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Level Shifts and Long-term Memory in Stock Distribution Markets 주식유통시장의 층위이동과 장기기억과정

        정진택 한국유통과학회 2016 유통과학연구 Vol.14 No.1

        Purpose – The purpose of paper is studying the static and dynamic side for long-term memory storage properties, and increase the explanatory power regarding the long-term memory process by looking at the long-term storage attributes, 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 The reason for the use of GPH statistic is to derive the modified statistic Korea's stock market, and to research a process of long-term memor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Level shifts were subjected to be an empirical analysis by applying the GPH method. It has been modified by taking into account the daily log return of the 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 a. The Data, used for the stock market to analyze whether deciding the action by the long-term memory process, yield daily stock price index of the 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 and the rate of return a log. The studies were proceeded with long-term memory and long-term semiparametric method in deriving the long-term memory estimators. Chapter 2 examines the leading research, and Chapter 3 describes the long-term memory processes and estimation methods. GPH statistics induced modifications of statistics and discussed Whittle statistic. Chapter 4 used 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 to estimate the long-term memory process parameters. Chapter 6 presents the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Results – If the price of the time series is generated by the abnormal process, it may be located in long-term memory by a time series. However, test results by price fixed GPH method is not followed by long-term memory process or fractional differential process. In the case of the time-series level shift, the present test method for a long-term memory processes has a considerable amount of bias, and there exists a structural change in the stock distribution market. This structural change has implications in level shift. Stratum level shift assays are not considered as shifted strata. They exist distinctly in the stock secondary market as bias, and are presented in the test statistic of non-long-term memory process. It also generates an error as a long-term memory that could lead to false results. Conclusions – Changes in long-term memory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level shift present the following two suggestions. One, if any impact outside is flowed for a long period of time, we can know that the long-term memory processes have characteristic of the average return gradually. When the investor makes an investment, the same reasoning applies to him in the light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ng-term memory. It is suggested that when investors make decisions on investmen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characters of the long-term storage in reference with causing investors to increase the uncertainty and potential. The other one is the thing which must be considered variously according to time-series. The research for price-earnings ratio and investment risk should be composed of the long-term memory characters, and it would have more predictability.

      • KCI등재후보

        기억처리과정의 이해

        조수진 한국청각언어재활학회 2012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 Vol.8 No.1

        Memory is our ability to encode, store and retain in the human brain. Generally, there are three stages in human memory processing, which are sensory memory, short-term memory, and long-term memory. Recently, researchers tend to use the new concept of “working memory” for replacing or including the old concept of short-term memory. “Working memory” emphasizes on the manipulation of information instead of not using passive maintenance. Therefore, it is critical for cognitive information, speech perception and language learning. Based on numerous research, training of auditory working memory is able to improve some selective areas of cognitive and speech-language development. Taken together, it is needed to develop training program of auditory working memory in aural rehabilitation for hearing impaired listeners.

      • SCIESCOPUSKCI등재

        A Theoretical Comparison of Two Possible Shape Memory Processes in Shape Memory Alloy Reinforced Metal Matrix Composite

        Lee Jae Kon,Kim Gi Dae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2005 JOURNAL OF MECHANICAL SCIENCE AND TECHNOLOGY Vol.19 No.7

        Two possible shape memory processes, austenite to detwinned martensite transformation and twinned martensite to detwinned martensite transformation of a shape memory alloy have been modeled and examined. Eshelby's equivalent inclusion method with Mori-Tanaka's mean field theory is used for modeling of the shape memory processes of TiNi shape memory alloy reinforced aluminum matrix composite. The shape memory amount of shape memory alloy, plastic strain and residual stress in the matrix are computed and compared for the two processes. It is shown that the shape memory amount shows differences in a small prestrain region, but the plastic strain and the residual stress in the matrix show differences in the whole prestrain region. The shape memory process with initially martensitic state of the shape memory alloy would be favorable to the increase in the yield stress of the composite owing to the large compressive residual stress and plastic strain in the matrix.

