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해충 분류를 위한 양방향 특징 퓨전 기반의 Pyramid Vision Transformer

        홍은하(Eun-Ha Hong),이재현(Jae-Hyeon Lee),손창환(Chang-Hwan Son),이휘종(Hwijong Yi) 한국정보기술학회 2022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22 No.6

        해충은 인간을 공격하여 물리적인 피해를 주고 작물을 갉아먹어 작물의 생육 환경에 피해를 준다.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온 상승으로 인해 해충이 번식하기 좋은 환경이 되어 발생 면적이 늘어나고 있다. 해충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해충의 종류에 따른 신속한 방제가 중요하다. 해충은 크기가 작고 종류가 다양해 전문가의 판단이 필요하다. 이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 따라서 전이학습 기반의 딥러닝 모델을 사용한 해충 분류 자동화 기술이 필요하다. 전이학습 기반의 모델인 Pyramid Vision Transformer(PVT)를 개선하여 해충분류를 위한 새로운 아키텍처를 제안해 해충 분류 성능을 높이고자 한다. Pest attack humans, causing physical damage and devouring crops, causing damage to the growing environment of crops. Due to the increase in temperature due to global warming, the area of occurrence is increasing as it is a favorable environment for pests to breed. In order to reduce the damage caused by pests, prompt control according to the type of pest is important. Pests are small in size and diverse, so expert judgment is required. This takes a lot of time and money. Therefore, a pest classification automation technology using a deep learning model based on transfer learning is required. By improving the Pyramid Vision Transformer (PVT), a transfer learning-based model, a new architecture for pest classification is proposed to improve pest classification performance.

      • KCI등재

        호텔 종사원의 지적자본과 지식경영활동, 비재무적성과와의 구조 관계 연구

        송래헌 관광경영학회 2019 관광경영연구 Vol.9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intellectual capital,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and non - financial performance of hotel employees. Two hypotheses were set up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in order to grasp the intellectual capital,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and non - financial performance of hotel employee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ober 1, 2018 to October 30, 2018, and 300 copies of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19 - part insecure or inconsistent questionnaires. And finally 281 copies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es presented through the research model,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analyzed using SPSS21.0, and the measurement model ),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and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between the measured variables. As a result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to verify the structural model with AMOS 21.0, the intellectual capital of the hotel employees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It is confirmed that the level of knowledge creation among the employees is improved and the knowledge utilization becomes possible based on the shared knowledge. And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of hotel employees were proved to affect non-financial performance.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proposed hypothesis was adopted in the present study through the rationale of the previous research. In conclusion, hotel employees' intellectual capital (human capital, structural capital, customer capital)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knowledge creation and sharing. This is because knowledge management acquires intellectual capital and guarantees growth in companies, so it is necessary to manage intellectual capital successfully. Also, since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of hotel employees affects non-financial performance, knowledge workers' activities of hotel employees are found to be important.

      • KCI등재

        SNS에서의 사회자본의 형성과 지식공유: 집단문화의 조절효과

        김지혜 ( Kim Ji Hea ) 한국유통경영학회(구 한국유통정보학회) 2017 유통경영학회지 Vol.20 No.3

        최근 인터넷서비스 기술의 눈부신 발달로 정보관리의 환경이 급변한 가운데, 정보탐색 및 정보처리 중심에서 의사소통 및 정보의 공유를 통해 새로운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고 관리할 수 있는 소셜네트워크 서비스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상의 소셜네트워크 서비스공간에서의 사회자본 형성과 지식공유간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사회자본의 유형을 확인하고 지식공유와 집단주의 문화의 영향을 확인하고 기업들의 효과적인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전략수립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PLS를 통해 분석한 본 연구의 결과 SNS의 이용동기인 기능적 동기, 사회적 동기, 심리적 동기, 유희적 동기 모두 연결적 사회자본과 결속적 사회자본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결적 사회자본과 결속적 사회자본 모두 SNS상에서의 지식공유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SNS 이용동기 중 연결적 사회자본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는 유희, 기능, 사회, 심리적 순으로 나타났으며, 결속적 사회자본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는 사회, 기능, 유희, 심리적 동기 순으로 나타났다. 즉 약한 유대관계를 의미하는 연결적 사회자본은 유희적 목적이나 정보(기능), 관계를 맺기 위한 동기(사회)로 인해 더욱 증가되고, 강한 유대관계를 의미하는 결속적 사회자본은 관계맺기(사회), 정보(기능), 유희적 목적의 동기에 더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사회자본과 지식공유간의 관계는 약한 유대관계로 이루어진 연결적 사회자본과 강한 유대관계로 이루어진 결속적 사회자본 모두 지식공유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회자본과 지식공유간 관계에서 집단주의 문화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연결적 사회자본과 지식공유간 관계에 집단주의문화는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결속적 사회자본과 지식공유간 관계는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nowledge sharing on SNS has been acknowledged as an essential element for business recent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on knowledge sharing in SNS. This research divided a dimension of social capital into bridging and bonding social capital and examines factors affecting consumer motivation on SNS. A total of 278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participants who had shared knowledge on a SN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dividual motivation factors significantly influenced social capital. Second, social capital significantly influenced knowledge sharing on SNS. and then explore the influence collectivism , to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bonding social capital, bridging social capital) and knowledge sharing.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ocial capital enhance to knowledge sharing. The research also find that collectivistic culture influenc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knowledge sharing.

