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구만의 『약천집』 「시」의 편집상의 특징 고찰(2)

        이황진(李黃振) 한국국학진흥원 2018 국학연구 Vol.0 No.35

        본고는 『약천집』과 당대의 다른 문인들의 문집에서 찾아낸 남구만과 관련된 시들을 통해 『약천집』 「시」의 편집상의 특징을 찾아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2장에서는 남구만의 현존시를 재검토하며, 당대 문인들의 문집에서 『약천집』에 수록되어 있지 않은 남구만의 시 13수와 남구만의 시에 차운한 다른 문인들의 시 20여 수를 찾아내어 제시하였다. 필자가 확인한 남구만의 현존시는 총 294수이다. 3장에서는 『약천집』 「시」의 편집의도에 대해 살펴보았다. 권1과 권2는 남구만이 처음 유배를 갔던 1679년을 기점으로 나뉘는데, 이것은 편집자(아들 남학명)가 이 시점을 부친(남구만) 인생의 전환점이라고 인식했기 때문일 것이다. 그리고 『약천집』 「시」에는 남구만의 시 외에 다른 사람의 시가 ‘부원운附元韻’(14번) 혹은 ‘부차附次’(1번)라 하여 덧붙여 지기도 했는데, 단 한번 ‘부차’가 된 것은 남구만이 두 번째 유배를 받아 경흥으로 갔을 때 지은 시에 차운한 관찰사 박태상의 시이다. 여기에는 남구만의 함경도 관찰사 시절의 업적을 되새기며 남구만의 애국심과 민족의식과 문학적 성취 등을 부각시키고자 하는 의도가 깃들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4장에서는 『약천집』 「시」의 편집경향을 살펴보았다. 『약천집』 「시」에서는 남구만의 31세(1659년) 이전의 시작기도 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적잖은 만시가 산삭되었을 것으로 유추되는데, 이는 편집자가 『약천집』에 수록할 시를 균형 있게 배분하며 선별하였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poems related to Nam Gu-man and listed in literary collections by other contemporary writers as well as in Yakcheonjip and thereby to identify the compiling intent and compiling pattern for the part 「Poems」 in Yakcheonjip. Chapter 2 examined surviving poems by Nam Gu-man, and discovered from literary collections by other contemporary writers, and presented, 13 poems by Nam Gu-man not contained in Yakcheonjip and 20 or so poems written by other writers by using the same rhymes as those of Nam Gu-man’s poems. The total number of remaining poems by Nam Gu-man, as verified by the author of this article, is 294. Chapter 3 examined the compiling intent for 「Poems」 in Yakcheonjip. In the 「Poems」, “Book 1” and “Book 2” are divided, in terms of when the poems were written, by the year 1679 when Nam Gu-man was exiled for the first time, which may be because the compiler Nam Hak-myeong (son of Nam Gu-man), recognized that year as the turning point in the life of his father. Also, 「Poems」 in Yakcheonjip contains other people’s poems in addition to those by Nam Gu-man, as ‘adding the original poem whose rhyme is used in another poem)’ (No. 14) or ‘adding a poem using the same rhyme as that of the original poem’ (No. 1), and the single example of the latter was Provincial Governor Park Tae-Sang’s poem using the same rhyme as that of Nam Gu-man’s poem written when the latter was exiled for the second time to Gyeongheung. The intent here seems to be to remember Nam Gu-man’s accomplishments as Governor of Hamgyeong Province and to emphasize his patriotism, national awareness and literary achievements. Chapter 4 examined the compiling pattern for 「Poems」 in Yakcheonjip. All poems written by Nam Gu-man on or before 1659, when he was 31 years old, were deleted from 「Poems」 in Yakcheonjip, and due to political situations of his time, poems related to certain figures were excluded from the same. Also, one can see that quite a few poems mourning the dead were deleted, which implies that the compiler maintain balance in selecting poems to be listed in Yakcheonjip.

