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반도 유사시 자결권 행사와 통일국가 건설

        정대진 ( Jung Dae-jin )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외법논집 Vol.39 No.1

        The concept of Koran Peninsula contingency in this paper includes North Korean contingency or crisis. Many researches have described this concept with its own criteria and this paper found that common criteria among the researches is inevitable intervention from the outside of the Korean Peninsula. This inevitable intervention based on the situation when the contingency or crisis inside North Korea unfolds and transfer its effect to outside of its border and relevant parties cannot help engaging the contingency. When relevant players come into the Korean Peninsula to cope with the contingency, they may justify their engagement with various international law grounds. For South Korea, it can justify its engagement into North Korea with the self-determination rights which is only belong to South Korea as a representative of Korean People as a whole when North Korea lose its authority as a part of Korean People as a whole. Other regional powers are not the eligible holders of the self-determination rights of the Korean people. And in the Korean Peninsula contingency stems from North Koreana crisis is in progress, North Korea is also regarded being deprived from the status of an eligible holder of the self-determination rights for a while because it loses its control and cannot express its will explicitly during the contingency. Under this situation, South Korea shall enjoy the self-determination rights to maintain stability of the Korean Peninsula and achieve Korean Unification. In addition, two Koreas have accumulated amount of agreements which pursue peaceful unifi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elf-determination rights though two koreas are struggles to win upper hands from time to time. The agreements are based on the special relations concept between two Koreas which depicts the two Korea’s relations are not the relations between countries but temporary relation pursing unification. As a part of this special relations, in a North Korea’s mishap, South Korea can implement various unification-driven agreements which are clinched in the light of the self-determination rights. However, the way of implementation should be in tandem with current regional security orders and status quo. Also the implementation should not breach any international law. In this way, Korean People as a whole can achieve unification with support and cooperation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 게임이론을 이용한 북한급변사태에 대한 분석

        송봉주 ( Bongju Song ) 공군사관학교 2016 空士論文集 Vol.67 No.1

        북한급변사태는 한반도 통일과 관련된 매우 중요한 분야이다. 많은 논문들에서 북한급변사태에 대하여 한미공조방안, 한국의 선택, 중국의 군사적 개입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다루었지만 게임이론을 이용한 분석은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합리적인 가정을 통하여 북한급변사태에 대하여 게임이론 구조로 모형화 하고 북한급변사태 시에 한국의 개입전략을 분석하였다. 본 논문의 북한급변사태에 대한 게임이론 분석에서의 한국의 대응방안에 대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과 중국이 동시에 북한급변사태에 개입하는 동시게임 상황에서는 무엇보다도 한국이 북한급변사태 시에 적극적 개입을 한다는 의지를 중국이 신뢰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북한급변사태 시에 한국과 중국이 동시가 아닌 순차적으로 개입하는 순차게임 상황에서는 먼저 개입하는 퍼스트 무버(First Mover)의 보수가 더 크므로 북한급변사태 시에 한미공조를 통한 정치외교적인 신속한 결정으로 북한급변사태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것이 중요하다. The North Korean contingency is one of the important issues around North Korea. Many papers dealing with the North Korean contingency discuss ROK-U.S. cooperation, a chance for Korean unification, the China’s military intervention, and etc. However, there are only few papers studying the game theoretic analysis on the North Korean contingency. This paper analyzes the South Korean intervention into sudden change of North Korea by using game theory. We also focus on intervention strategy of South Korea in case of the North Korean contingency. Consequently, our results mainly argue two things in different aspects. Firstly, under simultaneous game, South Korea should give China the credibility about South Korea’s will to intervene into sudden change in North Korea not in passive way but in active way regardless of any circumstance. Secondly, under sequential game, South Korea should make an attempt to be the first mover who will intervene to sudden change in North Korea before the second mover, China, makes decision and takes an action.

