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화의 롱테이크와 상호매체성

        심은진 ( Shim Eun Jin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9 현대영화연구 Vol.15 No.1

        뤼미에르의 ‘광경’은 우발성과 불확실성을 포착하기 위해 롱테이크를 사용한다. ‘광경’에서 롱테이크가 표현하는 사실효과와 프레임의 사용은 회화적인 요소를 담고 있다. 히치콕의 <로프>는 롱테이크만으로 이루어진 영화이다. <로프>의 롱테이크는 텔레비전적인 스타일을 영화로 표현하고자 한 실험의 결과이다. 텔레비전의 현전성(現前性), 증인으로서의 관객의 시선이 롱테이크를 통해 잘 표현된다. 쿠아론은 디지털 기술을 통해 새로운 방식의 롱테이크를 연출한다. <칠드런 오브 맨>에는 현란한 카메라의 움직임으로 이어지는 롱테이크가 등장한다. 디지털 롱테이크는 바쟁이 의미하는 실제의 시간의 구속을 받지 않는다. 쿠아론이 연출하는 디지털 롱테이크는 무엇보다 공간을 입체화하는 효과를 만든다. 쿠아론 영화의 롱테이크는 현장감을 전달하기보다 관객을 현장에 있게 만든다. 관객은 마치 자신이 영화의 세계 속에, 이미지 속에 있는 것처럼 느낀다. 관객은 게임을 즐기는 게이머처럼 쿠아론의 영화 속에서 감각과 체험을 즐기게 된다. 롱테이크 쇼트는 영화의 탄생과 함께 시작되었다. 뤼미에르의 ‘광경’은 1분정도의 지속시간을 지닌 하나의 쇼트로 된 영화이다. 영화는 회화, 사진, 텔레비전, 디지털 이미지와 같은 다른 매체의 영향을 받으며 변화하고 발전했다. 롱테이크의 형식과 효과 또한 다른 매체의 영향을 받으며 변화했다. 본 연구는 롱테이크 쇼트를 회화, 텔레비전, 디지털 이미지와의 상호매체적인 관점에서 검토하고자 한다. 이러한 검토는 영화 미학적인 관점에서 롱테이크가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연구하는 것이다. The long take shot began with the birth of movies. Lumiere’s ‘Vue’ is a movie consisting of continuous one-minute shots. Over time, films have changed and developed under the influence of other media such as painting, photography, television, and digital images. Similarly, the format and effect of the long take altered due to the influence of other forms of media. This study will examine the long take from an interactive media perspective which includes painting, television, and digital images. This study will also address how the long take has changed from a cinematic point of view. Lumiere’s ‘Vue’ uses the long take to capture contingencies and uncertainties. The frame usage and realistic effects in ‘Vue’ contain pictorial elements. Hitchcock’s < Rope > is a film consisting of long takes. The long take in < Rope > is the result of an experiment in which television-style filming is implemented in the movie. The presence of the television-style filming and the audience’s eyes as witnesses are well expressed through the long take. Cuaron presents a new method of the long take with digital technology. < Children of Men > consists of long takes which lead to brilliant camera movements. Digital long takes are not constrained by real-life time. Above all, digital long takes directed by Cuaron create a three-dimensional effect on space. The long take of Cuaron’s films absorb the audience into the movie rather than conveying the feeling of the scene. The audience feels as though they are in the world of movies. Audiences will enjoy the senses and experiences within Cuaron’s films just like a gamer enjoying digital games.