      • KCI등재

        남구만 <약천집> <시>의 편집상의 특징 고찰 (2)

        이황진 한국국학진흥원 2018 국학연구 Vol.0 No.35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poems related to Nam Gu-man and listed in literary collections by other contemporary writers as well as in Yakcheonjip and thereby to identify the compiling intent and compiling pattern for the part 「Poems」 in Yakcheonjip. Chapter 2 examined surviving poems by Nam Gu-man, and discovered from literary collections by other contemporary writers, and presented, 13 poems by Nam Gu-man not contained in Yakcheonjip and 20 or so poems written by other writers by using the same rhymes as those of Nam Gu-man’s poems. The total number of remaining poems by Nam Gu-man, as verified by the author of this article, is 294. Chapter 3 examined the compiling intent for 「Poems」 in Yakcheonjip. In the 「Poems」, “Book 1” and “Book 2” are divided, in terms of when the poems were written, by the year 1679 when Nam Gu-man was exiled for the first time, which may be because the compiler Nam Hak-myeong (son of Nam Gu-man), recognized that year as the turning point in the life of his father. Also, 「Poems」 in Yakcheonjip contains other people’s poems in addition to those by Nam Gu-man, as ‘adding the original poem whose rhyme is used in another poem)’ (No. 14) or ‘adding a poem using the same rhyme as that of the original poem’ (No. 1), and the single example of the latter was Provincial Governor Park Tae-Sang’s poem using the same rhyme as that of Nam Gu-man’s poem written when the latter was exiled for the second time to Gyeongheung. The intent here seems to be to remember Nam Gu-man’s accomplishments as Governor of Hamgyeong Province and to emphasize his patriotism, national awareness and literary achievements. Chapter 4 examined the compiling pattern for 「Poems」 in Yakcheonjip. All poems written by Nam Gu-man on or before 1659, when he was 31 years old, were deleted from 「Poems」 in Yakcheonjip, and due to political situations of his time, poems related to certain figures were excluded from the same. Also, one can see that quite a few poems mourning the dead were deleted, which implies that the compiler maintain balance in selecting poems to be listed in Yakcheonjip. 본고는 『약천집』과 당대의 다른 문인들의 문집에서 찾아낸 남구만과 관련된 시들을 통해 『약천집』 「시」의 편집상의 특징을 찾아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2장에서는 남구만의 현존시를 재검토하며, 당대 문인들의 문집에서 『약천집』에 수록되어 있지 않은 남구만의 시 13수와 남구만의 시에 차운한 다른 문인들의 시 20여수를 찾아내어 제시하였다. 필자가 확인한 남구만의 현존시는 총 294수이다. 3장에서는 『약천집』 「시」의 편집의도에 대해 살펴보았다. 권1과 권2는 남구만이 처음 유배를 갔던 1679년을 기점으로 나뉘는데, 이것은 편집자(아들 남학명)가 이 시점을 부친(남구만) 인생의 전환점이라고 인식했기 때문일 것이다. 그리고 『약천집』 「시」에는 남구만의 시 외에 다른 사람의 시가 ‘부원운附元韻 ’(14번) 혹은 ‘부차附次 ’(1번)라 하여 덧붙여지기도 했는데, 단 한번 ‘부차’가 된 것은 남구만이 두 번째 유배를 받아 경흥으로 갔을 때 지은 시에 차운한 관찰사 박태상의 시이다. 여기에는 남구만의 함경도 관찰사 시절의 업적을 되새기며 남구만의 애국심과 민족의식과 문학적 성취 등을 부각시키고자 하는 의도가 깃들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4장에서는 『약천집』 「시」의 편집경향을 살펴보았다. 『약천집』 「시」에서는 남구만의 31세(1659년) 이전의 시작기도 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적잖은 만시가 산삭되었을 것으로 유추되는데, 이는 편집자가 『약천집』에 수록할 시를 균형 있게 배분하며 선별하였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藥泉 南九萬의 北邊 上疏와 廢四郡 · 厚州鎭 설치 논의

        이규철(Lee, Kyu-Chul) 한국인물사연구회 2016 한국인물사연구 Vol.26 No.-

        Yakcheon Nam Gu-Man was evaluated as a vassal representing the seventeenth century. Though the academic concern on Nam Gu-Man had increased, the study about his northern policy was not accomplished.Nam Gu-Man suggested a variety of opinions relevant to the operation of Northern Area during the period of King Hyeong Jong & Suk Jong’s reign. The most impressive one out of his insistencewas to request the establishment of the Four Abolished Gun & Hoo Joo Jin. At that time,the Joseon Royal Court did not accept both the two Abolished Gun & Hoo Joo Jin. However, They came to establish more than three new military camps at the relevant area. Above all, it is confirmed that Nam Gu-Man’s appeal to northern frontier served as a momentum of discussing the operation of Joseon’s northern frontier & the recovery of Four Abolished Gun & Hoo Joo Jin Area. His opinion had been always referred in the process of discussion related to the re-establishment of the Abolished Gun & Hoo Joo Jin Area until 18th century as well as during the period of Suk Jong’s reign. Therefore, we need to investigate his northern policy & awareness of territory for the purpose of deeply understanding the historical idea which the person, Nam Gu-Man had.

