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라프카디오 헤른의 일본 괴담과 아일랜드

        오찬욱(Oh, Chan-wook)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0 외국문학연구 Vol.- No.37

        라프카디오 헤른 Lafcadio Hearn은 일본으로 건너가 귀화한 후 일본의 설화와 신구의 문물을 서구에 소개한 수많은 저술활동을 하였는데 일본에서는 그 업적이 평가받아 높은 인기를 누리고 있는 반면, 모국 아일랜드에서는 극히 인지도가 낮아 대조를 이루고 있다. 그의 저술 중에서도 특히 널리 알려진 일본의 괴담집과 관련된 기존의 연구동향을 보면 일본인 연구자들이 주로 번역 대상이 된 각 이야기의 출전 확인에 주력해온데 비해 아일랜드의 연구자들은 이야기의 선정 배경에 아일랜드의 신화나 전설의 영향이 작용하고 있음을 부각시키고 있어 이야기의 성립을 둘러싸고 일본과 아일랜드의 연구자들 간에 미묘한 시각차가 노정되고 있다. 헤른이 청소년기에 아일랜드에서 겪은 불행 때문에 미국에서 기자 일을 하면서도 아일랜드에 대한 기술을 거의 남기지 않는 등, 오랫동안 자기 안의 아일랜드적 요소를 부정해온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러나 어린 시절에 아일랜드의 민화나 전설을 다양한 루트를 접해 알고 있었고, 만년에 이르기까지 이를 모두 기억하고 있었음이 아일랜드와 일본에 남아 있는 친척이나 후손들의 증언을 통해 확인되고 있는데, 일본에 온 후 이즈모 出雲에서의 생활, 영국인 또는 영국 문물과의 접촉, 아들의 탄생 등을 경험하면서 어린 시절의 추억이 되살아나 일본의 괴담을 영역할 무렵에는 고티에나 중국의 괴담을 초역할 때와는 달리 어렸을 때 들었던 아일랜드 민화의 스토리나 모티브가 이야기 선택의 한 기제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본고에서는 그의 대표작인 Kwaidan 괴담에 수록돼 있는 “The Story of Mimi-Nashi-Hoichi 귀 없는 호이치 이야기”와 “Mujina 너구리”, 그리고 “The Dream of Summer Day 여름 날의 꿈”이라는 기행문 속에 줄거리가 소개돼 있는 민화 “우라시마타로”를 예로 들어 이 이야기들과 아일랜드의 요정들인 “푸카 Puca”, “반쉬 Banshee”, “메로우 Merrow”가 등장하는 민화와의 관련성에 대해 논하였다. Lafcadio Hearn was born in 1850 of the Anglo-Irish and Greek parentage, and he emigrated to America at age 18, where he became a journalist and author. In 1890, he went to Japan as a newspaper correspondent and became a naturalized Japanese, whereupon he assumed the Japanese name of Yakumo Koizumi. In Japan, Hearn authored several collections of Japanese legends and ghost stories, such as Kwaidan:Stories and Studies of Strange Things, and they made him famous in the Western world. A review of previous research on Hearn's stories revealed a drastic contrast between the Japanese and Irish researchers. While the Japanese researchers tended to focus on tracing the original source of the stories, the Irish explored the influences of Hearn's Irish background on his choice of stories. It is well known that Hearn had denied his Irish identity while in America because of his unhappy experiences in Ireland. But he was exposed to Irish folk tales and myth through various channels during his youth, and he undoubtedly retained the stories during his later writing career. This paper seeks to establish thematic relationships between Hearn's Japanese stories such as “The Story of Mimi-Nashi- Hoichi,” “Mujina,” “Urashimataro,” and Irish folk tales such as “Puca,” “Banshee,” and “Merrow.”

