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온라인 플랫폼에서의 다중 채널 네트워크(MCN) 비즈니스 모델 탐색

        고문정 ( Moonjung Koh ),윤석민 ( Sugmin Youn ) 정보통신정책학회 2016 정보통신정책연구 Vol.23 No.1

        이 연구는 온라인 플랫폼에서 새롭게 등장한 사업인 다중 채널 네트워크(Multi- Channel Network, MCN)에 대한 탐색적 연구로, MCN의 비즈니스 모델을 살피고 그 모델의 산업적 성과와 가능성을 살피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MCN은 유튜브와 같은 영상 플랫폼의 창작자들과 제휴하여 제작 지원, 홍보, 저작권 관리, 수익창출/판매 등의 지원을 하며 채널 수익의 일부를 공유하는 조직을 의미한다. 심층인터뷰와 문헌분석을 통해 MCN 비즈니스를 창작자 중심의 비정형 디지털 콘텐츠 비즈니스로 정의할 수 있었다. MCN은 창작자에 대한 경영 통제가 전통적 미디어 산업에 비해 약하고, 창작자들의 힘을 결집하여 플랫폼 및 광고주와 대등한 비즈니스적 힘의 균형을 이루려 한다. 또한 한국은 기업 주도적으로 산업을 발달시키고있는 것이 특징이다. MCN의 장기적인 시장 성장을 위해서는 기존 방송 산업보다 경쟁력 있는 콘텐츠 제작, 지속가능한 수익모델 발굴, 글로벌화, 시장 정화 노력이 있어야 한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기존 영상산업과의 차별화, 상업성에 대한 철저한 관리, 건강한 시장 문화 성숙을 위한 노력과 같은 MCN 발전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business model of multi-channel networks (MCN) and to investigate their economic performance and potential growth. MCN is an entity that offers content creators assistance with programming, funding, promotion, monetization, etc., in exchange for advertising revenue from their channels. Using information from in-depth interviews and literature analysis, MCN business could be defined as an atypical creator-oriented digital content business. Compared to the business models of traditional media and user-created content (UCC) providers, MCN’s loose control over creators allows them to seek power balance with online platforms and advertisers. Korea has developed a distinctive corporate-driven MCN industry. For long-term growth of the network, the industry should produce competitive content, develop a sustainable profit model, globalize the business, and restrain companies providing poor quality or engaging in fraud. Using these results, this study recommends that MCN offer differentiated content from the existing video market, manage the commercialization of the content tightly,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 sound industrial culture.

      • KCI등재

        외식시장의 MCN(다중채널네트워크) 콘텐츠 속성이 이용동기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

        정유지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017 호텔경영학연구 Vol.26 No.8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Multi-channel Network (MCN) content features in the food service market on use motive and attitude. First, ‘creativity,’ ‘the degree of desire reflection’ and ‘utility’ among MCN content feature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authenticity.’ In addition, ‘the degree of desire reflection’ and ‘social contribution’ had a positive impacts on ‘informativity.’ ‘The degree of desire reflection’ and ‘utility’ gave positive effects on ‘playfulness.’ ‘The degree of desire reflection,’ ‘timeliness’ and ‘utility’ positively affected ‘suitability.’ Second, ‘authenticity,’ ‘informativity,’ ‘playfulness’ and ‘interactivity’ among MCN content ‘use motives’ had positive effects on ‘attitude.’ In contrast, ‘suitability’ did not affect ‘attitude.’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important to plan and produce diverse recipes and the latest food culture trends by reflecting food-related contents or food service contents, as well as rapidly changing consumers' desires. It is also necessary to ensure various paths to enable producers to communicate directly with viewers by planning events for food service products offline beyond the boundary of online communication. This plan will be a new marketing strategy that leads to food product promotion of participant food service companies and purchase by consumers. As a new distribution system, MCN is connected with direct purchase by consumers beyond various contents and the boundary between online and offline makes a great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relevant sectors including producers, viewers, and the food service industry. In this way, a virtuous circulation structure should be established to create high quality food-related contents by boosting advertisement and incidental profits. 본 연구에서는 외식시장의 MCN(다중채널네트워크) 콘텐츠 속성이 이용동기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MCN(Multi-Channel Network)콘텐츠 속성’ 중 ‘창의성’, ‘욕구반영도 ’, ‘유용성’요인이 ‘진정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욕구반영도’, ‘사회적공헌’요인이 ‘정보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욕구반영도’, ‘유용성’요인은 ‘유희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욕구반영도’, ‘시의성’, ‘유용성’요인은 ‘적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MCN 콘텐츠 ‘이용동기’ 중 ‘진정성’, ‘정보성’, ‘유희성’, ‘상호작용성’요인이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적합성’은 ‘태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 음식관련 콘텐츠 또는 외식상품의 콘텐츠를 빠르게 진화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반영하여 다채로운 조리법과 최신 식문화 트랜드 등을 중심으로 기획・제작하고, 온라인의 경계를 너머 오프라인에서의 외식상품 관련 행사를 기획하여 시청자와 제작자들이 직접 소통할 수 있는 다양한 경로를 확보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기획은 함께 참여한외식기업의 상품 홍보와 구매로 이어지는 새로운 마케팅 전략이 될 것이다. 이렇듯 다양한 콘텐츠와온라인-오프라인의 경계를 넘어 소비자의 직접구매로까지 이어질 수 있는 MCN은 외식시장의 새로운유통시스템으로서 제작자와 시청자, 외식산업을 비롯한 유관산업의 발전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 이를통해 광고 및 부대수익을 증대해 고품질의 음식관련 콘텐츠를 만들어가는 선순환 구조를 마련해야할 것이다.

