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행위의 도덕성과 존재의 도덕성: 자유의지에 관한 쇼펜하우어의 관점

        장효진 한국도덕교육학회 2011 道德敎育硏究 Vol.22 No.2

        The concept of morality is always in the center of interest in educational practice and theory, as efforts to lead man to the right direction. It is commonly accepted that we can confirm our morality only by our moral act. Following this common notion of morality, moral education must provide some moral guidelines in everyday life. This idea of morality and moral education relies on a specific view of 'free will'. In this view, man determines his own act because he has freedom to choose his act. We can call it 'morality of act'. However, in the Schopenhauer's view of 'freedom of will', 'free' is the particular quality of Will, the World as a whole, or the 'Thing-in-itself' in Kant's philosophy. Kant thought, through his analysis of the concept of freedom, that, though man is a part of nature and though his conduct is therefore necessarily determined, he is free and therefore capable of morality. Both Kant and Schopenhauer agree that man cannot be the exceptional being to necessity; that is sufficient reason. But Schopenhauer strictly distinguishes the two aspects of human character: 'empirical character' and 'intelligible character'. By virtue of this distinction, man can have 'morality of being' along with 'morality of act', and 'freedom of human will' in the genuine sense becomes possible. In this aspect of 'morality of being', the moral man is the one who realizes the very essence of his being, taking the dual nature of his character as seriously as possible. His morality emerges from his practical moral act directly caused by his 'compassion', which is also the way of forming his being as Will 사람을 올바르게 기르려는 교육적 관심에서는 언제든지 도덕의 개념 문제가 부각된다. 도덕에 관한 통념에서 도덕의 의미는 행위에만 국한되며, 도덕적 인간을 기르기 위해서는 일상적인 행위지침을 제시하는 것 이외의 다른 것이 있을 수 없다. 이런 식으로 규정되는 통념적 도덕은 자유 의지에 관한 한 가지 관점에서 따라 나오는 것으로서, 그 관점에서는 행동의 동기를 가지고 있는 개인이 자신의 모든 행위를 결정하는 '자유'를 가진다. 그러나 자유의지에 관한 쇼펜하우어의 관점에 의하면, 자유는 총체로서의 세계 그 자체인 '의지'만이 가질 수 있는 특성이다. 그러나 '인간 의지의 자유' 라는 것이 가능한 것은 인간이 경험적 성격과 예지적 성격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이중적 존재이기 때문이다. 존재의 도덕성에서 규정되는 도덕적 인간은 자신의 존재와 세계의 이중적 성격을 가장 세밀하게 인식하는 존재이다. 진정한 세계인식과 자기인식에 도달하는 그러한 인간의 도덕성은 구체적 행위에서 자비심을 통하여 나타나며, 또한 자비심은 의지로서의 그의 존재를 형성하는 경로가 된다고 말할 수 있다.

