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논문(論文) : 기자조선에 대한 문헌적 분석

        홍을표 ( Eul Pyo Hong ) 강원대학교 사학회 2011 江原史學 Vol.0 No.25

        기자조선의 실존여부는 시대의 필요에 따라 상반된 주장과 인식이 있어왔다. 이러한 현상은 오늘날에도 달라지지 않고 동북공정(東北工程)을 진행중인 중국에서는 ``한민족(韓民族)은 기자조선과 고구려를 도용해 갔다``는 논리까지 전개시키고 있다. 그 주장대로 과연 우리가 기자조선을 도용해 갔는지, 그리고 기자조선은 실존했는지를 확인해 보기 위하여 먼저 중국 측 문헌에 있는 기자와 관련된 내용들을 다음과 같이 분석해 봤다. 첫째, 중국 25사(史) 중에서 기자조선과 가장 근접한 시기에 저술된 『사기(史記)』는 어느 곳에도 ``기자조선(箕子朝鮮)``이란 문구를 찾아 볼 수 없었다. 다만 <세가(世家)>38권, <송미자세가(宋微子世家)>제8에 "기자를 조정에서 봉하였으나 고결하여 신하가 되지 않았다(乃封箕子於朝鮮而不臣也)"라는 구절이 있다. 기자조선 설은 이것을 ``기자를 조선에 봉하고 신하로 삼지 않았다(乃封, 箕子於朝鮮, 而不臣也)``로 해석하여 발생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기자를 조정에서 봉하였으나 고결하여 신하가 되지 않았다(乃封, 箕子於朝, 鮮而不臣也)``라고 표점하여 해석하면 기자와 조선은 상관없는 기록이 된다. 뿐만 아니라 ``기자를 조선에 봉하였으나 신하가 되지 않았다(乃封, 箕子於朝鮮, 而不臣也)``로 해석하더라도 기자는 무왕(武王)의 신하가 되는 것을 거부했기에 조선에 봉해지지 않았다는 뜻이 된다. 이것을 입증할 수 있는 기록이 다음과 같은 『사기』의 글에서 찾아 볼 수 있었다. ① 기자가 폐허가 된은의 옛 도읍지를 지나가며 보리의 시(麥秀之詩)를 읊었다는 기록. ② 주무왕(周武王)이 재위 2년 되는 해에 기자를 만나 얘기한 일. ③ 주공(周公)이 당숙우(唐叔虞)를 진(晉)에 책봉한 것을 기자가 논평한 기록 등으로, 이때 기자는 조선이 아닌 중국에 거주하고 있었다는 것을 입증할 수 있었다. 둘째, 『한서(漢書)』등을 비롯한 이후의 중국 사서들은 대부분 기자조선을 기정사실로 기록하고 있지만 『한서』를 주석한 안사고(顔師古)는 기자조선설에 부정적인 입장을 밝히고 있었다. 셋째, 『역경(易經)』은 기자의 정명(貞明)이니 명이(明夷)니 하며 기자(箕子)에 대하여 적지 않은 논의를 하고 있지만 기자가 조선에 갔다는 내용은 단한 구절도 없다. 단지 후세에 이것을 주석한 인물들이 기자동래설을 주장하고 있었다. 공자가 동이 땅에 가서 살고 싶어 했다는 설도 있지만 『논어(論語)』의 본문에는 동이(東夷)가 아닌 구이(九夷)라 되어 있다. 동이(東夷)란 한반도를 가리킬 수 있지만 구이(九夷)는 여러 오랑캐를 총칭한 대명사로 한반도와는 관련이 적다. 그래서 공자가 동이 땅에 살고 싶어 했다는 말은 잘못지어진 설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箕子의 姓은 ``子``씨이고, 조선 왕들의 성은 ``箕``씨였으니, 기자와 조선은 서로 연계될 수가 없었다. 기자조선을 부정하는 견해는 송(宋)의 소식(蘇軾)과 조여모(趙汝謀), 명(明)의 마명형(馬明衡), 청(淸)의 호위(胡渭)와 계방(桂芳) 등이 쓴 글에서도 찾아볼 수 있었다. 기자로부터 3000여년이 흘러 내려온 지금 그의 정확한 행적을 파악하기는 불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중국문헌들을 검토해 본 결과 기자동래설이 사실이 아니었다는 기록을 여러 곳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There have been conflicting argument and awareness whether Gija Josun(箕子 朝鮮) existed or not according to the requirement of the times. This phenomenon has not changed up to date and China carrying on a five-year research program on Northeast Asia(東北工程) is even setting out a logical argument, "The Korea people stole Gija Josun and Goguryeo." To ascertain whether we really stole Gija Josun as they alleged and Gija Josun existed or not, I firstly analysed the related contents to Gija in Chinese literatures as follows. First, I couldn``t find out any phrase of ``Gija Josun(箕子朝鮮)`` in "Shi ji(史記)" written at the nearest time to the Gija Josun period in the Chinese 25 histories. But there is a sentence, "Appointing Gija in government, but he didn``t become a retainer for his nobility(乃封箕子於朝鮮而不臣也)." at chapter 8 of Song wei zi shi jia(宋微子世家) in the 38th volume of Shi jia(世家). This view about Gija Josun seems to come from construing that sentence as the meaning, "Appointing Gija to Josun and not making him a retainer(乃封, 箕子於朝鮮, 而不臣也)." But if we add some commas and interpret it as the meaning, "Appointing Gija in government, but he didt``t become a retainer for his nobility(乃封, 箕子於朝, 鮮而 不臣也)." Gija and Josun become completely unconnected records. In addition, even construing it as the meaning, "Appointing Gija to Josun, but not being a retainer(乃封, 箕子於朝鮮, 而不臣也)", it means that Gija refused to be a Wu wang(武王)``s retainer, so he wasn``t appointed to Josun. The records to prove this view could be found from the contents of "Shi ji(史記)" as follows. Through ① the records that Gija recited a poem of Mai xiu(麥秀之詩) as passing the old capital of Yin(殷) in ruins, ②the matter that Zhou wu wang(周武王) met Gija to go over something after a reign of 2 years and ③the records for Gija to make a comment on the thing that Zhou gong(周公) installed Tang shu yi(唐叔虞) in Jin(晉), it is possible to prove that Gija lived not in Josun, but in China at that time. Second, Gija Josun was written as an established fact in most Chinese history books including "Han shu(漢書)" and others after that time, but Yan shi gu(顔師 古) annotating "Han shi(漢書)" was defining his negative position on the Gija Josun view. Third, there are not a few discussions on Gija in "The Book of Changes(易經)" such as referring to Gija``s Zhen ming(貞明) or Ming yi(明夷), but there isn``t any phrase that Gija went to Josun. Only people commenting on it on posterity assert the view that Gija went east and became a king of Josun(箕子東來說). There is a saying that Confucius wanted to go to the Dong yi(東夷) territory and live there, but the recorded is not Dong yi(東夷) but Jiu yi(九夷) on the text of "The Analects of Confucious(論語)". Dong yi(東夷) refers to the Korean Peninsula, but Jiu yi(九夷) is little related to it as the general byword for the various barbarians . Therefore, I could check the fact that the saying, "Confucius wanted to live in the territory of Dong yi(東夷)" was a view made by mistake. Fourth, the family name of Gija is "Zi(子)" but the one of Josun royalties is "Ji(箕)", so Gija is nothing to do with Josun. The opinions denying Gija Josun could be found in writings Song``s Su shi(蘇 軾) and Zhao ru mo(趙汝謀), Ming``s Ma mang heng(馬明衡) and Qing``s Hu wei (胡渭) and Gu1 fang(桂芳) wrote. It would be impossible to search out Gija``s exact past when 3,000 years went by after his life. But I could check that the view for Gija to go east and be a king of Josun(箕子東來說) was not true on investigation into Chinese documents.

