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evelopment of the Neo Eurasianism and the Pathways of the Putin’s Regime

        우평균 한국세계지역학회 2022 世界地域硏究論叢 Vol.40 No.4

        Neo Eurasianism, which emerged from the 1980s, at the end of the Soviet Union, has spread in Russian society through several stages of development. On the other hand, the Putin’s regime, which was launched in 2000, has adopted the concept of neo Eurasianism in earnest since the 2010s, especially in the process of the annexation of Crimea in 2014, the civil war in eastern Ukraine, and the outbreak of the Ukraine war in February 2022. Putin has selectively used Eurasian ideas as his means of governance, emphasizing the same content as neo Eurasian claims, including Alexander Dugin, but he cannot identify himself with Eurasianists on various grounds, including power politics. The Ukraine war was also waged with enthusiastic support from neo Eurasianists, but it casts many dark sides on the path of the Putin’s regime. However, even after the Putin administration, the aftermath of the neo-Eurasian ideology and Russian nationalism is expected to continue for a considerable tim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헬싱키 프로세스 구축과정과 한반도 및 동북아 다자협력 구상에의 함의

        우평균 한국세계지역학회 2019 世界地域硏究論叢 Vol.37 No.2

        헬싱키 프로세스는 국제환경에 따라 부침을 거듭하면서도 동력을 상실하지 않았기 때문에냉전이 끝나는 시점에서 제 역할을 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은 헬싱키 프로세스의 진행 과정을안보협력의 틀 속에서 평가하고, 한국정부 차원에서 제시된, 동북아에서의 다자안보협력시도와 견주어 비교하는데 목적을 갖고 있다. 그동안 헬싱키 프로세스가 진화해 온 과정에대해 논의를 하면서 그 같은 경로가 동북아에서도 가능할 것인지에 대해서도 많은 검토가있었다. 대체적인 논의의 결론은 유럽의 경험이 동북아에 직접 적용되기 어렵다는 것이었다. 이를 전제로 하면서 동북아에서의 다자안보 협력 구상의 실현을 위해 필요한 몇 가지 사항을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자 협의를 위한 시작은 북핵 해결을 위한 합의 구조가 가시권에들어온 상태에서나 가능하기 때문에 북핵 해결 시점에 다자안보협력 구도를 구체화하는편이 바람직하다. 둘째, 현실적 대안으로 중간적인 단계인 ‘협력안보 비전(multilateral cooperative security vision)을 제시하는 편이 바람직하다. 셋째, 한국은 자체적으로 다자협력구상을 발표하고 동북아 국가들의 동의를 확보하는 방식을 답습하기보다는 미국, 중국 등과먼저 협의하고 다자 협상을 위한 논의의 수준을 설정하는 등 사전적인 노력이 더욱 필요하다. Helsinki Process was culminated in the signing of the Helsinki Accords in 1975, and follow-up conferences to the Helsinki Accords were held three times. The Helsinki process was successful in creating a cooperative multilateral framework and easing Cold War tensions in Europe by adopting a comprehensive approach. This article has a purpose to evaluate the process of the Helsinki Process in the prism of security cooperation and to compare with the trying for the multi security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by the Korean government. But direct application of European’s experience to Northeast Korea is not inevitable. For better understandings about multi cooperative system in Northeast Asia, especially it is needed to think about some points. First, it is desirable that the trying for the multi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will be accessible in time of dissolution of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Second, multilateral cooperative security vision as a alternative can be suggested as the intermediate stage for the cooperative regime. Third, Korea’s preemptive efforts for consulting with U.S.A and China in advance of public presentation about multi cooperative system will be useful.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나고르노 카라바흐(Nagron-Karabagh) 분쟁의 갈등 양상과 국제 개입

