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K-BEAUTY 플래그쉽 스토어에 나타나는 체험마케팅 특성 분석 연구

        유현지 ( Ryu Hyun-ji ),이윤정 ( Lee Yun-jung ),김수정 ( Kim Su-jeung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17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60 No.-

        국내외적으로 K-beauty의 인기는 한류열풍과 함께 지속해가면서 브랜드를 체험할 수 있는 플래그쉽 스토어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K-beauty 브랜드의 플래그쉽 스토어에서 활용되고 있는 체험마케팅 요소들의 소비자에게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삼는다. 분석 방법으로는 K-beauty 플래그쉽 스토어에 관한 선행연구와 문헌자료를 바탕으로 플래그쉽 스토어를 직접 방문하여 체험적 요소를 찾아 특성들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파인과 길모어의 4가지(4Es)체험유형(4Es-Entertainment, Educational, Escapist, Esthetic)을 분석 툴로 적용하여 정성평가 바탕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분석 범위로는 주타겟층인 20-30대 여성소비자의 방문율이 높으며 K-beauty 플래그쉽이 응집되어있는 강남구 신사동 가로수길에 위치한 `컨셉스토어` 형식의 브랜드로 한정하였다. 분석결과 K-beauty 플래그쉽 스토어는 <현실도피 체험>과 <미적 체험>이 가장 강하게 제공함을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으며 이는 K-beauty 시장의 특성인 문화 컨텐츠 속의 주인공들을 모방하고 싶어 하는 타겟층의 소비심리를 바탕으로 K-beauty플래그쉽 스토어가 효과적으로 소통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플래그쉽 스토어 중 "닥터 자르트"는 4가지 체험마케팅 영역의 정도가 평균적으로 가장 높게 제공되어 스위트스팟 영역이 가장 넓으며 그 결과 브랜드 충성도가 높고 지속성이 확보되는 브랜드로 소통됨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교육 체험>을 강화했을 때 소비자에게 브랜드의 정보와 지식을 자연스럽고 즐겁게 제공하여, 재구매율이 증가되어 궁극적으로는 부가가치가 상승됨을 알 수 있었다. Recently popularity of K-beauty has been strongly growing all around the world. Therefore, the importance of the flagship stores of K-beauty brands are becoming considerate fact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experiential marketing elements in the K-beauty flagship stores and the communication with the consumers. The analysis method is based on Pine and Gilmour`s 4 characteristics experiential analytical tools(4Es) which are Entertainment experience, Educational experience, Escapist experience, Esthetic experience. The scope of this analysis is restricted to the `concept store` type brands, which are located for the main target audiences age of 20-30 female consumers, who are very enthusiastic about K-beauty products. The analysis shows that in the K-beauty flagship stores they have been providing < Escapist Experience > and < Aesthetic Experience > the most. The K-beauty flagship store is being effectively communicating with the costumers who wants to imitate the characters of Korean cultural society. In conclusion, Among those 5 flagship stores I have been researching, "Dr. Jart" flagship store showed the highest average level of the four experiential marketing characteristics. Therefore, the area of the sweet spot is most wide, which means the brand`s loyalty shows the strongest. Finally, if the flagship stores strengthened the < Educational experience >, consumers will naturally accept the brand identity easily, and re-purchase rate will increase ultimat ely.