      • Morality in an Evolutionary Perspective

        Geoffrey M. Hodgson 한국공공선택학회 2016 The Korean Public Choice Society Vol.4 No.1

        애덤 스미스는 사람들은 이기적 동기(사익 추구)뿐만 아니라 ‘도덕적 동기’에 의해서도 행동한다고 생각하였다. 찰스 다윈은 스미스의 그러한 인간 동기를 ‘진화적으로’ 옹호 하였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제학자들은 스미스와 다원의 주장을 거의 무시해 왔다. 최근 인간은 이기적일 뿐만 아니라 협조적임을 증명하는 실증적 연구들이 자주 제시되 고 있다. 그러나 많은 연구들은 ‘도덕성’(morality)을 이타주의 또는 협조로 인식하고 있다. 반면에 다윈은 도덕성의 특징과 역할을 분명하게 구분하였다. 특히 다윈의 주장 은 순수한 이기심(사익추구)이라는 일반적 생각과 도덕성이 효용 또는 선호의 문제로 축약될 수 있다는 기존 관념에 반대하였다. 도덕 철학자들 간의 보편적 견해에 따르면 도덕적 판단은 순전히 선호나 효용 극대화의 문제로 취급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 다윈 에 의하면 도덕성이란 ‘옳은 일을 하는 것’(doing the right thing)을 말한다. 도덕성 은 선호나 효용에 우선되는 ‘정의’(justice)의 개념을 수반하며, 도덕적 판단은 감적적 느낌이나 이성적 주장에 의해 보강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도덕성은 편리, 관습, 순응 등의 문제들과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도덕적 감정은 학습된 문화적 규범이나 규칙에 의해 앙양된다. 또한 도덕성은 사회적으로 감정적 규칙들과 관련된 ‘집단적’ 현상이다. 본 논문은 ‘다윈의 진화론적 관점’에서 도덕성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도덕 성은 진화적 기원을 가지고 있으며, 개인적 현상일 뿐만 아니라 사회적 현상이기도 하다. 따라서 본 논문의 핵심적 주장은 ‘도덕성이 진화적·사회적 현상이기 때문에 개인 의 선호나 효용으로 축약될 수 없다’는 점이다. Adam Smith regarded individuals as driven by moral motives as well as self-interest. Charles Darwin also provided an evolutionary vindication of Smith’s view of human motivation. But it was ignored by most economists. There is now an enormous body of empirical research confirming that humans have cooperative as well as self-interested dispositions. But many accounts conflate ‘morality’ with altruism or cooperation. By contrast, Darwin established a distinctive and vital additional role for morality. Darwin’s argument counters the idea of unalloyed self-interest and the notion that morality can be reduced to a matter of utility or preference. A widespread view among moral philosophers is that moral judgments cannot be treated as matters of mere preference or utility maximization. Morality means “doing the right thing”. It entails notions of justice that can over-ride our preferences or interests. Moral judgments are by their nature inescapable, and are buttressed by emotional feelings and reasoned argument. Morality differs fundamentally from matters of mere convenience, convention or conformism. Moral feelings are enhanced by learned cultural norms and rules. Morality is a group phenomenon involving deliberative, emotionallydriven and purportedly inescapable rules that apply to a community. In this paper, I attempt to examine the morality in an evolutionary perspective. Moral motives have evolutionary origins and are sustained through interaction with others: morality is a social as well as an individual phenomenon. Thus, main argument in this paper shows that morality cannot be reduced to individual preferences or utility.

      • KCI등재

        행복과 도덕-플라톤, 칸트, 니체를 중심으로-

        이유택 범한철학회 2018 汎韓哲學 Vol.91 No.4

        The history of the question of happiness is as old as the history of philosophy. Many great philosophers have used happiness as a subject of philosophical inquiry in various ways. One of the philosophical inquiry methods of happiness is to discuss it in relation to morality. Some philosophers pay attention to the identity of happiness and morality, and some philosophers pay attention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The way in which we see the relationship between happiness and morality makes clear the difference in the way we understand happiness. This article focuses on Plato, Kant, and Nietzsche as representatives of the quest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happiness and morality in philosophical history. These three philosophers have different philosophical interests and methodologies, but at least they seem to have in common that they have asked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happiness and morality. Plato thought that happiness and morality were in an inseparable relationship, like the two sides of a coin. For him, happiness is only realized through morality(justice) and morality was the ultimate goal of happiness. Kant, on the other hand, saw that happiness and morality are fundamentally different. Morality is never a means to reach happiness, and happiness is not the purpose of morality. Nietzsche also talks about the identity of happiness and morality. But this is no longer a platonic identity. Because Nietzsche understand the meaning of happiness, morality, and the relationship of both in a different way from traditional philosophy. 행복에 대한 물음의 역사는 철학의 역사만큼이나 오래되었다. 많은 위대한 철학자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행복을 철학적 탐구의 대상으로 삼아왔다. 행복에 대한 철학적 탐구 방식 중 하나는 그것을 도덕과 연관시켜 논의하는 것이다. 어떤 철학자는 행복과 도덕의 동일성에 주목하고, 어떤 철학자는 양자의 차이에 주목한다. 행복과 도덕의 관계를 어떻게 보느냐를 통해서 행복에 대한 이해방식의 차이가 선명하게 드러나게 된다. 이 글은 철학사에 나타난 행복과 도덕의 관계에 대한 탐구의 대표자로서 플라톤과 칸트, 그리고 니체를 주목한다. 이 세 명의 철학자는 서로 다른 철학적 관심과 방법론을 가지고 있지만, 적어도 행복과 도덕의 관계에 대한 물음을 던졌다는 점에서는 공통점을 가진다고 보이기 때문이다. 플라톤은 행복과 도덕이 동전의 양면처럼 불가분의 관계 속에 있다고 생각했다. 행복은 오직 도덕(정의)을 통해서만 가능하고, 도덕은 궁극적으로 행복한 삶을 위한 것이다. 반면에 칸트는 행복과 도덕은 근본적으로 다르다고 보았다. 도덕은 결코 행복에 도달하기 위한 수단이 아니며, 행복은 도덕의 목적이 아니다. 니체도 행복과 도덕의 동일성에 대해 말한다. 하지만 이 동일성은 플라톤적 동일성이 아니다. 왜냐하면 니체는 전통철학과는 다른 방식으로 행복과 도덕, 그리고 양자의 관계를 새롭게 이해했기 때문이다.