      • KCI등재

        홍상수 영화에서 나타난 롱 테이크 미학의 변화 연구

        최광영,김종완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2017 영상기술연구 Vol.- No.27

        Hong Sang-Soo might be the representative director who excellently expresses the realism, contemplative beauty of image, and long-take technique in Korea. The contemplative beauty of image felt from actors moving in a fixed camera fully expresses the realism. The long-take shooting technique that joins diverse shots into a single connected shot, shown in the long-take shooting technique of contemplative beauty of image by director Hong Sang-Soo shows the contemplative beauty of image of the realistic narrative structure. Rather than the uniqueness of special stories shown in long-take, the contemplative beauty of image of the realistic narrative structure makes people listen carefully to my own story and stories that could happen in surroundings. It would be meaningful to review the periodic changes in the long-take aesthetics of directing style of director Hong Sang-Soo expressing such beauty of image. In the results of analyzing changes in the long-take aesthetics focusing on his initial film <The Power of Kangwon Province>(1998), a film in the 2000s <Woman on the Beach>(2006), and a film of 2010 <Hahaha>(2010), <The Power of Kangwon Province> shows the long breath of objective perspective by using long-take and simple editing, and also fixing the camera. Sharing emotions and breathing together between audience and actors, it increases the immersion and realism as well. The film <Woman on the Beach> fully followed the existing long-take technique, and also quietly started attempting to move the camera. Without dividing scenes that could be divided into shots, it contained the long-take shooting technique in a single shot into the screen. Also, in the film <Hahaha>, the movement of camera was increased much enough to feel that the long-take shooting was flashy. In the existing films, the division of 1-2 shots was rampant while the film <Hahaha> used the long-take shooting technique for the division of more shots into a single shot. This change in the long-take aesthetics could be viewed as director Hong Sang-Soo’s stubbornness to keep the narrative structure of realistic realism. Director Hong Sang-Soo’s stubbornness to show the divided shot with quick breaths in a single shot strongly expresses his will to fully show the realism of the contemplative beauty of image.

      • KCI등재

        영화에서 롱테이크 촬영의 연출의도와 히든컷에 대한 연구

        이용환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21 조형미디어학 Vol.24 No.4

        In this study, we examined 27 successful long take films from early films to the latest ones in detail, looked at the long take related features of each movie briefly, and investigated the editing method used mainly for hidden cuts to create long take videos. Screening, panning, and black/white out techniques are used as editing methods to create long take video. The most important thing to make a long take video is the composition of thorough camera flow lines according to the story progresses, and to make a set accordingly. We also investigated how to create long take videos by presetting cuts that are inevitable in shooting and then attaching them following various editing techniques. In this study, we presented excellent long take films and examined in detail each editing technique used in long take videos. In addition, we investigated the dynamic long take through the fixed camera method and camera movement in shooting. We investigated shooting centered on the main character, shooting with a change of the main character based on the story, and shooting long take video focused on sound. Film directors are attempting to shoot long take videos, to give a sense of realism, the reason for continuous tension, and to give the audience a strong impression and the implementation methods are becoming more diverse. For the future research, a survey will be conducted to find out the opinion about long take videos of the university students. 본 연구는 초기영화에서부터 최근의 영화까지 27편의 성공적인 롱테이크 촬영 영화를 자세하게 알아보고, 각 영화의 롱테이크 관련 특징 등을 알아보면서, 롱테이크 영상을 만들기 위한 히든 컷을 중심으로 사용되어진 편집방법에 대해 자세하게 알아보았다. 롱테이크 영상을 만드는 편집 방법으로 스크리닝 기법, 패닝 기법, 블랙/화이트 아웃기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롱테이크 영상을 만들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스토리 진행에 따른 철저한 카메라 동선의 구성이며, 이에 따른 세트의 제작이 요구된다. 또한 롱테이크 영상을 만들기 위해서는 촬영에서 불가피한 컷을 미리 설정하여 이를 다양한 편집 기법으로 이어 붙여서 롱테이크 영상을 만들어 내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잘 완성된 롱테이크 촬영의 영화를 제시하였으며, 롱테이크 영상에서 사용된 각 편집 기법과 촬영에서 고정카메라 방식과 카메라 이동을 통한 역동적인 롱테이크 촬영을 중심인물 중심 촬영, 스토리를 바탕으로 중심인물의 변경 촬영, 그리고 사운드 중심의 롱테이크 영상 촬영으로 구분하였다. 롱테이크 영상을 통한 촬영 감독의 의도는 관객에게 사실감과 현장감, 지속적인 긴장감, 강한 인상을 주기 위해서 또는 촬영현장의 여건에 따라 롱테이크 촬영을 시도하고 있으며, 구현방식도 점점 다양해지고 있다. 향후 연구로 롱테이크에 대한 의견을 파악하기 위하여 20대 대학생 중심 설문조사를 하고자 한다.