      • KCI우수등재

        K-뷰티산업의 피부색주의

        박소정(Sojeong Park) 한국언론학회 2020 한국언론학보 Vol.64 No.6

        While K-Beauty is globally recognized as a burgeoning industry, this study explores and analyzes the colorism of the K-Beauty industry. Colorism, or discrimination based on skin colors, can be found in the discourse of hierarchies formed by the culmination of idealized skin called ‘mibaek’ in Korean society. And K-Beauty industry which is the Korean media-beauty complex mediates this discourse to overseas audiences. As the imagery of impeccably fair skin of Korean stars is epitomized as a new beauty model in East Asia, K-Beauty produces new norms and hierarchies that require critical exploration. What cultural significance does K-beauty have in the global media-beauty scene? And what hegemonic power does it exert? In order to answer these questions, this study explored various images and texts on K-beauty online and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s in Thailand and Vietnam. The findings reveal that Korea is being perceived as a ‘country of white skin’ by overseas K-Beauty consumers. In particular, K-beauty provides Southeast Asian people with an attainable beauty model or relatable ideal, replacing Westernized beauty norms. However, on the other hand, colorism is produced in the process of K-beauty being circulated as a transnational product, and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critical perspective on this. K-Beauty reveals its imperial power through the exclusivity of Korean stars’ bodies, the formation of a hierarchy between Northeast Asia and Southeast Asia, and its barrier to racially otherized bodies. First of all, K-pop idols who are the main mediators of K-beauty mostly conform to a specific visuality. This implies the confined Koreanness of K-beauty, which is not free from colorism as it excludes other racial visualities. Second, several quasi-K-beauty products in Southeast Asian countries regards the Northeastern look as a beauty model, highlighting a lighter complexion. And this produces and reproduces the hierarchy between Northeast Asia and Southeast Asia. Lastly,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black beauty YouTubers who have tried K-beauty make-up. Their content and perceptions of some audiences reveal that the diversity and inclusivity of the K-beauty industry is highly limited or nothing more than a marketing rhetoric. As such, in the realm of K-Beauty, where the ‘K’ strongly signifies a certain power related to nationalism, it tries to secure a territory exclusive to a specific skin color. Based on all these findings, this study argues for the necessity of cultivating sensitivity to the matter of race, ethnicity, and skin color that have long been overlooked in Korean society, and suggests further inquiries for Korean media studies.

      • KCI등재

        K-뷰티(K-Beauty) 검색량이 수출과 관광에 미치는 영향: Google과 YouTube 검색 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이선정,이수범 한국문화경제학회 2017 문화경제연구 Vol.20 No.2

        This study analyzes Big Data to understand the economic influence of K-Beauty which is expected as a fast-growing industry. Because the content of K-beauty is mainly transmitted over the Internet, Big Data about K-Beauty in the database of online services can show interest and engagement in K-Beauty. The export volume of the beauty industry and the number of foreign tourist in Korea were used as dependent variables. The volume of Google search and the volume of YouTube page view were independent variables. According to the result of a multi-regression analysis, the volume of Google search of K-Beauty had a positive influence on both dependent variables, even after controlling for GDP (Gross Domestic Product) and distances between nations. When it comes to the volume of YouTube page view of K-Beauty, it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export volume of the beauty industry, whereas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volume of YouTube page view and the number of foreign tourists.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 content of K-Beauty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beauty industry. Moreover, this empirical study shows that web search and YouTube search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economical aspect. These results can be used to discuss public relations strategy to promote K-Beauty industry. 본 연구는 한류를 이끌어갈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써 K-뷰티(K-Beauty)의 경제적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K-뷰티 콘텐츠가 주로 온라인을 기반으로 확산된다는 점을 고려하여 K-뷰티에 대한 관심과 관여도를 파악할 수 있는 변수로 검색 빅데이터에 주목하였다. 이에 2008년부터 2016년까지 9년간 K-뷰티에 대한 웹 검색량과 유튜브 검색량을 독립변수로, 화장품 수출액과 외래관광객 수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였으며 GDP와 국가 거리를 통제변수로 하는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K-뷰티 관련 구글 웹 검색량은 통제변인의 영향 유무와 관계없이 화장품 수출액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외래관광객 수에도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유튜브 검색량은 화장품 수출액에는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외래관광객 수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신한류 콘텐츠로서 K-뷰티에 대한 영향력을 검증하고 웹 검색량과 유튜브 검색량이 경제적 지표에 미치는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향후 K-뷰티 홍보 방안에 대한 전략에 대해 논하였다.

      • KCI등재

        K-뷰티의 미백 문화에 대한 인종과 젠더의 상호교차적 연구를 위한 시론

        박소정(Sojeong Park),홍석경(Seok-Kyeong Hong)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19 언론정보연구 Vol.56 No.2

