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항상 설득메시지는 강할수록 좋은가?

        최지은(Choi, Ji-Eun),이두희(Lee, Doo-Hee) 한국상품학회 2012 商品學硏究 Vol.30 No.3

        본 연구에서는 설득메시지가 오히려 소비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는 상황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즉, 개인이 자유를 위협받거나 잃어버리게 되었을 때 자유를 회복하려는 동기가 생겨나게 되는 심리적 상태인 심리적 반발이론을 근간으로, 메시지의 종류에 따라 소비자가 느끼는 심리적 반발의 정도가 달라지고, 이에 따라 설득효과 또한 달라질 수 있음을 밝혔다. 또한 메시지의 정보원과 개인의 기질적인 반발 성향이 메시지 종류에 따른 설득효과에 조절작용을 함을 보였다. 실험 연구 결과, 소비자들은 설득의도가 강하게 담긴 메시지(통제메시지)보다는 설득의도가 완곡하게 담긴 메시지(자율메시지)가 자신들의 자유를 덜 침해한다고 느꼈으며, 이에 따라 완곡한 메시지의 설득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정보원이 전문가일 경우 메시지 종류가 어떠한 것이든 설득효과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정보원이 일반인인 경우 자율메시지에 비해 통제메시지일 때 설득효과가 낮아지는 것을 보였다. 그리고 소비자들을 기질적으로 반발수준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나누어 조절효과를 분석해본 결과, 반발성향이 낮은 소비자의 경우 메시지 유형에 따른 설득효과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반발성향이 높은 소비자의 경우 자율메시지보다는 통제메시지일 때 설득효과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authors examine the effects of persuasive messages on the effectiveness of persuasion on the basis of psychological reactance theory. The authors reveal that the types of persuasive message influence the degree of individuals’ psychological reactance, which results in negative effect of persuasive appeals. Also, the authors examine the moderating roles of message sources and individual reactance traits. Using a study, controlling messages are highly regarded to be a threat to the freedom of consumers than autonomous messages. Therefore, autonomous message is more effective to persuade consumers to change their attitude than controlling message. In addition, when message source is an expert, message type does not influence the degree of reactance; while when message source is not an expert, autonomous message is more persuasive than controlling message. Also, for individuals with high reactance traits, autonomous message is more persuasive than controlling message; while for individuals with low reactance traits there are no difference between controllingmessage and autonomousmessage.

      • 일반논문 : SNS 구전의 특성이 관객의 영화선택에 미치는 영향

        이수빈 ( Su Bin Lee ) 한국영화교육학회 2013 영화교육연구 Vol.15 No.-

        The study aims to explore the word of mouth (WOM) effect of SNS, one of the core WOM channels of today, on the movie audience. Previous studies have supported that audience consider WOM important when they choose a movie, because a movie is the consumer good well as the experience good. As an extension of the exiting literature, our study aims to analyze the SNS effect as WOM on the audience`s movie sele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 findings, the potential mediating factors are further defined as: characteristic of the WOM source, multimedia aspect of the WOM, issue generability of the WOM message and the spreadability of the WOM message. The characteristic of the WOM source is further divided into the acquaintance and the authority/celebrity figure. The effect is defined as the final selection of the movie by the individual audience, and the mediating effect is defined significant when the WOM via SNS affects the WOM effect. The hypotheses are established based on the principles and the empirical study was followed in the form of survey. The empirical analyses show that the all five factors of WOM via SNS have significant effect in establishing the reliability of the WOM process, so does the reliability of the WOM via SNS on the audience`s movie selection. Finally, the direct mediating effect of the characteristic of the SNS WOM on the audience`s movie selection is also found significant. Our study analyzes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WOM via SNS, which is and should be differentiated from the WOM through traditional online media other than the SNS. Furthermore, the study finds empirical supports of the effect of WOM via SNS on the audience`s movie selection to raise the importance of utilizing SNS in movie industry. In terms of movie marketing, when approaching the potential audiences, who are the users of SNS, the marketers need to consider unique factors specific to WOM via SNS. As asserted, the study is especially meaningful in its implication of effect of WOM via SNS on the movie selection, and its utilization in the movie marketing.