      • KCI등재
      • KCI등재

        조직 내부의 사회적 자본 : 다국적기업 해외자회사의 지식확산 결정 요인

        원준희(Jun-Hee Won),김미현(Mihyeon Kim),윤우진(Woojin Yoon) 한국인사조직학회 2020 인사조직연구 Vol.28 No.4

        본 연구는 해외자회사의 지식창출 수준이 다국적기업 내부로의 지식확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다국적기업 내부 지식의 확산에 대한 보다 통합적인 관점을 제시하기 위해 연구의 모형을 해외자회사와 본사, 해외자회사와 동료자회사 차원으로 구분하여 설계하였으며, 이를 통해 지식창출 수준이 높은 해외자회사가 본사 또는 동료자회사와 더 많은 지식을 공유하는지 검증해 보았다. 또한, 지식의 공유 과정에서 해외자회사가 본사 및 동료자회사와 구축한 사회적 자본이 해외자회사의 지식창출 수준과 지식확산 수준의 관계를 조절하는지 추가로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2013년 기준, 국내에 본사를 두고 해외에서 영업활동을 수행중인 한국 다국적기업 해외자회사의 CEO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37개국 143개 해외자회사 CEO의 설문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다국적기업 내 지식의 확산을 촉진하는 메커니즘을 규명하기 위한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해외자회사의 지식창출 수준이 높을수록 동료자회사와 본사와의 지식공유 수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발견함으로써 해외자회사의 지식창출 수준이 다국적기업 내 지식확산에 기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지식창출과 지식공유의 관계에서 해외자회사가 구축한 사회적 자본의 세가지 요소, 즉 사회적 유대관계, 신뢰, 비전의 공유가 조절효과로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동료자회사와 구축한 신뢰수준이 해외자회사의 지식창출 수준과 동료자회사와의 지식공유 수준과의 관계에 긍정적인 조절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셋째, 해외자회사가 동료자회사와 본사와의 사회적 유대관계, 신뢰, 비전의 공유 수준이 높을수록 동료자회사와 본사로의 지식확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직접효과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이는 다국적기업 네트워크 내 지식공유 활성화를 위해 조직 간 사회적 유대관계와 신뢰의 형성, 비전의 공유가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는 점을 함의한다. This study aims to discover whether the level of knowledge creation of overseas subsidiaries fosters knowledge diffusion to headquarters and fellow subsidiaries. In addition, we attempted to underst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defined here as social interaction, trust, and shared vi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creation and knowledge diffusion to headquarters and fellow subsidiaries. To do this, the current study was separated into STUDY 1 and STUDY 2 to compare the results of the direct effect of knowledge crea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capital to headquarters (STUDY 1) and to fellow subsidiaries (STUDY 2). We employed multiple OLS regression analysis to test our hypotheses using data collected from the CEOs of 143 overseas subsidiaries of Korean firms operating in 37 countries. We found that a higher level of knowledge cre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knowledge diffusion both to headquarters and to fellow subsidiaries. In addition, statistical results suggest that trust built with fellow subsidiaries has a positiv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knowledge creation and knowledge diffusion to fellow subsidiaries. Even though this research did not find a greater moder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it shows the positive direct effect of social capital on knowledge diffusion to both headquarters and to fellow subsidiaries.