      • KCI등재

        한국 MCN(Multi Channel Network) 기업들에 대한 연구: 자원기반이론과 SWOT 분석을 중심으로

        김하늘,이해수,박만수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18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35 No.4

        This research examined the core resources of each company from a resource-based view, and conducted SWOT analysis to analyze the outward form of the MCN industry, for the purpose of examining the landscape of the media industry ecosystem after the emergence of MCN. The results of analysis of Afreeca TV, Treasure hunter, Sandbox Network, and Dia TV showed that MCNs has similarities in that they are largely focusing on BJ education for contents integrity and cultivation of BJs(creators), while at the same time developing commerce for stable operation of profits and attempting to enter into TV media to increase their market and the number of MCN users. On the other hand, each company was creating strategies utilizing their core resources, and searching for ways to promote growth of the size of the MCN industry while at the same time making a living. However, the size of the pie for the industry is small which does not allow economies of scale to be realized, so some of company has the difficulty when it comes to finances. Despite this, each MCN shared the common idea that continued investment and effort is required to increase industry size. Therefore, through the results that were revealed in this research, we hope that it can establish a foundation for Korean MCN industry research, and that it can become basic data that can be referenced by each company to find methods to coexist. 본 연구는 MCN의 등장 이후 변화된 미디어 산업 생태계의 지형을 살펴보기 위해 자원기반관점에서 각 기업의 핵심 자원을 살펴보고, MCN 산업의 외연을 분석하기 위해 SWOT 분석을 시도하였다. 아프리카 TV, 트레져헌터, 샌드박스 네트워크, 다이아 TV를 분석한 결과, MCN은 크게 콘텐츠 건전성을 위한 BJ (크리에이터) 교육 및 BJ를 육성하는 데에 역량을 집중하고, 수익을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커머스 개발을 시도하는 한편, 시장을 키우고 MCN 이용자를 늘리기 위해 TV 매체로 진출을 시도하는 등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반면각 기업은 보유한 핵심 자원을 활용해 전략을 세우고 MCN 산업 규모의 성장도 모와 동시에 각자도생의 방법을 강구하고 있었다. 하지만 산업의 파이가 작아 규모의 경제가 실현되지 못해 각 기업들 중 일부 기업은 재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그럼에도 각 MCN은 산업의 규모를 키우기 위해서 꾸준한 투자와 노력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있었다. 따라서 연구로 밝혀진 결과를 통해 한국 MCN 산업 연구의 초석을 마련하고, 각 기업이 공존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참고할 수 있는 기초 자료가 되기를 기대해본다.

