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瞻慕堂 林芸과 南冥 曺植과의 關係

        이상필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7 남명학연구 Vol.54 No.-

        Chem-mo-dang Lim Un(1517-1572) is a Confucian scholar who lived in Joseon Dynasty period An-eum Woojung together with his brother Kalchun Lim Hoon(1500-1584). Chem-mo-dang was renowned as a symbol of Practical Confucianism by receiving Hyo-ja Jeong-nyeo and was canonized into Yong-mun Seo-won(龍門書院) which was holding memorial rites for Il-du Jeong Yeo-chang(1450-1504). As 『San-hae saw-oo yeon-on-rok(山海師友淵源錄)』 contains that he and his brother Kal-chun lived together with Nam-myong Jo Sik (1501-1572) who was intimately close with them, when considering the difference in age or inferring the accomplishments of the studies, there is nothing intrinsically wrong with being a literator of Nam-myong. Nevertheless, 『Chem-mo-dang Collections(瞻慕堂集)』 not only included the writings expressing the teacher and student relationship with Toe-gye Yi Hwang(1501-1570), Chem-mo-dang epitaph edited by the posterity clearly revealed that he was a literator of Toe-gye. However, it is difficult to find the writings of Chem-mo-dang himself which could conjecture the relationship with Nam-myong . The fact that Nam-myong met Chem-mo-dang in the age of 66 was recorded by several Nam-myong School scholars, but there's no saling that they have met each other before. As Chem-mo-dang was 50 in 1566, it seems difficult that the advice of Nam-myong impressed Chem-mo-dang deeply to change the direction of his studies. Even so, 『Chem-mo-dang Collections』 cannot reply to 『Nam-myong Chronology』 contending that it is normal to contain the meeting of Nam-myong and Chem-mo-dang. What is it for? There is a critical reason that the grandchild of Chem-mo-dang Lim-gok Lim Jin-bu was the husband of great-granddaughter of Gu-am Yi-jung whom Nam-myong has renounced their friendships. Among the records of Gu-am Yi-jung of 『San-hae sa-woo yeon-on-rok(山海師友淵源錄)』 edited by Mu-min-dang Park In who was close to Lim-gok, there was a request to directly erase the record related to an unchaste woman treason. After that, Lim Yeo-baek, the son of Lim-gok, made a desperate and firm request to Park Man, the son of Mu-min-dang, by letter. Lim Yeo-baek served as a director of Gugye Seowon holding a memorial rites for Guam, requested and negotiated the plaque of Gugye Seowon for Guam, and addressed a memorial to ask for the posthumous title to Guam. Jeong In-hong was the person who kept the records of Guam in 『Nam-myong Collections(南冥集)』, and he is a teacher of Mu-min-dang and is also related to Lim-gok. Moreover, as two sons of Lim-gok all became Literator of Mu-min-dang, it would have been difficult for Nae-am to criticize Lim-gok's sons as he was the teacher of teacher. However, after Jeong In-hong was executed as a rebel from Injo coup, he was not identified, and the country as well as Gang-woo Confucian society also accepted and criticized Jeong In-hong as a rebel after 1650s. Therefore, Lim-gok family tried not to relate with Nam-myong all they can when publishing 『Chem-mo-dang Collections(瞻慕堂集)』. 瞻慕堂 林芸(1517-1572)은 조선 시대 安陰 葛溪에 살았던 儒學者로, 그 형 葛川 林薰(1500-1584)과 함께, 살아서 孝子 旌閭를 받아 당대에 實踐儒學의 表象으로 알려져 사후에 一蠹 鄭汝昌(1450-1504)을 제향 하던 龍門書院에 배향된 인물이다. 그는 자신의 형 갈천과 친밀하게 교제하였던 南冥 曺植(1501-1572)을 從遊하였던 것으로 『山海師友淵源錄』에 收錄되어 있는바, 학문의 성취와 관련지어 유추해 보거나 연령의 차이를 감안한다면, 남명의 문인이라 하더라도 조금도 이상할 것이 없을 것이다. 그런데도 『瞻慕堂集』을 살펴보면, 退溪 李滉(1501-1570)과의 師承 관계를 표현하고 있는 글들이 곳곳에 보일 뿐만 아니라 후인이 찬술한 瞻慕堂 墓道文字에서도 退溪의 門人임은 분명히 밝히고 있으나, 南冥과의 관련성을 짐작할 만한 첨모당 본인의 글은 쉽게 찾아내기가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남명이 66세 때 첨모당을 만난 사실이 남명학파의 여러 기록에 남아 전하고 그 이전에 만나서 담화를 나눈 기록은 전하지 않는다. 1566년이라면 첨모당이 50세 때이니, 첨모당의 학문에 대한 남명의 충고가 첨모당에게 깊은 감명을 주어 첨모당의 학문의 방향이 크게 바뀌었다고 보기는 어려웠을 것이다. 그렇다 하더라도 『남명연보』에 전하는 남명과 첨모당의 만남 정도는 싣는 것이 정상이 아닌가 하는 데 대해서는 지금 전하는 『첨모당집』이 아무런 답변을 하지 못하고 있다. 이것은 무엇 때문인가? 이는 첨모당의 손자 임곡 임진부가 남명이 절교했던 귀암 이정의 曾孫壻라는 데 결정적인 이유가 있었다. 林谷이 자신과 친하게 지내던 无悶堂 朴絪이 편찬한 『山海師友淵源錄』의 龜巖 李楨 부분의 기록 가운데 淫婦獄事와 관련된 기록을, 일찍이 직접 刪削해 주기를 요청한 적이 있었고, 뒤에는 林谷의 아들 林汝栢이 无悶堂의 아들 朴曼에게 편지로 간곡하고 단호하게 요청하고 있다. 임여백은 귀암을 향사하고 있는 龜溪書院의 院長을 지냈고, 귀암을 위해 귀계서원의 賜額을 요청하여 성사시켰으며 귀암의 시호를 요청하는 상소도 작성하여 올린 적이 있었다. 『남명집』에 귀암 관련 기록을 남긴 인물은 내암 정인홍인데, 정인홍이 무민당의 스승일 뿐만 아니라 임곡과도 관련이 없다고 할 수 없다. 그런데다 임곡의 두 아들이 모두 무민당의 문인이 되었으니, 내암은 임곡의 아들들로서는 스승의 스승인 셈이어서 비판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정인홍이 마침 인조반정으로 인해 적신으로 처형당한 뒤 신원되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1650년대 이후에는 나라에서뿐만 아니라 강우 유림 사회에서도 정인홍을 적신으로 인정하고 비난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니 임곡 집안의 처지에서는 『첨모당집』을 간행할 때에 될 수 있는 한 남명과 관련을 짓지 않으려 했던 것이다.