      • KCI등재

        도덕은 어떻게 원한의 도구가 되었는가?-니체의 <도덕의 계보>를 중심으로

        전경진 범한철학회 2022 汎韓哲學 Vol.105 No.2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ay attention to Nietzsche's "ressentiment" as a psychological origin of slave morality in Zur Genealogie der Moral, and to analyze slave morality from the perspective of a means of political superiority of ascetic priest. To this end, this article focus on three main tasks. First, it analyzes concept of ressentiment as a psychological condition for the occurrence of slave morality. In this process, Nietzsche pays attention to ascetic priest as a man of ressentiment, and through this, the fundamental characteristics of ressentiment are identified as psychological conditions with experiences of pain, dissatisfaction, or frustrated desire. Second, the moralization process of ressentiment is analyzed by paying attention to the role of ascetic priest. The key argument of Zur genealogie der moral is that moral values arise under a specific psychological condition of ressentiment. Each essay of Zur genealogie der moral shows the moralization process of ressentiment. In this process, ressentiment becomes the starting point for all of it, and it is the ascetic priest, the man of ressentiment, who takes the lead in this process. The ascetic priest mobilizes and embraces slaves to lead the slave revolt in morality, invents the bad conscience to instill guilt so that slaves cannot escape their rule, and establishes ascetic ideals, eventually leading them to a life of ressentiment. Third, as a result, it is argued that slave morality, unlike its name, is not a morality for slaves, but a means of political superiority of ascetic priest. In this process, the slaves were not the subject of slave morality, but rather the actors mobilized in deceptive revenge directed by an ascetic priest, and the unfortunate protagonists who eventually had to become their fallen supporters. The reason why Nietzsche takes issue with ressentiment is simple. This is because morality, which should be a means of life, has become a means of ressentiment according to the harassment of ascetic priest, who is man of ressentiment. Nietzsche's criticism of morality is only an attempt to return depraved morality embraced by an ascetic priest.