      • KCI등재

        Charge Trap Flash structure with Feedback Field Effect Transistor for Processing in Memory

        Junhyeong Lee,Misun Cha,Min-Woo Kwon 대한전자공학회 2023 Journal of semiconductor technology and science Vol.23 No.5

        Recently, a memory wall has become a concern due to the increasing distance between memory and CPU in the von Neumann structure. While the CPU and logic devices operate quickly, their speed becomes irrelevant due to the slow data transfer between them. Consequently, addressing the data delay problem between the CPU and the logic elements is crucial. To tackle this issue, researchers have been exploring the Processing in Memory (PIM) technology, which enables simultaneous memory and computation. However, traditional volatile or nonvolatile memory-based PIM approaches have inherent limitations in overcoming the memory wall problem, as memory and computation are performed sequentially on separate device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new memory-logic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read and operation simultaneously. In this paper, we propose a Feedback Field Effect Transistor (FBFET) with a charge trap layer that can fulfill both memory and computational roles, thus implementing an ideal Processing in Memory technology. The device features an oxide-nitride-oxide structure, where nitride is coupled to the oxide side of the FBFET. It accumulates electric charges in the floating body for memory operations and reads the data stored in the charge trap layer for logic operations. By selecting the control gate bias, the computing operation can be configured to perform AND or OR operations. This enables simultaneous memory and logical operations to take place.

      • KCI등재

        기억의 뇌기전과 정신과학

        이성훈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1

        기억 기능은 단순한 기억 기능으로만 분리되지 않고 다른 뇌기능이 실제로 작동하는데 가장 기초적이고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기억 기능은 거의 대부분의 뇌기능과 관계되며 피질과 피질하의 대부분의 구조와 회로가 관여되고 있다. 그러므로 기억의 뇌기전을 이해하는 것은 기억 기능뿐만 아니라 뇌기능과 뇌의 정보처리를 전체적으로 이해하는데 아주 중요하다. 기억은 실제로 세포간의 구조적 변화를 통해 형성된다. 어떠한 대상과 사건의 기억은 별도의 사항으로 기억되는 것이 아니라 그 사건의 구성요소와 높은 상호관계를 갖는 구조와의 연결성으로 기억된다. 이를 neural network라하며 대뇌피질에 network을 통해 기억이 형성되고 저장된다. 새 정보의 구조적 분석을 통해 기존 정보의 신경망과 자동적으로 상호 관계를 찾아 연결될 수 있는 경우는 대뇌피질에서 스스로 기억된다. 그러나 구조가 복잡하고 분류되기 어려운 내용, 새로운 구조, 갈등하는 구조 등은 hippocampus의 더욱 세밀한 구조적 분석을 통해 기존 신경망의 분류와 상호 연결을 갖도록 새로운 구조로 변환 된다. 그리고 이 구조가 안정화된 신경망으로 자리잡도록 강화시킨다. Amygdala는 복잡한 처리 과정에서 급하고 강한 정보 처리를 위해 감정을 도입한다. 그리고 medial thalamus, cingulate gyrus, medial frontal lobe, nucleus basalis 등을 통해 에너지를 공급하여 정보 처리의 완급을 조절하게 한다. 더욱 고도한 개념, 언어, 의미, 분석을 통해 구조 분석과 변환을 이루기 위해 cortico-striatal-pallido-thalamo-cortical loop가 동원된다. 그래도 연결이 어려운 경우 동시적, 공간적 정보 분석에서 시간적 분석으로 전환하여 더욱 합리적인 전략에 의해 기억 정보를 상호 연결 시키는데 이 역할이 필요한데 이를 전두엽이 담당한다. 이러한 흐름은 일반 정보처리의 과정이기도 하며 기억은 이 정보처리를 진행하는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정보 처리와 기억 과정을 이해함으로 정신적 현상과 정신병리가 뇌에서 어떠한 과정으로 발생하는지도 유추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과거 정신분석학적인 개념에만 의존했던 정신 질환의 이해를 이러한 신경 생물학과 신경 심리학적으로 지식으로 재정립해 본다면 좀더 본질에 가까운 이해와 기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기억 기전을 바로 이해함으로 정신 질환을 좀더 본질적으로 이해하고 진단할 수 있는 새로운 길이 열려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function of memory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operation of whole brain function. Memory is related with almost structures of cortex and subcortex in order to perform this purpose.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study the brain mechanism of memory understanding not only the function of memory also general processing of brain information or brain function. Longterm memory is encoded in the neuronal connectivities of the brain. The most successful models of human memory in their operations are the models of distributed and self organized associative memory, which are founded in the principle of simulaneous convergence in network formation. Memory is not perceived as the qualities inherent in physical objects or events, but as a set of relations previously established in a neural net by simultaneously occurring experiences. When it is easily found any correlation with existing neural networks through analysis of network structures, memory is automatically encoded in cerebral cortex. However, in the emergence of informations which are complicated to classify and correlated with existing networks, and conflictual with other networks, those informations are sent to the subcortex including hippocampus. Memory is stored in the form of templates distributed across several different cortical regions. The hippocampus provides detailed maps for the conjoint binding and calling up of widely distributed informations. With a large of knowledges about the distribution of correlated networks, they find the most correlated networks and transform the existing networks into new one. Then hippocampus consolidates new formed network. Amygdala may enable the emotions to influence the information processing and memory as well as providing the visceral informations to them. Cortico-striatal-pallido-thalamo-cortical loop also play an important role in memory function with analysis of language and concept. In case of difficulty of processing in spite of parallel process of informations, frontal lobe organizes theses complicated informations of network analysis through temporal processing. With understanding of brain mechanism of memory and information processing, the brain mechanism of mental phenomena including psychopathology can be conjectured in terms of neurobiology and neruopsychology. Because the psychoanalysis means the memory in unconsciousnessin psychoanalysis, the studies of brain mechanism of memory may provide a precise insight to the human mind and it's disorders.