      • 페마체덴(Pema Tseden)영화 중의 롱테이크(Long take)에 대한 미학적 연구

        왕명 상명대학교 한중문화정보연구소 2022 中國地域文化硏究 Vol.16 No.-

        Since the 1920s, filmmakers in both the West and China have attempted to portray Tibet as a mysterious, romantic, and exotic land. The images of Tibet created in the past have been inaccurate due to other creators' skewed perceptions of the region. Pema Tseden, the most influential Tibetan director in contemporary China, employs a unique long take approach to depict the Tibetan people and their daily lives. International attention has also been lavished on Pema Tseden's work on Tibetan cinema. There are a few studies on Pema Tseden, most of which focus on the film's content from cultural, sociological, and literary perspectives, but there are no in-depth examinations of the film's long take. Against this backdrop, this thesis examines the aesthetic qualities of long takes in Pema Tseden's films in their entirety. To this end, the following questions are posed in this thesis: In the long run, what kind of aesthetic does Pema Tseden construct? How does Pema Tseden's long take aesthetic express the film's mother theme? What is Pema Tseden's long take's aesthetic character? This thesis combining the literature and case study methods toargue that Pema Tseden's long take is characterized by Bazin's aesthetic realism in terms of spatio-temporal integrity, multiplicity of meaning, and dramatization, as evidenced by the films <The silent holy stones>, <The search>, and <Old dog>. Additionally, based on the Tibetan Buddhist ideology that underpins traditional Tibetan thangka painting, the three aspects of "comprehending"-time contemplation, "reincarnation"-surreal, and "metaphor"-metaphor are combined with the films <Tharlo>, <Jinpa>, and <Balloon> to argue for Pema Tseden's long take's religious aesthetics. Simultaneously, the significance of Pema Tseden's long take aesthetics in expressing the film's themes is discussed in the context of Pema Tseden's overall filmography, demonstrating how Pema Tseden employs the long take's realist aesthetics to present Tibetan daily life objectively and realistically, reflecting the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modern and traditional culture in the Tibetan region. Tibetan Buddhist aesthetics are used to deconstruct the Tibetans' complex psychological state in relation to their cultural identity. Finally, from an aesthetic transcendence perspective,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Pema Tseden's long take are combined to establish that the spiritual essence of Pema Tseden's long take is Tibetan Buddhist thought, specifically the prudent concept of "impermanence," the implicit expression of "no words," and the "perception" of time. 1920년대부터 서양 영화 창작자들과 중국 영화 창작자들은 티베트를 신비롭고 낭만적이며 이국적인 지역으로 빚어내고자 노력했다. 티베트 지역과 티베트족 커뮤니티들에 대한 편견으로 인해 창작된 티베트의 이미지는  실질적이지 못하였다. 페마체덴(Pema Tseden)은 중국의 영향력이 있는 소수민족감독 중의 하나이다. 그는 자신만의 롱테이크 방식으로 티베트인들과 그들의 일상생활을 관객들에게 잘 보여주려고 하였다. 체마체덴의 티베트 영화는 국제적으로 수많은 관심을 끌었고 관련 연구도 많다. 한국과 서양의 페마체덴 영화에 대한 연구는 크게 세 가지 측면에 집중되어 있다. 주로 영화내용, 문화학적, 사회학적, 문학적 각도가 주로 이루고 있다. 반면에 그의 촬영 기법인 롱테이크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부족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페마체덴 영화 중 롱테이크의 미학적 특징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페마체덴의 롱테이크는 어떠한 주제를 표현했으며, 또한 그 미학적 본질은 무엇인가에 대한 물음을 던졌다. 본 논문에서는 바쟁의 현실주의 미학이론, 시공간적 정체성, 다의성과 양극성 세 가지 방면에 주목하였다. 그의 영화 <성스러운 돌>(静静的嘛呢石),<쿤덴을 찾아서>(寻找智美更登), <늙은 개>(老狗)를 통하여 페마체덴 롱테이크가 바쟁의 현실주의 미학적 특징을 지니고 있음을 논증하였다. 한편, 티베트족 전통회화인 탕카에 나타난 “깨달음”-숙고의 시간, “윤회”-초현실, “미러링”-은유의 세 방면에서 영화 <타를로>(塔洛), <진파>(撞死了一只羊), <풍선>(气球) 과 결부하여 페마체덴 롱테이크는 종교적 미학적 특성을 밝혔다. 이와 더불어 페마체덴는 롱테이크는 티베트인들의 실질적인 일상생활을 보여줌으로써 티베트지역의 현대문화와 전통문화의 복잡한 관계, 티베트족 불교 미학을 표현하였으며, 롱테이크 기법을 통하여 티베트족들의 문화정체에 대한 복잡한 심리 상태를 발견하였다. 동시에 심미적 초월의 각도로 페마체덴 롱테이크의 미학적 특징을 총괄하였다. 페마체덴의 롱테이크가 그의 영화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또한 페마체덴이 롱테이크를 사용한 의도를 깊이 이해하고 새로운 측면에서 페마체덴의 영화에 대한 연구 영역을 확대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영화에서 사용된 롱테이크 촬영에 대한 인식