      • KCI등재

        니체가 본 중국적인 도덕과 맹자의 윤리 비교 연구-니체의 『도덕의 계보』 제1 논문에서의 주인/노예 도덕과 『맹자』의 측은지심을 중심으로-

        손희욱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23 泰東古典硏究 Vol.50 No.-

        Nietzsche divides morality into the morality of the master (the noble) and the morality of the slave (the non- noble), and criticizes the Christian morality of Europe at the time when Nietzsche lived as slave morality and Chinese morality. Nietzsche’s main morality is the morality of those who affirm everything, including aggression, are energetic, evaluate value independently, and create value. Slave morality, on the other hand, is an altruistic morality derived from resentment against the strong, not from the human subject, which makes humans inactive and dwarfed. However, Mencius says that altruistic morality is morality derived from the subject. Mencius refers to heart of compassion(惻隱之心) that cannot be cruel to others, and says that heart of compassion is a clue to sensitive concern for others(仁) that everyone has. And Mencius emphasized that politics based on the people should be based on heart of compassion and sensitive concern for others. In addition, Mencius says that this heart of compassion doesn’t make human be dwarfed, and belongs to a heart(心)-human nature(性)-sky(天) structure. It connects with human nature and an intrinsic and transcendent sky. This also contrasts with the content that Nietzsche’s master/slave morality arises from the conditions of life in reality. Through this basis, I think it is not reasonable for Nietzsche to view Chinese morality as altruistic slave morality. 니체는 도덕을 주인(고귀한 자)의 도덕과 노예(고귀하지 않는 자)의 도덕으로 구분한 뒤, 니체가 살던 당시 유럽의 그리스도교 도덕은 노예 도덕이며 중국적인 도덕이라고 비판한다. 니체가 지향하는 주인 도덕은 공격성도 포함하여 자신의 모든 것을 긍정하며 활력이 넘치고, 주체적으로 가치를 평가하며, 가치를 창조하는 자들의 도덕이다. 이에 반해 노예 도덕은 인간 주체에서 비롯된 감정이 아닌 강자에 대한 원한 감정에서 비롯된 이타적인 도덕으로 인간을 활력이 없고 왜소하게 만드는 도덕이다. 그러나 맹자는 이타적인 도덕이 주체로부터 비롯되는 도덕이라고 말한다. 맹자는 차마 남에게 잔인하게 하지 못하는 마음인 측은지심(惻隱之心=不忍人之心)을 말하면서, 이러한 측은지심은 사람이면 누구나 가지고 있는 인간의 본성인 인(仁)의 단서라고 말한다. 그리고 맹자는 이 측은지심과 인(仁)을 바탕으로 백성을 근본으로 하는 정치를 해야 함을 역설하였다. 또한 이 측은지심은 인간을 왜소하게 만들지 않으며, 심(心)-성(性)-천(天) 구조로 인간의 본성과 또 내재적이면서 초월적인 천과 이어진다고 말하였다. 이는 니체는 주인/노예 도덕이 현실에서 삶의 조건으로부터 생겨난다고 하는 내용과도 또한 대비된다. 이러한 논거를 통해 니체가 중국적인 도덕을 이타적인 노예 도덕이라고 본 것은 타당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퇴계(退溪)와 칸트의 도덕성에 관한 고찰

        안유경 ( An¸ Yoo-kyoung )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2020 퇴계학논총 Vol.36 No.-

        본 논문은 퇴계(이황, 1501~1570)와 칸트(Immanuel Kant, 1724~1804)의 도덕성을 고찰한 것이다. 퇴계의 도덕성을 구성하는 내용으로는 理, 氣, 性, 心, 情, 意 등이 있으며, 칸트의 도덕성을 구성하는 내용으로는 선의지, 이성, 의지, 의무, 도덕법칙 등이 있다. 이들 개념은 모두 각기 따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인간의 도덕성을 가능하게 하는 근거로 작용한다. 퇴계와 칸트의 도덕성을 구성하는 사유구조는 누구나 선한 도덕성을 가지고 있음을 성(리) 또는 선의지로 설명하면서, 동시에 기 또는 경향성이 지배하는 감성계로써 현실 속에 만연한 인간의 부조리한 상황을 반영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칸트가 개념 사용과 원칙에서 다양한 비유와 구체적인 사례를 제시하는 객관적이고 분석적인 사유방식을 전개하는 반면, 퇴계는 도덕적 당위를 강조하는 당위적이고 수양적인 사유방식을 정립한다. 결국 이들이 도덕성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개념과 방법상에 다소 차이가 있을지라도 그 본질을 관통하는 사유구조는 다르지 않으며, 그 목적 역시 인간의 선한 도덕성을 이끌어내는데 있다. 이로써 퇴계와 칸트의 도덕성에 대한 사유구조와 그 목적의 유사성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morality of Toegye(Yi Hwang, 1501~1570) and Kant(1724~1804). The contents that constitute the morality of Toegye include Li, Ki, Sung, Sim, Jung, and Eui, and the contents that constitute Kant's morality include good will, reason, will, duty, and moral law. All of these concepts do not exist separately, but act as a basis for organically combining human morality. It can be seen that the thought structure that constitutes Toegye and Kant's morality reflects the absurd situation of human beings rampant in reality as an emotional system dominated by chi or tendency, explaining that anyone has good morality by sex or good will. It is explaining that the thought structure that constitutes Toegye and Kant's morality has good morality, either by sung or by good will. At the same time, we can see that it reflects the evil situation of human beings rampant in reality as Ki or emotional system dominated by tendency. In this process, Kant develops an objective and analytical way of thinking, such as presenting various figurines and concrete examples in the use of concepts and principles, while Toegye establishes a justifiable and cultivated way of thinking that emphasizes moral justification. This means that, in the course of explaining morality, although there may be some differences in concepts and methods,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thought structure that penetrates the essence, the purpose is also to elicit good morality from human beings. Here you can see the similarity between the thought structure of Toegye and Kant's morality and its purpose.