      • KCI등재후보

        이중언어 사용 성인의 작업기억용량 개인차가 문장처리 및 자가평가지수에 미치는 영향

        성지은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0 특수교육 Vol.9 No.2

        작업기억용량에 따른 문장처리능력의 개인차에 관한 연구는 다양하게 진행되어왔다. 이중언어사용과 작업기억용량에 관한 연구에 따르면 작업기억용량이 높을수록 외국어 능숙도 검사에서 높은 점수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문장처리과제에서 말속도를 조절하여 인지적 부하량을 체계적으로 조절하였을 때, 작업기억용량의 개인차가 이중언어 사용 성인의 제2언어 문장처리 능력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대상자는 한국어를 모국어로, 영어를 제2언어로 사용하며 미국에 거주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문장처리과제로는 개정판 토큰검사(Revised Token Test)를 사용하였으며, 세 가지의 작업기억과제를 사용하여 작업기억용량을 측정하였다. 문장처리과제의 말속도를 보통 말속도와 빠른 말속도로 구분하여 비언어적 인지 부하량을 조절하였다. 작업기억용량은 제2언어로 제시된 문장처리과제 점수를 예측하였으며, 제2언어 자가평가 지수들을 통제하였을 때에도 작업기억용량과 문장처리 정확도의 상관관계는 유의하였다. 또한, 작업기억용량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나누어 분석하였을 때, 작업기억용량이 낮은 집단이 유의하게 높은 집단에 비해 문장처리과제에서 더 많은 어려움을 보였다. 말속도 조절에 따른 집단간 차이가 유의하였으며, 빠른 말속도에서 두 집단 모두 문장처리과제에서 정확도가 감소하였다. 작업기억용량에 따른 집단 간 차이는 말하기, 듣기에 관한 제2언어 자가평가지수에서도 유의하였으나, 읽기 지표에서는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작업기억용량은 제2언어 능숙도(proficiency)를 넘어서 보다 근본적인 인지적 기제(underlying cognitive mechanism)로서 문장처리능력에 관여하고 있음을 뒷받침하는 근거가 될 수 있다. Working memory capacity has been argued to serve as an underlying cognitive mechanism involved in various cognitive tasks. It has been of interest whether working memory capacity is related to individual differences in second language processing.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relationship between working memory capacity and sentence processing in non-native speakers who learned English after puberty. Three different working memory measures were employed. The computerized revised token test served as a measure of sentence processing abilities presented under the normal and fast presentation rates. Participants'second language proficiency was assessed based on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Results revealed that working memory capacity was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sentence processing task when the second language proficiency indexes were partialled out, and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uggested that the working memory capacity is the factor, which significantly predicted performance on second language processing. When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he low and high working memory groups, low working memory group showed significantly worse performance on the sentence processing task than the high working memory group. In sum, working memory capacity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abilities of second language processing.