      • KCI등재

        임군홍의 중국거주 시기(1939~1946) 작품 연구

        김해리(Kim Haelee)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2021 한국근현대미술사학 Vol.41 No.-

        임군홍(林群鴻, 1912-1979)은 한국 근대기의 양화가이자, 상업미술가, 그리고 6·25전쟁 시기 북한행을 택한 월북화가다. 1930년대 조선미술전람회, 서화미술협회전람회, 녹향회전 등을 통해 화단에서 입지를 다졌으며, 1936년에는 직접 녹과회를 조직해 젊은 미술인들과의 움직임을 도모하는 동시에 예림스튜디오라는 상업미술사를 차려 순수미술과 상업미술을 병행해 나갔다. 특히 임군홍은 1939년 중국의 한커우로 이주해 상업미술 사업을 확장하는데, 이때 얻은 경제적, 정신적 여유는 다양한 미술서적을 탐독하고 여러 미술사조의 기법을 실험하는 발판이 되었다. 이는 곧 임군홍이 중국거주 시기 다작하는 배경이 된다. 따라서 국내 화단과 떨어져 비교적 자유롭게 창작 활동에 전념했던 중국거주 시기는 임군홍 작품세계의 핵심적인 때이다. 임군홍은 중국 한커우의 구시가지 화루가 골목에서 한구미술광고사를 운영하는 한편 수도 베이징을 수차례 여행하면서 거주자와 여행자라는 상이한 입장에서 각 도시의 모습을 작품에 담았다. 즉 한커우에서 제작한 작품에는 타지임에도 다를바 없는 인간에 대한 애정과 관심이 반영되었다면, 베이징에서 제작한 작품에는 오히려 타국의 색다른 풍경을 포착하려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이는 임군홍의 중국거주 시기 작품에 나타나는 주요한 특징으로, 본고는 도시별 작품을 각각 ‘일상풍경화’와 ‘명소풍경화’로 구분하여 그의 소재적, 기법적 관심을 읽어내고자 하였다. 더불어 임군홍의 작품을 일본 양화가 우메하라 류자부로(梅原龍三郞), 중국 수묵화가 장자오허(蔣兆和)와의 관계 속에서 살펴봄으로써 그를 동아시아의 미술 조류에 부응하는 국제적인 화가로 상정할 여지를 두었다. 이를 통해 임군홍을 ‘근대화가’이자 ‘재외화가’로 재평가했다는 데 의미가 있을 것이다. Lim Gunhong(林群鴻, 1912-1979) is a Korean modern artist of western painting and commercial art who defected to North Korea during the Korean War. He made his way into the art scene in the 1930s by participating in Joseon Arts Exhibition, Seowhahyupheo Art Exhibition, and Rokhyang Association Art Exhibition. In 1936, Lim established two institutions that allowed him to pursue both fine art and commercial art: ‘Rokgaheo,’ with an attempt to support upcoming artists, and ‘Yerim Studio,’ a commercial art company. In 1939, Lim immigrated to Hankou, China, and expanded his commercial art business. It was this financial and emotional stability that laid the foundation for Lim to indulge himself in numerous art article and experiment with techniques from various artistic styles, as well as support Lim’s artistic career during his prolific ‘China years.’ Therefore, the years Lim spent in China thus mark a period key to understanding Lim Gunhong’s oeuvre as he was relatively unmediated by external forces and dedicate himself to his artistic work. Lim strolled around Beijing numerous times while living in Hankou where he ran ‘Hankou Art Advertisements’ in the alleys of oldtown’s district. This hints at the possibility of the two distinct identities—a traveler and a resident—to be projected in his works that were made in respective cities. In other words, while artwork in Hankou reflects Lim’s affection and interest towards humans who are no different than those of his home, the tendency of capturing the exotic landscape of the foreign land is heightened in Beijing.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his thematic and methodological interest through categorizing these works as ‘Everyday Landscapes’ and ‘Landmark Landscapes.’ Moreover, through interpreting Lim’s works in relation to the Japanese Western-style painter Ryuzaburo Umehara(梅原龍三郞) and Chinese ink painting artist Jiang Zhaohe(蔣兆和), this study attempts to posit Lim Gunhong as an international painter in accordance with the artistic trend of East Asia. It would be a meaningful attempt to re-examine Lim as a ‘modern artist’ or an ‘abroad artist’.