      • KCI등재

        미적 도덕성의 스펙트럼과 도덕교육

        윤영돈 ( Young Don Yoon ) 한국윤리교육학회 2009 윤리교육연구 Vol.0 No.19

        본 연구는 ``미와 도덕성의 친화력에 근거한 미적 도덕성의 다양한 관점이 도덕교육에 어떠한 기여를 할 수 있는가``라는 물음에서 출발하였다. 인간은 이성적인 존재이기 때문에 자신의 이성이 명령하는 의무를 수행한다는 것은 자율적인 것임에도 불구하고, 동시에 감성적인 존재이기 때문에 그 의무는 강제적이며 타율적인 것으로 다가온다. 미적 도덕성은 무엇보다 의무를 즐겁게 수행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다. 이른바 의무와 경향성의 조화가 미적 도덕성에 의해 가능하다는 것이다. 도덕주의와 심미주의를 양 극단으로 하는 미적 도덕성의 스펙트럼에서 대표적인 관점을 세 가지로 도식화해 볼 수 있다. 첫째, 도덕주의의 입장이다.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미적 도덕성은 정화된 시와 예술을 매개로 한 미적 체험을 통해 도덕성을 함양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이성적 판단능력이 발달하기 전 엄선된 시와 예술 작품을 활용하여 바람직한 가치·태도를 습득하게 하는 것은 인격교육의 난점인 타율적 성격을 극복하면서, 즐겁게 ``좋은 성품``을 지니게 할 수 있다. 둘째, 미와 도덕성을 동등하게 바라보는 중간 지점에 위치한 입장이다. ``미와 숭고는 도덕성의 상징``이라는 명제 위에 정립된 칸트의 미적 도덕성은 가언명법으로서의 타율적 도덕성으로부터 정언명법으로서의 자율적 도덕성으로 방향전환을 가능케 한다. 셋째, 심미주의의 입장이다. 디오니소스적인 것으로 대표되는 니체의 미적 도덕성은 인간의 자연성과 파토스를 긍정하고, 끊임없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며, 자기를 극복함으로써 건강한 자기에 이르는 데 기여한다는 점에서 정신건강론의 맥락에서 해명될 수 있다. This study starts from the following question: Can the various perspectives of aesthetic morality based on the affinity between beauty and morality make a significant contributions to moral education? Because we are rational beings, performing duty as categorical imperative of reason is of autonomy; nevertheless, because we are animal beings as well, duty given by reason appears violent or heteronomous. In this dilemma, aesthetic morality paves a way to willingly accomplish duty. In other words, aesthetic morality makes it possible to harmonize between duty and inclination. The spectrum of aesthetic morality which moralism and aestheticism are placed on the both polars can be schematized as three angles. First, moralism. Aesthetic morality by Plato and Aristotle can contribute to cultivating morality through aesthetic experiences by means of ``poetry & fine arts (mousike)``. Before moral judgement develops itself, the experiences of poetry & fine arts well refined can help student come by appropriate values & attitudes. This moral education on the basis of poetry & fine arts can overcome the heteronomous aspect of character education and assist student to form ``good character`` with pleasure. Second, middle way between two extremes. Kant established the concept of aesthetic morality in the context that the beautiful and sublime can serve as symbols of morality. Aesthetic morality by Kant can bridge between nature and freedom, that is to say, it can pave a transitional way from the level of socialization as hypothetical imperative to that of autonomous morality as categorical imperative. Third. aestheticism. Nietzsche`s aesthetic morality characterized as the Dionysian can be treated as the theory of mental health to the effect that it can affirm the nature & pathos of human beings, incessantly create new values, overcome oneself and lead to be health Selbst.