      • KCI등재

        라프카디오 헌의 신도관 : 내셔널리즘과 신국표상을 중심으로

        박규태 ( Kyu Tae Park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13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55 No.-

        1890년에서 1904년까지 14년간 일본에 체재하면서 일본인 여성과 결혼하고 일본에 귀화하여 고이즈미 야쿠모라는 이름으로 개명한 영국인 라프카디오 헌은 14권에 이르는 일본 관련 영문저서와 방대한 서간문을 통해 당대 서구세계에 독특한 일본인론을 널리 알렸다. 흔히 지금까지도 일본인들 사이에서 "일본인보다 더 일본을 잘 이해했던 외국인"으로 각인되어 있는 헌의 일본연구와 관련하여, 본고의 목적은 특히 헌의 신도 이해를 중심으로 그의 내셔널리즘과 신국표상이 가지는 의미를 규명하는데에 있다.이를 위해 본고는 구체적으로 헌의 신도관 형성에 결정적인 계기를 부여해준 이즈모대사와의 만남이 가지는 의의, 자연 속에서 신적인 것을 보는 신도적 감수성에 대한 그의 직관, 나아가 그가 일본의 가미(神)를 어떻게 파악했는지 그 특징 등을 살피면서, 궁극적으로 일본인의 생활원리 및 국민정신을 집약한 것이 바로 신도라는 그의 이해에 대해 고찰할 것이다.이와 같은 헌의 신도관을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그의 내셔널리즘과 신국표상의 문제에 대해 문화적 내셔널리즘, 정치적 내셔널리즘, 종교적 내셔널리즘의 세 측면으로 나누어 검토하면서 그것들이 각각 ``신들의 고향``으로서의 신국표상, ``신들이 수호하는 나라``로서의 신국표상, ``사자(死者)들의 나라``로서의 신국표상과 대응된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이로써 본고는 헌 일본학에 있어 신국일본 표상은 이와 같은 문화적, 정치적, 종교적 내셔널리즘의 공모를 함축적으로 보여주며, 이때 ``사자들의 나라``로서의 종교적 내셔널리즘적 신국표상이 그 중심적인 매개 역할을 하면서 신도내셔널리즘으로 이어져 오늘날에까지 강력한 영향을 주고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자 한다. An English writer Lafcadio Hearn(1850~1904), who was married with a Japanese woman and naturalized in Japan with a Japanese name “Koizumi Yakumo”(小泉八雲) during his stay from 1890 until death, played a very important role in introducing Japan widely to the westerners by his 14 books on Japan and great voluminous letters written in English. Additionally, he is often said to be “a foreigner who was able to understand Japan far more than Japanese people themselves.”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various representations of “Land of God” in Hearn`s discourses on Japan, relating them with his nationalism, chiefly based on his understanding of Shinto. In the concrete, this paper will pay special attention to Hearn`s experience of Izumo Shrine(出雲大社), Shintoic sensitivity that sees the divine in nature, his understanding about Kami(神). As a result, it might be said that Hearn considered Shinto fundamentally as a symbol of Japanese spirit. And furthermore, I will show the three aspects of the “Land of God” image such as “a divine home”, “a country protected by gods”, “a land of the dead”, which correspond to the three types of nationalism, that is, cultural, political, and religious one respectively. In conclusion, this essay will maintain that the representations of “Land of God” in Hearn`s japanology suggest a collusion among those cultural, political, and religious nationalism, and that among them, the “Land of God” representation as “a land of the dead” linked with religious nationalism has been exercising a great influence until nowadays, for example, upon so-called Shinto Nationalism etc.