      • KCI등재

        滄溪 林泳의 疏箚 一考

        송혁기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3 大東文化硏究 Vol.124 No.-

        林泳(1649~1696)은 평생 학문 연마에 전념하고자 하는 뜻을 지닌 성리학자였지만, 科擧로 立身한 이상 出仕와 辭職 사이를 오갈 수밖에 없었다. 그 과정에서 임영은 疏箚를 통해 辭職과 論事의 의견을 개진했다. 임영은 한때 숙종의 인정을 받으며 조정에 출사하여 經世의 이상을 시행하고자 했지만, 그 기대는 얼마 가지 못했다. 자신의 의견이 반영되기는커녕 숙종의 감정적인 대응만이 돌아오는 상황을 몇 차례 겪은 임영은, 숙종의 求言에 따른 萬言疏에 경세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총체적으로 담아 올렸다. 이에 대한 숙종의 반응마저 부정적이자 임영은 조정에 다시 나가지 않았고, 이후의 소차에서는 논사 없이 사직을 청하는 내용으로 일관했다. 본고는 소차의 작성 배경과 주제 구현 방식 및 소통 양상을 통해서 임영이 지녔던 경세의 견해를 종합적으로 살필 수 있었다. 그 내용은 聖學의 엄정한 기준으로 궁중 예산과 환관, 척신, 공신의 문제, 조세와 병역, 인사 제도와 국방 체제 등의 현안에 대해 내린 세부적인 진단과 대안들이다. 임영은 치밀한 단락 구성과 명확한 강령 부각, 그리고 억양법의 적절한 구사를 통해서, 爲民과 聖學의 정신을 당대의 구체적인 현안과 긴밀하게 연결하여 정연한 논리로 구축했다. 임영은 疏箚의 내용 선정에 신중했을 뿐 아니라 서술과 표현의 전략에도 관심이 높았다. 임영의 문학적 재능이 가장 지속적으로 순도 높게 발휘된 문체가 소차였다. 임영은 숙종의 감정적 반응을 몇 차례 겪은 뒤에도 오히려 강도 높은 내용의 소차를 작성했다. 과감하게 올린 소차의 주된 내용은 ‘爲民을 근간으로 하는 聖學의 經世 意識’이었다. 임영이 만언소에서 숙종이 받아들이기 어려운 궁중의 경비 절감과 환관 배제 문제를 반복해서 강조한 것은, 민심을 얻기 위해 節用해야 하며 그 출발은 군주의 公心에 달려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聖學의 근본이 서지 않는다면 다른 모든 논의가 무의미하다는 생각을 뚜렷하게 드러낸 것이다. 임영의 소차는 그가 평생 엄격하게 매진한 학문의 일관된 표출이었으며, 출사와 관련하여 한 말과 보여준 행보 역시 같은 맥락에서 이해된다. Lim-young(林泳, 1649~1696) was a Neo-Confucian scholar who intended to devote his life to study. However he passed Gwageo exam(Imperial examination), so he had no choice but to go back and forth between chulsa(出仕, starting the work) and sajik (辭職, quitting the work). Between this process, Lim-young wrote a socha(疏箚, memorial to the throne) about sajik and nonsa(論事, discussing a matter). Lim-young once wanted to go to royal court with King Suk-jong’s approval and implement kyungse’s ideal, but the expectation didn’t last long. Rather than reflecting his opinion, he have had several situations where only King Suk-jong’s emotional response has returned. After this situation, Lim-young wrote out his views on man-eonso(萬言疏, socha in 10,000 words) about kyungse(經世) and made a proposal. However King Suk-jong’s reaction was negative, so Lim-young didn’t show up in royal court again. I comprehensively examined Lim-young’s opinion about kyungse by reviewing the background of socha, how the topic is implemented, and communication aspect. Lim-young made diagnoses and alternatives to pending issues such as the court's budget, eunuch, Cheoksin(戚臣), gongsin(功臣), taxation and military service, personnel system, and defense system. Through the precise composition of paragraphs, the emphasis on a clear platform, and the appropriate use of the accent method, the wimin(爲民) and seonghak(聖學) was closely linked to the specific issues of the time and built a well-organized logic. Lim-young was not only cautious about selecting the content of the socha, but also interested in the strategy of narrative and expression. Lim-young’s literary talent has been so famous since he was young, and socha was the style of writing that consistently exhibited with high purity. However, even after experiencing several emotional reactions from King Suk-jong, he wrote a rather intense socha. The main content of his bold socha, which he posted with the attitude that he could leave at any time if the king did not listen, was the seonghak’s kyungse consciousness based on wimin. He repeatedly emphasized sensitive issues that were difficult for the King Suk-jong to accept at man-eonso. The reason why he repeatedly emphasized the problems was that he had to economize it to win public sentiment, and Lim-young thought that the start depends on the king's gongshim(公心). Lim-young’s socha was a consistent expression of his rigorous studies throughout his life, and what he said and showed in relation to chulsa is understood in the same context.