      • KCI등재

        불안수준과 처리수준이 정서자극의 기억편향에 미치는 영향

        윤슬기,이한나,최승원,김제중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28 No.3

        On the relation between anxiety and memory, past studies using implicit memory tasks reported memory bias for emotional (threat) stimuli regardless of anxiety levels. However, the results from studies using explicit memory tasks are not converging.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how memory bias for emotional stimuli in conscious level would be manifested depending on anxiety level, in addition to the past theory arguing the memory bias is originated by automatic processing. We classified our participants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anxiety level (high/low) and processing level (perceptual/semantic) and administerd free recall test for two types of stimuli (threatening/neutral). Low-anxiety group exhibited memory bias for threatening stimuli only in the semantic processing condition. On the other hand, high anxiety group showed memory bias for threatening stimuli in both perceptual and semantic processing conditions. These results not only confirm the previous theory of memory bias for emotional stimuli by automatic processing, but also show memory bias can be measured in explicit processing, and suggest that these two mechanisms could work in different way depending on anxiety levels. 불안(anxiety)과 기억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들 중 암묵기억과제를 사용한 연구들에서는 위협정보를 가진 자극에 대한 기억편향효과가 불안수준에 관계없이 비교적 일관되게 보고되어 왔으나, 외현기억과제를 사용한 연구들에서는 고불안집단에 대한 결과가 혼재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불안집단의 위협자극에 대한 기억편향(정서일치편향)이 자동적 과정에 의해 발생한다는 기존의 선행연구결과들에 더해, 의식적 수준에서의 기억편향이 불안수준에 따라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연구 참가자들을 불안수준(고불안, 저불안)과 자극의 처리수준(의미처리와 지각처리)에 따라 4개의 집단으로 분류하고, 각 집단별로 위협단어자극과 중립단어자극을 의미 또는 지각적으로 부호화하도록 한 뒤 자유회상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저불안집단의 경우 단어자극을 깊은 수준에서(의미처리조건) 부호화한 경우에 위협단어자극을 더 잘 회상하는 기억편향이 나타났으나, 얕은 수준(지각처리조건)에서 부호화 후에는 이러한 기억편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고불안집단의 경우, 두 처리수준 조건 모두에서 위협자극을 중립자극보다 더 잘 회상하는 기억편향이 관찰되었다. 이 결과들은 정서가를 가진 정보에 대한 기억편향이 암묵적 과정에서 발생한다는 기존의 이론을 지지하는 동시에, 외현적 과정에서도 일어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며 불안의 수준에 따라 두 기제가 다르게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효율적인 암보를 위한 피아노 연습