      • KCI등재

        약천 남구만의 유배시 연구

        이황진 ( Lee Hwang-jin ) 한민족어문학회 2017 韓民族語文學 Vol.0 No.75

        본고는 약천 남구만의 유배와 유배시에 대해 고찰한 글이다. 남구만은 숙종 때에 총 4번의 유배를 다녀왔다. 남구만의 유배시에서는 유배문학에서 보편적으로 나타는 정서라 여겨지는 여러 요소, 즉 연군이나 충절, 자신이 유배형을 받게 된 것에 대한 억울함이나 울분, 유배로 인한 좌절이나 유배지에서의 신세한탄 등 그 어느 것도 주된 정서로 부각되지 않는다. 그리고 유배로 인한 격리, 고립, 소외라는 현실적 단절에서 오는 위기의식보다는 단지 친근한 사람들과 헤어져 있어야 하는 아쉬움과 애석함이 주조를 이룬다. 이러한 사실들은 남구만이 유배를 사형에 버금가는 극형이라고 받아들이기 보다는 그저 한 순간의 격리로 인식하였음을 짐작케 한다. 그리고 이는 자신의 유배를 하늘의 뜻이라고 받아들이며 순응하는 남구만의 삶의 태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또한 숙종의 입장에서도 남구만을 유배 보내는 것이 정말로 그를 단죄하기 위한 형별이었다기보다는 첫 번째와 두 번째 유배의 경우는 징계적인 성격이 강하였고, 세 번째 유배의 경우는 남인의 압력에 의한, 네 번째 유배의 경우는 노론의 압력에 의한 어쩔 수 없는 조치였다. 이러한 사실들이 남구만의 유배시에서는 왜 유배시의 보편적인 특징이라 여겨지는 정서가 부각되지 않는가에 대한 설명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Yakcheon Nam Gu-man in exile and his poems of exile. In the reign of Sukjong, Nam Gu-man was exiled total four times. In Nam Gu-man`s poems of exile, any of the elements considered to be sentiments universally appearing in exile literature, for example, affection and loyalty towards the king, feelings of depression and resentment for being exiled, frustration in exile, or lamentation in exile, is not distinctly found. In addition, although an attitude of life accepting one`s exile as the disposition of Providence is found universally in poetry of exile, it is also hardly shown in his poems. In Sukjong`s position, too, exiling Nam Gu-man was not really a penalty to punish him severely. The first and second exiling was done as disciplinary action. The third exile was an inevitable action taken for Namin`s pressure, and the fourth was for Noron`s. All these things can explain why Nam Gu-man`s poems of exile present different aspects from those found in other literary persons` poems of exile which distinctively reveal universal characteristics.

      • KCI등재

        남구만의 『약천집』 「시」의 편집상의 특징 고찰

        이황진(李黃振) 한국국학진흥원 2017 국학연구 Vol.0 No.33

        본고는 남구만의 『약천집』, 그 중에서도 권1과 권2의 「시」가 편집상 어떠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가에 초점이 맞춰져 진행된 연구이다. 먼저 『약천집』의 간행 배경과 경과를 살펴보았으며 이를 토대로 『약천집』 「시」의 편집상의 특징을 찾아내었다. 남구만은 당대 4대 소차가疏箚家라고 불릴 만큼 문장에 뛰어났기 때문에 『약천집』은 일차적으로는 시보다는 문에 초점이 맞춰진 편집이라는 특징을 가진다. 하지만 필자는 「시」 부분이 그 편집 특징을 보다 더 잘 드러내준다고 판단하여 본고에서는 『약천집』 「시」 부분을 중심으로 편집 특징을 찾아내고자 하였다. 『약천집』 「시」는 첫째, 후손에 의해 간행된 일반문집이지만 남구만 자신이 자편한 듯한 자편문집의 특징을 함께 가진다. 둘째, 『약천집』의 초고를 아들 남학명과 손자 남극관이 산정하였는데 「시」부분은 남학명의 시세계가 더 많이 반영된 것으로 보이며 그것이 남구만의 시를 선별하는데 적잖은 영향을 주었을 것이라 유추된다. 셋째, 「시」는 저작연대순으로 편차되었는데, 이 편차체제는 시가 31세 이후 〈효종대왕만사〉부터 편차되었다는 사실에서는 ‘충’을, 부모님의 삼년상을 모시던 그 기간에는 단 1수의 시도 편차되지 않았다는 사실에서는 ‘효’를 드러내는 효과를 낸다. This paper aims to identify the compilation characteristics of “Yakcheonjip”(published in 1723) by Nam Gu-man(1629~1711) especially with focus on the poems in Book 1 and Book 2. For this, I have reviewed the background and process of the publication of “Yakcheonjip” and identified the compilation characteristics of Poems in “Yakcheonjip”. Nam Gu-man was one of the most talented writers of his time and was also known as one of the four key petition writers during his contemporary period so Yakcheonjip features extra focus on proses rather than on poems. However, I found the portion of poems better revealing the compilation characteristics and sought a deeper understanding of his poems in Yekcheonjip.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ems in Yakcheonjip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y are a general literary collection published by his descendants but also feature a self-editing collection as if they were compiled by Nam Gu-man himself. Second, Yakcheonjip was edited and compiled by his son Nam Hak-myeong and his grandson Nam Geuk-gwan and the poems seem to have reflected more of the poetic world of Nam Hak-myeong, which hints on the possibility of serving as the criteria of selecting and compiling the Nam Gu-man’ poems. Third, the poems are compiled in a chronological order and this compilation system demonstrates ‘loyalty’ in that the literary works started to be compiled from the 〈Eulogies for King Hyojong〉 when he was aged 31 and also discloses ‘filial piety’ in that no single poem was written during the three-year mourning period for his parents.