      • KCI등재

        신라초 북부여계 파소·박혁거세의 단군조선 계승과 태백산의 마고제천 - '백두산 신시'를 이은 '태백산 신시'의 중창 -

        정경희 ( Jung Kyung-hee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18 선도문화 Vol.25 No.-

        B.C. 3세기~B.C. 1세기 무렵 단군조선의 와해 과정에서 단군조선의 많은 엘리트 세력이 한반도·일본열도 방면으로 이주하였다. 북부여 왕실 출신의 선가 파소·박혁거세 세력은 한반도 남쪽 경주 분지로 이주, 仙桃山 ‘壇(祭天壇)·廟(祭天廟)’에서의 ‘마고제천’을 통해 사상·종교적 주도 권을 장악하였고 이로써 6촌 세력의 규합에 성공, 사로국을 개창하고 진한의 맹주로 도약하였다. 선도 전통에서는 단군조선이 중국 한나라에 밀려 와해된 근본 원인을 음양오행론이라는 현상(물질)에 치우친 가치관이 단군조선으로 유입되어 단군조선의 삼원오행론, 곧 본질(생명氣, 밝음)과 현상(물질)을 하나로 바 라보는 전통적인 가치관을 와해시켰던 때문으로 본다. 단군조선·북부 여계엘리트 선가였던 파소·박혁거세는 이러한 인식에 따라 중국문화에 대한 경계와 방어를 표하고 단군조선의 선도문화에 대한 강력한 수호 의지를 천명하였다. 단군조선의 선도 복건론은 ‘符都復建論’으로 개념화되었다. ‘符都’란 ‘천 부사상의 중심지’라는 뜻으로 단군조선을 의미하는데, 이때의 단군조선은 ‘영토·정치’의 차원이 아니라 ‘사상·문화’의 차원, 곧 ‘선도문화’의 차원이었다. 고구려 ‘多勿主義’류의 ‘단군조선의 구토 회복론’과 차별화되는 단군조선의 사상·문화적 정체성 회복론으로 그 사상사적 가치가 다대하다. 박혁거세가 추진한 선도 복건 정책의 중심에는 ‘백두산의 신시(제천단 시설)를 계승한 태백산 신시 중창’ 사업이 자리하였다. 단군조선의 삼신 산이었던 태백산(현 백두산)과 백두대간으로 연결되어 있는 남태백산(현 태백산)을 백두산을 대신한 새로운 삼신산으로 지목, 그 정상에 제천단을 중창하였다. 이는 당시 진한 일대에서 펼쳐진 새로운 차원의 마고제천문 화를 보여주는 상징적 사건이다. 백두산 신시의 직접적인 계승을 표방하면서 행해진 남태백 신시에서의 제천은 단군조선계 유민들의 깊은 공감을 이끌어내었고 이러한 이념성은 진한12국을 결집시키는 핵심 명분으로 작용, 사로국을 진한12국의 맹주로 우뚝 서게 하였다. Around the third century B.C. ~ the first century B.C., many dominant elites of Dangun Josun檀君朝鮮 migrated toward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Japanese archipelago during the disintegration process of Dangun Josun. Especially Princess Faso婆蘇 and her son Park Hyeok-geose朴赫居世 who came from North Buyeo北扶餘 royal family migrated to the Gyeongju慶州 branch in the south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ook control of ideological and religious initiative through the ‘Sundo Heaven rituals(Mago Heaven rituals)’ at the ‘Mt. Sundo仙桃’s Heaven rituals Altar祭天壇 and Heaven rituals Shrine祭天廟. With this, they succeeded in the consolidation of the six villages and opened Saroguk斯盧國, at last became the central nation of the Jinhan辰韓 Federation. In Sundo’s historical awareness, the reason why Dangun Josun was pushed to the Chinese Han漢 was that the value of China(Yin and Yang theory) had flowed into Dangun Josun and had broken down the traditional values(The idea of the five natural elements of the three dimensions三元五行論) of Dangun Josun. According to this recognition, Faso and Park Hyeok-geose expressed their vigilance and defense consciousness to Chinese Culture and declared strong will to protect Dangun Josun’s Sundo Culture. ‘The idea of Dangun Josun’s Sundo Reconstruction’ was conceptualized as ‘the theory of Budo符都 Reconstruction’. ‘Budo’ means ‘the center of Sundo thought’. At this time, Dangun Josun was not only a dimension of ‘territory and politics’ but a dimension of ‘ideology and culture’. It was the theory of Dangun Josun’s ideological and cultural identity Restoration. It was different from ‘Dangun Josun’s old territory Restoration’. The key issue of the Sundo Reconstruction policy pursued by Park Hyeok-geose was the Rebuilding of ‘Mt. Taebaek太白’s Shinshi神市(Heaven rituals Altar)’, which inherited ‘ Mt. Baekdu白頭’s Shinshi.’ Mt. Taebaek which is connected to Mt. Baekdu(Mt. Samshin三神山(the holy mountain of Sundo) of Dangun Josun), was designated as new Mt. Samshin of the Jinhan Federation. The Rebuilding of ‘Mt. Taebaek’s Shinshi was the symbolic event showing a new development of Mago Heaven rituals spreading in the Jinhan Federation at the time. Mago Heaven rituals at Mt. Taebaek’s Shinshi, which was expressed the direct succession of Mt. Baekdu’s Shinshi, led to deep empathy for refugees of Dangun Josun. It served as a central cause of the union of the Jinhan Federations and led Saroguk to stand firmly as the ruler of the Jinhan Federations.