      • KCI등재

        철도차량용 선형유도전동기 축소형 모델의 등가회로 파라미터 도출 및 추진력 제어 알고리즘 검증 연구

        박찬배(Chan-Bae Park),목형수(Hyung-Soo Mok),이주(Ju Lee) 대한전기학회 2010 전기학회논문지 Vol.59 No.7

        Authors conducted a deduction of some parameters using the magnetic equivalent circuit method and a verification study of the thrust force control algorithm of a rotary-typed small-scaled linear induction motor for a railway transit. In a LIM, it is possible to express the parameters of the magnetic equivalent circuit into a function of the shape of the secondary aluminium plate and the airgap between the LIM primary core and the secondary aluminium plate. It means that the LIM properties can be changed considerably by the shape of the secondary aluminium plate and the airgap between the LIM primary core and the secondary aluminium plate. So, authors analyzed a tendency of changes of the magnetic equivalent circuit parameters and the LIM characteristics by changing of the airgap of the secondary aluminium plate of a rotary-typed small-scaled LIM. And authors conducted a verification study of the indirect vector control algorithm with constant slip frequency by using the rotary-typed small-scaled LIM tester set on the basis of the calculated LIM parameters. Finally authors accomplished a research on applicability for LIM railway transit.

      • KCI등재

        滄溪 林泳의 疏箚 一考

        宋赫基 ( Song Hyok-key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3 大東文化硏究 Vol.124 No.-

        林泳(1649~1696)은 평생 학문 연마에 전념하고자 하는 뜻을 지닌 성리학자였지만, 科擧로 立身한 이상 出仕와 辭職 사이를 오갈 수밖에 없었다. 그 과정에서 임영은 疏箚를 통해 辭職과 論事의 의견을 개진했다. 임영은 한때 숙종의 인정을 받으며 조정에 출사하여 經世의 이상을 시행하고자 했지만, 그 기대는 얼마 가지 못했다. 자신의 의견이 반영되기는커녕 숙종의 감정적인 대응만이 돌아오는 상황을 몇 차례 겪은 임영은, 숙종의 求言에 따른 萬言疏에 경세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총체적으로 담아 올렸다. 이에 대한 숙종의 반응마저 부정적이자 임영은 조정에 다시 나가지 않았고, 이후의 소차에서는 논사 없이 사직을 청하는 내용으로 일관했다. 본고는 소차의 작성 배경과 주제 구현 방식 및 소통 양상을 통해서 임영이 지녔던 경세의 견해를 종합적으로 살필 수 있었다. 그 내용은 聖學의 엄정한 기준으로 궁중 예산과 환관, 척신, 공신의 문제, 조세와 병역, 인사 제도와 국방 체제 등의 현안에 대해 내린 세부적인 진단과 대안들이다. 임영은 치밀한 단락 구성과 명확한 강령 부각, 그리고 억양법의 적절한 구사를 통해서, 爲民과 聖學의 정신을 당대의 구체적인 현안과 긴밀하게 연결하여 정연한 논리로 구축했다. 임영은 疏箚의 내용 선정에 신중했을 뿐 아니라 서술과 표현의 전략에도 관심이 높았다. 임영의 문학적 재능이 가장 지속적으로 순도 높게 발휘된 문체가 소차였다. 임영은 숙종의 감정적 반응을 몇 차례 겪은 뒤에도 오히려 강도 높은 내용의 소차를 작성했다. 과감하게 올린 소차의 주된 내용은 ‘爲民을 근간으로 하는 聖學의 經世 意識’이었다. 임영이 만언소에서 숙종이 받아들이기 어려운 궁중의 경비 절감과 환관배제 문제를 반복해서 강조한 것은, 민심을 얻기 위해 節用해야 하며 그 출발은 군주의 公心에 달려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聖學의 근본이 서지 않는다면 다른 모든 논의가 무의미하다는 생각을 뚜렷하게 드러낸 것이다. 임영의 소차는 그가 평생 엄격하게 매진한 학문의 일관된 표출이었으며, 출사와 관련하여 한 말과 보여준 행보 역시 같은 맥락에서 이해된다. Lim-young(林泳, 1649~1696) was a Neo-Confucian scholar who intended to devote his life to study. However he passed Gwageo exam(Imperial examination), so he had no choice but to go back and forth between chulsa(出仕, starting the work) and sajik (辭職, quitting the work). Between this process, Lim-young wrote a socha(疏箚, memorial to the throne) about sajik and nonsa(論事, discussing a matter). Lim-young once wanted to go to royal court with King Suk-jong’s approval and implement kyungse’s ideal, but the expectation didn’t last long. Rather than reflecting his opinion, he have had several situations where only King Suk-jong’s emotional response has returned. After this situation, Lim-young wrote out his views on man-eonso(萬言疏, socha in 10,000 words) about kyungse(經世) and made a proposal. However King Suk-jong’s reaction was negative, so Lim-young didn’t show up in royal court again. I comprehensively examined Lim-young’s opinion about kyungse by reviewing the background of socha, how the topic is implemented, and communication aspect. Lim-young made diagnoses and alternatives to pending issues such as the court's budget, eunuch, Cheoksin(戚臣), gongsin(功臣), taxation and military service, personnel system, and defense system. Through the precise composition of paragraphs, the emphasis on a clear platform, and the appropriate use of the accent method, the wimin(爲民) and seonghak(聖學) was closely linked to the specific issues of the time and built a well-organized logic. Lim-young was not only cautious about selecting the content of the socha, but also interested in the strategy of narrative and expression. Lim-young’s literary talent has been so famous since he was young, and socha was the style of writing that consistently exhibited with high purity. However, even after experiencing several emotional reactions from King Suk-jong, he wrote a rather intense socha. The main content of his bold socha, which he posted with the attitude that he could leave at any time if the king did not listen, was the seonghak’s kyungse consciousness based on wimin. He repeatedly emphasized sensitive issues that were difficult for the King Suk-jong to accept at man-eonso. The reason why he repeatedly emphasized the problems was that he had to economize it to win public sentiment, and Lim-young thought that the start depends on the king's gongshim(公心). Lim-young’s socha was a consistent expression of his rigorous studies throughout his life, and what he said and showed in relation to chulsa is understood in the same context.