        주희선(Heesun Chu) 낭만음악사 2009 낭만음악 Vol.21 No.4

        암보 능력은 피아니스트의 성공적인 연주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요소중 하나이다. 그러므로 완성도 있는 연주를 하기 위해서 철저히 암보 연습을 하는 것은 필수적인 과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정보 처리 이론의 관점에서 암기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여러 학자들과 피아니스트들의 문헌을 참고하여 피아노 암보를 위한 체계적인 연습의 과정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정보 처리 이론에서는 기억의 구조를 감각기억, 단기기억, 장기기억으로 나눈다. 감각기억은 환경으로부터 들어온 정보 자극을 처리하는 잠시 동안 저장하는 기억이며 곧 단기기억으로 넘어가게 된다. 단기기억은 의식적인 정보 처리 과정이 일어나는 곳이지만 기억의 용량이 적고 정보는 수 분 동안만 지속된다. 단기기억에서 적절한 처리를 받은 기억 정보는 장기기억으로 넘어가게 되는데 장기기억은 기억의 용량이 무제한이며 정보가 오랫동안 지속된다. 그러므로 효과적인 피아노 암보를 한다는 것은 단기기억에 있는 정보들이 효과적으로 장기기억에 저장되도록 하는 여러 가지 처리, 즉 부호화를 하는 것을 의미한다. 효과적인 부호화를 위한 대표적인 방법으로 청킹, 자동화, 이중처리 등이 있는데 이들은 모두 피아노의 암보에 적용된다. 음악적 암기는 청각, 시각, 운동감각 등 감각을 통한 암기와 악곡을 분석하고 파악하여 이를 암기에 활용하는 인지적 암기로 나누어진다. 암보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하여 피아니스트는 곡을 처음 익힐 때부터 전체적인 곡의 형태 및 구조를 파악하여야 한다. 곡의 구조에 대한 이해가 그 곡을 동질의 그룹끼리 묶어 인지하는 청킹이 가능하도록 하기 때문에 암보에 도움이 된다. 또한 연습을 하는 과정 중에는 근육 운동 감각을 통한 피아노 연주의 자동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 때 암보에 어려움을 느낄 수 있는 부분, 즉 큰 도약이 있다거나 왼손과 오른손이 서로 주제를 모방하는 대위법적 부분들의 경우 손의 움직임과 건반 사이의 거리 등을 의식적으로 체크하고 암기하는 것이 암보실수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다. 또한 시각과 청각을 이용한 이중처리의 효과 또한 활용하는 것이 좋은데 시각적 암기 능력을 갖고 있지 않은 피아니스트라 할지라도 피아노를 떠나 악보를 꼼꼼히 살펴보며 소리를 상상해보는 정신적 연습을 하는 것은 암보에 많은 도움이 된다. 암보를 비롯하여 모든 음악적 능력은 개인마다 차이가 크기 때문에 한 가지 연습 방법이 모든 피아니스트에게 적용되는 일반적인 방법이 될 수는 없다. 피아니스트 개개인이 암기에 대한 지식과 방법들을 익힘에 있어서 자기자신에게 가장 적절한 방법을 찾아야 할 것이다. The ability of memorizing the piece is one of the crucial elements that influence on the successful piano performance. Therefore, systematic and thorough practice for memorization is essential procedure for the successful piano performance. In this study, I researched the related literature of memorization in the view point of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and discussed about the effective way to practice for memorize the musical pieces based on the ideas of renowned pianists and scholars. In terms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the constitution of memory has three steps including sensory memory, short-term memory, and long-term memory. Sensory memory stores the information coming from the environment for the very short time, and the information goes on to the short-term memory soon. Short-term memory is the place where conscious processing of information takes place. The capacity of short-term memory is very limited and the duration of memory is only several minutes. The information that received proper treatment from short-term memory goes on to the long-term memory. Unlike short-term memory, the capacity of long-term memory is limitless and information could be stored for very long time. Hence, memorizing effectively means effective encoding, which is to treat the information in the short-term memory to help moving to long-term memory. The representative ways of encoding include chunking, automaticity, and dual processing, and all of them can be applied for the memorization of piano pieces. Musical memorization consists of sensory memory, including visual memory, aural memory, and kinesthetic memory, and cognitive memory which i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pieces from musical analysis. To memorize the piece successfully, a pianist should intend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f the piece from the beginning of the learning procedure. The understanding of the structure of the piece is helpful for good memory because it enables to recognize the piece by similar groups, which is called ‘chunking.’ While practicing, automaticity of piano playing is proceeded. For better memorization through kinesthetic memory, pianists should not practice simple and repetitively, but consciously check and memorize the use of muscl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keys. Pianists should take extra care if there is a part where are big leaps in the melodic line or contrapuntal part which has imitative left and right hands. Additionally, it is good to use the effect of dual processing for effective memory. It is very helpful to stay away from the piano and carefully look at the music as imagining the sound. Since all kinds of musical abilities including memory differ from every pianists, one way of practicing cannot be generalized for every pianists. Therefor, pianists should learn the principles and methods of practice for good memorization and develop their own practice technique.

      • KCI등재

        실어증 환자의 단기기억 및 작업기억용량과 실어증 중증도 및 문장처리와의 상관

        성지은(Jee Eun Sun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0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5 No.3