      • KCI등재

        『皇華集』 출현 배경으로서의 世宗의 국가경영

        김은정 열상고전연구회 2017 열상고전연구 Vol.56 No.-

        『皇華集』은 조선에 온 明나라 사신과 조선의 문신이 서로 주고 받은 시문을 모 은 책으로, 朝明 두 나라의 특수한 외교 관계에 입각해 편찬․간행된 것이다. 조 선과 명은 冊封/朝貢의 외교 관계에 따라 수시로 사신을 파견하였다. 초기 조명 관계는 국제정세에 따라 갈등하기도 하였지만 15세기에 접어 들어 안정적으로 유 지되었다. 특히 世宗은 지속적인 事大 정책을 펴면서도 실리를 추구하는 외교정 책을 펼쳤다. 세종 통치 마지막 해인 1450년(세종 32)에 문관 출신인 倪謙이 頒登極詔使 로 와서 다수의 시문을 창작하고, 자신의 시문을 조선 관원에 보여 鄭麟趾 등이 이에 수창하였다. 예겸은 귀국하여 조선관원의 시문을 포함하여 『遼海篇』을 간행 하는데, 여기에는 조선에 대한 긍정적․부정적 시각이 포함되어 있었다. 이는 조 선 조정이 明使로부터 시문 수창집 간행 요청을 곧바로 수락하는 계기가 되었다. 『황화집』 간행은 정례화되었고, 이후 황화집은 조명 관계에 따라 성행하고 쇠 퇴한다. 황화집은 조명 외교 관계의 추이를 문학적으로 보여주는 중요한 성과물 인 것이다. 『황화집』이 간행될 수 있었던 것은 세종의 국가 경영에 공론의 정치에 입각한 적극적인 외교 정책, 集賢殿을 통한 인재 양성, 文章華國의 실용적인 문학관이 있었기 때문이다. 외교 면에서 세종은 事大외교를 하면서도 동아시아의 국제 정 세의 변화에 즉각적으로 반응을 하되, 그 대책은 고금의 전적을 두루 살피고 토론 을 하여 합리적인 정책을 펼쳤다. 결과적으로 세종은 명의 신뢰와 조선의 실리를 모두 얻을 수 있었다. 명의 조선에 대한 신뢰 및 국제 정세의 변화는 문관 출신의 명사를 파견하게 하였고, 집현전에서 학문과 詩學을 닦은 인재들이 시문수창을 성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조선이 문명국임을 드러낼 수 있게 된 것이다. 현대 국 가 경영과 외교 정책 수립에 있어서 세종의 지도력과 경영철학은 시사하는 바가 많다고 하겠다. The Huanghwajib(『皇華集』) is a collection of poems exchanged between the Ming envoy and Josun governor, compiled and published on the basis of special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Josun and Myung dispatched ambassadors from time to time in accordance with the diplomatic relations of investiture and tribute. Although the initial Josun-Ming relationship has been in conflict with the international situation, it has remained stable since the 15th century. However, the Ming court sent the envoys who were eunuchs from Josun. In 1450 (Sejong 32), the last year of King Sejong's reign, Ye-geum[倪謙] was municipal government. Ye-geum showed his poems to the Josun governor, and Chung Inji(鄭麟趾) and many others made poems to respond. The Yohaepyeon(『遼海 篇』) which was published after returning home, included a poem written by the Josun governor, and raised a positive perception of Josun.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lso a negative view of Josun, and Josun did not appreciated it. So the Josun Dynasty published the Huanghwajib. Since then, the Huanghwajib had become popular and decline according to the Josun-Ming relationship. The Huanghwajib is an important achievement that literally shows the trend of the foreign relations between Josun and Ming. The reason why the Huanghwajib was able to be published was that there were active foreign policy based on the politics of public opinion in the national management of King Sejong, the cultivation of talent through the Jiphyeonjeon(集賢 殿) and the practical literary view. In terms of diplomacy, Sejong responded promptly to changes in international affairs in East Asia, while pursuing diplomatic relations depending on the classics from the ancient to the contemporary and on discussions. As a result, King Sejong was able to obtain both the trust of his name and the will of Josun. The trust in the Josun dynasty and the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situation led the Ming court to dispatch scholar-bureaucrats; and the success of the scholars who established the scholarship and poetry at Jiphyeonjeon show that the Josun was civilized. Sejong's leadership and management philosophy have many implications in modern national management and foreign policy making.

