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외식시장의 MCN(다중채널네트워크) 콘텐츠 속성이 이용동기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

        정유지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017 호텔경영학연구 Vol.26 No.8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Multi-channel Network (MCN) content features in the food service market on use motive and attitude. First, ‘creativity,’ ‘the degree of desire reflection’ and ‘utility’ among MCN content feature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authenticity.’ In addition, ‘the degree of desire reflection’ and ‘social contribution’ had a positive impacts on ‘informativity.’ ‘The degree of desire reflection’ and ‘utility’ gave positive effects on ‘playfulness.’ ‘The degree of desire reflection,’ ‘timeliness’ and ‘utility’ positively affected ‘suitability.’ Second, ‘authenticity,’ ‘informativity,’ ‘playfulness’ and ‘interactivity’ among MCN content ‘use motives’ had positive effects on ‘attitude.’ In contrast, ‘suitability’ did not affect ‘attitude.’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important to plan and produce diverse recipes and the latest food culture trends by reflecting food-related contents or food service contents, as well as rapidly changing consumers' desires. It is also necessary to ensure various paths to enable producers to communicate directly with viewers by planning events for food service products offline beyond the boundary of online communication. This plan will be a new marketing strategy that leads to food product promotion of participant food service companies and purchase by consumers. As a new distribution system, MCN is connected with direct purchase by consumers beyond various contents and the boundary between online and offline makes a great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relevant sectors including producers, viewers, and the food service industry. In this way, a virtuous circulation structure should be established to create high quality food-related contents by boosting advertisement and incidental profits. 본 연구에서는 외식시장의 MCN(다중채널네트워크) 콘텐츠 속성이 이용동기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MCN(Multi-Channel Network)콘텐츠 속성’ 중 ‘창의성’, ‘욕구반영도 ’, ‘유용성’요인이 ‘진정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욕구반영도’, ‘사회적공헌’요인이 ‘정보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욕구반영도’, ‘유용성’요인은 ‘유희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욕구반영도’, ‘시의성’, ‘유용성’요인은 ‘적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MCN 콘텐츠 ‘이용동기’ 중 ‘진정성’, ‘정보성’, ‘유희성’, ‘상호작용성’요인이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적합성’은 ‘태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 음식관련 콘텐츠 또는 외식상품의 콘텐츠를 빠르게 진화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반영하여 다채로운 조리법과 최신 식문화 트랜드 등을 중심으로 기획・제작하고, 온라인의 경계를 너머 오프라인에서의 외식상품 관련 행사를 기획하여 시청자와 제작자들이 직접 소통할 수 있는 다양한 경로를 확보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기획은 함께 참여한외식기업의 상품 홍보와 구매로 이어지는 새로운 마케팅 전략이 될 것이다. 이렇듯 다양한 콘텐츠와온라인-오프라인의 경계를 넘어 소비자의 직접구매로까지 이어질 수 있는 MCN은 외식시장의 새로운유통시스템으로서 제작자와 시청자, 외식산업을 비롯한 유관산업의 발전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 이를통해 광고 및 부대수익을 증대해 고품질의 음식관련 콘텐츠를 만들어가는 선순환 구조를 마련해야할 것이다.

      • KCI등재

        초등학생의 자율동기, 통제동기 및 학습몰입에 대한 부모의 독립 증진과 의지기능 증진의 상호작용 효과

        정유지,이은주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23 한국교육문제연구 Vol.41 No.4

        본 연구는 부모의 자율성 지지를 독립 증진과 의지기능 증진으로 구분하여 자녀의 자율동기, 통제동기, 학습몰입에 미치는 독립적 효과와 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5, 6학년 312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잠재조절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독립 증진과 의지기능 증진 모두 자율동기와 학습몰입에 정적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통제동기에 대해 독립 증진은 정적 효과를 보였고, 의지기능 증진은 부적 효과를 나타냈다. 둘째, 독립 증진이 미치는 효과는 의지기능 증진이 수반될수록 자율동기와 학습몰입에 긍정적인 효과가 증가한 반면,의지기능 증진은 낮으면서 독립 증진만 높은 경우에는 자율동기와 학습몰입은 낮아지고 통제동기는 높아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자녀의 자율동기, 통제동기, 학습몰입을 높이기 위한 부모의 자율성 지지적 양육 전략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independent and interaction effects on children's autonomous motivation, controlled motivation and flow experience in learning when parents’ autonomy support was divided into promotion of independence (PI) and promotion of volitional functioning (PVF). For this purpose, data collected from 312 students in the 5th and 6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romotion of independence (PI) had a positive effect only on controlled motivation, while promotion of volitional functioning (PVF) had a negative effect on controlled motivation and a positive effect on autonomous motivation and flow experience in learning. Second, as for the effect of promotion of independence (PI), the higher promotion of volitional functioning (PVF), the higher was the positive effect on autonomous motivation and flow experience in learning. On the contrary, when promotion of independence (PI) was high while the promotion of volitional functioning (PVF) was low, autonomous motivation and flow experience decreased and controlled motivation increased as promotion of independence (PI) increased. Based on these findings, educational interventions to increase children's autonomous motivation, controlled motivation, and flow experience in learning were discussed.