        세계화와 디지털 문화를 바탕으로 한류가 확장되는 과정에서 소위 ‘K-뷰티’라고 불리는 한국의 뷰티 문화도 반향을 얻고 있다. K-뷰티에 대해서는 주로 시장의 성과 측면에서만 조명되고 있으나, 한 사회의 뷰티 규범은 젠더 및 인종적 정체성과 밀접하게 관련된 부분임과 동시에 주체와 권력의 문제를 동반한다는 점에서 질적인 해석이 요구되는 중요한 주제이다. 이러한 중요성에 입각해 본 연구는 K-뷰티의 핵심인 미백이 인종과 젠더의 차원이 교차하는 권력 구조 속에서 어떠한 논의를 생산해내고 있는지를 최근 한국 아이돌 그룹의 미백 보정 사진을 둘러싸고 일어난 화이트워싱/옐로우워싱 논쟁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K-뷰티의 핵심적 관습으로서의 미백이 백인 모방이라고 비판하는 입장과 오히려 그러한 비판 자체가 식민제국주의적 권력임을 주장하는 입장이 맞서는 과정에서, 아시아인에 대한 인종적 상상력에 비판적인 재고 및 수정의 가능성이 발견된다. 더불어 논쟁이 남성 아이돌에 집중된 양상을 들여다볼 때, 백인 남성 중심의 세계 인종 및 젠더 질서 안에서 새로운 영역 및 남성성의 대안적 가능성으로 해석되고 있는 아시아 남성을 발견할 수 있다. K-뷰티가 만들어낸 상호교차적 정체성의 수행은 향후 더 구체적인 질문을 동반하는 새로운 연구의 장으로서 인식될 필요가 있다 With the expansion of Hallyu, Korean beauty culture called ‘K-beauty’ is gaining its popularity. While K-beauty has proved its power via market figure, it also requires more qualitative cultural interpretation, because the beauty norm of a society is not only closely related to the gender and racial identity performance but also raises the issue of subject and power. In recognition of its significance, this study examines the skin-whitening culture of Korean society, which is the core of K-beauty conventions and explores what kind of changes and challenges it produces in terms of racial and gender imagery of Asians. Recently, some international fans of K-pop have accused the photos of K-pop idols as ‘whitewashing’, but others refute this perspective as ‘yellowwashing’, thereby triggering the critical debate on the racial identity and performativity of Asians. Moreover, as whitewashing/yellowwashing debate is focused on male idols, it also raises the questions in terms of gender performativity. The soft masculinity of Korean male idols is recognized as a new alternative against toxic masculinity of western society. Thus, the intersectional identity performativity produced by K-beauty needs to be recognized as a new field of research. 세계화와 디지털 문화를 바탕으로 한류가 확장되는 과정에서 소위 ‘K-뷰티’라고 불리는 한국의 뷰티 문화도 반향을 얻고 있다. K-뷰티에 대해서는 주로 시장의 성과 측면에서만 조명되고 있으나, 한 사회의 뷰티 규범은 젠더 및 인종적 정체성과 밀접하게 관련된 부분임과 동시에 주체와 권력의 문제를 동반한다는 점에서 질적인 해석이 요구되는 중요한 주제이다. 이러한 중요성에 입각해 본 연구는 K-뷰티의 핵심인 미백이 인종과 젠더의 차원이 교차하는 권력 구조 속에서 어떠한 논의를 생산해내고 있는지를 최근 한국 아이돌 그룹의 미백 보정 사진을 둘러싸고 일어난 화이트워싱/옐로우워싱 논쟁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K-뷰티의 핵심적 관습으로서의 미백이 백인 모방이라고 비판하는 입장과 오히려 그러한 비판 자체가 식민제국주의적 권력임을 주장하는 입장이 맞서는 과정에서, 아시아인에 대한 인종적 상상력에 비판적인 재고 및 수정의 가능성이 발견된다. 더불어 논쟁이 남성 아이돌에 집중된 양상을 들여다볼 때, 백인 남성 중심의 세계 인종 및 젠더 질서 안에서 새로운 영역 및 남성성의 대안적 가능성으로 해석되고 있는 아시아 남성을 발견할 수 있다. K-뷰티가 만들어낸 상호교차적 정체성의 수행은 향후 더 구체적인 질문을 동반하는 새로운 연구의 장으로서 인식될 필요가 있다 With the expansion of Hallyu, Korean beauty culture called ‘K-beauty’ is gaining its popularity. While K-beauty has proved its power via market figure, it also requires more qualitative cultural interpretation, because the beauty norm of a society is not only closely related to the gender and racial identity performance but also raises the issue of subject and power. In recognition of its significance, this study examines the skin-whitening culture of Korean society, which is the core of K-beauty conventions and explores what kind of changes and challenges it produces in terms of racial and gender imagery of Asians. Recently, some international fans of K-pop have accused the photos of K-pop idols as ‘whitewashing’, but others refute this perspective as ‘yellowwashing’, thereby triggering the critical debate on the racial identity and performativity of Asians. Moreover, as whitewashing/yellowwashing debate is focused on male idols, it also raises the questions in terms of gender performativity. The soft masculinity of Korean male idols is recognized as a new alternative against toxic masculinity of western society. Thus, the intersectional identity performativity produced by K-beauty needs to be recognized as a new field of research.