      • KCI등재

        임화 시에 나타난 “태평양”의 의미 연구

        김학중 ( Hak Jung Kim ) 한민족문화학회 2015 한민족문화연구 Vol.52 No.-

        이 연구는 임화의 시들 중 바다가 등장하는 시편들에서 그동안 주목받지 못한 “태평양”의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는 시도이다. 임화의 시에 등장하는 바다는 “태평양”과 “현해탄”이다. 그런데 기존의 연구에서는 “태평양”의 의미에 대해서 연구된 바가 없다. 본 연구는 기존의 논의에서 ‘바다’ 시편들로 분류되는 시들에 더해 “태평양”이란 해양명이 등장하는 「우산 받은 요코하마 부두」를 포함시켜 임화 시에 나타난 “태평양”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우산 받은 요코하마 부두」는 「비내리는 시나가와驛」의 답시로 이 시의 내적인 구조인 귀환의 구조를 내재하고 있다. 그런데 임화는 이 귀환의 구조의 한축에 “태평양”을 두었다. 임화는 당시 요코하마에서 조선으로 가는 배가 없는 상태임에도 시에서는 이러한 항로를 상정한다. 임화는 여기에 “추방”의 바다로서 “태평양”을 자리매김하고 이 “추방”의 바다를 통해서만 고국에 귀환할 수 있다고 노래했다. 그때에 임화가 노래하는 “추방”은 “연대의 가능성”을 여는 의미를 내포하는 것이었다. 「우산 받은 요코하마 부두」에서의 귀환은 요코하마에서의 계급 연대를 이루는 것이었던 것이다. 그래서 이 시에서 귀환의 구조는 일본에서 시작해 조선을 거쳐 일본으로 돌아오는 구조였다. 임화는 이러한 귀환을 통해 새로운 가능성인 프롤레타리아 해방과 계급 연대를 이루어낼 수 있다고 생각한 것이다. 임화는 이를 위해 시적 상상력을 통해서 “태평양”에 상상의 항로를 개척하려고 했다. 이러한 시적 도정은 카프 해산과 같은 시련을 겪은 후에도 임화에게서 지속되고 있었다. 프롤레타리아 해방과 계급 연대의 가능성이 희박해진 때에 임화는 “현해탄” 연작을 통해 기존의 귀환 구조를 변화시킨다. 여기서 큰 힘을 제공하는 것도 “태평양”이다. 이때에 “태평양”은 귀환의 바다로 우리에게 주어진다. “태평양”은 이전의 귀환의 구조를 변화시켜 조선에서 시작해 조선으로 돌아오는 귀환의 구조를 시적으로 형성하도록 이끈다. 여기에서 “태평양”은 호명되는 바다인데 묘사되지 않고 내밀하게 주어지는 가능성으로 나타난다. “추방”의 바다였던 “태평양”은 이 “추방”의 항로를 내재함으로써 “가능성”의 바다로 마주할 수 있게 되었던 것이다. 이 결과에 따라 “현해탄 콤플렉스”의 근간으로 이해된 “현해”의 내적 구조가 사실은 그와는 다른 구조를 가지고 있음이 드러났다. “현해”는 “태평양”이 밀려들어오는 장소이고 이에 따라 조선 또한 이러한 영향 아래 있는 장소로 변모함을 밝힐 수 있었다. 그것은 외양적으로는 임화가 추구하였던 사상, 즉 프롤레타리아 해방과 계급 연대였지만 내적으로는 이것의 실현 불가능함에 근거해 끊임없이 가능성을 호출하려는 시도에서 의해 내적으로는 “가능성”의 차원으로 우리 앞에 귀환하는 힘이었음 드러낼 수 있었다. 이 “가능성”을 귀환시키는 힘, 그것은 로맨티시즘의 외양을 지닌 상상력이란 힘이었다. 결론적으로 임화 시에서 “태평양”은 미래를 사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매개체이며 미래를 현재에 귀환하도록 이끄는 그러한 의미를 지닌 시어였던 것이다. 이런 점을 살펴볼 때 현해탄 콤플렉스에 기반한 임화의 시에 대한 기존의 평가는 달라져야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the Pacific Ocean” in Hwa Lim`s poems, which has been rarely received discussed compared to his other works. Although Hwa Lim exhibits both the “Pacific Ocean” and “Korean Strait” when depicting of the sea, the current research has often overlooked the meaning of “Pacific Ocean”. This study extends the established category of his poems on the sea by introducing and analyzing “The Habor of Yokohama under an Umbrella”, which mentions the name “Pacific Ocean”. “The Habor of Yokohama under an Umbrella” is a poem written as a response to “Raining Sinagawa Station”, and it suggests the way how he structures a form of return. The sense of the return in the poem is internalized. Hwa Lim places “Pacific Ocean” on one side of his structure of the return. Despite the absence of a passage from Yokohama to Chosun at his time, Hwa Lim offers this route in his poem. Here, he provides the sense of “exile” in the notion of the sea by introducing “Pacific Ocean” and sings that one`s return is only possible by the sea of exile. What Hwa Lim means by the exile involves the sense that opens up a new possibility of solidarity. The return in “The Habor of Yokohama under an Umbrella” enables the agreement between the classes. Thus, the structure of the return in the poem starts from Japan and returns to Japan via Chosun. It was Hwa Lim`s idea that one could realize solidarity and the liberation of the proletariat by such mode of the return. To do this, he attempts to venture an imaginative passage through his way of poetic imagination. Hwa Lim continues this project even as experiencing difficulties such as the dissolution of KAPF. When the chances became scarce to hope the solidarity and the liberation of the proletariat, he reverses the way in which his contemporaries depict the structure of the return by writing the series of “Korean Strait”. Indeed, it is "the Pacific Ocean” that provides considerable power in this attempt. “The Pacific Ocean” is given to us as the sea of return. It transforms the established structure of return and leads it to form itself poetically, that is, departure from Chosun and return to Chosun. The “Pacific Ocean”, though of which name is called in the poem, it is not illustrated, but rather appears as a possibility subtly given to us. By internalizing the passage of exile, “the Pacific Ocean”, which was the sea of exile, now becomes a subject that one could encounter as the sea of “possibility”. In light of this, it could be suggested that “Korean Strait”, previously understood as the basis of the “Korean Strait complex”, in fact, bears a different sense in its inner structure. “Korean Strait” is where “Pacific Ocean” flows in, which allows access to Chosun as a place under the influence of such current. At a superficial level, it shows Hwa Lim`s idea, the liberation of the proletariat and the solidarity of the classes. Underneath the level, it engages with the power that returns to us as the dimension of a “possibility”. He constantly summons up the possibility, as a result of his awareness of the “impossibility” of realizing his idea in reality. This power that recalls the “possibility” is imagination, of which its appearance features Romanticism. To conclude, “Pacific Ocean” serves as a medium in Hwa Lim`s poems. It is a poetic word that bears significance in leading the future to the present. Given these points, this paper proposes that the current studies on Hwa Lim, which often analyzes his poems based on Korean Strait complex, should take a different approach and reassess them.