      • KCI등재

        A Study on Switching Intention of Broadcasting Service to MCN Service by Migration Theory

        Yonghee Kim 한국유통과학회 2019 The Journal of Industrial Distribution & Business( Vol.10 No.1

        Purpose - The Millennial Generation, which grew in the wake of the spread of the Internet and rapid changes in the media environment, is rapidly moving from the traditional broadcasting environment to the Internet-broadcasting environment in terms of content acceptance. With the emergence of UGC (User-generated content), the change in the status of single-person content creators enables the growth of multi-channel networks (MCN), a new content-distribution platform and an agency concept for single creators. Youtube-based MCN produces multiple single star producers and casts and provides its own video series through Youtube. It is also emerging as a major M&A target for global media providers in terms of providing content to a wide range of consumers with the same interests and consumption characteristics. In addition, for the Millennials generation, which are part of their lives, MCN is becoming the most suitable media for TGIF (Twitter, Google, i-phone, Facebook). Accordingly, this study defines newly emerging MCNs and analyzes the factors for accepting MCN-produced content based on the push-pull-mooring (PPM) model.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An empirical analysis is perform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For this purpose, 204 people who have experience of watching MCN were studied. Collected data is processed through analysis of a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R to test the hypothesis. Results - For the MCN service to become an alternative to existing media,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promote cultural diversity and diversity of attempts that conventional media cannot provide. It is the attractiveness of the alternative that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switch to a MCN service. When we look at MCN content so far, certain patterns such as game progress, introduction, food, and chat rooms have already appeared. We need to overcome this and develop a completely new conceptual content that we have never seen before. This requires a more generous viewer perception of the topics covered. For diversity, linguistic and verbal violence should be tolerant in common sense to provide a foundation for securing cultural diversity. Conclusions - In this study, we tried to develop a comprehensive approach to the substitution effect of MCN. In terms of academic achievement, the PPM model is used to enhance the utilization of media and broadcasting. Practical implications are to provide an analytical framework for verifying alternative or complementary effects when viewers switch to MCN.

      • KCI등재

        예술산업 유통 채널로서의 공공MCN 고찰

        김선영,최중빈 인문사회 21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necessity, function and role of ‘Public MCN’ in the arts industry that can be alienated in the situation where the MCN industry is drawing attention in the era of single media creator. The necessitie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public MCN in the arts industry is first, despite the public interest, it is an unpopular genre that is hard to attract viewers' attention, and it is difficult for single media creators to make economic profits. Second, it is difficult to expect the MCN to be considerate of the arts industry. The public MCN in arts industry, which shares revenue from personal media creators but invests the profits in full to nurture other personal media creators, neutralizes poor content production, secures diversity of contents, and creativity of personal media creators.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in terms of enhancing and inducing the fair trade culture of MCN. It is hoped that this paper will stimulate discussion about the public MCN for the media industry with media creators in the arts industry who are active in internet video that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new media. 본 연구는 1인 미디어 크리에이터 시대를 맞아 MCN 산업이 주목받고 있는 상황에서 자칫 소외될 수 있는 예술산업 분야를 위한 ‘공공MCN’의 구축 필요성과 기능 및 역할에 대해 문헌연구와 인터넷 관련 사이트의 분석을 통해 논하고자 하였다. 예술산업 공공MCN의 구축이 필요한 이유는 첫째, 공익적 성격에도 불구하고 시청자의 관심을 끌기 어려운 비인기 장르로서 경제적 이익 창출이 필요한 1인 미디어 창작자가 도전하기에 어려운 분야이다. 둘째, 자신들의 수익을 추구할 수밖에 없는 사기업 MCN으로 하여금 예술산업에 대한 배려를 기대하기 어렵다. 예술산업 공공 MCN은 1인 미디어 창작자들로부터 수익을 공유하되 그 수익을 전액 신생 1인 미디어 창작자들을 육성하는 데 투자하게 된다. 예술산업 공공 MCN이 구축되면 불량한 콘텐츠 생산의 중화, 콘텐츠의 다양성 확보, 1인 미디어 창작자의 창의성 제고, MCN의 공정한 거래 문화 유도 등의 측면에서 기여할 것이다. 본 논문을 계기로 하여 새로운 미디어로 주목받고 있는 인터넷 동영상에서 활동하는 예술산업 분야 1인 미디어 창작자들과 그들을 위한 공공 MCN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음식관련 MCN 개인방송 이용동기, 소비자태도, 구매의도와의 영향관계 연구 : 대학생을 중심으로