      • KCI등재

        사회생물학적 도덕 이론의 메타윤리학적 타당성 검토 -도덕성의 합리적 정당화 문제와 관련하여-

        소병철 ( Byung Chul So )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007 철학연구 Vol.0 No.34

        도구적 합리성에 의거해서 도덕성을 정당화하려는 현대의 유력한 메타윤리학적 기획은 최근 들어 그것의 자연과학판이라 할 수 있는, 사회생물학이라는 이름의 야심적인 기획에 의하여 ``과학적인`` 지지를 받고 있다. 사회생물학자들은 대체로 인간의 도덕성을 이른바 ``유전자 이기성``이라는 진화적 기원으로 환원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 이기적인 유전자의 생래적인 프로그램으로 이해된 혈연 이타성과 호혜적 이타성은 도덕성의 그러한 진화적 기원을 밝혀 주는 핵심 개념으로 등장한다. 그러나 일부 사회생물학자들은 그와 같은 도덕성의 기원에 관한 설명을 도덕성의 정당성에 관한 논증으로 전용하는 경향이 있다. 이 논문에서 논자는 도덕성의 기원에 관한 설명으로서의 사회생물학과 도덕성의 정당성에 관한 논증으로서의 사회생물학을 각각 비판적으로 검토할 것이다. 첫째, 논자는 혈연 이타성과 호혜적 이타성이 유전적 자기 이익에 대한 관심과 무관한 도덕성의 현상들을 설명할 수 없다는 점에서 도덕성 일반의 기원에 관한 설명의 도구가 되기에는 미흡하다는 점을 밝힐 것이다. 둘째, 논자는 유전자 이기성에 기원을 둔 인간의 도덕성이 다시 유전자 이기성에 의거해서 정당화된다는 주장은 이른바 자연주의적 오류라는 치명적 결함을 극복할 수 없다는 점을 밝힐 것이다. Recently the contemporary influential metaethical project to justify our morality on the basis of the instrumental conception of rationality is ``scientifically`` supported by its scientific version, an ambitious project called ``sociobiology``. Most sociobiologists reduce human morality to its evolutionary origin, so-called ``gene selfishness`` to explain it. Here ``kin altruism`` and ``reciprocal altruism`` as the innate programs of selfish genes are the keywords that are proposed to clarify such an evolutionary origin of morality. But some sociobiologists tend to misuse such an explanation of the descriptive origin of morality as an argument for the normative binding power of morality.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ritically examine the sociobiological moral theory as an explanation of the origin of morality and that as a normative justification of morality respectively. First, I will clarify that ``kin altruism`` and ``reciprocal altruism`` are insufficient for the explanation of the origin of morality in general in that they cannot explain the phenomena of morality which are unconcerned with the genetic self-interest. Second, I will clarify that the assertion that human morality originating in the ``gene selfishness`` is justified on the basis of the same ``gene selfishness`` cannot overcome the fatal defect called ``naturalistic fallacy``.