        이용환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2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7 No.8

        This study is a paper on the recognition of college students about the long-take shot technique which is often used to give a sense of reality and realism to films. 13 surveys were conducted on 92 students, including their perception of long-take films, their feelings after watching the film, satisfaction, and future prospects. Participants in the surveys consisted of 23 students in the health field, 16 students in the natural field, 41 students in the arts and sports field, and 13 students in the engineering field. As a result of the surveys, 68.8% of students answered “I know” about long-take film, and the feeling after watching the long-take film was found in the order of reality (realism) 68.8%, tension 16.1%, and boredom 15.1%. After watching the long-take film, 16.1% of students chose "Very satisfied" and 31.2% chose "Satisfied". Future prospects for long-take film showed high with 17.2% for "It will be developed very much" and 48.4% for "It will be developed". Preference for long-take film and general film was 67.7% for "long-take film" and 32.3% for "general film", showing high preference for long-take film. As a further research project, more in-depth surveys will be conducted targeting broadcasting & media contents majors in their 20s, and the long-take films used according to the story development process in domestic films will be analyzed. 본 연구는 영화의 현장감, 사실감을 주기 위해서 많이 사용되는 롱테이크 촬영 기법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에 대한 논문으로 대학생 92명에게 롱테이크 영상에 대한 인식부터 영상 시청 후 느낌, 만족도, 전망 등 13개의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 참여자는 보건계열 23명, 자연계열 16명, 예체능계열 41명, 공학계열 13명으로 구성되었다. 설문 결과 롱테이크 영상에 대한 인지는 68.8%가“알고 있다”였으며, 롱테이크 영상 시청 후의 느낌은 현장감(사실감) 68.8%, 긴장감 16.1%, 지루함15.1% 순으로 나타났다. 롱테이크 영상 만족도는 “매우 만족” 16.1%, “만족” 31.2%로 나타났다. 롱테이크 영상에 대한 전망은 “매우 발전할 것이다” 17.2%, “발전할 것이다” 48.4%로 높게 나타났다. 롱테이크 영상과 일반 영상에 대한 선호도는 “롱테이크 영상” 67.7%, “일반 영상” 32.3%로 롱테이크 영상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향후 연구과제로는 20대 영화 및 영상 전공자들을대상으로 하여 좀 더 심도 있는 설문을 하고자 한다. 그리고 국내 영화에서 스토리의 전개 과정에 따라 사용된 롱테이크 영상의 분석을 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라깡의 시지각 예술이론에 의한 영화의 롱 테이크 기법과 건축공간의 연속성 비교