        김지응(Kim, Jieung),김수인(Kim, Suin),이수경(Lee, Suyoung) 대한관광경영학회 2019 觀光硏究 Vol.34 No.8

        본 연구는 최근 급속도로 성장한 다중채널네트워크(MCN: Multi Channel Network) 개인방송 서비스를 이용하는 시청자들이 개인방송에서 소개되는 음식관련 상품들에 대한 소비자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했다. 조사 대상자 200명 중 자주 시청하는 개인방송 장르는 게임 28%, 먹방 25.5%, 뷰티 15.5%, 유머 12%, 스포츠 7.5%, 쿡방 6.5%, 기타 5% 순으로 음식과 관련된 먹방과 쿡방을 합하면 32%으로 가장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하루 평균 개인방송을 시청하는 시간은 1시간-2시간이 33%로 가장 많았다. 음식관련 MCN 개인방송 이용 동기중 정보적동기, 상호작용적동기, 습관적동기는 소비자태도와 구매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음식관련 MCN 개인방송 콘텐츠 이용동기는 상품에 대해서 우호적인 태도를 보이며 구매의사도 가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nalyzed that the factors that influence consumer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toward food-related products introduced in MCN: Multi Channel Network personal broadcasting service which has recently grown rapidly. Among the 200 surveyed, the personal broadcasting genre that they watched frequently was game 23%, mukbang 25.5%, beauty 15.5%, humor 12%, sports 7.5%, cookbang 6.5%, and others 5%. It was found that 32% were the highest when combining mukbang and cookbang which were related to food. And the average time of watching personal broadcasts per day was the most in 1 hour-2 hours (33%). Among the use motivations for food-related MCN personal broadcasting、informative motivation, Interactive motivation, and Habitual motivation had a positive (+) effect on consumer attitudes amd purchase intention. Through this, the use motivations for food-related MCN personal broadcasting contents demonstrated a friendly attitude toward the product and also having a purchase intention.

      • KCI등재

        다중채널네트워크 개인방송 서비스의 이용 만족과 지속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상연(Sangyun Han),최세경(Se Kyoung Choi),곽규태(Kyu Tae Kwak)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17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34 No.4

        본 연구는 최근 급속도로 성장한 다중채널네트워크(MCN) 개인방송 서비스에 대한 만족과 지속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확장된 후기수용이론을 활용하여 분석했다. MCN 개인방송 서비스의 특성인 양면네트워크 효과가 일정기간 이용 후 또는 이용 도중에서 유발함을 착안하여 MCN 개인방송 서비스에 대한 인지된 유용성, 콘텐츠 다양성, 상호작용성, 즐거움 그리고 인지된 위험 등의 특성이 MCN 개인방송의 이용 만족에 영향을 미쳐 최종적으로 지속이용 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하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이를 검증했다. 분석결과 MCN 개인방송 서비스의 인지된 유용성과 콘텐츠 다양성, 상호작용성, 즐거움은 이용자의 만족감 형성에, 그리고 인지된 유용성과 이용 만족이 이용자의 지속이용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함께 이용자의 SNS 이용량에 따라 MCN 개인방송 서비스의 이용 만족과 지속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인자의 효과는 상이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성장기에 접어드는 MCN 개인방송 서비스의 특성 맥락을 반영해 해당 이용자들의 이용 만족 요인과 지속이용 영향인자를 실증적으로 고찰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tial factors of the rapidly growing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as a multi-channel network(MCN) service on the satisfaction and continuance usage by using Extended Post Acceptance Model(PAM). We considered that the two-sided network effects, a characteristic of the MCN service, may occur after a period of use or during use. In this study, we suggested that perceived usefulness, interactivity, contents diversity, enjoyment, and perceived risk affect the satisfaction of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as a MCN service. And we assumed that it has an effect on the intention to use continuously of MCN service.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a survey on consumers of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erceived usefulness, interactivity, contents diversity and enjoymen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user satisfaction. And the perceived usefulness and user satisfa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use. And also we foun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t effects of the influence factors on the satisfaction of the MCN service and the intention of continuous use according to the usage amount of SNS. Considering that the MCN service industry is in growing phases, this paper contributes to the investigation of factors that affect consumers’ use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use.

      • KCI등재

        The Evolution of Korean MCN Industry

        Hyunmo Koo,Seongcheol Kim,Chanhi Park 한국정보사회학회 2018 정보사회와 미디어 Vol.19 No.3

        This study analyzes the evolution of Korean MCN (Multi-Channel Network) industry within the context of the actor-network theory. This study identified four stages of the evolution through in-depth interview with twelve industry experts. Korean MCNs are in the enrollment stage. While YouTube initiated the network as a focal actor, MCNs actively enrolled such other actors as internet video platforms, OTT service providers, and consumer goods companies. It is expected that more players will enter this MCN’s actor-network in the name of investors or advertisers to capture the young millennial audiences. In order for a sustainable position in the network, MCNs need a certain capability of mobile contents creation.