      • KCI등재

        유일사상체계의 ‘서곡’ -1950년대 후반 조선작가동맹 중앙위원회 전원회의를 중심으로-

        남원진 ( Nam Won-jin ) 한국문학연구학회 2023 현대문학의 연구 Vol.- No.80

        이 글은 1950년대 후반 조선작가동맹 기관지의 결절지점을 기초로 하여, 조선작가동맹 중앙위원회 전원회의의 층위를 점검하고자 한다. 조선작가동맹 기관지사에서, 기존 연구와 달리 각 기관지의 1959년 1월호는 제3차 조선작가동맹 전원회의가 강제적으로 만든 굴절지점이며, 더 나아가 1959년 7월호의 익명의 편집위원회 체제는 제2차 조선작가대회 이후 편집위원회의 자율성 강화에 대한 그 역풍의 최종적 결과인데, 다성적 목소리를 억압하여 단성적 목소리만을 강요하는 단일지도체제로 나아가는 중요한 이정표가 된다. 1959년 4월 제4차 전원회의는 공산주의 문학 건설과 부르주아 사상 잔재 비판이라는 두 축의 최정점에 위치한 회의인데, 한때 조선작가동맹 지도기관을 이끈 핵심분자였던 홍순철 및 안막, 윤두헌, 서만일 그리고 조중곤, 김순석, 박태영, 김명수 등의 비판을 총결하는 자리이다. 1957년 11월 제2차 전원회의에서 홍순철은 ‘8월 전원회의 사건’과 직접 관련되어 ‘반당종파분자’로 호명되어 정치적으로 숙청된다. 이와 달리 안막, 윤두헌, 서만일은 ‘당적 지도’ 문제와 연관되어 ‘제명’되며, 조중곤, 김순석, 박태영, 김명수는 부르주아 사상 잔재 비판과 관련되어 ‘해임’된다. 제4차 조선작가동맹 전원회의에서는 북조선 사회에 대한 부정성이 아니라 사회주의 고조기에 합당한 긍정성, 이를 기초로 한 긍정적 주인공, 즉 공산주의자의 전형 창조가 그 미학적 과제로 제시된다. 이 전원회의 이후 북조선 문예계에서는 1930년대 항일무장투쟁의 영향 아래에서 조선프롤레타리아문학이 발전했다는 북조선 ‘만’의 문학사가 정리된다. 항일혁명투쟁사가 조선프롤레타리아문학의 위에 군림하는 것. 이는 제2차 조선작가대회 체제에서 기존 체제를 비틀고 헤집는 해방적 기능을 담지한 다성적 목소리를 소거하여, 북조선 지도체제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또는 침묵을 강요하는 단성적 목소리로 수렴되는 것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표징이다. 이런 조선작가동맹의 단성적 체제 또는 단일지도체제는 유일사상체계로 나아가는 길의 ‘징후’이다. 여러 논의가 필요하지만, 북조선 문학장의 급격한 변동, 즉 조선작가동맹 조직기관의 재정비나 작가와 작품의 재평가와 선별 작업, 미디어 체계의 일원화뿐만 아니라 조선문학에 대한 항일혁명문학의 지배 등이 이를 일차적으로 예증한다. 이런 단성적 체제는 유일사상체계로 나아가는 길의 ‘서곡’에 해당된다. Based on the inflection point of the Central Committee of the Congress of Josun Writers in the late 1950s, this article attempts to examine the level of the 4th plenary session of the Congress of Josun Writers. In the history of the Congress of Josun Writers, the January’s issue in 1959 of each organization is a refraction point that was forcibly created by the discourse of Kim Il Sung’s communist culture, and the July edition of the anonymous editorial committee in 1959 is the result of its backlash against strengthening autonomy after the 2nd North Josun Writer’s Convention, which is an important milestone in moving toward the collective leadership system that suppresses multiple voices and forces only one voice. And in April 1959, the 4th plenary session was the culmination of criticism of communist literature establishment and bourgeois ideology remnants, and it was a place to collect criticism from Hong Soon Cheol, An Mak, Yoon Doo Heon, Seo Man Il, Cho Joong Gon, Kim Soon Seok, Park Tae Young, and Kim Myung Soo, key members who once led the leadership of the Congress of Josun Writers. At the 2nd plenary session in November 1957, Hong Soon Cheol was executed as an ‘anti-party sectarian’ directly related to the ‘August Faction Incident’. On the other hand, An Mak, Yoon Doo Heon, and Seo Man Il were ‘removed’ in connection with the issue of ‘Communist Leadership’, while Cho Joong Gon, Kim Soon Seok, Park Tae Young, and Kim Myung Soo were ‘disappointed’ in connection with criticism of the remnants of bourgeois ideology. In addition, at this plenary session, the creation of a positive character, was presented as an aesthetic task, not a negativity toward North Josun society, but a reasonable positivity at the time of the rise of Chollima. After the 4th plenary session, North Josun’s won literary history that Josun proletarian literature develop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anti-Japanese armed struggle in the 1930s is summarized in North Josun’s literary and artistic field. The history of the struggle for the anti-Japanese revolution reigns over Josun’s proletarian literature. This eliminated the multiple voices containing the liberating function of twisting and digging through the existing system, representing the voice of the North Josun leadership system, or symbolizes the convergence of monolithic voice that forces silence and this monolithic system or a single leadership system of the Congress of Josun Writers corresponds to the ‘prelude’ to the path to the monolithic ideological system.