      • KCI등재

        남구만의 교유인물과 『약천집』 「시」의 편집성향

        이황진(李黃振) 우리문학회 2018 우리文學硏究 Vol.0 No.59

        남구만의 『약천집』 「시」(권1과 권2)는 초고에 있던 900여수의 시 중에서 약 1/3인 276수만 선별되어 수록된 것이다. 따라서 그 편집과정에는 편집자의 특별한 편집의도나 편집성향이 적잖게 개입되었을 것이다. 본고는 남구만의 교유인물을 살펴보고 그 인물과 관련된 시가 『약천집』 「시」에 선별되어 편차될 수 있었던 이유가 무엇일지 유추해 봄으로써 그 편집성향을 고찰한 글이다. 남구만은 효종․현종․숙종 삼조에 걸쳐 활동한 대신으로, 요직을 두루 거쳐 영의정에까지 올랐으며 83세까지 장수한 인물이라는 사실을 염두에 두면 그와 교유를 나누었던 인물은 헤아리기 힘들만큼 많을 것이다. 그래서 필자는 우선 그 범위를 『약천집』 「시」로 제한하여 남구만이 누군가에게 준 시나 누군가를 추억하며 지은 시를 대상으로 하여 그 교유인물을 前輩(연장자)와 同輩(동년배) 위주로 정리하여 제시하고, 남구만의 글을 통해 남구만과 그들의 실질적인 交分정도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前輩의 경우는 남구만이 스승으로 모셨거나 평소 인품을 존경해 온 인물(송준길 · 이경석 · 조윤석 등) 그리고 紀群之交를 맺어온 인물(정두경․김시진․최후량 등)들 위주로 선별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同輩의 경우는 벼슬을 하기 전부터 사귀어오며 지위나 정치적 입장 따위는 신경 쓰지 않아도 되는 정도의 知友나 布衣之交(이민적 · 이민서 · 이준 등) 그리고 관직에 있으면서 친해진 동료(이훤 · 박태상 · 여성제 등)나 연행이나 유배와 같은 특정 상황에서 친밀해진 인물(이세화 · 이화진 등) 위주로 선별된 것으로 보인다. 남구만은 서인계열의 문인이며, 특히 서인이 노론과 소론으로 분기되면서 소론의 영수로 지목된 만큼 『약천집』 「시」를 통해 확인해 볼 수 있는 교유인물도 자연스레 서인계열과 소론계열의 인물들이 주를 이루고 있기는 하다. 하지만 그것은 정치적 계열이나 당파가 우선시되어 선별된 결과라기보다는 그 인물과의 交分과 情誼에 초점이 맞춰져 선별된 결과로 보아야 한다. 이는 『약천집』에는 시 말고도 그 인물들과의 교분을 확인할 수 있는 글(묘도문자, 서신 등) 역시 수록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는 데서도 그러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약천집』 「시」는 정치적 색채보다는 남구만과 실제로 교분이 깊었던 인물들과 관련한 시를 우선적으로 선별하였다는 편집성향을 보인다. This study considers editing tendencies by examining those with whom Nam Gu-man associated and postulating the reasons poems about those individuals were selected and compiled in 「Poetry」 (Vol. 1 & 2) of 『Yakcheon-jip』. This author first limits the range of research as 「Poetry」 in 『Yakcheon-jip』 and examines poems that Nam Gu-man wrote to give to another person or to remember someone. The people are categorized here into those who were older and those who are contemporary. This categorization seems to reveal the editing tendencies of 「Poetry」 in 『Yakcheon-jip』 nicely. With regard to those who were older, it seems that he selected individuals who were his masters or individuals he respected (Song Jun-gil ․ Lee Gyeong-seok · Jo Yun-seok, etc.) and with whom he associated over the course of several decades (Jeong Du-gyeong · Kim Si-jin · Choi Hu-ryang, etc.). Also, regarding his contemporaries, it seems that he selected very close friends whose status or political position he did not care about as they had always been his friends, even before he became involved in public service (Lee Min-jeok · Lee Min-seo · Lee Jun, etc.), colleagues he befriended while he was in government service (Lee Hwon ․ Pak Tae-sang · Yeo Seong-je, etc.), and those with whom he became intimate in particular situations, for example, through travel or while in exile (Lee Seo-hwa · Lee Hwa-jin, etc.). Nam Gu-man was a Seoin-line literary person. Particularly after Seoin was divided into Noron and Soron, he was designated as the head of Soron. That is why the individuals found in 「Poetry」 of 『Yakcheon-jip』, too, were from the Seoin or Soron lineages. However, in examining his 「Poetry」 in 『Yakcheonjip』 overall, we can see that the editor was trying to select works for those individuals who were actually very close with Nam Gu-man, while revealing his political orientation as little as possible. This is the very editing tendencies we can find in 「Poetry」 of 『Yakcheon-jip』.