      • KCI등재

        K-Beauty의 현지국 수입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김도현(Do-hyun Kim) 한국국제상학회 2020 國際商學 Vol.35 No.3

        한류의 성장을 통한 효과적인 K-Beauty의 세계화 전략을 위한 K-Beauty의 현지국 수입결정요인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1995년부터 2019년까지 127개국의 패널 자료를 사용하여 공간효과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범위는 전체 국가, 아시아, 유럽, 아메리카, 중동, 아프리카 및 대양주로 구분하였다. 종속변수는 K-Beauty 수출, 독립변수로는 한류문화콘텐츠 수출, K-Beauty와 한류문화콘텐츠를 제외한 수출, 외국인 입국자 수, 한국 기업의 대상국 해외직접투자 규모를 사용하였으며, 더미 변수로는 한국과의 FTA 체결 여부를 사용하였다. 결과를 보면, 전체 국가에서는 K-Beauty 수출과 오차항은 주변 국가의 수출에 정(+)의 영향을 주는 공간효과가 있으며, 아시아, 유럽, 중동 지역에서 공간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국가 간의 근접도가 K-Beauty 수출을 예측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공간효과를 고려한 수출 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한국 제품의 사용은 호기심 증가와 문화의 친숙도 증가로 K-Beauty 제품 사용 증가로 이어진다. 한국 제품의 수출은 K-Beauty 수출에 긍정적인 큰 영향을 미치므로 박람회 등 한국 제품의 수출과 연계한 K-Beauty 수출 전략에 대한 고민이 필요할 것이다. 한류 문화콘텐츠 상품의 수출도 K-Beauty 수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디지털 네트워크를 통한 공격적인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Purpose :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that determine K-Beauty s import for an effective globalization strategy of K-Beauty through the growth of the Korean Wave. Research design, data, methodology : This study analyzed the spatial effect model using panel data from 127 countries from 1995 to 2019. The analysis was divided into all countries, Asia, Europe, America, the Middle East, Africa and Oceania. As the dependent variable, export of K-Beauty, export of Korean Wave cultural contents, export excluding K-Beauty and Hallyu cultural contents, number of foreigners, and the size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in target countries and FTA were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Results : In all countries, K-Beauty exports and error terms have a spatial effect that has a positive (+) effect on exports of neighboring countries and a spatial effect appears in Asia, Europe, and the Middle East. Conclusions : As the proximity between countries is an important factor in predicting K-Beauty exports, an export strategy that considers spatial effects will be needed. Since the export of Korean products has a positive and large impact on the export of K-Beauty, it will be necessary to consider the K-Beauty export strategy in connection with the export of Korean products such as fairs. The export of Hallyu cultural content products has also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export of K-Beauty, a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aggressive strategy through a digital network.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K-뷰티 특성화 교육과정 개발 연구 : 대학 내 학위과정의 유학생을 중심으로