      • KCI등재

        도래하는 "대조선(大朝鮮)", 귀환하는 "영지(靈地)" - 최남선 『조선유람가』의 문화정치학 -

        최현식 ( Hyun Sik Choi ) 한국시가학회 2014 韓國 詩歌硏究 Vol.37 No.-

        이 글은 최남선의 『조선유람가』(1928)의 문학사적·문화정치학적 가치와 의미를 동시에 제고하기 위해 작성된다. 장편창가 『조선유람가』는 1920년대 중반 ‘조선주의’와 ‘불함문화’를 널리 표방하기 위해 작성된 시조집 『백팔번뇌』와 기행문 『백두산근참기』 『심춘순례』 「풍악기유」(『금강예찬』) 등에 비해 비교적 덜 알려져 있다. 『조선유람가』는 당시로서는 퇴조기에 접어들던 ‘영사’ 형식을 빌려, ‘대조선’의 영웅과 역사, 인문과 자연 등을 예찬하는 장편창가, 곧 ‘만들어진 전통’이었다는 것이 본고의 입장이다. ‘대조선’의 소환은 서사시적 과거의 기억과 현재화, 그를 통한 조선적 정체성의 확립과 미래로의 투기를 도모하는 탈식민 혹은 저항의 문화정치학이었다. 요컨대『조선유람가』는 실제 여행과 그에 대한 정서의 기록과 표출을 목표하는 시조집이나 기행문과 달리, 과거(역사)와 지리 정보를 자유롭게 통합, 배치함으로써 ‘조선주의’의 폭넓은 확장과 심화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상상되고 기대되었다. 본고는 이런 사실들을 논구하고 증명하기 위해 ≪동아일보≫본 『조선유람가』와 이를 수정·보완한 한성도서본 『조선유람가』를 비교 분석하였다. 특히 전자에 수록되었으나 후자에서 탈락한 경성의 창경원 부분, 후자에 보충된 측우기, 활자등을 중심으로 경성과 궁궐을 둘러싼 공간의 지배를 향한 일제의 식민주의 및 그에 대한육당의 탈식민적 저항의 면모를 주의 깊게 살펴보았다. 또한 『조선유람가』의 핵심으로 생각되는 백두산과 영웅 서사, 당시 조선 투어리즘의 핵심 장소 금강산과 경주에 대해서도 복합적으로 검토했다. 먼저 이것들을 ‘조선주의’와 ‘불함문화’의 근원적 장소로 예찬하는 육당의 심미적 시선과 태도를 주목했다. 또한 이것들을 식민지의 폐허화된 유물 내지 식민지 본국의 성스러운 자연에 비해 그 가치가 미약한 공간으로 바라보았던 일제의 식민주의적 시선 역시 고찰함으로써 육당의 탈식민적 문화정치학의 가치를 입체화하고자 했다. 마지막으로 함께 실린 요약본 창가 『조선유람별곡』을 살펴봄으로써 육당이 조선의 역사와 영웅, 자연 등의 우수함을 대중들이 보다 쉽게 체득할 수 있도록 노력했음을 다시 한번확인하고자 했다. This article is written to consider the value and meaning of Choi, Namsun`s Josun-Yuramga(1928) from the viewpoint of history of literature. Josun-Yuramga, a full-length changga, is known relatively less than the sijo collection, Baekpalbeonnoe, or travel literature, Baekdusan-Geunchamgi, Simchun- sunrye, or "Pungakgiyu"(Geumgangyechan) written in order to publicize the mid-1920`s ‘Josunjuui’ and ‘Bulham Culture’ widely. This researcher sees that Josun-Yuramga was a full-length changga, that is, ‘made tradition’ to admire the heroes, history, humanities, or nature of ‘Daejosun’ adopting the form of ‘Yeongsa’ that went into decline then. The calling of ‘Daejosun’ was the cultural politics of either postcolonialism or resistance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Josun and promote speculation for the future through the epic poem-based recalling of the past and realization of it in the present. As a matter of fact, unlike sijo collections or travel literature intended to write about and express real traveling or emotion towards it, Josun-Yuramga was imagined and expected to integrate and arrange the past (history) and geographical information freely and attain the wide-range extension and deepening of ‘Josunjuui’. To discuss and verify these points, the current study comparatively analyzed Donga-Ilbo-edition "Josun-Yuramga" and Hanseong Doseoedition "Josun-Yuramga" which edited and complemented the former. Especially centering around the part of Changgyeongwon in Gyeongseong contained in the former but deleted in the latter or the part about Cheukugi or Hwalja complemented in the latter, the study profoundly examined Japan`s colonialism pursuing the ruling of space around Gyeongseong and the palace and Yukdang`s postcolonialistic resistance against it. In addition, it complexly investigated Baekdu Mountain and heroic narratives regarded to be the core part of "Josun- Yuramga" and also Geumgang Mountain and Gyeongju, the major tourist sites in Josun at that time. First, the researcher noticed the aesthetic eye and attitude of Yukdang praising these as the sourceful places of ‘Josunjuui’ and ‘Bulham Culture’. Also, considering the colonialistic eye of Japan regarding these as the ruined relics of its colony or space with much less value than the divine nature of the owner country, the study intended to examine Yukdang`s postcolonialistic value of cultural politics multilaterally. Lastly, by looking into "Josun-Yurambyeolgok" along with it, the researcher tries to reconfirm that Yukdang attempted to help the people to acquire the excellence of Josun`s history, heroes, or nature more readily.