      • KCI등재

        라프케디오 헌의 「직녀의 전설」에서의 효

        이협 ( Hyub Lee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2

        본 논문은 라프케디오 헌의 단편인 「직녀의 전설」에서의 효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헌은 일본은 물론 중국의 이야기에 근거한 단편을 여러 편 저술했다. 일부 중국 인물들은 효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직녀의 전설」에서의 통용이 가장 대표적이다. 그는 널리 알려진 중국 전설의 주인공이다. 헌 자신을 모델로 하는 통용은 사망한 아버지의 제례를 치르기 위하여 스스로 노예가 된다. 그의 효행은 직녀 여신에 의해 보상받는다. 그녀는 통용의 꿈속에서 신비스러운 아름다운 여인으로 처음으로 등장한다. 그녀는 그를 노예제의 속박에서 해방시키고 아들을 낳는다. 이 아들은 원전과의 차이점으로, 헌의 의도를 반영한다. 그녀는 외양 등에서 어린 시절 헌에게서 떠나갔던 헌의 어머니와 여러 가지 유사성을 가지고 있다. 부모에 대한 열망이 헌의 무의식에 깊이 자리잡고 있었다. 천자가 보낸 여신은 비밀을 털어놓고는 천상으로 귀환한다. 헌이 동양의 효에 감명을 받았던 이유는 소설에서 부모의 상실을 보상받으려고 추구했기 때문이다. 이교도의 전통이 남아있는 아일랜드와 유사하게, 동양은 그의 타자적인 욕구가 투사되는 꿈같은 공간이다. 서양인 작가의 내적 정체성이 극화된 동양의 효에 투사되어 있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analyze filial piety in Lafcadio Hearn’s The Legend of Tchi-Niu. In Hearn’s short stories based on Chinese stuffs, some characters are characterized by filial piety. Especially Tong-yong in The Legend of Tchi-Niu is the most representative one, the protagonist in a famous Chinese legend. Modeled on Hearn himself, he willingly sacrifices himself for his dead father. His pious acts are rewarded by the benevolence of the goddess Tchi-Niu, who appears as a mysterious beautiful woman in his dream. She emancipates him from the bondage of slavery and gives birth to a prodigy son, who is one of differences from the original. This hints at the intention of revision by Hearn. Sent by the Master of Heaven, she returns to the Heaven revealing her secret. She has many similarities with Hearn’s mother who left him when he was a child. The reason why Hearn was inspired by the Eastern filial piety is that he sought to compensate for his loss of parents in fictions. Similar to pagan Ireland, the East is the dreamlike space upon which his deeply rooted desire of restoring parents, conscious or unconscious, can be projected. In conclusion, the writer’s self-identity is projected upon the dramatization of the Eastern filial piety.

      • KCI등재

        小泉八雲の再話と『夜窓鬼談』

        ( Shudan Lin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4 日語日文學硏究 Vol.89 No.2

        Yasokidan, written by Ishikawa Kousai (1833-1918), is regarded as a notable example of Japanese Chinese-writing weird [kaiki] novels in Meiji Era, and the work was fairly famous among intellectuals at that time. Koizumi Yakumo (also known as Lafcadio Hearn) studied texts included in Yasokidan and applied some stories for his own literary works. Koizumi Yakumo`s three novels, The Story of O-Tei, Of a Mirror and a Bell (Kwaidan: Stories and Studies of Strange Things, 1904) and The Story of Kwashin Koji (A Japanese Miscellany, 1901) are appropriated from Yankon Syattai, Kitokukin and Kashinkoji in Yasokidan, respectively. We can find an illustration in Yankon Syattai of Yasokidan which is the original text of Koizumi Yakumo`s The Story of O-Tei. I have investigated how Koizumi Yakumo was influenced by this illustration. In addition, Koizumi Yakumo`s Of a Mirror and a Bell are appropriated from Kitokukin of Yasokidan, and at the same time Kitokukin is appropriated from Ryousai Shii [Liaozhai Zhiyi]. I have illuminated how Koizumi Yakumo retold the stories through his three novels, The Story of O-Tei, Of a Mirror and a Bell and The Story of Kwashin Koji, which are adopted from Yasokidan. And I also investigated how he appropriated the stories from Yasokidan and then wrote his own weird, fascinating novels.

      • KCI등재

        小泉八雲の再話と『夜窓鬼談』

        林淑丹 한국일어일문학회 2014 日語日文學硏究 Vol.89 No.2

        Yasōkidan, written by Ishikawa Kousai (1833-1918), is regarded as a notableexample of Japanese Chinese-writing weird [kaiki] novels in Meiji Era, and the workwas fairly famous among intellectuals at that time. Koizumi Yakumo (also knownas Lafcadio Hearn) studied texts included in Yasōkidan and applied some stories forhis own literary works. Koizumi Yakumo’s three novels, The Story of O-Tei, Ofa Mirror and a Bell (Kwaidan: Stories and Studies of Strange Things, 1904) andThe Story of Kwashin Koji (A Japanese Miscellany, 1901) are appropriated fromYankon Syattai, Kitokukin and Kashinkoji in Yasōkidan, respectively. We can find an illustration in Yankon Syattai of Yasōkidan which is the originaltext of Koizumi Yakumo’s The Story of O-Tei. I have investigated how KoizumiYakumo was influenced by this illustration. In addition, Koizumi Yakumo’s Of aMirror and a Bell are appropriated from Kitokukin of Yasōkidan, and at the sametime Kitokukin is appropriated from Ryousai Shii [Liaozhai Zhiyi]. I have illuminatedhow Koizumi Yakumo retold the stories through his three novels, The Story of O-Tei,Of a Mirror and a Bell and The Story of Kwashin Koji, which are adopted fromYasōkidan. And I also investigated how he appropriated the stories from Yasōkidanand then wrote his own weird, fascinating novels.