      • KCI등재

        일반논문 : 임화의 산문에 나타난 연애, 결혼, 고독

        권성우 ( Seong Woo Kwon ) 한민족문화학회 2013 한민족문화연구 Vol.42 No.-

        이 논문은 임화의 산문에 나타난 연애와 결혼, 고독의 풍경을 탐구하기 위한 시도이다. 임화는 누구보다도 마르크수주의를 깊이 있게 체득했던 진보적 비평가였지만 동시에 그는 예민한 감성을 지닌 전형적인 로맨티 스트였다. 임화는 당대의 어떤 문인보다도 연애와 여성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으며, 결혼과 연애에 대한 다양한 글을 남겼다. 청춘 시절 연애에 몰입되었던 임화는 1920년대 중반부터 연애를 철저하게 계급적 시각으로 바라본다. 그러나 1930년대 후반 이후에 개진된 임화의 연애관은 현저히 연애의 개인적 자유와 다양성을 강조하고 있다. 임화의 연애관은 계몽주의와 미학주의 사이에서 끊임없이 진동했다. 이귀례, 지하련과의 두 번에 걸친 임화의 결혼 역시 흥미롭다. 이귀례와의 결혼은 혁명과 계급투쟁을 위한 동지적 결합에 가깝다. 몇 년간의 결혼생활을 거쳐, 이귀례와 허어진 임화는 이 후 지하련과 마산에서 재혼했다. 임화는 ``자유``와 ``제도``라는 결혼의 두 가지 속성을 모두 인식하면서도 궁극적으로 결혼의 자유를 강조했다. 누구보다도 신뢰하고 아기는 동지이면서 동시에 누구보다도 서로 상처를 주었던 관계가 임화와 지하련의 결혼생활이었으며, 그 책임의 카다란 부분은 임화의 자유로운 연애관과 결혼관에서 연유한다는 것이 이글의 결론이다. 남편 임화로부터 연유한 죽음과도 같은 고독에도 불구하고 지하련은 끝까지 임화와 함께 했다. 그것이 그녀의 운명이었다. This paper is a study on Lim Wha`s viewpoint of love affair, marriage, loneliness, Lim, Wha(林和: 1908~1953) was a representative poet and critic in a Colonial Period. Lim Hwa was not only a Marxist critics, but he was a typical romanticist with keen sensibilities. He wrote a variety of essays about marriage and love affair. In his late teens, Lim was immersed in the romance, but since the 1920s, his view of love fell under the influence of Marxist perspective. However, since the late 1930s, Lim emphasized the freedom and diversity of love. Lim`s view of love constantly vibrated between the Enlightenment and aesthetics. His marriage is very interesting. Lim`s first marriage with Lee Gwirye(李貴禮) was similar to the combination of like-minded persons for the revolution and class struggle. After breaking-up with Lee. Gwirye, Lim was remarried to Ji haryeon(池河連) in Masan. Lim Wha recognized both the two properties, ``freedom`` and ``institution`` of marriage, but ultimately emphasized the freedom of marriage. His this view of love affected second marriage. Ji haryeon had to experienced loneliness like death caused by her husband. However, she shared her life whit Lim Wha to the end. It was her destiny.