      • KCI등재

        약천 남구만의 차운시 연구

        김효정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9 人文論叢 Vol.76 No.4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targets of rhyme borrowing and imagery patterns by considering the rhyme-borrowing poems of Yakcheon (藥泉) Nam Gu-man (南九萬, 1629-1711). Among the 281 poems included in Vol. 1 and Vol. 2 of Yakcheonjip (藥泉集), a collection of Nam Gu-man’s works, 62 tenses and 82 verses that occupy nearly 30% of them refer to the rhyme-borrowing poems. It is worthy of notice that about 30% of the poems in existence have rhyme-borrowing features. 58 rhyme-borrowing poems of Nam Gu-man where rhymes that were borrowed while he associated with his acquaintances of the times, including relatives, friends and colleagues; 16 of them were borrowed from the rhymes of the poems of the ancients; and 7 of them repeated the rhymes of his own poems. Nam Gu-man communicated with his acquaintances of the times and enhanced fellowship and intimacy through the rhyme-borrowing poems. Nam Gu-man’s rhyme-borrowing poems have three imagery patterns, as follow. First, he enhanced a bond of sympathy and intimacy by sharing private memories of the past that he made with the original rhymers. Second, he calmly described what happened to him and the targets of rhyme borrowing or what he wanted to say and directly expressed his emotions by adopting direct description methods, such as prose poems. Third, he helped readers understand the poems and made them remember him long by revealing the details of the rhyme-borrowing situations or reasons for creation and the targets of rhyme borrowing in the titles of the poems or prefaces. 이 글은 약천(藥泉) 남구만(南九萬, 1629-1711)의 차운시를 고찰하여 차운 대상과 형상화 양상을 살피기 위해 이루어진 글이다. 남구만의문집 약천집 (藥泉集) 권1과 권2에 수록된 281수의 시 중 약 30%에해당하는 62제 82수가 차운시다. 현전하는 시의 30% 해당하는 시가 차운의 형태를 띠고 있다는 점은 주목을 요한다고 하겠다. 남구만의 차운시는 인척, 친구, 동료와 같은 당대 지인과의 교유 과정에서 차운한 경우가 58수로 가장 많고, 그 다음은 과거 고인(古人)들의 시에 차운한경우 16수, 그리고 자신의 자작시에 다시 첩운한 경우가 7수로 나타났다. 남구만은 차운시를 통해 당대 지인들과 소통하고 유대감과 친밀감을 높여 나갔다. 남구만 차운시의 형상화 양상은 3가지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첫째는 원운자와 함께 했던 과거의 사적 기억들을 공유함으로서 서로의공감대와 친밀도를 높여 나간 경우이고, 둘째는 부(賦)와 같은 직접적인 서술 방식을 택해 차운 대상과 있었던 일, 혹은 하고 싶은 말들을차분히 서술하면서 자신의 감정을 직접적으로 드러내어 표출하는 경우이다. 셋째는 시제(詩題)와 병서(幷序)를 통해 시를 차운하게 된 상황이나 창작 이유, 차운 대상에 대해 자세히 밝힘으로써 독자들이 시를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 작가 자신이 오래도록 기억할 수 있도록 한경우이다.