      • KCI등재

        현지 시장 지식, 지식의 원천, 그리고 사회적 자본 간의 관계

        최혜원 ( Hye Won Choi ),방호열 ( Ho-yeol Bang ) 한국국제경영학회 2021 國際經營硏究 Vol.3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현지 시장 지식과 지식의 원천인 네트워크를 유형화하고, 지식 유형과 네트워크의 적합성을 제안함에 있다. 더불어 지식 이전 연구에서 중요한 요소인 사회적 자본의 세 가지 차원(구조적, 인지적, 관계적)을 고려하여 사회적 자본이 현지 시장 지식의 획득과 이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다. 따라서 이를 위해 첫째, SSCI 급 경영 전문 국제 학술지 7종에 게재된 지식의 유형과 관련된 논문을 탐색하고, 현지 시장 지식의 유형을 4가지로 도출하였다. 둘째, SSCI 급 경영 전문 국제 학술지 7종에 게재된 네트워크 유형과 관련된 논문을 탐색하고 이를 4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특성을 도출하였다. 셋째, 네트워크 유형에 따라 얻을 수 있는 해외 시장 지식의 유형을 살펴 이들 간 개념적 모델을 개발하고 적합성을 밝혔다. 그리고 해당 지식의 획득과 이전에서 사회적 자본의 세 가지 차원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영향 관계에 대한 명제를 제시하였다. 해외 시장 지식의 중요성과 유형, 지식의 원천인 네트워크에 대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한 현 상황에서, 기업의 해외 시장 진출 목적에 맞는 지식 유형을 판별하고 이에 적합한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은 해외 시장 진입에서 새로운 시사점을 제공한다. 또한, 해외 시장 지식의 획득과 이전에서 적절한 사회적 자본을 이용하는 것은 기업의 해외 시장 진출과 성과에 대해 많은 경영적 시사점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tegorize local market knowledge and the source of knowledge, and to propose the suitability of the knowledge type and the network. In addition, considering the three aspects of social capital(structural, cognitive, and relational), which are important factors in knowledge transfer research, we look at how social capital affects the acquisition and transfer of local market knowledge. Therefore, for this study, first, we searched the papers related to the types of knowledge published in 7 types of SSCI international journals, and derived 4 types of local market knowledge. Second, we searched papers related to network types published in 7 types of SSCI international journals and divided them into 4 types to derive characteristics. Third, we look at the types of local market knowledge that can be obtained according to the network type, develop a conceptual model between the network type and the local market network, and reveal its suitability. In addition, we presented a proposition on the relationship of the three dimensions of social capital in the acquisition and transfer of the relevant knowledge. In the current situation where much research has not been done on the types of local market knowledge and the source of knowledge, determining the types of knowledge that is suitable for the purpose of entering the local market and establishing a network relationship has new implications for companies. In addition, the use of appropriate social capital in acquiring and transferring knowledge of foreign markets is expected to give many managerial implications for a company's foreign market entry and performance.

      • KCI등재후보

        지식기반경제와 지적자본 : 국가별 특성에 따른 국민지적자본 측정지표 개발

        김선재,윤영채,이병엽,강호정 명지대학교 금융지식연구소 2008 금융지식연구 Vol.6 No.1

        본 연구에서는 한국을 비롯한 미국, 일본, 그리고 중국 등 4개국을 대상으로 각 국가별 국민지적자본을 국민인적자본, 국민시장자본, 국민과정자본, 그리고 국민갱신 및 개발 자본으로 구분하여 최고치 대비 비율과 Re-scaling Normalization 값으로 지수를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미국이 네 개의 국민지적자본지수 공통으로 4개국 중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한국과 일본이 서로 비슷한 미국의 약 80%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중국은 두 지수 모두 미국의 38%~58%, 한국과 일본의 50%~60% 수준임에 있음을 보였다. 국민지적자본의 효율성 분석에 있어서도 미국은 높은 1인당 GDP와 높은 국민지적자본 지수, 그리고 높은 국민지적자본의 효율성을 동시에 조였다. 한국 역시 비교적 높은 국민지적자본지수와 효율성을 보이고 있는 반면, 중국의 경우 국민지적자본지수는 가장 낮으나 그 효율성은 4개국 중 2위로 나타났다. Measuring intellectual capital is one of the greatest challenges for all who are involved in knowledge-based econom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concept of the national intellectual capital and estimate the national intellectual capital index for Korea, US, Japan and China. The study focuses on the estimation of four types of national intellectual capital indexes, i.e., (ⅰ) national human capital, (ⅱ) national marker capital, (ⅲ) national process capital, and (ⅳ) national renewal and development capital. In addition, the study also calculates and analyzes the efficiency of national intellectual capital for those four countries. Major findings from the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highest national intellectual capital index is 130.30 which is US. The next countries are Korea and Japan which are 116.21 and 112.22 respectively. The lowest index is China which has only 38%~58% of the US. In the efficiency of national intellectual capital, the US shows both the highest efficiency of national intellectual capital, 1.480 and the highest GDP per capita, 41,541 in 2005

      • KCI등재

        인터넷 지식공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사회적 자본 이론과 자기표현욕구를 중심으로

        한진우 ( Jin Woo Han ),유철우 ( Chul Woo Yoo ),최영찬 ( Young Chan Choe ) 한국농촌지도학회 2009 농촌지도와 개발 Vol.16 No.1