      • KCI등재

        Three Models for Persuasive Effects of Source Expertise: The Heuristic Cue Model, the Evidence Model, and the Moderator Model

        정성은,Christopher J. Carpenter,Haejung Shin,Wonji Lee 한국언론학회 2020 Asian Communication Research Vol.17 No.1

        Three models for the effect of source expertise on attitude change, the heuristic cue model, the evidence model, and the moderator model, were identified and tested. To test predictions based on those models, the effect of source expertise on attitude change and on perceived message-effectiveness were examined with different numbers of supporting arguments and different levels of task importance. The main findings of two studies (total N = 342) are that for low task-importance, as the number of supporting arguments increased, perceived message-effectiveness increased then stabilized, and for high task-importance, as the number of supporting arguments increased, the difference in perceived message-effectiveness between high and low source expertise increased. The evidence model and the moderator model received support.

      • KCI등재
      • KCI등재

        정보원 특성과 소구방식이 바이럴 영상 광고에 미치는 영향

        이재광,권지현,윤서은,조현 한국인터넷전자상거래학회 2019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Vol.1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ssage source and the effect of appeals on viral video advertising. We examined the factors affecting the viral video advertising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appealing types and advertising effects. The factors affecting the use of viral video advertising were analyzed by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V19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appeal method(rational, emotional), the results showed that brand attitude, purchase intention, and diffusion intention were different. Second, characteristics of information sources were related significantly with brand attitude but not with purchase intention and diffusion intention. The result of this paper can be useful guidelines for advertising field.

      • KCI등재

        메시지 프레이밍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제품유형과 광고모델의 수에 관한 연구

        김경민(Kim Kyung Min),劉平平(Liu Ping-Ping) 한국소비문화학회 2008 소비문화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메시지 프레이밍(긍정적 vs. 부정적)이 제품유형(실용적 vs. 쾌락적) 및 유명인 광고모델의 수에 따라 소비자의 설득 특히 브랜드 태도가 어떻게 달라지는 지를 파악하였다. 즉 메시지 프레이밍은 소비자들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실제적으로 많은 조절변수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조절상황을 보다 심도 있게 분석하기 위해서 제품이 실용적인지 쾌락적인지 또한 광고모델의 수의 증가에 인한 원천확대효과와 어떠한 관계를 갖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문헌연구를 통해 가설을 수립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해 실험을 2회에 걸쳐 수행하여 분산분석(ANOVA)을 시행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BR>  실험 1에서는 메시지 프레이밍과 제품의 유형에 따라 브랜드 태도가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쾌락적 제품의 경우 긍정적인 광고 메시지 프레이밍 효과가 반면 실용적 제품의 경우 부정적인 광고 메시지의 프레이밍 효과가 브랜드 태도에 더욱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BR>  실험2에서는 유명인 광고모델을 통한 광고모델의 증가로 인한 원천확대효과와 함께 메시지프레이밍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원천확대효과로 인한 메시지프레이밍의 조절효과는 발견되었으나 광고모델의 수의 증가와 관계없이 부정적인 광고메시지 프레이밍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message framing affects the brand attitude of consumers, given the product type (utilitarian or hedonic) and the number of celebrity endorses.<BR>  The message framing does not have direct influence upon the consumer behavior rather it usually relies on a number of moderate variables. In this context, a special focus of the present study is placed on the issue: to what extent the brand attitude is affected by the message framing, specially considering the source magnification effect as well as product type (utilitarian or hedonic). To this end, we set up two major hypotheses that are tested as follows, using ANOVA and ANCOVA.<BR>  The experiment 1 investigates how the brand attitude is changed along with the message framing and product type. The results show that a positive message framing affects the brand attitude for the hedonic product. In contrast, for the case of utilitarian product, the brand attitude is more influenced by a negative message framing.<BR>  The experiment 2 examines the interaction of a message framing and a source magnification effect on the brand attitude. Our empirical finding supports hypothesis 2-1, indicating that a message framing, together with source magnification, has an effect on the brand attitude. On the other hand, the experiment for hypothesis 2-2 produces unexpected result that shows the negative message framing effects on the brand attitude regardless of the numbers of celebrity endorses.