      • KCI등재

        청일전쟁기 일본인의 戰爭觀과 조선인식 - 라프카디오 헌의 에세이와 대중매체를 통하여 -

        윤소영 한국일본사상사학회 2016 일본사상 Vol.0 No.31

        The study tone of the Korean modern history that took up Sino-Japanese War emphasizes aggression characteristics and the barbaric act of the emperor on a day throughout. But the study tone in Japan is different from this. In other words, much human life is killed and wounded in this war and the Queen of Korea was killed by a Japanese. Nevertheless Japan ignores the fact that they invaded Korea and they lift international dynamics relations and insist on legitimacy of the war. Besides it is a fact that such recognition is consistent so far from modern times and is insisted. Why is this? I want to consider this problem through outlook on Korea recognition of the Japanese public for the Sino-Japanese War period. Therefore, I want to attention to is two essays of Lafcadio Hearn(1850-1904). Hearn wrote essays as "A Wish Fulfilled" and "after the war" in 1895. He wrote about his pupil matured into a soldier by the militaristic education of Japanese Emperor system. The boy says that it is the heart's desire to die for the Emperor at the time of Sino-Japanese War and he was killed in war. This suggests what a result of the militaristic education of Japan in those days. The Japanese newspaper continued reporting that this war was the chance when did not have two when Japan could mature into the large country in the Sino-Japanese War period. Meiji Tenno ordered that sacrifice one's life for light and the authority of the empire for declaration of war. Under such situation, the public media which conveyed the war situation overflowed in Japan. The color woodblock print which painters exaggerated a state of the war and drew was popular with people. Other than drama, a diorama, an automatic puppet play, the child toy which featured the theme of Sino-Japanese War, various publications in admiration of war were popular. To Japanese public, this war was like the festival. The people did not have a heart to sympathize with for dead Korea and the Chinese people in war. Japanese newspapers did not have the antiwar tone either. Japan thought only that the Emperor Meiji and the nation won in war all in one body in Sino-Japanese War. It was the same as denying the whole Meiji Japan that people insisted on the war. In such an atmosphere, I think that Japanese frigidity to never feel crime awareness was born for the barbaric act to kill to a Korean queen. 청일전쟁을 다룬 한국근대사의 연구 논조는 일관되게 일제의 침략성과 그 만행을 강조하고 있지만, 일본 측의 연구논조는 이와는 다르다. 즉, 이 전쟁에서 수많은 인명이 살상되고 그 과정에서 한국의 왕비까지 살해당하는 등, 조선을 침략했다는 사실이 분명한데도, 이러한 점을 주목하기 보다는 국제적인 역학관계를 통해서 전쟁의 정당성을 주장하고 있다. 심지어 이러한 인식은 현재에도 일관되게 주장되고 있다. 왜 일본의 연구에서는 청일전쟁기에 조선을 침략했다는 사실에 대한 인식이 미미한 것일까? 그것은 청일전쟁을 바라보는 일본인의 근본적 인식에 원인이 있는 것은 아닐까? 이 연구는 이러한 의문을 갖고 청일전쟁기 일본 대중의 전쟁관과 조선인식의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이 글에서는 1890년대에 일본에 거주하며 청일전쟁기 일본사회를 관찰한 작가 라프카디오 헌의 두 편의 에세이와 당시 일본의 대중매체의 전쟁보도 양상을 주목하고자 한다. 라프카디오 헌의 「A Wish Fulfilled」와 「After the War」에서는 자신의 제자인 소년이 메이지일본의 군국주의 교육을 통해 결국 천황을 위해서 죽는 것이 소원이라고 말할 정도로 군국소년으로 성장한 모습을 지적하고 있다. 이것은 당시 일본군국주의교육의 성과가 어떠했는지를 시사하고 있다. 청일전쟁기 신문은 이 전쟁이 일본이 대국으로 성장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로 생각했고 1894년 천황의 조서에는 목숨을 바쳐 충성을 다하라고 젊은 병사들을 선동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청일전쟁 동안 일본에서는 전쟁 상황을 전달하는 대중매체가 봇물처럼 쏟아졌다. 전쟁보도화를 그린 니시키에(錦絵)가 전성기를 맞이했으며 청일전쟁을 주제로 한 연극, 디오라마, 자동인형극, 어린이 장난감, 각종 출판물이 쏟아져 나왔다. 일본이 승전을 거둔 조선의 장소는 ‘명소’가 되어 승전 스토리텔링과 더불어 일본인의 뇌리에 강한 인상을 남겼다. 이 전쟁은 일본인들에게 ‘축제’처럼 이루어졌고 사망하거나 부상당한 병사에 대한 애도, 유족의 슬픔에 대한 공감과 위로, 전쟁에 대한 분노나 격전지에서 학살당한 조선인과 중국인에 대한 동정 등은 언론에 전혀 보도되지 않았다. 이와 같이 청일전쟁은 일본의 천황과 국민이 일체화되어 전쟁에서 승리하여 국가적 도약을 이루는 것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이 전쟁을 침략이라는 관점에서 인식하는 것 자체가 천황과 메이지일본 존재 자체에 대한 부정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조선의 왕비까지 살해한 만행에 대해서도 전혀 ‘죄의식’을 느끼지 않는 일본인의 전반적인 ‘불감증’이 생겼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단편소설 「화해」와 영화 <흑발>에서의 여성에 대한 시각의 차이