      • KCI등재

        북한 급변사태시 중·러협력과 한국의 국가전략

        박창희(Park Chang-Hee)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012 전략연구 Vol.56 No.-

        이 연구는 북한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중국과 러시아의 전략적 협력이 한반도 문제 해결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한국의 대응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정부의 북한급변사태 대응전략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가장 결정적인 도전요인은 중국과 러시아의 입장이 될 것이다. 만일 중국과 러시아가 전략적으로 제휴한다면 북한급변사태는 한국정부가 원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북한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에 대비하여 한국정부는 유엔 및 주변국에 대해 즉각 대응할 수 있는 일관성 있는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그럼으로써 북한지역에 무정부적 상황이 초래될 때 일사불란한 사태해결을 주도하고, 국제사회는 물론, 중국과 러시아의 협력을 이끌어내야 한다. 이를 위해 한국정부는 우선 북한급변사태에 대한 전략적 목적을 ‘통일을 위한 유리한 여건을 조성하는 것’으로 설정하고 이를 미국과 함께 공유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외교적으로는 북한사태를 유엔 안보리에서 논의하되 중국과 러시아의 이해를 구함으로써 이 문제를 한국이 주도하여 해결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군사적으로는 한국이 안정화작전을 주도하되, 미국, 중국, 러시아 등이 포함된 다국적군을 구성하여 북한지역을 안정화시켜야 한다. 북한에 대해서는 주민들의 ‘마음(hearts and minds)’을 얻기 위한 노력을 경주하는 한편, 어느 정도 북한사회가 안정화되었을 때 궁극적으로 북한에 자유민주주의 원칙에 입각한 ‘과도정부’를 수립해야 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한국정부는 국민을 대상으로 남북한통일을 위한 준비에 착수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준비에는 통일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 변화로부터 통일교육, 민족통합 방법, 그리고 통일을 위한 재원마련방안 등이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analyses the impact of Sino-Russian strategic cooperation on North Korean contingency, and seeks concrete measures that ROK government should take. The Sino-Russian strategic alignment will be the decisive factor in dealing with North Korean crisis, because it will be able to change the course that South Korea wants to lead. For that reason, South Korean government should prepare for consistent strategy toward neighboring states to respond effectively, reduce their opposition, and take the lead in dealing with the crisis. Most of all, ROK government should set the goal of “shaping favorable environment for reunification of the two Koreas” and share it with the United States. More specifically, South Korea should consult the North Korean contingency in the UN Security Council and persuade China and Russia that South Korea has the right to control the situation in the North. For military dimension, while South Korea take the lead the stabilization operation, it should constitute multinational forces including the US, China, and Russia to stabilize the North. The stabilization operation should focus on earning hearts and minds of North Korean people. Also, South Korean government should be prepared to establish interim government in the North, and have the plan to demilitarize North Korean military.

      • KCI등재

        크림합병과 북한 급변 및 한반도 상황간의 대비

        우평균 ( Pyung Kyun Woo )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14 국방연구 Vol.57 No.4

        2014년 3월 21일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령 크림반도를 합병하는 조치를 취했다. 러시아의 크림 합병은 21세기 들어 주요 강대국이 인근 국가의 영토를 병합하는 지정학적변동의 첫 번째 사례로써 러시아가 국익 수호를 위해 힘의 투사도 불사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본 논문에서는 크림병합의 사례를 한반도에서 전개 가능한 북한 급변 시 중국의 개입과 대비하여 평가하고, 한국에 주는 시사점 및 대비 사항을 제시하려 한다. 우크라이나와 한반도 상황을 비교할 때, 공통점으로는 "인접국에 대한 영향력 유지." "반러 및 반중 정권 수립 불원", "정치권의 분열과 안보의식 해이" 등을 들 수 있고, 차이점으로는 "당사자의 개입 요청 여부", "핵보유 여부", "미국 및 UN의 개입 정도"를 들수 있다. 크림 합병과 북한 급변 시 공통점과 차이점에 근거해 한국이 고려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1) 한반도 위기 발생 시 중국의 무력개입을 당연시하는 등 중국의 행태에 대해 어떤 고정된 관념을 가지고 바라보지 말아야 한다. 2) 무력한 군대와 국민 및 지도자의 안보의식 해이는 위기 극복에 치명적인 약점으로 작용한다. 3) 한국이 주도하는 자유민주주의를 지향하는 통일을 위해 중국과 러시아 등의 국가에 대한 적극적인 공공외교에 나서야 한다. 4) 중국 외에 러시아도 한반도 유사시 개입할 가능성에 대해서도 고려해야 한다. Russia captured Ukraine``s Crimea on March 21, 2014. Russia``s occupying the peninsula is the first event in 21th century as a geopolitical exchange by the major power in global context. Russia showed vividly her power extension for archiving her national interests in influential areas. This paper aims to compare the example of Crimea with role of China in North Korean contingency, and suggest the implications to Korea after reviewing both cases of Ukraine and North Korea. Common things through comparing the two cases are "keeping influences to countries near abroad," "not wishing to establishing the anti- Russia, or anti-Chinese regime," "severe division of political groups and "unconsciousness about national security," and different points are "intervention by invitation," "possessing nuclear bombs," "intervention by U.S.A. or UN etc. Conclusionally, Korea has to focus four major points. 1) There is no need to think that China will be necessarily intervened to Korean Peninsula in North Korean contingency. 2) Powerless army and the leader and people``s unconsciousness about national security is lethal weakness to sustain the state system. 3) Korea has to concentrate on public diplomacy toward Russia and China for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which implies to the liberal democracy. 4) Russia can also intervene in North Korean contingency.