      • KCI등재

        17C 중국인 피난민 康世爵에 대한 문학적 형상화와 인식태도 -<강세작전>과 <강군세작묘지명>을 중심으로-

        윤세순 ( Se Soon Yun ) 한국고소설학회 2010 古小說 硏究 Vol.30 No.-

        본고에서는 명나라 遺民인 강세작을 입전한 세 개의<강세작전>과 <강군세작묘지명>에 대해 살펴보았다. 네 명의 작자는 모두 동일한 인물을 소재로 글을 지었고, 서로 비슷한 이야기를 하면서도 각기 다른 시선으로 강세작을 바라보고 있었다. 작자 중에 박세당과 남구만은 소론계 인물로서 혈연적 학문적 동지였고, 최창대 역시 두 사람을 스승으로 모셨던 소론계 인물이라는 사실은 주목할 필요성이 있다. 박세당은 강세작이 요동의 전쟁터에서 겪은 일들에 대해선 스치듯이 서술하여 관심을 보이지 않았고, 조선 땅에 살면서 명나라 유민으로서 강세작이 보여준 면모에만 관심을 집중하였다. 반면 김몽화는 요동의 전투지역을 누볐던 세작의 모습만을 집중적으로 서술하였다. 박세당은 강세작의 인간됨됨이와 성격, 식견 등을 부각시키기 위해, 김몽화는 강세작을 의열지사라 칭송하여 전쟁 영웅으로 재탄생시키려는 의도가 있었기 때문에 각기 이런 구성방식을 택한 것이다. 남구만과 최창대는, 강세작이 요동의 전쟁터에서 겪은 일들과 조선 땅에 살면서 그가 보여준 면면들을 아울러 서술하였다. 남구만은 현실 속에서 강세작이 겪은 일들과 그의 인간적인 면모를 가감 없이 보여주려고 하였다. 반면 최창대는 작품 사이사이에 의론을 끼워 넣어 강세작을 君子나 烈士라 칭송하여 미화시켰고 강세작을 오자서에 견주어 과대평가를 하기도 하였다. 한편 박세당과 남구만의 작품에서는 강세작의 모습이 추상화되어 있지 않았다. 즉 村老의 질박함을 풍기는 현실 속 그대로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박세당과 남구만은 강세작과 동시대를 산 사람으로서 함경도에서 관직생활을 했을 적에 직접 강세작을 만나서 담소를 나누었기 때문에 있는 그대로의 강세작의 모습을 보여줄 수 있었다. 반면 최창대와 김몽화의 작품에서는 관념화가 진행된 강세작의 모습이 보였다. 이들은 강세작의 살아생전 모습을 볼 수 없었기 때문에 事前에 미리 구상해 놓은 강세작의 이미지 틀 속에 현실의 강세작을 손쉽게 끼어 넣어 자신들의 의도에 맞게 강세작을 새롭게 재탄생시켰다. 바로 이 때문에 강세작은 君子나 烈士의 모습으로, 나아가 전쟁영웅의 모습으로 형상화될 수 있었다. 즉 일상적 인식으로 강세작을 바라본 박세당과 남구만은 강세작의 실제 모습 속으로 침투해 들어가 현실 속에서 보고 느낀 그대로 강세작을 서술하였다. 반면 강세작을 직접 만나본 적이 없었던 최창대와 김몽화는 강세작을 쉽게 타자화할 수 있었기 때문에 자신들이 의도한 강세작의 모습을 만들어 내는 것이 가능하였다. 이처럼 미시적인 차원에서 바라볼 경우, 네 명의 작자는 서로 다른 시선과 목적으로 강세작을 바라보고 있었다. 하지만 거시적인 차원 즉 이 작품들이 지어질 수 있었던 사회적 배후에는 조선의 전통적인 중화주의가 은연중에 작용하고 있었다고 본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ree Kang Se-jak Jeons and Kanggun Se-jak Myojimyeong, which all described the life of Kang Se-jak, a migrant of Ming Dynasty. The four authors wrote a book about the same person and adopted different perspectives on him, telling similar stories. Park Se-dang(朴世堂) and Nam Gu-man(南九萬) belonged to the Soron Family and the same kin and academic circle. It is also noteworthy that Choi Chang-dae(崔昌大) was a disciple of the two and belonged to the Soron Family, as well. Park Se-dang roughly talked about what Kang experienced at the battlefield of Liaodong, showing no interest in it. What he focused on was his aspects as a migrant of Ming Dynasty in Joseon. On the contrary, Kim Mong-hwa(金夢華) provided intensive descriptions of him dominating the battlefield of Liaodong. The two authors` compositions were different because Park tried to highlight Kang`s character, personality, and insight and Kim intended to make him be reborn as a war hero, calling him a man of heroic and noble mind. Meanwhile, Nam Gu-man and Choi Chang-dae depicted both what Kang experienced at the battlefield of Liaodong and the aspects he showed living in Joseon. While Nam tried to what Kang experienced in real life and his human aspects with no addition or subtraction, Choi beautified him, calling him a man of honor or a man of fervid loyalty by inserting his arguments in the book, as well as overestimated him by comparing him with O Ja-seo. Park and Nam did not depict Kang in an abstract manner in their stories; that is, they presented his simple life as a rural serf as it was. Both of them were his contemporary figures and had chances to talk with Kang while serving in an official position in Hamgyeong Province, thus being able to show him as he was. On the other hand, Choi and Kim presented the conceptualized aspects of Kang in their stories. Having no chance to meet him in person, they easily put real Kang in the image framework they prepared in advance and gave him a new life according to their intentions. Thus Kang was embodied as a man of honor or fervid loyalty and further a war hero. While Park and Nam, who saw Kang from the perspective of daily life, penetrated into his actual aspects and wrote what they saw and felt about him in reality, Choi and Kim, who never had a chance to meet him in person, could easily put him in the othering process and create him the way they intended. From a microscopic dimension, it is obvious that the four authors adopted different perspectives and goals regarding Kang. However, it seems that Joseon`s traditional Sino-centrism must have worked in subtlety in the social background that the four books were written from a macroscopic dimension.