        이협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9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compare Lafcadio Hearn’s “The Reconciliation” and its film adaptation <The Black Hair>. It is one of 4 episodes in the movie Kwaidan(1965), which won Special Jury Prize at the Cannes Film Festival. <The Black Hair> arguably reflects the Japanese culture and viewpoints, for it was created by the Japanese director and staffs. While the original story is centered on the re-meeting of a samurai and his first wife, the film emphasizes her long black hair. With an ambition to succeed, the samurai leaves his beautiful young wife alone. Though he becomes a governor by marrying a daughter of a powerful family in other region, he is not happy. Haunted by the dream of his first wife, he regretfully spends his years. After retirement, he returns to his former house, where he encounters the first wife. Strangely, she has not changed at all, and is still loving him. He spends the night with her. On awakening, he discovers a skeleton with black hair beside him, and get shocked at this. From this moment, the film depicts him escaping from the black hair that sticks to him like a living creature. Meanwhile, the original text ends with a neighbor's explanation that she died the year he left. This reflects the pervasive horror of female ghosts commonly found in Oriental stories. It illustrates the cultural difference in viewpoints upon women, and further the ways the Orient is interpreted and represented by the East and West. 본 논문은 1965년 깐느 영화제 심사위원 특별상 수상작인 영화 <괴담>의 4개의 에피소드 중 하나인 <흑발>을 라프케디오 헌의 단편소설 「화해」와 비교 분석하려는 시도이다. <흑발>은 「화해」를 영화화한 작품인데, 감독을 포함하는 제작진이 일본인들이어서 일본색채가 강하다. 영화의 마지막 부분에 원작과 결정적인 차이가 발생하며 여인의 흑발이 강조된다. 한 사무라이가 출세하기 위해 지고지순한 첫 번째 부인을 떠나면서 이야기는 시작된다. 타지에서 권력가의 딸과 결혼을 하며 그는 출세를 하지만, 꿈에 첫 부인이 자주 나타나며 결혼 생활은 행복하지 못하다. 그는 은퇴 후에 후회하며 첫 부인이 살던 고베의 집으로 돌아온다. 그곳에서 전혀 변하지 않은 채 여전히 그를 사랑하는 그녀와 재회하게 된다. 밤을 같이 보낸 후 깨어났을 때에, 그는 흑발이 있는 백골이 옆에 누워있는 것을 발견한다. 이 시점부터 원작과 영화에 차이가 있다. 원작에서는 그가 떠나던 해에 그녀가 죽었다는 이웃의 설명만이 이어진다. 영화에서는 긴 흑발이 마치 생명체처럼 그를 쫓아다니고, 공포에 휩싸인 그는 폐가를 탈출하려고 시도하다가 갑작스럽게 늙어버린다. 원작에서 그리움과 재회에 초점이 맞추어진 반면에, 영화에서는 애정뿐만 아니라 괴기스러운 요소도 추가되어있다. 유아기 때 헤어진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을 평생 간직한 헌의 순수한 감정이 원작에 투영된데 반하여, 일본적인 분위기가 강한 영화에서는 여자 귀신에 대한 동양적인 혐오가 반영되어 있다. 동양을 배경으로 한 이야기가 해석되고 재현되는 데 있어서 동서양의 차이점이 예시되어 있다.