        The previous researches about knowledge sharing were proceeded in terms of KMS (Knowledge Management System) in center. However, knowledge sharing is recently applied to Internet space, which is open to every users, as well as KMS, which is qualified for restricted people. For example, some portal sites, such as Naver, the most popular portal in Korea, have virtual spaces to share users` knowledges and it is common that many users use the spaces. Knowledge sharing online, compared with KMS, will be more advanced to promote intention for knowledge sharing because of the character of Internet space that is open to all users. Nevertheless, there are few researches about knowledge sharing in the Internet. Considering this situation, this study is attempted to figure out the factors to promote Internet knowledge sharing, based on social capital theory and self-expression concept. A survey of experienced Internet user and PLS (Partial Least Square) were utilized for analysis. The test of this study reveals that social capital and self-expression are significant factors to influence knowledge sharing intention, and that also personal innovation and self-efficacy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self-expression. However, personal innovation does not have significant impact on social capital. According to the result, self-expression, as well as trust and system itself, has significantly effect on knowledge sharing intention in order to promote knowledge sharing in the Internet.

      • KCI등재

        공유리더십이 지식공유에 미치는 영향: 컴패션과 긍정심리자본의 순차적 직렬다중매개효과

        박진일,신제구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2 경영컨설팅연구 Vol.22 No.2

        Successful knowledge management for corporate innovation depends on how well knowledge is sha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rect effect of shared leadership and the sequential multiple mediating effect of compassion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s a antecedent to promote knowledge sharing. For the empirical verification of the hypothesis,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argeting 326 office workers in various industrie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shared leadership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knowledge sharing.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Compassion positive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hared leadership and knowledge sharing. Thir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as confirmed to positive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hared leadership and knowledge sharing. Fourth, shared leadership was confirme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knowledge sharing through sequential serial mediation of compassion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is study expanded the existing vertical leadership-centered research area by suggesting and shared leadership as lateral leadership, which is a structural factor, as a preceding factor that promotes knowledge sharing. As personal factors,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members, such as Compassion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re presented as parameters, and shared leadership has significance in identifying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of members that promote knowledge sharing. Through this, it is differentiated in understanding the systematic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ship of structural factors that promote knowledge sharing and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factors from an integrated perspectiv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presented,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기업의 혁신을 위한 성공적인 지식경영은 지식이 얼마나 잘 공유되는가에 달려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식공유를 촉진하기 위한 선행요인으로서 공유리더십(shared leadership)의 직접효과와 컴패션(compassion)과 긍정심리자본(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의 순차적 다중매개효과를 규명하는데 있다. 가설의 실증적 검증을 위해 다양한 업종에서 근무하는 직장인 326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공유리더십은 지식공유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컴패션은 공유리더십과 지식공유의 관계를 정(+)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긍정심리자본은 공유리더십과 지식공유의 관계를 정(+)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공유리더십은 컴패션과 긍정심리자본을 순차적 직렬매개로 하여 지식공유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구조적 요인으로 수평적 리더십인 공유리더십을 지식공유를 촉진하는 선행요인으로 제시하고 실증함으로써 기존의 수직적 리더십 중심의 연구영역을 확장하였다. 개인적 요인으로 구성원의 심리적 특성인 컴패션과 긍정심리자본을 매개변수로 제시하고 공유리더십이 지식공유를 촉진하는 구성원의 심리적 메커니즘을 규명하는데 의의를 가진다. 이를 통해 지식공유를 촉진하는 구조적 요인의 리더십과 개인적 요인의 심리적 특성의 유기적인 관계를 통합적인 관점으로 파악하는데 차별성을 가진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 조리 종사원의 사회적자본이 지식공유활동, 직무만족 및 지식공유의도에 미치는 영향

        송민경(Song, Min-Kyung),윤혜현(Yoon, Hye Hyun)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015 한국호텔외식경영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xternal factors of Social capitals(Cognitive capital, Structural capital, Relational capital) that influence on knowledge-sharing activities, knowledge sharing intentions and job satisfaction of food employees(cook) in foodservice industry. Based on total 303 samples who work in hotel or foodservice company at least 1 year, this study reviewed reliability and fitness of research model and verified total 5 hypotheses through SPSS and AMOS program. The proposed model provided an adequate fit to the data, χ² 847.213(df=284) CMIN/df 2.983 GFI .901 RMR .067 CFI .918 RMSEA .065. The results showed that structural capital were observe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knowledge-sharing activities(Hypothesis 2 was fully supported). However for the strategy recognition and trust, they did not present any significant effects on knowldege sharing activities(Hypothesis 1 and 3 were partially supported). The study also found that knowledge-sharing activities would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knowledge sharing intention and job satisfaction. Many hotels and foodservice companies are proceeding with various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for efficient staff management and the company"s competitiveness improvement. At this point of time, this study proved which of those many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would bring the most efficient benefits to the food employees at the hospitality industry. Other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also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