        강소영(Kang Soyeo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2

        이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K-뷰티 특성화 교육과정을 마련하기 위해 광주여대의 Wellness-Beauty 특성화 사업목적에 맞는 실행과제로 진행되었다. 특정 지역 대학이 처한 환경과 상황을 고려하여 외국인 유학생의 취업 역량과 연계하여 한국어교육학과, 미용과학과, 서비스경영학과 세 전공 간의 융복합 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맞춤형 교육과정을 개발을 위해 K- 뷰티와 관련된 기존 연구를 고찰하고, 현재 국내 대학의 K-뷰티 관련 교과목 현황을살핀 후 K-뷰티 특성화 교육과정의 필요성을 역설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요구 분석을 통해 교육과정의 목표와 체제를 구체적으로 확립하였으며, 전문가 평가를 통해 교육과정에 포함되어야 하는 교육과정을 언어적 측면, 지식적 측면, 기술적측면, 태도적 측면으로 나누어 교육내용과 교과목을 예시로 제안하였다.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하여 마련된 광주여대 K-뷰티 특성화 교육과정의 내용은 향후 정규과정에 편성하여 학습자들의대학생활 만족도를 높이고, 취업 역량을 향상시키면서 질 높은 강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제화 및 특성화 사업 수행을 위해 중요한 자원이 될 수 있으며, 나아가 외국인 유학생 유치 확대와 더불어 지역 대학 중심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성과에 기여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prepare a K-beauty specialized curriculum for foreign students as an implementation task suitable for the purpose of Gwangju Women’s University’s wellness beauty specialization project. This study developed a convergence curriculum between Korean language pedagogy, beauty pedagogy, and service management majors in connection with the employment capabilities of foreign students in consideration of the environment and circumstances facing specific local universities. In order to develop a new curriculum, existing studies related to K-beauty were reviewed, and the necessity was emphasized by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of K-beauty-related subjects. In addition, the goals and systems of the curriculum were specifically established through analysis of learners’ needs, and the curriculum to be included in the curriculum was divided into linguistic, knowledge, technical, and attitude aspects and proposed as examples. The contents of the Gwangju Women’s University K-beauty specialized curriculum, which reflect the needs of learners, can be expected to be organized in future regular courses to increase learners’ satisfaction with college life and improve employment capabilities.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paper can be an important resource for internationalization and specialization projects, and further contribute to the results of securing competitiveness centered on local universities along with expanding the attraction of foreign students.

      • K-pop 스타들의 이미지 트렌드 사례분석 연구

        정지호(Ji-Ho Jeong) 한국뷰티산업학회 2020 뷰티산업연구 Vol.14 No.1

        K-pop은 세 계적인 주목을 받고 있으며 한국을 대표하는 수출산업으로 자리매김하여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단순히 K-pop 뿐만 아니라 한국문화와 패션 및 뷰티를 결합시킴으로서 글로벌 마켓을 공략해 나가고 있다. 이는 각종 관련사업 발전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다. 각종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유튜브 등 다양한 미디어의 발전과 급성장 속에서 글로벌 대중문화로 자리 잡은 K-pop의 발전요인을 살펴보고 한국을 대표하는 K-pop 스타인 트와이스와 방탄소년단의 음악, 패션, 뷰티 트렌드 사례를 분석하고 이와 더불어 패션, 뷰티산업의 소비동기, 유형, 선호도, 한국제품, 서비스 소비 등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K-pop스타들로 인한 신한류 열풍은 문화현상을 넘어 우리나라 경제성장을 주도하는 견인차 역할까지 하고 있으며 K-pop, K-beauty, K-fashion이 한류문화의 경쟁력 즉 고부가가치산업으로 성장함과 감성소비 사회로의 성장에 있어 그 원동력 또한 K-pop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K-pop, K-beauty, K-fashion의 지속적인 사례분석 및 연구를 통하여 신한류열풍이 미래문화산업에서 주도적으로 발전하길 기원하며 우리나라 문화, 경제에 큰 역할이 되어주길 바란다. K-pop is getting the global spotlight and it has establishedits elf as Korea s representative export industry, creating economic added value. It is targeting the global market by combining Korean culture, fashion and beauty beside, not just K-pop simply. It is also contributing greatly to the development of various related businesses. In the development and rapid growth of medias such as various social network services(SNS), YouTube, etc, it examinedthe development of K-pop, which has become a global pop culture and analyzed the motivation for consumption, types, preference, Korean products, and service consumption of the fashion and beauty industries along with the case analysis of musics, fashions, and beauty trends of TWICE and BTS, representative K-pop stars. Through this analysis, it showed that the new wave of Hallyu by K-pop plays a leading role in Korea s economic growth beyond the cultural phenomenon and the driving force of the competitiveness of Hallyu (Korean wave) of K-pop, K-beauty, and K-fashion, that is, growth into a high value-added industry and a society of emotional consumption was also K-pop. It is expectedt hat the new fever of Hallyu can play a leading role in the future culture industry and a major role in Korea s culture and economy through the continuous case analysis and research of K-pop, K-beauty, and K-fashion.