      • KCI등재

        林谷 林眞怤의 삶과 詩世界

        강정화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7 남명학연구 Vol.54 No.-

        임곡 임진부(1586-1657)는 조선이 개국한 이래 가장 혼란스러운 17세기를 살다 간 재야지식인이다. 국가적으로는 임진왜란과 이괄의 난, 그리고 병자호란 등의 전란을 겪었고, 지역적 또는 학문적으로는 광해군 왕조의 핵심 세력인 北人 정권이 인조반정에 의해 교체됨으로써 그들의 학문적 기반인 南冥學도 몰락하는 과정을 겪었다. 무엇보다 그 과정에서 지역에서 함께 수학한 여러 同學의 희생을 감수해야 했다. 임곡은 이러한 역사적 전환기에 출사하여 자신의 뜻을 펼칠 수 없음을 자각하고 재야지식인의 삶을 선택하였다. 이 글은 당시 남명학파 지역의 대표적 인물로 살다간 임곡의 삶을 한시를 통해 살펴보았다. 임곡은 일생을 재야지식인으로 살면서 從祖父 葛川 林薰과 祖父 瞻慕堂 林芸으로 대표되는 거창 갈계리 일대의 家學을 계승하는데 주력하였고, 무엇보다 병자호란 등 국가적 전란에 즈음하여 재야지식인으로서 어찌할 수 없는 시대적 상황과 자아와의 괴리 등을 한시에 핍진하게 표출하였다. 때문에 그의 시에는 늘 고뇌에 차 있고, 철저한 심성수양을 강조하며, 나아가 지역 선현을 추숭하는 등 재야지식인으로서의 모습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Lim-gok Lim Jin-bu(1586-1657) was an intellectual elite out of power, who had lived in the 17th century, when was in a state of the top confusion since Joseon was established. Joseon went through such wars as the Imjinwaeran(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e Rebellion of Lee Gwal, the Byeongjahoran(the Manchu war of 1636), etc. And, in regional and academic aspects, the Northerner Faction (Bug-in) regime, which was the core power during the years of King Gwanghaegun, had been changed by King Injo Restoration, thus Nammyeong School for the academic base of Bug-in was downfallen. More than anything else, many schoolfellows were sacrificed during the downfall of Nammyeong School. Im-gok realized that he could not achieve his wishes and plans during historic changing period, and then he had no choice but to live as an intellectual elite out of pow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life of Im-gok, who was the dominating figure of Nammyeong School, through his sino-Korean poetry. While Im-gok lived as an intellectual elite out of power for all his life, he had devoted himself to the succession to the of scholarship of Lim family who lived in Galgye-ri, Geochang, and there were his grand-uncle Galcheon Lim Hun and grandfather Chem-mo-dang Lim Un as the representative men for the Lim family. First of all, Im-gok described vividly the inevitable situation of national wars including the Byeongjahoran, etc. and a gap between reality and self- consciousness in his sino-Korean poetry. Accordingly, his anguish, strict moral disciplines, the activities of intellectual elites out of power including the reverence for local ancient sages were remarkably found in his poems.