      • KCI등재

        약천 남구만의 국방론과 그 지향점

        신태영 ( Shin Tae Young ) 우리한문학회 2020 漢文學報 Vol.43 No.-

        주지하다시피 우리 한반도의 지정학적 위치는 대륙과 해양을 잇는 架橋에 해당한다. 400여 년 전 해양(일본)과 대륙(청)의 침략을 받고 피폐해질 대로 피폐해진 조선은, 재발할지 모르는 전란에 대비하느라 고심하고 있었다. 그 당시 함경도 관찰사와 병조판서를 지낸 南九萬(1629~1711)은 조선의 국방 정책에 심대한 기여를 하였다. 이러한 공적으로 『조선왕조실록』에서는 남구만을 당대 최고의 병조판서로 극찬하였다. 이에 본고는 남구만의 국방론을 다음 네 가지 코드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작업은 남구만의 문학 연구와 작가 의식 연구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본고는 그의 국방론을 기회가 주어졌을 때 미리미리 대비해서 스스로 강해지자는 ‘有備無患’의 자강론, 실체를 갖추면서도 그 소문이 나지 않도록 준비해야 한다는 ‘有實無聲’의 현실적인 전략, 무용한 제도나 정책 등을 과감하게 폐기하거나 개선해서 실제적인 효과를 기대한 ‘移無用爲有用’의 군정 혁신, 북방인을 차별하지 않고 공정하게 대하자는 ‘立賢無方’의 인재 등용 등 네 부분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의 국방론의 지향점은 조선 古土의 회복이나 청에게 복수하기 위해 北伐을 하자는것이 아니었다. 조선의 현실을 감안할 때 이미 북벌은 불가능한 상황이었다. 그러므로 남구만은 오히려 함경도와 평안도 등 ‘북방 지역 백성의 안정된 삶’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그 지역을 적극적으로 개발하여 국방의 안전을 도모하는 현실적인 방안을 제시하고 이를 실현하고자 하였다. As it is known, Korea’s geopolitical loc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corresponds to a bridge between the continent and the ocean. More than 400 years ago, Joseon was struggling to prepare for the war that had been invaded by the ocean(Japan) and the continent(Qing Dynasty). At that time, Nam Gu-man(1629-1711), who served as the governor of Hamgyung-do and the minister of national defense, contributed greatly to the defense policy of the Joseon Dynasty. This Nam Gu-man is a symbol of the minister of defense guaranteed by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Therefore, this paper seeks to examine his defense theory through the following four codes. This work will also help to develop his literary research and literary consciousness. His defense theory is prepared ahead of time(yubimuhwan-jaganglon), a realistic strategy to prepare for the rumor that you have reality(a realistic strategy of yusilmuseong), military policy innovation that expects actual effects by discarding or improving useless systems and policies, people who want to treat people in Hamkyung-do fairly without discrimination, and so on the study was divided into four parts. His aim of defense theory was not to restore the old age of Joseon or to avenge Qing. Considering the reality of Joseon, it was already impossible to punish the North. Therefore, Namguman made ‘steady life of the people in the northern region’ a top priority, such as Hamgyeong-do and Pyeongan-do. It was intended to present realistic measures for the safety of national defense by actively developing the area.