        배경 및 목적: 실어증 환자들의 단기기억(short-term memory) 및 작업기억용량(working memory capacity)의 개인차에 따른 실어증 중증도 및 문장처리능력 차이에 관한 연구가 주목을 받고 있다. 하지만, 정상인을 대상으로 개발된 산출을 기반으로 하는 기억기제 평가방법을 실어증 환자들에게 직접적으로 적용하는 데는 다양한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사용되던 단기 및 작업기억과제(Martin, Kohen & Kalinyak-Fliszar, 2008)를 지시하기폭과제(pointing span task)로 변형한 후, 숫자 및 단어로 자극 양상을 조절하여 과제별 수행력 차이를 살펴보았으며, 기억과제들과 실어증 중증도 및 문장처리 능력에 관한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방법: 대상자는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실어증 환자 20명과 정상 노인 30명이다. 단기기억과제로는 숫자 및 단어 바로 따라지시하기 과제가 사용되었으며, 작업기억과제로는 숫자 및 단어 거꾸로 따라지시하기 과제를 사용하였다. 실어증 중증도는 Porch Index of Communicative Ability(PICA)를 통해 평가되었으며, 문장처리능력은 Computerized Revised Token Test(CRTT)를 사용하여 살펴보았다. 결과: 두 집단 모두 단기기억과제에 비해 작업기억과제에서 더 낮은 수행력을 보였으며, 숫자에 비해 단어에서 더 어려움을 보였다. 두 집단 간의 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과제는 숫자 거꾸로 따라지시하기 과제였다. 주성분 분석 결과에 따르면, 네 가지 기억과제는 하나의 공통적인 성분으로 추출될 수 있으며, 총분산의 80% 가량을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네 가지 기억과제의 공통적인 기제를 개념화하자면, 짧은 시간동안 정보를 저장하거나 조작하는 데 기여하는 인지적 기제라고 할 수 있다. 네 가지 기억과제 중, 실어증 중증도와 실어증 환자의 문장처리 수행력을 유의하게 예측한 변수는 숫자 바로 따라지시하기 과제였다. 작업기억용량이론에 바탕을 둔 결과 해석이 논의되었으며 한국어를 사용하는 실어증 환자를 위한 작업기억과제 개발에 대한 필요성도 제기되었다. Background & Objectives: Short-term memory and working memory capacities have gained considerable attention as underlying cognitive mechanisms, which may account for language processing difficulties in people with aphasia.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to the employment of short-term and working memory tasks for assessing normal cognitive processing in order to evaluate language-impaired clinical populations.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1) the performance differences between people with aphasia and normal elderly adults in short-term memory and working memory tasks when the stimuli modality was manipulated using digits and words and 2) how their performances on the memory tasks were related to aphasia severity and sentence processing. Methods: Twenty people with aphasia and 30 normal elderly adults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Digit forward and word forward span tasks served as short-term memory tasks, and digit backward and word backward span tasks served as working memory tasks. Porch Index of Communicative Ability (PICA) was used as a measure of language impairment severity, and the Computerized Revised Token Test (CRTT) was a measure of sentence processing. Results: Both groups showed greater difficulties in working memory tasks than short-term memory tasks and those involving words compared to those involving digits. The greatest group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digit backward span task.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of four span tasks revealed that a one-factor solution accounted for approximately 80% of the total variance in both groups, indicating that the four span measures served as a unified index of the underlying memory-related cognitive mechanism that is responsible for maintaining and manipulating information. Among the four span measures, the digit forward task significantly predicted aphasia severity and sentence-processing abilities in people with aphasia. Discussion & Conclusion: Results were partially consistent with the working memory capacity theory. Korean versions of short-term and/or working memory span tasks need to be develop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underlying cognitive mechanisms responsible for language impairments in aphasia.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2010;15;285-297)

      • KCI우수등재

        Improving Cache Locality in Processing-in-Memory Accelerator for Parallel Graph Processing

        Hessa Alshamsi,Tae Hee Han(한태희) 대한전자공학회 2021 전자공학회논문지 Vol.58 No.10

        Processing-in-memory (PIM)은 그래프 프로세싱의 방대한 데이터 이동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각광받고 있는 솔루션이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를 메모리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하여 연산을 수행한다. 하지만 그래프 알고리즘은 불규칙한 메모리 접근 패턴으로 인해 지역성이 좋지못하다. 또한 그래프의 불규칙한 구조는 모든 캐시 미스에 대해 주 메모리에서 데이터 요청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시스템 성능을 제한한다. 본 논문에서는 메시지 큐 관리를 통해 PIM 기반 가속기의 캐시 지역성을 개선하는 솔루션을 제안한다. 가속기는 불규칙한 메모리 접근 패턴을 위해 message-triggered 프리페처를 사용하지만 캐시 미스와 주 메모리 접근은 피할 수 없는 문제이다. 우리는 캐시 활용도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대기열에 대한 정렬 알고리즘을 연구하였으며, gem5 시뮬레이터를 기반으로 두 개의 그래프 알고리즘 벤치마크에 두 개의 실제 그래프를 적용한 시스템의 성능을 측정하였다. Tesseract 대비 에너지 소비의 증가 없이 PIM system의 miss coverage가 평균 11% 향상되었다. Processing-in-memory (PIM) is a promising solution to the large data movement challenge in graph processing. The computations are performed on the memory side by placing processing units near memory. However, graph algorithms suffer from poor locality due to the irregular memory access pattern. The irregular structure of graphs limits the performance of the system by requesting data from the main memory for every cache miss. In this paper, we propose a solution for improving the spatial cache locality of a PIM-based accelerator by managing its message queue. Although the accelerator uses a message-triggered prefetcher for irregular memory accesses, cache misses and main memory accesses are not avoided. We have developed a sorting algorithm for the queue to further improve cache utilization and used gem5 simulator for the implementation, with two real-world graphs on two graph algorithm benchmarks. When comparing with Tesseract, the results show an average increase of 11% in cache miss coverage of PIM system without increasing energy consump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