      • KCI등재

        K-Beauty 미용산업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표영희 중소기업융합학회 2021 융합정보논문지 Vol.11 No.12

        The K-Beauty beauty industry is emerging as a future-oriented growth industry that creates high added value.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trends of the K-Beauty beauty industry, the latest cosmetics industry trends, and previous studies and reports related to global competitiveness with the purpose of suggesting a direction to develop into a promising industry with future value needs and competitiveness of consumers. First, it is necessary to induce the demonstration of social and economic value as an export-beneficial industry by enabling division of roles between industries and governments by sector based on innovation and creativity. Second, it is expected to succeed only when beauty and IT are fused to form and expand an innovation network. Finally, if legal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s are preceded to solve the task of creating new jobs and fostering professionals that meet the goals of industrial development, it will be possible to strategize the revitalization of the future-oriented K-Beauty beauty industry. K-Beauty 미용산업은 고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한 미래지향적 성장산업으로 부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소비자들의 미래가치적 니즈와 경쟁력을 갖춘 지속적인 유망 산업으로 발전하기 위한 방향성 제시를 목적으로 K-Beauty 미용산업의 동향, 최신 화장품 산업 트렌드, 글로벌 경쟁력 관련 선행연구와 보고서를 분석하였다. 먼저 혁신성과 창의성을 기반으로 산업과 정부의 부문별 역할 분담을 가능하게 하여 수출효자 산업으로의 사회적, 경제적 가치의 입증을 유도해야 하며, 두 번째는 정보통신기술을 기반으로 뷰티와 IT를 융합하여 혁신네트워크 형성과 확대를 도모해야 성공할 것으로 보여지며, 마지막으로 정부가 제시한 비전에 발맞추어 신규일자리 창출과 산업발전 목표에 맞는 전문인력 양성이라는 과제 해결을 위한 법적, 제도적인 개선이 선행된다면 미래지향적인 K-Beauty 미용산업 활성화를 전략화 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 KCI등재

        한류호감도가 유튜브 K-beauty 채널 선호도 및 한국화장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베트남내 유튜브 인플루언서를 활용하여-

        이혜리,채명수,정갑연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 2022 창조와 혁신 Vol.15 No.4

        As the aesthetic appearance of Korean Wave stars has been exposed through K-Pop and K-Drama due to the continuous Korean Wave, foreign consumers' interest and favorability in the K-beauty industry are increasing.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Vietnam, which is in the Korean Wave popularization stage, the cosmetics market is growing rapidly. Vietnamese consumers have recently used various information about K-Beauty through YouTube channels. In line with this trend,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how Korean Wave favorability in Vietnam affects YouTube K-Beauty channel preferences and Korean cosmetics purchase intentions. In this study,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elements that constitute Korean Wave favorability were classified into K-Pop, K-Drama, and Korean Wave star favorability and approached multidimensionally. To this end, data were collected from 161 people who had purchased K-Beauty using YouTube channels in Vietnam. SPSS and AMO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it was found that K-Pop, K-Drama, and Korean Wave star favorability, which are components of Korean Wave favorability, all have a positive effect on YouTube K-Beauty channel preference. In addition, it was verified that YouTube K-Beauty channel prefer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Korean cosmetics purchase intention.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nfluence on Korean Wave favorability in Vietnam and K-Beauty's preference using YouTube channels was confirmed, and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were presented.