      • KCI등재

        ‘안용복 밀사’설에 관한 비판적 고찰

        유미림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19 독도연구 Vol.- No.27

        This article intends to examine the hypothesis about Ahn Yong-bok emissary. The hypothesis about Ahn Yong-bok emissary is that in 1696, Ahn Yong-bok went to Japan to receive a secret order from a powerful man and perform a special mission. A hypothesis about Ahn Yong-bok emissary is divided into the view that Nam Gu-man sent Ahn Yong-bok to emissaries(①)and that Nam Gu-man and Yoon Ji-wan cooperated(②). The main argument of ① is that the Korean government sent Ahn Yong-bok to Tottori-han to accuse of corruption in order to open a new diplomatic route through a line other than Tsushima-han, but was not reported to Edo Shogunate due to Tsushima-han's obstruction. The main point of ② was that the sentiment of Ahn Yong-bok was escorted to solve diplomatic issues with Japan while avoiding political conflict because it was difficult to officially send resignations due to the large differences in perceptions between political factions in Korea. However, this claim is not clear. First, it is not clear what is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political factions. Second, it is not clear what is the background of dispatching emissary, and when is Nam Gu-man planning to send emissary. Third, it is not clear how the king is involved in this matter. Finally, it is not clear how the Japanese accepted emissaries. Joseon government could send a envoy directly to inform the Edo Shogunate of the behavior of Tsushima-han by not sending emissaries. However, the justification for why Ahn Yong-bok should have sent a questionable question is not revealed in the hypothesis of emissary. A hypothesis about emissary used personal citations or secondary literature in the citation of historical sources, and some parts of the verses were overly woven with hypothesis about emissary. 이 글은 1696년 안용복이 권력자의 밀명을 띠고 특수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도일했다는 ‘안용복 밀사’설을 비판적으로 검토한 것이다. ‘안용복 밀사’설은 남구만이 안용복을 밀사로 보냈다는 설(①)과 남구만과 윤지완이 공조하여 보냈다는 설(②)로 나뉜다. ①의 주요 논지는 조선 정부가 쓰시마번이 아닌 다른 노선을 통해 외교노선을 새로 개척하기 위해 안용복을 보내 돗토리번에 쓰시마번의 비리를 고발하게 했으나, 쓰시마번의 방해로 결국 막부에 보고되지 못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런 주장은 안용복의 도일 목적이 무엇인지, 그가 어떤 형태로 쓰시마번의 비리를 고발했는지가 명확하지 않다. ②의 주요 논지는 당시 정파 간의 인식 차이가 커서 공식 사행을 파견하기가 어려웠기 때문에 정쟁을 피하면서 외교 현안을 해결하기 위해 밀사를 파견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주장은 정파 간 인식 차이가 무엇인지, 밀사 파견의 배경은 무엇인지, 파견을 계획한 시기는 언제인지, 안용복이 칭한 관직이 밀사로서 적합한지, 안용복과 그 일행의 신분은 임무 수행에 적합한지, 국왕인 숙종은 어떻게 관련 있는지, 일본 측은 밀사를 어떻게 받아들였는지 등에 관한 내용이 불분명하다. 조선은 밀사를 파견하지 않고도 직접 사신을 보내 쓰시마번의 행태를 막부에 알릴 수 있었다. 그런데 왜 굳이 자격이 의심스런 안용복을 보냈어야 하는지 그 당위성이 ‘안용복 밀사’설에서는 드러나지 않는다. ‘안용복 밀사’설은 사료 인용에 있어서도 개인 문집이나 2차 문헌을 이용했고, 구절의 일부를 뽑아 무리하게 밀사설과 엮은 측면이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