      • KCI등재

        중국의 미얀마 코캉사태 대응전략: 북한 급변사태에 주는 시사점

        신상진 통일연구원 2011 統一 政策 硏究 Vol.20 No.1

        The purposes of this paper are to analyze the Myanmar Kokang crisis and to prospect China’s response to North Korea’s contingency. When over 37,000 of Kokang refugees fled into the south-western part of Yunnan province on August 2009, China classified the crisis as level 1 emergency as the most severe and significant incidents which should be manipulated by Beijing. The Yunnan government opened the refugee camps and supplied humanitarian aid to Myanmar refugees, then the refugees were returned to Myanmar just after the condition in Kokang had been improved. China’s preparations and response to the refugee crisis in Yunnan have clear implications for how it might address contingencies on North Korea. Should North Korea collapse in dramatic fashion, a refugee crisis will be one of several challenges that China will face. Should North Korea collapse or over tens of thousands of North Korean refugees fled into China at once, it would be a direct threat to Chinese territorial integrity and core national interests. China is expected to do what it can to prevent North Korea collapse, but China might exclude military intervention should U.S. and South Korea not send troops into North Korean territory. It is certain that China would not tolerate U.S. and/or South Korean troops approaching the Chinese border and such a development might trigger Chinese military intervention. So, it is highly necessary that U.S.-China and China-South Korea should have held discreet talks on this issue and provide assurances to one another. If true, such an understanding significantly reduces the possibility of miscalculation and the prospect that a sudden crisis in North Korea could expand into a regional conflict. 이 글은 북한과 여러 가지 면에서 유사한 특징을 지니고 있는 미얀마 사례분석을 통해 북한 급변사태 시 중국의 예상대응을 분석·전망하였다. 2009년 8월 3만 7천명에 달하는 미얀마 코캉지역 주민이 국경을 넘어 중국으로 유입되었을 때, 중국정부는 위급하고 광범위한 대응을 요구하는 1급 돌발사태로 규정하고 중앙정부 차원에서 대처했다. 중국 내에 유입된 미얀마인들을 임시 피난민 수용소를 설치하여 수용한 다음 사태가 진정된 후 곧바로 미얀마로 귀환시켰다. 대량 탈북자 유입 시 중국은 북한사태가 중국에 미칠 영향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대응할 것이며, 한·미에게 북한사태 개입 명분을 주지 않고 주변국에게 중국위협 인식을 고조시키지 않기 위해 단독 군사개입은 최대한 자제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그러나 코캉사태와 마찬가지로 북한사태 시 중국의 대응은 무엇보다도 미국이 어떤 방식으로 개입할 것인지에 의해 결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은 북한 급변사태 시 국가안보에 대한 심각한 위기로 간주하고 국무원 차원을 넘어 당 중앙차원에서 대응할 것으로 보이며, 북한사태로 인해 중국과 한·미가 군사적 충돌을 벌이는 상황이 전개될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미·중뿐 아니라 한·미간에도 북한사태에 대한 사전 협의를 통해 충돌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해야 한다. 북한 급변사태에 대한 한·중 간 협의와 협력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한국의 대북정책과 대미 동맹정책에 대한 중국의 오해와 의구심을 해소하는 노력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북한의 내파 및 급변사태시 국제사회의 개입 가능성