      • KCI등재

        도덕의 기원과 본성에 관한 일고찰

        이대희 새한철학회 2020 哲學論叢 Vol.102 No.4

        The history of philosophical inquiry into the origins and nature of morality is very long. Plato’s mythical account unfolded in Protagoras developed into Hume’s naturalistic account and Kant’s metaphysical account through Hobbes’ mythical account, and has firmly maintained the realm of moral philosophy until at least the 19th century. However, in the 20th century, the remarkable research results of science(sociobiology, moral psychology, neuroscience) have aroused deep skepticism and disbelief about the way of accounting in the traditional philosophy of the origins and nature of morality. While traditional philosophy discusses on ‘morality from above’, the new scientific position advocates ‘morality from below’. The research results of traditional philosophy and modern science of the origins and nature of morality seem to have become clear now. It seems to be an objectively valid view to see human morality as a results of evolution from human being itself, rather than as transcendental existence in the high places such as divine command or moral principles. Human being has cultivated a good nature, and moral laws and religious doctrines were later made according to this human nature. Human being has established themselves with morality, and this morality is capable of developing to a higher level according to our reason and will. Morality is not come ‘from above’, but ‘from below’. Morality is an invention born in the history of human evolution. 도덕(morality)의 기원(origins)과 본성(nature)에 관한 철학적 탐구의 역사는 장구하다. 플라톤의 『프로타고라스』(Protagoras)에서 전개된 신화적(mythical) 설명은 홉스의 신화적 설명을 거쳐 흄의 자연주의적 설명과 칸트의 형이상학적 설명으로 발전하여 적어도 19세기까지 도덕철학의 영역을 굳건하게 지켜왔다. 하지만 20세기에 와서 과학(사회생물학, 도덕심리학, 신경과학)의 놀라운 연구성과는 도덕의 기원과 본성에 관한 전통철학의 설명방식에 대해 깊은 회의와 불신을 불러일으켰다. 전통철학의 입장이‘위로부터의 도덕(morality from above)’을 이야기하는데 반해서 새로운 과학적 입장은‘아래로부터의 도덕(morality from below)’을 주창한다. 도덕의 기원과 본성에 관한 전통철학과 현대과학의 탐구성과는 이제 분명해진 것 같다. 인간의 도덕을 신의 명령(divine command)이나 도덕원리(moral principles) 같은 저 높은 곳에서 초월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존재 자체에서 진화한 결과물이라고 보는 것이 객관적으로 타당한 견해인 것 같다. 인간은 선한 본성(good nature)을 키워왔고, 도덕법칙과 종교적 교리는 인간의 이러한 본성에 따라 뒤에 만들어진 것이다. 인간은 스스로 도덕성(morality)을 갖추어 왔으며, 이 도덕성은 우리의 이성(reason)과 의지(will)에 따라 더 높은 차원으로 발달할 수 있는 것이다. 도덕은‘위로부터 내려온(come from above)’것이 아니라‘아래로부터 올라온(come from below)’것이다. 도덕은 인간의 진화의 역사에서 탄생한 발명품(invention)이다.

      • KCI등재

        풀러에서 법의 도덕의 문제

        염수균 ( Su Kyun Youm ) 법과사회이론학회 2012 법과 사회 Vol.0 No.43

        Fuller thinks that his eight principles of legality are needed for any legal system to be legal. That those principles exist and they are constitutive principles of the rule of law is accepted by almost legal philosophers. The problem is the morality of those principles. Fuller calls their morality internal morality of law. The internal morality is the morality of the action by which legal rules are enacted and applied, while the external morality is the morality of the rules themselves. Because the principles are not just efficient principles but ones by observance of which the action can be moral, the principles can be called moral principles and the concept of internal morality is sustained. Fuller claims that principles of legality affect positively the morality of the laws which are enacted according to the principles. The claim presupposes that the legislators consciously respect the moral principles which are contained in the principles of legality and enact laws according to the moral principles. But the presupposition is not so evident that they need no justification. And even if they enacted the laws according to the moral motives, the laws would not necessarily become moral. For the most unjust rules were enacted by the idealists rather than wicked governors. Therefore the claim that the internal morality of law affect positively the external morality of law lacks proper foundation. But the whole system of the law can be morally affected through the governor`s observance of the principles The definition of the wicked regime which the debate between Kramer and Simmonds presupposes cannot be accepted. Because the wicked regime must be defined not in terms of wickedness of governors` motive but that of laws they enac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