      • KCI등재

        해방기 북조선 시문학사의 재구성에 대한 연구

        남원진 ( Won Jin Nam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4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54

        이 글은 1940~1950년대 북조선에서 호명되었던 ``해방기 대표시``는 무엇일까라는 질문에서 시작했다. 북조선에서 출판된 1940~1950년대 저작에서 공통적으로 언급되었던 시는 정문향의 「푸른 들로」(1946)와 조기천의 「백두산」(1947)이었다. 조기천의 서사시 「백두산」은 1947년에 『로동신문』에 연재된 후, 지속적으로 개작과 재개작의 과정을 거치면서, 현재 ``해방 후 수령형상문학의 새로운 단계를 열어놓은 의의 있는 작품``으로 재평가 받고 있다. 정문향의 서정시 「푸른 들로」도 여러 번 개작되었는데, 현재 김일성을 정점으로 한 북조선 중심의 역사로 재해석되고 있다. 또한 북조선 문예학자들이 공동집필한 최초의 조선문학사에 해당하는 1950년대 『조선 문학 통사(하)』(1959)에서도 냉전 체제의 압력에 의해 냉전 체제 속으로 편입시키려는 방향으로 시편들이 개작되었다. 북조선의 대표시가 개작되듯, 북조선의 평론이나 그 연장선상의 북조선 문학사도 이렇게 재구성된 시를 중심으로 재해석된다는 것은 당연하다. 과거를 지배한다는 것은 미래를 지배하는 일이며, 미래를 지배한다는 것은 현재를 지배하는 것이기에, 이는 지극히 당연한 원리이다. 현재의 정당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언제나 과거의 조정은 불가피한 것이기에 말이다. 이러하듯, 『조선 문학 통사(하)』(1959)는 이를 예증하는 북조선 첫 집체작 문학사이다. This text began with the question of what the ``poems typical of the Liberation Period`` were which were called by name in North Josun in the 1940s and 1950s. The poems of Moonhyang Jung`s To the Blue field and Gichun Jo`s Mt. Paekdu(Baekdoosan) were commonly mentioned in the works of the 1940s and 1950s which were published in North Josun. Gichun Jo`s epic Mt. Paekdu (Baekdoosan) was serialized in Rodong Sinmun in 1947, continued to be adapted and readapted and is now being reevaluated as ``a significant work of opening a new stage of the President- Imaging Literature after the Korean Liberation of 1945``. Moonhyang Jung`s lyric To the Blue field was also adapted several times and is now being reinterpreted with North Josun-oriented history with Ilsung Gim as its top. Also, in the General History of Josun Literature (vol.2) in the 1950s, which was jointly written by the literary scholars of North Josun and which corresponds to the first Josun literature history, the poems were adapted in the direction of being incorporated into the cold war system by its pressure. It is natural that as the poems typical of North Josun were adapted, North Josun`s criticism or literature history on its extension is also reinterpreted centering on this reconstructed poems. It is an extremely natural principle because to dominate the past is to dominate the future and to dominate the future to dominate the present. It is because it is always inevitable to adjust the past in order to maintain present legitimacy. Like it, the General History of Josun Literature(vol.2) is the first collaborative literary history in North Josun which exemplifies it.

      • KCI등재

        《청년문학》 연구에 대한 제언 : 남북의 《청년문학》 연구 비판

        남원진(Nam, Won Jin)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통일인문학 Vol.84 No.-

        북조선 《청년문학》의 60여년사를 정리한다는 것은 그리 간단한 작업만은 아니다. 이 때문에, 북조선이 정리한 발행 주체의 변모 양상을 중심으로 《청년문학》의 역사를 정리해보자 한다. 특히 《청년문학》 연구에서는 구체적인 정보의 한계나 신뢰 가능한 역사 자료가 부족한 상황은 선결 과제이고, 또한 북조선 자료의 불투명성이나 오류의 무한반복성에 대한 검토도 필요하다. 조선작가동맹 중앙위원회 기관지 《청년문학》 1956년 3월호부터 1961년 7호까지는 ‘조선작가동맹출판사’에서, 《청년문학》 1961년 8호부터 1968년 2·3호까지는 ‘조선문학예술총동맹출판사’에서, 《청년문학》 1970년 4호부터 1992년 5호까지는 ‘문예출판사’에서, 《청년문학》 1992년 6호부터 2001년 8호까지는 ‘문학예술종합출판사’에서, 《청년문학》 2001년 9호부터 2019년 12호까지는 ‘문학예술출판사’에서 간행된다. 여기서 북조선의 굴곡진 역사처럼, 《청년문학》도 1961년, 1970년, 1992년, 2001년 등의 변화의 지점을 갖고 있다. 1961년은 ‘조선문학예술총동맹’ 재결성, 1970년은 유일사상체계가 구축된 후 ‘주체문예이론’, 1992년은 ‘주체문학(주체사실주의)’, 2001년은 ‘선군혁명문학’ 주창과 관련된 중요한 변곡점이다. 그러하듯, ≪청년문학≫은 남한의 《현대문학》 등과 같은 ‘문예지(문예잡지)’라는 성격보다는, 1950년대 계몽적 선전지의 성격에서 점차 ‘수령’의 선전지의 성격이 강화된 지도적 기관잡지, 즉 조선작가동맹 중앙위원회 기관지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북조선 기관지 연구는 연구자의 성실함이 무엇보다 필요해 보이는데, 이는 북조선 자료가 갖고 있는 ‘자료의 불투명성과 오류의 무한반복성’ 때문에 더욱 그러하다. 특히 이 연구처럼, 구체적인 정보의 한계나 신뢰 가능한 기본 자료의 부족한 현상은 북조선 문학 연구가 ‘학문’으로 성립가능한가 하는 근본적인 질문에 봉착하게 만든다. 작금의 현실에서, 이에 대해 깊이 재고해 볼 필요성이 있는 것 같다. It is not so simple to arrange North Korea’s 60-year history of the magazine Youth Literature. For that reason,, I choose to organize it by centering on how the subjects publishing the literature were changed according to North Josun’s arrangement. In addition, the first problem to be settled concerns the study of Youth Literature, where concrete information is limited or where reliable historical materials are scarce. It is also necessary to examine “the opaqueness of materials” in North Josun or “the infinite repetitiveness of their errors.” From Issue 3 in 1956 to Issue 12 in 2019 this Youth Literature had been published by “Josun Author Alliance Publishing House”, “General Josun Literature & Art Alliance Publishing House,” “Art & Literature Publishing House” and “Literature & Art Publishing House.” Here, like the bent history of North Josun, the publishing subjects of Youth Literature changed in 1961, 1970, 1992, and 2001. The year of 1961 saw the reorganization of the “General Josun Literature & Art Alliance”; 1970 the construction of the “Unique Idea System”; 1992 the important changes related to the advocacy of “Juche literature (subject realism)”; and 2001 that the modifications related to the advocacy of “Army-First Revolutionary Literature.” That can confirm the fact that North Josun’s Youth Literature is the organ magazine where the character of a propaganda magazine of ‘the Chieftain’ has been gradually strengthened in that of an enlightening propaganda magazine in the 1950’s, that is, an organ by Central Josun Author Alliance Commission rather than of “literary magazines” such as South Korea’s Contemporary Literature, among others. Here, a study on North Josun’s organ seems to require a researcher’s sincerity above all. It is more so because of the “opaqueness of materials intrinsic to the materials of North Josun and the infinite repetitiveness of their errors.” In particular, like such a study, the phenomenon where concrete information is limited or where reliable basic materials are lacking makes me face the fundamental question of whether a study on North Josun literature can be formed as ‘studies’ or not. In the present day, the necessity of reconsidering deeply about it is raised.