      • KCI등재

        Transcending Cultural Boundaries

        Demetrios Th. Vassiliades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2013 동서 비교문학저널 Vol.0 No.29

        This paper examines the philosophical pursuit of two eminent figures of the modern Greek and world culture, who lived, worked and embraced spiritual traditions, different from those they were born in. Demetrios Galanos lived and worked in India. He is the first Greek Indologist, who made the Sanskrit literature and philosophical thought known to the Greek reader. Lafcadio Hearn, known also by his Japanese name Koizumi Yakumo, spent the last part of his life in Japan. His pioneering books convey the glimpses of an unfamiliar Japan to the western world. Besides, the present study highlights the ways both men followed to overcome the cultural restrictions they experienced in their personal lives, and how those expanded their global understanding and affected their works.

      • KCI등재
      • KCI등재

        동아시아 괴기 문화 속의 요괴 전승과 그 흐름 -일본 요괴, 설녀(雪女)의 문화사를 중심으로-

        박희영 한국일본근대학회 2013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40

        본 연구에서는 과거서부터 이어져 내려온 일본 요괴, 설녀의 이미지에 대한 연원과 근거, 문화사적 흐름을 통하여, 이미지의 변용과정 등을 살펴봄으로써 설녀에 대한 근거 없이 막연하게 이어져온 이미지를 재정립하고, 그 속에 담겨져 있는 의미를 재고해보는 것을 본고의 주된 목적으로 삼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첫 번째로 설녀의 전통적인 요괴 이미지에 서 비롯된 비교적 어둡고 공포스러운 이미지의 본래의 요괴적 존재, 두 번째로 설녀의 눈처럼 새하얀 순백의 처녀성을 간직하지만 때로는 요염한 팜므파탈적 여성성을 가지고 있는 존재, 세 번째로 아이들에 대한 집착과 애정을 통하여 한없이 나약한 모성을 지닌 존재 등 그 설녀 이미지는 일본의 각 지역의 특색과 그곳에서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이 처한 특수한 환경 속에서 그 이미지는 가감되며 전승되어 왔던 것임을 알 수 있었다. 향후에도 계속해서 일어날 이러한 독특하고 다양한 설녀의 이미지들이 어떻게 소비되고 전개되어 나갈지 그 변화가 기대되고 흥미롭다 아니할 수 없을 것이다. 이러한 현대 일본 문화 속에서 여전히 살아 숨 쉬고 있는 설녀의 앞으로의 또 다른 이미지의 소비행태와 전개양상을 기대해 본다. In this study, examining descended leads to the past Japanese ghost, origin image Yukionna, based, flow through the cultural history, the process of the transformation of the image, and carried forward by vaguely based on Yukionna to redefine the image of that which was contained in the aim was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to try to rethink the meaning. Through this bewitching femme fatale women like the second the eyes of Yukionna to, retain the pure whiteness of virginity, but sometimes the first derived from to the traditional ghost of Yukionna image, the original image is relatively dark and frightening ghost beings exist, the third are facing special circumstance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of Japan and the people who live there, in the acceleration of the image that has been handed down through the the infinitely feeble resistance, such as the presence the Yukionna image-obsession and love for children to know that could. Is interesting to continue to happen in the future of these unique and diverse Yukionna, images and deployed consumption is expected to change anything of you will not be closed. Look forward to in these modern Japanese culture, behavior and development aspects of the image, still alive Yukionna of another future consump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