다로 내려와서 유생을 풀어준 후 다시 육지로 돌아간다. 이러한 이동 과정에서 해안도로를 오가게 되고 로드킬이 일어나게 된다. 도둑게의 유생털이와 로드킬 프로그램은 도둑게 생활사에 대한 실내 수업, 도둑게의 유생털이 관찰, 도둑게의 로드킬 모니터링, 로드킬 저감 방안 논의를 위한 실내 활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프로그램은 도둑게의 유생털이와 로드킬을 야외에서 직접 관찰할 수 있도록 2017년, 2018년 여름철 사리 때에 도둑게의 서식지가 있는 경남 남해군 설천면에서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프로그램 참여자들은 도둑게의 생활사와 인간과의 관계를 인해하였고, 유생털이를 관찰하는 과정에서 경이로움과 경외심을 느꼈으며, 자신의 감정과 경험을 사회적으로 공유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깊은 공감을 통해 참여자는 도둑게의 로드킬 쟁점을 자신과 연관된 문제로 인식하고, 로드킬에 대한 죄책감을 느끼며, 차량을 멈추는 등의 행동과 함께 로드킬 저감 방안에 대해 적극적으로 논의하고 고민하는 모습을 보였다. 인근 지역에 거주하는 참여자들은 ‘도둑게의 유생털이와 로드킬 프로그램’에 지역활동가로 참여하고자 하는 의사를 밝혔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은 해양생물과의 직접적인 만남과 해양환경문제를 통합적으로 다루는 과정에서 해양과 인간의 상호관계성을 지식적, 정서적, 인식적, 참여적으로 접근하여 해양환경소양을 기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기존의 갯벌체험과 같은 어획 체험이나 부정적 정서를 바탕으로 하는 해양쓰레기 학습을 벗어나 해양생물 해치지 않고, 해양생물의 관찰과 생활사 해설을 중심으로 경이로운 경험과 즐거움을 바탕으로 해양환경문제를 인식하고 해결방안을 제안까지 이어지도록 했다는 데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애니메이션의 미디어 교육 활용 방안 연구 -애니메이션 텍스트 읽기를 중심으로

        박기수 ( Park Ki-soo ) 국제어문학회 2004 국제어문 Vol.31 No.-

        This paper aims to find the ways for media education by analyzing the narrative of 「Antz」. Taking the media education, viewers can make and enjoy the media by being active and critical. The media education of animation should lay emphasis on raising the ability of media literacy. Through this, we can 1) activate the independent and creative enjoyment by attempting to have productive conversation with animation 2) raise the ability of text literacy through animation 「Glassy Ocean」 resolutely abandons conveying the concluded meaning of text or the meaning from producer and activates the conversa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text and viewer by juxtaposing the paradigmatic narrative. Basing on this characteristic, I provided the learnable ways of media education such as the basic way of analyzing the text so that the viewer can actively start reading the text and creatively interpreting the analyzed content through analyzing the narrative of 「Glassy Ocean」. 「Antz」 shapes the process that the symbolized person(Z) aims to have a community as a real free person by targeting an individual, choice and freedom not being buried on the myth of a kingdom, duty, order and group. This is different from the target ideology or the way of shaping of 「Bug`s life」, but shows the limit of not being able to pass over the Diseny`s ideology in the part of contents. However, Dreamworks is different in the sense that it processes the characterization through the relationship among three people although Diseny sets up the clear composition of good and evil standing on the basis of dichotomy. Taking the contents of 「Antz」`s text as the clue, I provided the way for leading a person to continually develop thinking, various criticisms about the text and the ways of media education being based on the information of contex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