      • KCI등재

        초등학생의 지각된 사회적 지지, 자기결정성동기, 수업참여 및 친사회적 행동 간 구조적 관계 탐색

        정유지,염혜선,임성애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2 미래교육학연구 Vol.3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rehensively explore the effects of students' perceived social support from their friends, teachers, and parents on prosocial behavior and classroom engagement through self-determined motivation.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the 4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and used the data of 399 students. To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analyzed, and th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using Sobel's z-test.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were: First, friend support had a positive effect on identified and internal regulation, teacher support had a negative effect on external regulation, and parental support had a positive effect on identified regulation but a negative effect on external regulation. Second, support from friends and teachers showed positive effects on both prosocial behavior and classroom engagement. Third, both identified and internal regul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classroom engagement, and external regula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classroom engagement. Fourth, in terms of mediating effect, internal regulation on prosocial behavior and identified regulation on classroom engagement in friend support, external regulation on classroom engagement and internal regulation on prosocial behavior in teacher support, and external regulation on classroom engagement in parental suppor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reconfirming that social support is an influential factor in increasing autonomous motivation, and that high-quality autonomous motivation is important for prosocial behavior and active classroom engagement.

      • KCI등재

        내사조절 동기와 학업적, 정서적, 사회적 적응의 관계: 자존감 안정성과 자기가치감 수반성의 조절효과

        정유지,이은주 한국교육심리학회 2019 敎育心理硏究 Vol.33 No.4

        본 연구는 내사조절 동기와 학업적(학업성취도, 수업참여), 정서적(학업스트레스, 안녕감), 사회적(교사 및 교우관계) 적응의 관계에서 자존감 안정성과 자기가치감 수반성(경쟁, 타인승인, 학업유능감)에 따른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학생과 고등학생 1092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잠재조절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는, 첫째, 학업적 적응 면에서 자존감 안정성이 낮고 내사조절 동기가 높을수록 학업성취도와 수업참여가 높아졌다. 자기가치감의 경쟁 수반성이 높고 내사조절 동기가 높을수록 학업성취도가 높아졌으며, 자기가치감의 타인승인 수반성이 높고 내사조절 동기가 높을수록 학업성취도가 높아졌다. 둘째, 정서적 적응 면에서 자존감 안정성이 높고 내사조절 동기가 높을수록 학업스트레스가 높아졌으며, 자기가치감의 학업유능감 수반성이 높고 내사조절 동기가 높을수록 안녕감이 낮아졌다. 셋째, 사회적 적응 면에서 자존감 안정성과 자기가치감 수반성은 교사관계 및 교우관계에 대한 내사조절 동기의 효과를 유의하게 조절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내사조절 동기와 학업적, 정서적, 사회적 적응에 관련한 교육적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moderation effects of self-esteem stability and contingency self-worth in relationship between introjected regulation and academic(academic achievement, learning engagement), emotional(academic stress, well-being), and social(teacher, friendship) adaptations. The latent moderated structural equations was used to analyze moderation effects with a sample of 1,092 adolescents attending at three middle and three high schools. The results revealed the following. First, in terms of academic adaptation, for the students with highly stable self-esteem compared to those with less stable self-esteem, higher level of introjected regulation indicated a higher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engagement. Moreover, when self-worth was highly contingent on competition and approval, higher levels of introjected regulation indicated a higher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Second, in terms of emotional adaptation, when the self-esteem stability was high, higher levels of introjected regulation indicated increased academic stress. Further, when self-worth was highly contingent on academic competence, higher levels of introjected regulation indicated lower well-being. Third, neither stability of self-esteem nor contingency of self-worth showed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ojected regulation and social adaption.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educational implications related to introjected regulation and academic, emotional and social adaptations.