        우평균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13 평화학연구 Vol.14 No.4

        This paper analyzes when the possibility of the ‘implosion’ in North Korea will be happened in the future, and then suggests how the behavior of the two major countries, U.S.A and China to be developed in the North Korea’s contingency. From this, it is pointed that U.S.A and China will never be sole military arbitrator by themselves in the critical situation. UN’s intervention is more realistic approach in the contingency plan rather than a great power’s military intervention. Especially, UN’s intervention in the time of North Korea’s contingency can be a desirable solution to Korea, considering to the North Korea’s nuclear power. It is inevitable to take out the North Korea’s nuclear weapon as possible as soon by the foreign countries among UN memberships in contingency because the North Korea will not give up her nuclear weapons voluntarily. 본 논문을 통해 북한의 체제가 내부에서부터 완전히 붕괴하는 ‘내파’의 가능성은 어디에서부터 시작되고 완성되는가를 살펴보고, 현실적으로 북한 체제 붕괴의 단초가 될 수 있는 급변사태 발생 시 가능한 외부세력의 개입을 미국과 중국의 예측 가능한 행동에 입각하여 제시하고 있다. 이를 통해 중국과 미국 모두 단독으로는 군사적 개입이 어려울 것이며, UN의 장에서 양 국을 포함한 국제사회가 협의하여 북한에 개입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그동안 한국 사회 내에서 꾸준히 제기되어온 중국의 급변 사태 시 개입 시나리오는 중국의 필요성 및 국제법적 원칙 등 제반 상황에 입각해 보더라도 실현 가능성이 가장 낮을 수밖에 없다. 본 논문은 UN을 통한 국제사회의 개입 방식은 가능성의 측면은 물론 한국의 입장에서도 바람직한 사태 해결 방향이 될 수 있음을 강조한다. 특히 2013년 2월 북한의 제3차 핵실험 이후 북한이 자발적으로 핵을 포기할 가능성이 거의 없어졌다는 점을 감안하여 북한에서 향후 어떤 정권이 들어서더라도 핵을 자발적으로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는 전제하에서 이 방식은 구체성을 띠고 있다. 한국이 차후 안보 불안정을 극복하고 핵억제를 실질적으로 이루어내기 위해서는 외부세력에 의한 북핵 통제 및 제거가 필수적이며, 북한 급변사태 시 UN을 통한 개입이 현실적이라는 점을 숙고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북한의 급변사태 이후 효율적인 안정화와 통합전략: 미군의 안정화작전 교훈을 중심으로

        남성욱 ( Sung Wook Nam ),박용한 ( Yong Han Park ),조평세 ( Pyung Se Cho )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16 국방연구 Vol.59 No.1

        본 연구는 북한의 급변사태 이후 적용가능 한 효율적인 안정화와 통합의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미군이 수행한 안정화작전의 경험에서 교훈을 도출하고자 했다. 북한의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동북아의 지정학적 구조 및 남북한 특수성으로 인해 주변지역의 위기로 확산되거나 또는 한반도 통합의 기회를 촉발할 수도 있다. 다만 주변국 개입과 불안정 요인의 잔존등 다양한 위협에 직면할 것이다. 따라서 한국은 다층적이고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할 효과적인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안정화 전략은 대내외의 군사, 외교 그리고 행정 분야의 다양한 요인을 포괄해야 한다. 한국의 효율적인 안정화 전략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안정화작전의 유사한 사례와 비교하여 북한에 적용 가능한 전략을 추론할 수 있다. 미군의 안정화사례에서 도출된 안정화 변화 원인과 한반도 안정화의 결정요인을 비교 및 고찰하여 안정화 전략을 제시했다. This research seeks to put forward an effective stabilization and integration strategy applicable after a North Korean contingency. Lessons were drawn from the US military’s stabilization operations. In the event of a North Korean contingency, northeast Asian geopolitics and the particular inter-Korean relations will cause regional crises and also trigger an opportunity for Korean peninsula’s reintegration. Various risks such as third party intervention and internal insurgencies are expected to be faced. South Korea must therefore plan an effective strategy to tackle the various challenges. Stabilization strategy must include the military, diplomatic and administrative considerations. For this purpose, previous stabilization operations can be studied and relevant lessons drawn for North Korea. Factors of stabilization in the US military’s stabilization operations and determinants of Korean peninsula’s stabilization were comparatively analyzed to put forward a stabilization strategy for North Korea.