        최효식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7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6 No.6

        This study aims at establishing a basic theory for the combination of architecture and movies by comparing the long-take technique of movies and the continuity of space, one of space composition principles, which is important in digital architecture based on Jacques Lacan’s visual-art theory and finding common features and differences of them.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 conclusions. First, analyzing the long-take technique on the basis of Lacan’s visual-art theory found that the subject of representation is scenes of movies and that staring shows features of narrative. Second, the long-take technique can be thought as a cinematic technique which tries to realize the real order beyond the symbolic order in real life through the process of continuous replication of replication of replication of a scene in one shot. Third,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which is compared to the long-take technique in the past, the inclined space of opened gaze is similar to the method which tries to realize architectural space of the reality which belongs to the symbolic order close to the real order which belong to significant in human unconsciousness. Fourth, the freeform continuous space of closed gaze, which can be compared to contemporary long take combined with computer graphic technology, has more difficulty in realizing the real order than the long-take technique in the past and inclined, continuous space as the feature which belongs to signifié in human consciousness has been strengthened through the circulation which repeats and expands along an observer’s movement. Fifth, when the contemporary long-take technique and freeform continuous space expand gaze which opens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it is considered that the space which is closer to the real order than the classic long-take technique and inclined continuous space can be created. 본 연구에서는 영화의 롱 테이크 기법과 디지털 건축에서 중요한 공간구성원리 중에 하나인 공간의 연속성을 자끄 라깡의 시지각예술이론을 통해 비교함으로써, 이 둘 사이의 공통점과 함께 차이점을 도출하여 건축과 영화 두 분야의 융합 기초이론을 구축하는 데에 연구의 목적을 둔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라깡의 시지각 예술이론으로 롱 테이크 기법을 분석해 보았을 때, 재현의 주체는 영화의 씬이고 응시는 내러티브의 성격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 둘째, 롱 테이크는 하나의 쇼트 안에서 계속적으로 씬의 ‘사본의 사본의 사본의…’의 과정을 통해서, 상징계를 넘어 실재계를 현실에 구현하려는 영화적 기법으로 볼 수 있다. 셋째, 과거 롱 테이크 기법에 비견되는 현대건축에서 열린 시선의 경사 공간은 봉합된 관찰자의 응시가 반복 확대되는 과정을 통해, 상징계에 속하는 현실의 건축공간을 인간 무의식속 기표에 속하는 실재계에 가깝게 현실화하려는 방법과 유사하다. 넷째, 컴퓨터 그래픽 기술과 결합된 현대의 롱 테이크와 비교될 수 있는 닫힌 시선의 비정형 연속공간은 관찰자의 이동에 따라 반복 확대되는 동선을 통해, 인간 의식 속하는 기의에 해당하는 성격이 강화됨으로써, 과거 롱 테이크 기법과 경사 연속공간보다는 실재계를 구현하는 데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다섯째, 현대 롱 테이크 기법과 비정형의 연속공간이 내부에서 외부로 열리는 시선을 확대할 경우, 고전적인 롱 테이크 기법과 경사 연속공간보다 더 실재계에 가까운 공간을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영화 〈졸업〉에 나타난 롱테이크의 이용