      • KCI등재

        The Evolution of Korean MCN Industry: Analysis based on the Actor-Network Theory

        구현모,김성철,박찬희 한국정보사회학회 2018 정보사회와 미디어 Vol.19 No.3

        This study analyzes the evolution of Korean MCN (Multi-Channel Network) industry within the context of the actor-network theory. This study identified four stages of the evolution through in-depth interview with twelve industry experts. Korean MCNs are in the enrollment stage. While YouTube initiated the network as a focal actor, MCNs actively enrolled such other actors as internet video platforms, OTT service providers, and consumer goods companies. It is expected that more players will enter this MCN’s actor-network in the name of investors or advertisers to capture the young millennial audiences. In order for a sustainable position in the network, MCNs need a certain capability of mobile contents creation.

      • KCI등재

        인터넷상 표현에 대한 법적 책임의 구조에서 다중채널네트워크(MCN)

        김현귀(Kim, Hyungui) 한국언론법학회 2016 언론과 법 Vol.15 No.3

        다중채널네트워크(MCN)은 유튜브의 등장으로 활성화된 UCC 또는 UGC의 상업화된 버전이라고 할 수 있다. 일인 미디어인 이용자는 스스로 콘텐츠를 생산하고 그 조회 수에 따라 광고수익을 분배받을 수 있게 되었다. 다중채널네트워크의 비즈니스 모델은 인터넷 이용자이면서 콘텐츠를 만드는 크리에이터를 도와주고 콘텐츠로 발생하는 수익을 나누어 가지면서 시작되었다. 미국과 유럽연합이 저작권 분야에서 온라인 매개자인 ISP에게 고지 및 제거체제라는 ‘세이프 하버’를 제공하기로 합의한 지 거의 20년이 다 되어간다. 그동안 이 고지 및 제거 체제는 저작권뿐 아니라 온라인 매개자의 법적 책임 전반으로 확대되어왔다. 현재의 인터넷 규제질서는 고지 및 제거 체제에 기초한 자율규제 시스템을 중심으로 확립되었다. 다중채널네트워크 등장의 무대가 되어준 유튜브의 콘텐츠 ID가 그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용자 그리고 이용자의 표현의 자유라는 공익은 사익을 추구하는 플랫폼 사업자이면서 자율규제의 주체인 ISP에 거의 의존하고 있다. 그래서 이용자는 이 ISP의 불합리하고 불공정한 조치나 오류에 대해 절차적으로나 실체적으로 대응할 능력이 거의 없는 형편이다. 그런 상황에서 다중채널네트워크가 등장했다. 다중채널네트워크는 콘텐츠 제작자이면서 이용자인 크리에이터의 편에 서서 수익을 창출하는 주체이다. 그리고 이들이 유튜브를 상대로 상당히 의미있는 태도 변화를 이끌어 내기도 했다. 앞으로 다중채널네트워크와 이용자 및 크리에이터의 관계가 어떻게 변화할지는 모른다. 그러나 현재 다중채널네트워크는 ‘저작권자 > 온라인 매개자 > 인터넷 이용자’의 구도로 확립된 인터넷 규제질서에서 그동안 소외되었던 이용자들의 권리를 대변하고 있다. We can call the Multi-Channel Networks(MCN) a commercial version of UCC or UGC which has been activated by YouTube. Internet users who are me-media themselves can make money by how much click for their creating contents. The Biz-model of MCN is starting from dividing the creators’ money for supporting their creating contents. It is almost 20 years old since USA and EU agree to give a safe harbor to online intermediaries in the copyright area. Meanwhile this safe harbor, that is notice and takedown regime has escalated not only copyright but also liability of intermediaries at large. Today of Internet regulatory regime is mainly established by the private ordering which is based on the notice and takedown, such as YouTube’s Content ID where MCNs has beginning. However the internet user and public interest of their free speech are on the ISP which is the business as a platform operator for its own interest. Therefore a user has little recourse, either procedural or substantive, when there is an irrational and unfair measure or an error of the private ordering. MCN is a player who makes money on the side of the creator who is a user and a contents maker. MCN has made YouTube changes its attitude significantly. We don’t know how can change the relationship between MCN and the internet user or the creator in future. But now MCN stands by the weak user in the internet regulatory regime of ‘copyrights holders – online intermediaries – internet us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