      • KCI등재

        한국의 국방환경과 통일지향 국방발전 과제

        박용옥(朴庸玉, PARK Yong-Ok) 신아시아연구소 2009 신아세아 Vol.16 No.4

        이 글은 한반도 주변 안보·군사환경의 변화추세를 면밀히 평가하여, 그 변화의 특성을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의 바람직한 중장기 국방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한국은 세계 및 지역안보정세 변화에 맞춰 한국적 변환전략을 적극 추진하지 않으면 안된다. 첫째, 가장 절박한 당면과제는 우선 전작권전환 및 한미연합사 해체와 관련한 중장기 방위역량 보강대책을 발전시키는 일과 북한 핵을 완전히 제거하는 일이다. 현 시점에서는 전작권 전환계획의 재검토 여부와 관계없이 우리의 독자적 국방역량 강화에 전력을 기울여야 한다. 둘째, 북핵문제와 관련하여 미국의 핵우산 또는 확장억제에만 의존해서는 안 될 것이다.우리 자신의 대북핵억제수단도 확보해야 한다. 셋째, 우리 국방개혁은 첨단 high-tech 기술분야 뿐만 아니라 low-tech 비대칭위협에도 대비해야 한다. 특히 한국의 대북 비대칭위협 수단을 강구해야 한다. 넷째, 동맹관계는 전시는 물론 평시에도 중요하다. 따라서 평소부터 한미동맹관계를 잘 관리하고 유지해 나갈 필요가 있다. 앞으로 장기적인 안목에서 국제 안보/평화 이슈들에 대한 국제공조활동에도 적극 참여해야 할 것이다. 끝으로, 우리의 중장기 국방발전계획은 또한 통일에 대비한 계획이어야 할 것이다. 통일한국의 군사정책이 결코 주변국 어느 누구에게도 위해가 되지 않을 것임을 충분히 인식시키기 위한 전략대화를 적극 전개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has a three-fold purpose: making an overall assessment of changing military trends in and around the Korean Peninsula, discerning some of its unique characteristics evolving in the recent past, and constructing a Republic of Korea s mid- and long-term defense development policy, particularly looking into unification. At this critical juncture, Korea s defense development policy should stand on its own transformation strategy, realistic, well-balanced, forward looking and carefully designed to reflect the current dynamics of Northeast Asian security and inter-Korean relations. First of all, most urgent and essential for South Korean security is to realize complete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meanwhile maintaining the solid ROKUS combined defense posture, which will supposedly be substantially loosened in the aftermath of the deactivation of the CFC in 2012. South Korean defense authority should take every measure to acquire its independent military deterrence vis-?-vis the North at the earliest possible time. Second, with respect to the North Korean nuclear problem, South Korea may well be advised not to rely solely on US s nuclear umbrella or extended deterrence, and instead move to strengthen its independent deterrence by such means as of extending its missile ranges to reach every corners of the North. Third, South Korea s defense reform should take into account not only its own subtle, high-tech capabilities but also the North s asymmetric threats largely capitalizing on crude, low-tech means. The South also needs to develop its own version of asymmetric threats to the North. Fourth, alliance relationship will continue to remain critical and essential for South Korean security and prosperity in the years ahead, not only in wartime but at peace. Thus, the ROK-US alliance needs to be well managed and maintained. South Korea also would have to more actively participate in international peace and security cooperation activities. Lastly, our mid-and long-term defense development plan should be designed and framed to prepare for a unified Korea. South Korea needs to actively engage in a wide variety of strategic communication with its neighboring countries, most particularly, China and Russia in order to enable them to understand and recognize that a future unified Korea s military posture would certainly not to be inimical to their national security interests.