      • KCI등재

        윤세중 연구를 위한 서설

        남원진 ( Won Jin Nam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6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59

        이 글은 윤세중 창작 활동을 점검하는 한편, 방대한 규모의 ``현대조선문학선집``의 편찬 작업을 중심으로 윤세중의 작품의 정전이나 정전화를 검토했다. 1950년대 중반 이후 『현대 조선 문학 선집』(1957~1961) 정리 작업에서, 윤세중의 작품은 기록주의나 도식주의로 비판되면서 미정리 상태로 남았다. 하지만 1980년대 중반 이후 『현대조선문학선집』(1987~ )에는 윤세중의 단편소설 「명랑」과 「구대원과 신대원」이 실렸지만, 윤세중의 위상에 비해 매우 적은 편수의 작품이 수록됐다. 여기서 윤세중의 「명랑」은 ``통속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수정됐을 뿐, 전체적인 줄거리는 변함이 없었다. 그러나 1930년대 대표작을 해석하는 북조선식 방향과 마찬가지로, 윤세중의 「명랑」도 ``내면``보다 ``저항성``이라는 ``북조선식 코드``로 해석됐다. 그리고 윤세중의 「구대원과 신대원」은 유일사상체계가 구축된 후, 혁명적 수령관에 따른 수령 중심의 역사, 즉 김일성을 정점으로 한 북조선 중심의 역사가 침투한 ``북조선식 판본``이었다. 또한 1970년대 이후 ``조국해방전쟁``기 대표작을 해석하는 방향이 그러하듯, 윤세중의 「구대원과 신대원」에 대한 평가도 ``수령``이라는 ``북조선식 코드``로 해석됐다. 이런 윤세중 연구처럼 북조선 문학예술 연구에서도 ``북조선식 정전``의 부침이나 정전화에 대한 검토는 반드시 필요하다. This paper checked Yoon Sejoong`s creative activities, while it examined the canon or canonization of his works centering on the compilation of a vast scale of ``A Selection of Modern Josun Literature``. When 『A Selection of Modern Josun Literature』 (1957~1961) was arranged after the middle of the 1950s, his works remained unarranged criticized as documentaristic or schematistic. However, after the middle of the 1980s, 『A Selection of Modern Josun Literature』(1987~ ) carried his short stories 「Brightness」 and 「The Old Member And The New Member」. But it contained a very small quantity of works compared to his phase. Here, the short story 「Brightness」 was only corrected for reinforcing ``popularity``, and remained unchanged in overall outline. But like the North Josun style direction in which to interpret the works typical of the 1930s, it was also interpreted with ``North Josun style code`` of ``resistance`` rather than ``the inside``. And his short story 「The Old Member And The New Member」 was the ``North Josun style block book`` which was penetrated by chieftain-centered history according to revolutionary chieftain view, that is, North Josun-centered history with Gim Ilsung as the apex after unique idea system was constructed. Also, as shown in the direction in which to interpret the works typical of the period of ``the Fatherland Liberation War`` after the 1970s, it was evaluated and interpreted with ``North Josun style code`` of ``the chieftain``. Like such study of Yoon Sejoong, also the study of North Josun literature and art necessarily requires the examination of the rise and fall or canonization of ``North Josun style canon``.