      • KCI등재

        복수모델의 광고효과에 관한 연구 : 메시지 조절초점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송준호,김효규 대한경영정보학회 2013 경영과 정보연구 Vol.32 No.3

        본 연구는 메시지조절초점 유형이 복수모델의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 동안 광고모델, 특히 유명인의 광고의 효과성에 대한 논의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지만, 상대적으로 복수모델의 광고효과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고 더욱이 모델의 수에 따른 효과에 영향을 주는 변수로서 메시지조절초점에 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복수모델광고가 제시되는 경우를 하나의 광고에 두 명의 광고모델이 동시에 제시되는 광고형태로 제한하여, 광고모델의 수에 메시지 조절초점의 정보처리 특이성을 적용하여 광고효과의 차이점을 검증 하였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광고모델의 기용 시 사회적 합의성 증가와 정보원의 원천확대 증가에 의해 광고모델과 소비자와의 관계성이 향상하는 효과가 나타나며 이러한 복수모델의 광고효과는 소비자가 메시지를 수용할 때 주로 관계적 정교화(relational elaboration) 정보처리를 하게 되는 향상초점메시지에서 보다 높을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였다. 광고 모델 수(단수모델/복수모델)×메시지 유형(향상초점메시지/예방초점메시지)의 실험결과, 메시지 유형에 상관없이 복수모델의 경우가 단수모델의 경우보다 광고태도, 브랜드 태도, 구매의도에서 모두 높은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복수모델의 경우에 향상초점메시지를 사용한광고가 예방초점 메시지를 사용한 광고보다 광고태도, 브랜드 태도, 구매의도에서 모두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나아가 광고 모델의 수와 메시지조절초점간의 상호작용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학계는 물론 광고실무자들에게도 시사하는 점이 클 것이며 향후 광고모델수의 광고효과 연구의 확장에도 많은 기초를 제공하고 있다.

      • KCI등재

        정보원과 메시지 유형에 따른 운동증진 광고의 설득 효과

        최명애 ( Choe Myeong Ae ),안경주 ( An Gyeong Ju ),김병희 ( Kim Byeong Hui ) 대한스포츠의학회 2003 대한스포츠의학회지 Vol.21 No.2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persuasive effect of exercise promotion advertisement for obesity prevention according to source types (ordinary people, expert, celebrity endorser) and advertisement message types (slice of life, testimonial) in

      • KCI등재후보

        생활화학제품 방송광고의 메시지 제시형태 비교에 관한 연구: 잠재적 소비자의 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유현재,이현서,유명순 한국헬스커뮤니케이션학회 2020 헬스커뮤니케이션연구 Vol.19 No.1

        This article challenged to understand the perceptions of consumers by presenting two types of messages in TV commercials of two major types-laundry detergents, fabric softeners-of household chemical products to consumers. More specifically, warnings and supporting statements from some experts were presented in an advertisement edited on a storyboard basis to the participants. After the exposure of the storyboard,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answer regarding diverse questions including the attitudes toward the media contents, the attitudes toward the product seen, and the purchase intentions. Surprisingly, the experiments showed a certain increase in terms of the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product as well as the purchase intentions when they are exposed to warning signs explaining the possible risks of when they are using the household chemical products, or to the advertisements with expert recommendation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considered to be important implications not only for establishing and supplementing advertising content-related policies aimed at consumer protection but also for providing important insights to the companies regarding their marketing strategy. 가습기 살균제 파동이 사회 전반에 미친 영향은 매우 심각하였다. 그와 같은 비극적 상황이 재발하지 않기 위해 사회 각 영역이 담당해야 하는 부분들이 끊임없이 논의되는 중이라 하겠다. 특히, 소비자가 제품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위험 상황과 사고의 주요 유형을 고려한 피해예방 가이드라인이 요구되고 있다. 다양한 생활화학제품이 일반 소비자들과 간접적으로 만나게 되는 TV광고는 정보제공의 주요 매체이지만, 생활화학제품의 안전정보 표시와 관련된 기준과 원칙은 명확하게 마련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 같은 환경하에서, 본 연구는 생활화학제품 TV광고를 배경으로 안전정보 메시지를 유형별로 제시하고 그에 따른 일반 소비자의 태도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실험에 참여한 156명의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실제 방영된 생활화학제품 2종(세탁세제/섬유유연제)의 TV광고를 일부 편집하여 두 가지 변인(경고표시/전문가 정보원 문구)을 제시한 다음, 광고에 대한 태도, 제품에 대한 태도, 제품 구매의도 등을 측정했다. 연구 결과, 생활화학제품 사용에 관한 경고성 문구, 혹은 관련 전문가가 전달하는 주의사항이 포함된 광고에 노출될 경우, 제품에 대한 긍정적 태도와 구매의도가 일정 부분 상승하는 반응이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소비자 보호를 지향하는 광고 콘텐츠 관련 정책의 수립 및 보완을 위한 중요한 시사점인 동시에, 일선 기업 측에도 소비자 신뢰 회복을 위한 새로운 마케팅 방향을 제공할 수 있는 논의점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