      • KCI등재

        중국의 대북 군사개입 전략에 관한 연구

        김재호(Jaeho Kim),민정훈(Jeonghun Min) 경북대학교 사회과학기초자료연구소 2020 연구방법논총 Vol.5 No.1

        본 연구는 북한의 급변사태에 대한 중국의 군사개입 전략을 논의한다. 본 연구의 질문은 북한 내전 발생 시 중국의 군사개입 조건들은 무엇이며, 어떠한 과정을 통해 개입 수준이 결정되는가이다. 구체적으로, 중국의 대북 군사개입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찾아내고 그러한 요인들이 해당 시기 가상의 국내-국제적 환경에서 어떻게 작용하여 군사개입 결정으로 이어지는지 검토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정치학에서 논의되는 가상사실 분석과 더불어 미래연구 방법론에서 핵심 역할을 하는 시나리오 분석 방법을 도입하여 분석의 적실성을 높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시도하는 ‘가상사실-시나리오’ 분석은 군사안보 분야 연구에 있어 유용한 방법론을 제공해 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paper discusses China"s strategy of military intervention in North Korea"s hypothetical contingencies. The research question of the study is that what conditions China would consider for its military intervention in the event of a civil war in North Korea, and which factors would affect the level of its intervention. To address these questions, we identify factors that could affect China"s decision to intervene in the North and examine how those factors interact with each other in the hypothetical domestic-international environment. To this end, we introduce scenario techniques that play key roles in the future research as well as counterfactual analysis to enhance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analysis. The ‘Counterfactuals-Scenario analysis’ proposed by this study could be fruitful in that it provides a useful methodology for military and security studies.

      • KCI등재

        동북아 주요 국가의 탈북자 정책

        이신화(Lee Shin-wha)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10 亞細亞硏究 Vol.53 No.3

        An external refugee dilemma is one of the most serious North Korean humanitarian problems together with long-standing food crisis and gross human rights violations. Since the mid-1990s, hunger-stricken North Koreans have tried to escape from their country, mostly to China, but political barriers and tight border control have made the process dangerous and often unsuccessful. Even after a successful escape, those in China or countries other than South Korea are currently trapped by political, diplomatic, and legal constraints. According to the UN refugee laws, only those who leave their home countries for political reasons such as wars and persecution are entitled to seek refugee status. Deplorably, North Korean defectors in search of food, money and medicine do not meet this requirement. This legal trap has been a justification to China and other countries that are reluctant to grant the defectors protection and shelters. The Chinese government has labeled all North Korean escapees as illegal immigrants. Unless a dramatic incident such as “planned defection” happens to catch the world media, the defectors are destined to forcibly repatriation to North Korea. Once returned, they are subject to imprisonment, harsh torture, or even death penalty. Those who remained in China also face double sufferings of fugitive life and human rights abuse such as la bor exploitation, human trafficking and purchasing marriage. As China has increased their surveillance and search activities, many North Koreans in China have attempted to escape to Southeast Asian countries. North Korean refugee problem needs to be addressed from the perspectives of human rights and humanitarian issues, and yet the countries involved tend to deal with the problem in terms of their political, diplomatic priorities and national interests. Although the US, Japan, Russia and other Southeast Asian countries, as well as successive Korean governments, tend to provide North Korean defectors with assistance and have not forcibly repatriate them, more comprehensive and consistent North Korean refugee policies are required to effectively address the problem. It is particularly important considering the likelihood of the North Korean contingency and related mass defection of North Korean people. While the contingency, whether it will be caused by the fall down of Kim Jong-il’s regime, the transformation of the dictatorial communist system, or the state collapse of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can precipitate the mass refugee problem, the North Korean regime’s loss of power and control over its citizen lapse can be caused by the large-scale refugee flow in combination with the uprising of the discontented North Korean people. No matter which scenario is more plausible, if the contingency and/or mass defection happen, the consequences will be astounding. Therefore, close policy coordination at the global and regional levels are crucial to prepare for detailed and systematic plans to address the probl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