      • KCI등재

        내면화된 수치심이 연인관계 내에서의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정서표현 양가성과 관계 불안정성의 매개효과

        정유지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4

        The Influence of Internalized Shame on Romantic RelationalAggression: Mediating Effect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Expression and Relationship InsecurityYooji Jeong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and relationship insecur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romantic relational aggression (RRA). Online survey data was collected from 300 unmarried adults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during a period of one week.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analyzed. Results showed that internalized shame increase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which led to relationship insecurity, which in turn, led to increased RRA (social sabotage, love withdrawal). Findings from this study add to the understanding about the specific pathways in which the internalized sham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and relationship insecurity led to RRA. Key Words: Romantic Relation, Relational Aggression, Internalized Sham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Relationship Insecurity 내면화된 수치심이 연인관계 내에서의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정서표현 양가성과 관계 불안정성의 매개효과정 유 지** 연구 목적: 본 연구는 내면화된 수치심이 연인관계 내에서의 관계적 공격성(RRA)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표현 양가성과 관계 불안정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 연인관계 경험이 있는 만 20-39세 미혼 남녀 300명을 대상으로 일주일간 온라인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내용: 내면화된 수치심이 RRA(사회적 평판 손상)과 RRA(애정 철수)로 평가한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표현 양가성과 관계 불안정성이 매개하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였다. 결론 및 제언: 정서표현 양가성과 관계 불안정성은 내면화된 수치심과 RRA(사회적 평판 손상, 애정 철수)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순차적 매개 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연인관계 내에서의 관계적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된 바 있는 내면화된 수치심이 연인관계 내에서의 관계적 공격성으로 이어지는 구체적인 경로를 확인하여 관련 연구를 확장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핵심어: 연인관계, 관계적 공격성, 내면화된 수치심, 정서표현 양가성, 관계 불안정성 □ 접수일: 2022년 7월 6일, 수정일: 2022년 7월 26일, 게재확정일: 2022년 8월 20일* 이 논문은 저자의 2019년 서강대학교 석사학위청구논문을 일부 발췌・수정한 것임. ** 서강대학교 심리학과 석사(Master, Sogang Univ., Email: rhtnangellyj@gmail.com)

      • KCI등재

        자기결정성동기 잠재프로파일에 대한 사회적 관계 변인의 예측효과와 학업·정서적 적응의 차이: 저성취 집단과 고성취 집단의 비교

        정유지,김지현,이은주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22 한국교육문제연구 Vol.4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latent profile of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ccording to the academic achievement level, and to analyze the predictive effect of social relationship and the differences in class engagement, mental health, and academic stress among the latent profile. Using the second wave of the Kore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2013, 1,047 high-achieving sixth graders and 800 low-achieving students were selected.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low-achieving group was classified into ‘autonomous’, ‘average’, ‘low’, and ‘high-introjected’ type, and the high-achieving group was classified into ‘autonomous’, ‘average’, and ‘controlled’ type. Second, as for the predictive effect of teacher, peer, and parents relationship in the high-achieving group, the better relationship with teachers, peers, and parents, the higher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autonomous’ type was exhibited. On the other hand, the effect of social relationship in the low-achieving group was different for each class. Third, as for the differences in class engagement, mental health, and academic stress, the autonomous type of the high-achieving group was the most positive, and the autonomous type of the low-achieving was more positive than that of the control type of the high-achieving group.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based on these findings. 본 연구의 목적은 학업성취 수준에 따라 자기결정성동기의 잠재프로파일을 분류하고, 잠재프로파일에 대한 교사, 또래, 부모 관계의 예측효과와 잠재프로파일 간 수업태도, 정신건강, 학업스트레스의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종단연구 2013’의 2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다. 초등학교 6학년 중 저성취 학생 1,047명과 고성취 학생 800명을 대상으로 잠재프로파일 분석과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저성취 집단은 ‘자율동기형’, ‘평균동기형’, ‘저동기형’, ‘고동기-내사형’으로 분류되었고, 고성취 집단은 ‘자율동기형’, ‘평균동기형’, ‘통제동기형’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고성취 집단과 저성취 집단 모두 교사, 또래, 부모 관계가 좋을수록 평균동기형에 비해 자율동기형에 속할 확률이 높아졌다. 그런데 저성취 집단에서 또래관계가 좋을수록 평균동기형에 비해 자율동기형에 속할 확률이 높아질뿐만 아니라 저동기형에 속할 확률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저성취 집단에서 또래관계의 효과는 양면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잠재프로파일 간 수업태도, 정신건강, 학업스트레스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고성취 집단의 자율동기형이 가장 긍정적이며, 저성취 집단의 자율동기형이 고성취 집단의 통제동기형 보다 더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비록 성취수준이 낮아도 자율동기가 높은 학생들이 성취수준이 높고 통제동기가 높은 학생들에 비해 수업태도와 정신건강은 좋고 학업스트레스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