      • KCI등재

        1940, 식민지 조선문학의 행방을 둘러싸고

        곽형덕 ( Hyoung Duck Kwak ) 한민족문화학회 2015 한민족문화연구 Vol.52 No.-

        이 논문은 일본어 전용론과 조선문학붐을 당시 임화와 김사량이 어떻게 인식했는가에 초점을 맞춰서 살펴보았다. 각기 조선문단과 일본문단에서 활약하던 임화와 김사량은 1939-40년 사이에 전개된 이 두 가지 문학 현상을 마주하면서 처음으로 조우하게 된다. 두 작가의 문학적 조우는 일본어 전용론에 대한 거부라는 측면에서는 일치했지만, 조선문학붐에 대한 해석에서는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임화와 김사량의 언어론은 일본어 전용론에 대한 반대라는 측면에서 일치한다. 하지만 임화가 문학어로서의 조선어를 보편적/세계적 지평에서 논하려 했다면, 김사량은 일본어 창작을 하는 입장에서 접근해 이중의 전략을 취했다. 그것은 조선 내 조선문학자가 일본어로 창작을 하는 것에 대해서는 명확히 반대하면서도, 이중어 창작이 가능한 조선문학자가 일본어로 글을 쓰는 것은 찬성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김사량은 “조선문화를 동양과 세계” 알리는 ‘중개자’로서 일본어 창작의 당위성을 인정하면서도 조선문인은 조선어로 써야한다는 입장을 고수했던 것이다. 한편 임화와 김사량은 조선문학붐을 응시하는 태도에서 뚜렷한 차이를 노정했다. 임화는 조선문학이 동경문단에서 소개되는 현상을 자연스러운 상호 교류로 봤다기보다 시국과 관련된 것으로 파악해 냉정하게 응시했다. 임화는 조선문학을 세계문학적 차원에서 고찰하고 있었기 때문에 지방주의적인 기획인 조선문학붐을 냉철하게 인지할 수 있었다. 이에 비해 김사량은 김사량은 조선문학붐을 시국적인 것으로 인식하는 한편으로 조선문학이 일본어라는 ‘공용어’를 매개로 해서 더 넓은 세계로 나아갈 수 있는 하나의 전기(轉機)로 인식했다. 이러한 차이가 빚어진 것은 김사량이 도쿄에서 조선문학붐을 중개하는 입장이었다는 것이 크게 작용했다. 본고는 일제 말 임화와 김사량의 문학관을 비교하는 것을 통해 일제 말 전개된 일본어 전용론과 조선문학붐이 조선문단과 일본문단에서 어떻게 인식됐는지를 고찰했다. 이를 통해 일제말 논쟁의 핵심이 됐던 일본어 전용론을 시작으로, 일본만이 아니라 일본 제국의 권역에 소개된 조선문학붐을 임화와 김사량의 문학관에 비춰서 재조명할 수 있었다. This paper investigates how Lim Hwa and Kim Saryang thought Japanese language policies in the Korean literary world and the Josen Literary Boom in the Japanese literary world after 1939. For the first time, Lim and Kim encountered each other during the two literary phenomena. Although they had the same ideas on Japanese language policies, they had quite different interpretations toward the Josen Literary Boom. It is not difficult to say that Kim`s language theory is accord with Lim`s it in terms of defending Korean language against the suppression. Unlike Kim`s language theory is based on his position as a translator, Lim argued Korean language in the universal and global perspective. Although Kim approved Korean writers` Japanese Writing having bilingual ability, he refused the restriction which urged Japanese writing to Korean writers. In other words, Kim not only admitted bilingual Korean writers` duty of Japanese writing but also adhered to Korean writers` right to write in Korean. Meanwhile, Lim Hwa and Kim Saryang disclosed notable difference when they interpreted the Josen Literary Boom. While Lim gazed the Boom as the political event after the Sino-Japanese War, Kim recognized it as the chance which Korean writers entered into the broad world. Unlike Lim Hwa`s position as the distinguished critics in the Korean literary world, Kim only debuted as a Japanese writer in the Japanese literary world at that times. Kim was not only a Japanese writer but also an intermediator in the Josen Liteary Boom in Japan. The different position in the literary world and media brought a discrepancy in interpretation. By drawing these perspectives, I not only illuminate Lim Hwa and Kim Saryang` a view of literature but also reconsider Japanese language policies in the Korean literary world and the Josen Literary Boom in the Japanese literary world after 1939.

      • KCI등재

        林谷 林眞怤의 현실인식과 17세기 영남학계에서의 위상 -南冥·退溪學을 접목한 17세기 영남학계의 새로운 모색-

        김학수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7 남명학연구 Vol.54 No.-

        This study examines the academic life of Lim Jinbu (1586-1657) in order to elucidate the diverse aspects of Nammyeong School in the late Joseon Dynasty (1392-1910). To be specific, this research begins with a question whether scholars associated with Gang’u region and Jo Sik (1501-1572) to any extent should be categorically considered as a follower of the Nammyeong School by default. There is no denying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mmyeong School are salient in the academic making of Lim Jinbu. That being said, these characteristics alone cannot define the nature of his life and academic attributes. Lim Jinbu admired Jo Sik, and while he dedicated himself to Nammyeong Studies, Yi Hwang (1501-1570) was always in the corner of his mind. Lim Jinbu sought for an eclectic approach to Nammyeong and Toe-gye Studies, and the emphasis lies in that to him, Toegeo Studies was not an subordinate element to the compromise between those two studies. In the context of Nammyeon School’s obsession over purity of the School’s ethos, the implications of Lim Jinbu’s academic attributes should be discussed further from a new perspective. 이 글은 17세기에 활동했던 林眞怤(1586-1657)의 학자적 삶을 분석한 것이며, 궁극적으로는 조선후기 南冥學派의 다양성을 해명하는데 주안점이 있다. 그 다양성이란 강우 남명학파권에 지역적 연고를 두고 曺植 및 그 문인들과 일정한 학연을 맺으면 기계적으로 남명학파의 범주 속으로 들어가야만 하는 것인가에 대한 의문에서 출발한다. 임진부를 양성한 학문적 물줄기 속에 남명학파적 요소가 충만해 있음은 부인할 수 없지만 그것만으로 그의 삶과 학문을 규정할 수는 없다. 그는 조식을 매우 흠모했고, 南冥學의 계승과 발전을 위해 평생을 부심하면서도 뇌리 한 편에는 항상 李滉을 담아두고 있었다. 임진부는 남명학과 退溪學의 절충을 모색하고 있었고, 퇴계학이 절충의 종속 요소가 아니라는데 중요성이 있다. 순혈성에 대한 집착이 강했던 남명학파 연구에 있어 임진부의 존재는 향후 연구의 새로운 시각으로서 깊이 논의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