        우평균 사단법인 한국민족연구원 2013 민족연구 Vol.0 No.54

        나고르노 카리바흐 분쟁은 20세기 소련의 민족정책의 산물이지만 소련이 붕괴하고 난 뒤에도 분쟁이 지속되고 있는 특이한 사례이다. 그동안 아르메니아 측이 주장하고 있는 자결권과 아제르바이잔 측이 고수하고 있는 영토권이 서로 접점을 찾을 만한 계기도 발견하기 힘든 것이 현실이기도 했다. 또한 협상을 통한 문제해결의 관건이 되는 상호 인정과 존중의 정신이 갑자기 조성되기도 어렵다. 따라서 현실적으로 전망을 한다면 현재와 같은 정전 상태에서 당분간 교착될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국제법적으로 아제르바이잔 측에 유리하지만 이를 강제할만한 권한과 의지를 국제기구와 중재국들이 갖고 있지 않는 한, 다시 말해 전쟁을 통해 아르메니아를 굴복시키지 않는 한 현재의 상태를 타파하고 과거 소련시대 의 경계로 돌아갈 방법도 없다. 국제사회는 무력을 배제한 협상 타결을 원하고 있기 때문에 스스로 무력을 이용하는 방법을 채택할 수도 없다. 다만 아르메니아가 아제르바이잔인들을 대상으로 해서 대량학살을 하거나 인도주의적 원칙에 반하는 잔학행위를 할 때, UN이나 OSCE 등에서 과거 수단이나 시리아에서처럼 "보호책임"(Responsibility to Protect)에 의해 무력 개입을 할 수 있지만, 이런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도 없다. 나고르노 카라바흐 분쟁은 다민족 국가에서 민족정책의 난점을 예증해주는 역사적 경험이 될 수 있을 뿐 아니라, 현대 민족 국가의 민족주의가 갖고 있는 속성을 21세기에도 여전히 보여주고 있는 실체로서 기록될 것이다. 또한 소비에트 정부 초기 스탈린이 주도했던 민족정책의 실체와 폐해에 대해서도 지속적으로 관심으로 갖고 연구해야 하는 과제도 담겨 주고 있다. 본논문에서 제시했던 국제법 원칙과 현실정치 간의 괴리는 국제정치의 속성상 불가피한 측면이 불명히 있지만, 나고르노 카라바흐 분쟁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국제법 원칙에 충실하려는 태도는 독립을 열망하는 민족들과 평화를 갈망하는, 미래에 있을지도 모르는 분리주의적인 운동에 대해서도 하나의 시금석이 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나고르노카라바흐 분쟁은 단순히 과거사 혹은 민족분쟁의 일반적인 사례가 아니라 국제사회가 반드시 힘을 모아 해결해야 하는 민족갈등의 표본과도 같은 비중을 지니고 있다. 나고르노 카라바흐 분쟁이 발생한 지 20여 년이 지나면서 상기한 분쟁의 속성 자체는 변화하지 않고, 오히려 문제해결에 있어 풀기 어려운 새로운 요소들이 가중되어 왔다는 점이 명확해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분쟁의 가장 주요한 당사자인 아르메니아인들과 아제르바이잔인들이 협상을 통해 예비적인 원칙을 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협상의 최종 타결을 추진하려는 기운이 생성회고 있는 점은 고무적이다. 결국 이 점은 양 국은 모두 필요할 겨우 언제라도 무력을 동원하여 의지를 표명하겠다는 발언을 계속하고 있지만, 과거와 같은 전쟁 상태로 되돌아가기에는 지쳤고 회복을 위한 시간도 필요하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이 같은 미세한 변화의 양상은 현 시점에서 분쟁의 양 당사자와 국제기구 및 유관국들이 지혜를 모아 합의에 도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분기점이라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따라서 기존에 민스크 그룹의 노력과 합의안이 빛을 보지 못했지만 포기하지 않고 향후에도 꾸준하게 추구할 필요가 있는 사실상 유일한 대안이라는 점에 대해 인식을 공유할 필요 ...

      • KCI등재후보

        CSCE 참여국의 전략적 이익과 협상 경과: 소련의 입장을 중심으로

        우평균 고려대학교 일민국제관계연구원 2008 국제관계연구 Vol.13 No.2

        It is noteworthy that the Soviet Union has been proposed for security Council in Europe like CSCE for a long time, with the general understandings of CSCE foundation. This paper has a purpose to grasp the strategic interests of Soviet Union in the process of CSCE establishment and the meanings of Soviet Union’s participation in the negotiation process. For the Soviets, the CSCE was a key step in a broad strategy to consolidate their hold on Eastern Europe and to win an additional measure of influence over Western Europe. The CSCE was the most far-reaching, concrete initiative undertaken by the Soviets in carrying out her so called, “peace program.” The Communist party was obliged by its own policies to convene its Twenty-fifth Congress, and a successful CSCE was all but essential to demonstrate that the Soviet government had correctly carried out the party’s policies. The CSCE also had long been a subject of intense personal interest and commitment for Brezhnev. For accomplishing her objectives, Soviet Union’s strategy was to evidently overwhelm the other delegations, to create an irresitible momentum to finish the negotiations, to rush through the work in a general way, and to avoid being tied down in terms of time or language to any very specific discussions or agreements. The Soviets exhorted the Conference to move ahead more rapidly with its work and belittled all efforts to evoke specified as attempts to sidetrack the historic significance of the Conference into meaningless details. These tactics found a certain sympathy among many delegates, she felt the negotiations bogging down. Nevertheless, the CSCE’s role as a continuing European institution still has a dynamic enterprise. This institution is broad in scope and membership. flexible, and resistant to the moods of international relations. It has become a forum for debate and discussion between East and West, neutral and engaged, small and large countries, and has proven itself capable of positive contributions, even during periods of East-West tension. It has not been subverted to Soviet objectives—on the contrary, it has been used to advance many Western views—and its possibilities are far from exhausted. It is noteworthy that the Soviet Union has been proposed for security Council in Europe like CSCE for a long time, with the general understandings of CSCE foundation. This paper has a purpose to grasp the strategic interests of Soviet Union in the process of CSCE establishment and the meanings of Soviet Union’s participation in the negotiation process. For the Soviets, the CSCE was a key step in a broad strategy to consolidate their hold on Eastern Europe and to win an additional measure of influence over Western Europe. The CSCE was the most far-reaching, concrete initiative undertaken by the Soviets in carrying out her so called, “peace program.” The Communist party was obliged by its own policies to convene its Twenty-fifth Congress, and a successful CSCE was all but essential to demonstrate that the Soviet government had correctly carried out the party’s policies. The CSCE also had long been a subject of intense personal interest and commitment for Brezhnev. For accomplishing her objectives, Soviet Union’s strategy was to evidently overwhelm the other delegations, to create an irresitible momentum to finish the negotiations, to rush through the work in a general way, and to avoid being tied down in terms of time or language to any very specific discussions or agreements. The Soviets exhorted the Conference to move ahead more rapidly with its work and belittled all efforts to evoke specified as attempts to sidetrack the historic significance of the Conference into meaningless details. These tactics found a certain sympathy among many delegates, she felt the negotiations bogging down. Nevertheless, the CSCE’s role as a continuing European institution still has a dynamic enterprise. This institution is broad in scope and membership. flexible, and resistant to the moods of international relations. It has become a forum for debate and discussion between East and West, neutral and engaged, small and large countries, and has proven itself capable of positive contributions, even during periods of East-West tension. It has not been subverted to Soviet objectives—on the contrary, it has been used to advance many Western views—and its possibilities are far from exhau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