        윤수인(Soo-In Yoon)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4

        영화 〈졸업〉은 미국 마이크 니콜스 감독의 1967년 초기 작품이다. 오랜 세월이 지난 영화임에도 불구하고 빠르고 박진감 있게 드라마를 이끄는 힘을 가진 대한 의문에서 연구를 시작했다. 그 힘의 중심에는 롱테이크의 효과적인 사용이 있었다. 이 영화의 거의 모든 씬에서 롱테이크가 사용되고 있으며 몇 개의 씬은 롱테이크만으로 구성되어있다. 그리고 롱테이크의 사용 빈도가 높을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지루함, 또는 극중 몰입에서 일탈할 수 있는 영화적인 자각을 막기 위한 효과적인 영화적 장치들의 사용도 돋보인다. 한 쇼트 안에서의 효율적인 연기 연출과 미장센의 조화를 통해 상황과 인물에 대한 심리적인 몰입이 극대화되며 의도적인 몇 장면을 제외하고는 롱테이크를 인식조차 하기 힘들다. 롱테이크를 위해 사용되는 세부적인 요소들인 카메라 워킹과 조명 등의 기계적 장치와 배우들의 대사, 연기 그리고 이동 동선 등이 절묘하게 연결되어 서로 유기적인 작용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문에서 소개하는 대부분의 롱테이크는 여러 개의 짧은 쇼트들로 대체되는 것이 오히려 일반적일 수 있다. 하지만 마이크 니콜스는 이 영화에서 여러 개의 쇼트들 대신 롱테이크를 선택한 이점들을 확실하게 보여준다. 이 영화에서의 롱테이크는 일반적인 미학적 가치가 발생하는 롱테이크와는 약간 다른 목적을 보여주고 있다. 그 활용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과 효과를 분석해 보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The research was started out of curiosity for what made 〈The Graduate〉’s fast and trilling pace possible although it is an old movie. The center of what made it possible was its use of the Long Take. Long Take was used in all of the scenes and in some cases only long take was used. What is interesting is the film maker’s use of various cinematic techniques to prevent the scene from being too slow and keep the audience immersed in the characters. In one shot, acting in addition to Mise-en-Scene were used to provide psychological immersion of character and scene. The use of Long Take, with the exception of some intentional scenes, was difficult to notice without conscience observation. All the components that make up Long Take ? camera walking and lighting as well as actor’s dialog and performance and scene movement all beautifully came together. The Long Take is generally replaced by many different sort shots. However, Mike Nichols clearly demonstrates the benefit of Long Take. In the movie, the general aesthetics from the use of Long Take is slightly altered for a different purpose. The specific methods and effects used in the application of Long Take is the subject of this study.

      • KCI등재후보

        핸드헬드와 스테디캠을 이용한 롱테이크 촬영 기법 연구 -영화 ‘밀양’과 ‘살인의 추억’을 중심으로 -

        고현욱,서동기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4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8 No.1

        Long take refers to a filming technique which is positioning camera in a certain place to film long time. Along with the development in modern society, the filming technique has also improved which made the long take to show two techniques: the 'handheld technique' and the 'long take using steady cam'. Audiences shard their feelings with the character through ordinary long take handheld, and fell into the movie by feeling the movement through cuts of long take using steady cam. These two techniques are used in the movies that we remember. So, what this paper would like to introduce, is the handheld which is the part of shot (which occurs artistic merit) that we experienced and saw until now, and the long take using steady cam which is newly on the rise. In the same time, depicting the purposes of this two long take and analyzing the specific methods and effects about the practical uses of these are the goal of this research.