      • KCI등재

        보이지 않는 포식자 -‘불멸의 혁명송가’의 발견

        남원진 구보학회 2019 구보학보 Vol.0 No.23

        Are ‘the immortal revolutionary anthems’ in North Josun’s ≪The History of Josun Literature≫ records of facts or discovery of revolutionary literature? This text aims at pursuing how the discovery of the revolutionary anthems established itself as a historical fact according to the ‘present’ needs. The history has North Josun literature history rearranged as an ancestral history by discovering Hyuk Gim’s ‘Josun’s Star’ as the first ‘immortal revolutionary anthem’ before the 1945 Liberation and refracting Chan Lee’s ‘Song of General Gim’ as the first ‘immortal revolutionary anthem’ after it. Namely, it means the fact that the past does not die, that it is always called by the present, that is, that it is invented to the cultural political purpose of North Josun’s power. The North Josun version canons made according to the cultural political purpose of the orthodoxy of the North Josun system with Ilsung Gim as its apex, that is, ‘the immortal revolutionary anthems’ are actually not only recent but also invented if they are traced back to the origin. But I wonder if the cultural political purpose of the legitimacy of the North Josun system is still valid at the present point of time. Isn’t it because the North Josun power system with the unseen predator, that is, Ilsung Gim and his family line as its climax has it unseen? I wonder if it is because as the existence of the predator cannot be realized in advance as long as a fish does not come out of the water, the reality of the predator in the North Josun power system cannot be recognized as long as North Josun is not thrown to the world out of its system. 북≪조선문학사≫의 ‘불멸의 혁명송가’는 사실의 기록일까, 혁명적 문학의 발견일까? 이 글은 혁명송가의 발견이 ‘현재’의 필요를 따라 어떻게 역사적 사실로 자리잡았는지를 추적하고자 한다. 북≪조선문학사≫는 해방 전 첫 ‘불멸의 혁명송가’로 김혁의 「조선의 별」을 발견하고, 해방 후 첫 ‘불멸의 혁명송가’로 리찬의 「김장군의 노래」를 굴절시켜, 북조선 문학사를 선조적 역사로 재배치한다. 즉, 이는 과거는 죽지 않는다, 과거는 언제나 현재에 의해 소환된다는 사실, 즉 북조선 권력의 문화정치적 목적에 맞게 과거가 발명된다는 것이다. 김일성을 정점으로 한 북조선 체제의 정통성이라는 문화정치적 목적에 따라 만들어진 북조선판 정전, 즉 ‘불멸의 혁명송가’는 그 기원을 추적해 보면 실상 최근의 것일 뿐만 아니라 발명된 것이다. 과거는 죽지 않는다. 과거는 언제나 현재에 의해 소환된다. 그런데 현 시점에서 북조선 체제의 정당성이라는 문화정치적 목적은 여전히 유효한가라는 의문이 든다. 북조선도 보이지 않는 포식자, 즉 김일성과 그의 가계를 정점으로 한 북조선 권력 체제가 이를 보이지 않게 하기 때문이 아닐까? 이는 물고기가 물 밖에 나오지 않는 한 포식자의 존재를 알아차릴 수 없듯이, 북조선도 북조선 체제 밖의 세계에 던져지지 않는 한 북조선 권력 체제라는 포식자의 실체를 인식할 수 없기 때문이 아닐까 하는 생각 말이다. 이는 김일성을 정점으로 한 북조선 체제가 갖는 딜레마의 일단이듯, 북≪조선문학사≫의 선조적 역사 배열 원리가 가진 딜레마의 한 부분일 것이다. 다만, 남쪽의 시선에 따른 경험과 지식에 근거한 판단이 통할 것이라는 기대는 착각일지도 모른다.

      • KCI등재

        해방기 소련에 대한 허구, 사실 그리고 역사화

        남원진(Nam Won-jin) 한국현대문학회 2011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34

        해방 직후 소련은 조선의 ‘해방자’이자 ‘약탈자’라는 양면성을 함께 가지고 있었지만, 1946년 봄부터 소련에 대한 인식은 서서히 긍정적으로 변화하기 시작했는데, 북조선 지식인의 소련 방문이나 1947년 미소공동위원회가 결렬된 이후 소련문화에 대한 선전사업의 확대와 강화로 인해 소련은 ‘해방자’이며 ‘방조자’의 이미지로 정착되었다. 여기서 해방기 북조선의 과도한 소련에 대한 편향은 당대 북조선 지도부나 일반 지식인에겐 보편적인 현상이었는데, 북조선 지도부는 반파시즘적 연대 측면에서 조선과 소련의 친선 관계를 유지하는 것만이 북조선의 자주독립뿐만 아니라 민주건설을 보장하는 기본조건으로 간주했다. 그리고 조선대표단의 제1차 소련 방문의 표면적 목적은 소련을 배우는 것이었으나 잠재된 진정한 목적은 일본에서 갓 해방된 조선의 독립국가건설의 방향성을 찾는 것이었다. 다시 말해서 당대 지식인의 소련 방문이란 합리성과 진보성에 기초한 소련을 발견하는 것이자 소련을 조선에 적용하려는 자기화하는 작업이었다. 북조선의 소련에 대한 인식이 소련을 조선에 적용하려는 자기화의 과정의 일환이었듯이, ‘조쏘친선’을 형상화한 여러 작품을 통해서 볼 때 북조선 문학의 잠재된 뿌리는 ‘소련’으로 말해지는 사회주의적인 것이라기보다 소련을 통해 발견된 ‘항일’이나 ‘혈연’과 같은 ‘피’로 표상되는 민족적인 것이다. 그런데 이런 작품군에서 ‘약탈’이나 ‘친일’과 같은 부끄러운 과거에 대한 자기 성찰적 사유가 소거된 자리에 채워진 ‘혈연’이나 ‘항일’과 같은 민족적인 것으로는 북조선의 진정한 미래상을 상상할 수 있겠는가 이는 한갓 허상에 불과한 것이 아니겠는가. Soon after the 1945 Liberation of Korea, the Soviet Union had the both sides of ‘a liberator’ and ‘looter’ of Josun. However, an awareness of the country began to change gradually positively from the spring of 1946. Propagating its culture broadly and strongly caused it to establish itself as the image of ‘a liberator’ and ‘supporter’ after a visit to the country by the intellectuals from North Josun or rupture of US-USSR Joint Commission in 1947. Here, an excessive tendency toward the country by North Josun in the 1945 Liberation of Korea was a universal phenomenon among its leaders or general intellectuals at that time. The leaders regarded only maintaining the friendly relations between Josun and the country from the viewpoint of antifascist solidarity as a basic condition for guaranteeing not only North Josun’s independence but its democratic construction. And the superficial purpose of the first visit to the country by the Josun delegation was to learn the country, but its potential true purpose was to investigate in what direction an independent country would be constructed in Josun which had recently been liberated from Japan. In other words, a visit to the country by the intellectuals at that time was to discover the country based on rationality and progressiveness and to apply it to Josun and internalize it. The internalization can be confirmed also in a group of works dealing with ‘the amity between Josun and the Soviet Union’. Superficially, such works seemed to reflect something socialist by showing the friendship between Josun and Soviet people. But implicitly they reflected something nationalist which was represented as ‘blood relationship’ by formalizing the friendship as a frame of blood ties. ‘Only’ from such a viewpoint, the literature of North Josun was based on something nationalist represented as ‘blood’ rather than something socialist represented as ‘the Soviet Un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