      • KCI등재후보

        한류문화 발전에 미치는 한국 메이크업 산업

        임도연(Im, Do-Youn) 한국문화산업학회 2015 문화산업연구 Vol.15 No.4

        우리나라는 전 세계적으로도 그 유래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정보화된 환경을 가지고 있으며, 관련된 산업 분야의 성장이 높은 편이다. IT 및 전자분야의 기술 발달로 HD(High definition) 방송 및 영상이 이미 어느 정도 대중화되었고 이제는 UHD(Ultra high definition) 방송이 시작되기에 이르렀으며, 인터넷 기반의 통신기술이 발달하면서 관련된 콘텐츠의 개발에 속도가 붙고 있다. 대표적인 콘텐츠가 영상이나 그래픽에 관련된 것인데, 특히 한류문화의 대표적 영역인 드라마나 영화, K-pop 등은 이러한 콘텐츠의 종합적인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한류 영역에 필수적인 요인으로 작용되고 있는 메이크업 산업은 더욱 수준 높은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K-pop 과 드라마 등 한류열풍의 가장 큰 혜택을 받은 것은 바로 메이크업을 포함한 뷰티 분야이다. 이와 같은 한류의 영향으로 인해 큰 수혜를 받은 K-Beauty는 아직까지 한류문화의 종속적인 요소로서 인지되고 있다. 그러나 미래의 한류문화는 문화 전반적인 영역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해외에서의 현지화 전략 등 다양한 환경에의 적응성도 중요해 질 것이다. 따라서 다분히 종속적인 요소로서의 메이크업 분야가 아닌 독자적이면서 주도적인 한류문화의 한 산업분야로서 역할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한류의 확산으로 한국으로 메이크업을 배우러 오는 외국학생들이 증가하고 국내 메이크업아티스트들의 해외진출도 활발해지고 있다. 그러므로 현재 메이크업 산업과 관련된 분야의 연구에서 우리나라 스타일뿐만 아니라 외국인들도 관심 가질 수 있게 한국의 메이크업을 더 발전시키고 널리 알리려는 노력을 해야 할 필요가 있다.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electronics has allowed people to share HD (high definition) and UHD (ultra high definition) contents through internet based social network services and broadcasting system. Moreover, Korean wave culture has been linked to growth of Make-up industry (K-Beauty) around the world. This study focused on the effect of K-Beauty on the Korean wave culture and investigated the present and the future of K-Beauty.Meanwhile, the cosmetics industry includingMake-up products is growing yearly because of the KoreanWave. Above all, the number of foreign tourists who visited Korea for the purchasing of Korean cosmetics. Nowis the time for the major industry field in Korean Wave. in other words, it needs to play a proactive role for next generation of the Korean Wave. New customers of the K-Beauty in the KoreanWavewant to diversify its contents and products. 우리나라는 전 세계적으로도 그 유래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정보화된 환경을 가지고 있으며, 관련된 산업 분야의 성장이 높은 편이다. IT 및 전자분야의 기술 발달로 HD(High definition) 방송 및 영상이 이미 어느 정도 대중화되었고 이제는 UHD(Ultra high definition) 방송이 시작되기에 이르렀으며, 인터넷 기반의 통신기술이 발달하면서 관련된 콘텐츠의 개발에 속도가 붙고 있다. 대표적인 콘텐츠가 영상이나 그래픽에 관련된 것인데, 특히 한류문화의 대표적 영역인 드라마나 영화, K-pop 등은 이러한 콘텐츠의 종합적인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한류 영역에 필수적인 요인으로 작용되고 있는 메이크업 산업은 더욱 수준 높은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K-pop 과 드라마 등 한류열풍의 가장 큰 혜택을 받은 것은 바로 메이크업을 포함한 뷰티 분야이다. 이와 같은 한류의 영향으로 인해 큰 수혜를 받은 K-Beauty는 아직까지 한류문화의 종속적인 요소로서 인지되고 있다. 그러나 미래의 한류문화는 문화 전반적인 영역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해외에서의 현지화 전략 등 다양한 환경에의 적응성도 중요해 질 것이다. 따라서 다분히 종속적인 요소로서의 메이크업 분야가 아닌 독자적이면서 주도적인 한류문화의 한 산업분야로서 역할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한류의 확산으로 한국으로 메이크업을 배우러 오는 외국학생들이 증가하고 국내 메이크업아티스트들의 해외진출도 활발해지고 있다. 그러므로 현재 메이크업 산업과 관련된 분야의 연구에서 우리나라 스타일뿐만 아니라 외국인들도 관심 가질 수 있게 한국의 메이크업을 더 발전시키고 널리 알리려는 노력을 해야 할 필요가 있다.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electronics has allowed people to share HD (high definition) and UHD (ultra high definition) contents through internet based social network services and broadcasting system. Moreover, Korean wave culture has been linked to growth of Make-up industry (K-Beauty) around the world. This study focused on the effect of K-Beauty on the Korean wave culture and investigated the present and the future of K-Beauty.Meanwhile, the cosmetics industry includingMake-up products is growing yearly because of the KoreanWave. Above all, the number of foreign tourists who visited Korea for the purchasing of Korean cosmetics. Nowis the time for the major industry field in Korean Wave. in other words, it needs to play a proactive role for next generation of the Korean Wave. New customers of the K-Beauty in the KoreanWavewant to diversify its contents and produ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