      • KCI등재

        앙드레 바쟁의 영상 존재론과 허우샤오시엔 영화의 롱 테이크 유사성: 허우샤오시엔의 각 시기별 대표 작품을 중심으로

        서빈(XU BIN),양종훈(Yang Jonghoon),이상은(Lee Sang Eun) 한국영화학회 2021 영화연구 Vol.- No.88

        본 연구는 영화에 사용되는 롱 테이크(long take)의 표현 의미를 탐구하고, 또한 허우샤오시엔의 영화를 사례로 하여 앙드레 바쟁(André Bazin)의 영화 현실주의 이론의 영상 존재론을 기초로 허우샤오시엔 영화에서 롱 테이크와 앙드레 바쟁의 영상 존재론 사이의 유사성을 분석한다. 허우샤오시엔 영화에서 롱 테이크를 분석할 때 우선 연구 소재를 감독의 창작 시기에 따라 ‘성장’, ‘타이완’과 ‘세기말의 화려함’등 3시기로 나누고, 또한 영상 존재론에 따른 재현 세계의 완전성, 시공간의 진실성, 영상과 객관 현실에서 촬영 대상의 동일성 등 세 가지 측면을 분석 프레임으로 하여 각각 비교 분석하며, 이를 통해 양자의 유사성을 고찰한다. 연구 결과 허우샤오시엔의 각 시기별 대표 작품은 모두 바쟁의 영상 존재론과 일정한 유사성이 존재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허우샤오시엔 롱 테이크는 현실을 중점적으로 재현하는 것이며, 그는 롱 테이크를 통해 영화의 기조를 설정하고 관객이 영화 시청과정에서 스토리에 대한 공감 발생을 유도한다. 아울러 관객은 할리우드식 몽타주 프레임에서 벗어나 롱 테이크가 발생시키는 깊은 의미를 새롭게 인식한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를 통해 영화 창작자의 롱 테이크 사용에 대한 유익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영화 화면 이론 체계에 기여 하고자 한다. This study attempts to find the expression meaning of long take in the film, we select Hou’s film as an example, The similarity between long take in Hou’s film and Andre Bazin’s image ontology is analyzed based on the image ontology in realism theory of Andre Bazin’s film. In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long take of Hou’s film, based on the creative period,the research material has been divided into three different phases such as : ‘growth’, ‘Taiwan’ and ‘gorgeous at the end of the century’. The comparative analysis will be done and we are looking for the similarities between them through various analysis carrier based on the image ontology to reproduce the integrity of the world, the authenticity of time and space and the consistence between film and objective reality . The results show that the representative works of Hou in different periods are similar to Bazan’s image ontology. It can also be seen from the study that the focus of the long take is to reproduce reality. Hou sets the tone of the film through the long take to guide the audience to resonate with the story while watching the film. At the same time, let the audience get rid of Hollywood montage framework, to help the audience re-understand the profound significance of long take. This study can provide useful inspiration for film creators to use long take and contribute to the systematization of theoretical discussion on film shot.

      • KCI등재

        영화 〈1917〉의 롱테이크 기법 분석 - 컨티뉴어스 쇼트와 시점을 중심으로 -

        박지훈(Park, Ji Hoon)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2020 영상기술연구 Vol.- No.34

        As a war film that has been recently filmed by American director Sam Mendes, the film 〈1917〉 with the background in the First World War, is solemnly showing the value of responsibility and sacrifice of individuals in the organizational system of military by realistically describing the vivid war situation of the First World War which was brutal and miserable. For expressing the images, Sam Mendes utilized the ‘Long-Take’ technique emphasizing the reality and objectivity, rather than the montage technique delivering the contents and meanings through the editing of shots. Especially, he completed this film with ‘one continuous shot’ by technically connecting several long-takes, instead of ‘one scene, one take’ that would complete a whole film with a single take. As the effects of ‘one continuous shot’, it was evaluated as a film that has opened a new horizon for shooting techniques and expression method of directing, which also contributed to getting out of the generalized stereotypes of war films. Through this creative long-take technique, the film 〈1917〉 rediscovered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war films that had not be created or experimented by anybody, and also deeply considered the psychology and mise-en-scene of each individual soldier, and the realistic description of war. Also, the application of ‘point of view’ connected to the movement of camera added the depth to the film by influencing the characters’ emotion and the tone and manner of the whole film. The objective of this thesis was to create the aesthetic value inherent in long-take, and also to seek for the possibility of development of long-take technique in the future, based on the in-depth analysis on the long-take technique applied to the film 〈1917〉.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