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논문(論文) : 『관동지(關東誌)』의 편찬 과정과 사료적(史料的) 특성(特性)

        유재춘 ( Jae Chun Yu ) 강원대학교 사학회 2011 江原史學 Vol.0 No.25

        『관동지』는 19세기 초반 강원도에서 편찬된 地誌로, 크게 보면 강원감영과 각 군현의 地誌, 그리고 莊陵事蹟, 總錄 등 네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강원도 지역만 따로 떼어 道誌 성격의 별책을 만든 것은 아마 이 『관동지』가최초의 것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전국적인 統誌나 道別로 일괄 편찬된 地誌는 당대의 전국적 또는 도별 상황을 포괄적으로 살필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어느 자료보다 중요한 가치를 가진다. 실록이나 각종 등록 등의 관찬 사료에 실려 있는 지역 관련 자료도 중요하지만 이러한 자료는 대개 산발적이어서 특정 시기의 각 지역 상황을 수평적으로 파악하고 이해하는데 한계가 있게 마련이다. 그런 반면 이러한 전국적, 또는 도별 지리지(혹은 읍지)는 당대 각 군현의 개괄적인 상황 파악은 물론 전국적, 혹은 도별 상황을 수평적으로 비교하여 볼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물론 『관동지』의 경우 강원감영에서 편찬을 진행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부분적으로 통일성이 결여되어 있고, 각 관아의 屬吏들이 읍지를 필사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誤字나 脫字가 허다하게 보이는 등의 문제점이 발견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허술함이 있다고 하여 『관동지』의 사료적 가치를 폄하할수는 없을 것이다. 당시 강원도내 각 고을은 물론, 강원도의 재정·군사·사회·문화를 포괄적으로 이해하는 데 매우 귀중한 자료이다. 특히 <總錄> 부분에 나타나는 강원감영의 재정 운영실태, 감영 吏屬들에 대한 대우, 당시의 물가 상황 등 일상생활사와 관련된 세세한 내용을 담고 있는 부분이 적지 않으며 이를 통하여 당대의 구체적인 모습을 이해하는 데 활용가치가 큰 사료이다. 이러한 점에서,『관동지』는 18세기 중엽 『여지도서』가 만들어진 이후 60여년만에 편찬된 강원도 統誌로서, 체제면에서 각 고을마다 다소의 차이가 있다고 하더라도 당대의 강원도에 대한 자료의 집성이며, 당시 강원도의 전체 사회상은 물론 감영 운영의 구체적인 모습을 이해하는 데 매우 유용한 史料라고 할 수 있다. Gwan-dong-ji is a geography book compiled from Gangwon province in the early 19th century. As the first geography book for Gangwon province, Gwan-dong-jicontains only the geography of each district belonging to the province. These forms have significant value when we study the geographic situation of the country and the province of the time comprehensively. Some data related to local exist in the other histories, but most of those data are scattered. For that reason, it is hard to understand each local situation horizontally at the specific time with the other data. Gwan-dong-ji has some defects involving the lack of unity, missing data, errors and omissions. But the defects cannot make the historical value of Gwan-dong-ji be dropped. Gwan-dong-ji is very important data to understand not only each district but also the financial affairs, the troops, the society and the culture of Gangwon province. Especially, much part of <Chongrok> explains everyday life of the time in detail, for instance, the status of financial management of the Gangwon-Kamyoung(Supreme Local Government Office), treatments for the government officials and prices at that time. Through these detailed and useful facts, concrete aspects of those days can be understood. From this points, Gwan-dong-ji is the aggregation of data for Gangwon province even though its structure has some differences between each district. As a geography which was compiled after 60 years since the <Yeojidoseo> had been compiled in the mid 18th century, Gwan-dong-ji is very useful historic data to learn the entire social aspects at that time and the operation of Gangwon-Kamyoung.

      • 논문(論文) : 차기석계 동학농민혁명군의 활동과 이후 동향

        엄찬호 ( Chan Ho Eom ) 강원대학교 사학회 2011 江原史學 Vol.0 No.25

        1894년 2월 전라도 고부에서 일어난 동학농민전쟁은 강원도 지역에서는 1894년 9월 4일 동학농민군이 강릉부를 점령한 것을 시작으로하여 강릉, 영월, 평창, 정선, 홍천 등지에서 치열하게 전개되었다. 특히 홍천군 내촌면 물걸리에서는 차기석이 인솔한 1,000여 명의 동학농민군이 동창을 소각하였고, 서석면 풍암리에서는 동학농민군 수천명이 맹영재 토벌군과 치열한 전투를 벌였는데, 이는 강원도 지역에서 일어난 동학농민전쟁 중에서 가장 큰 전투였고 800여 명의 동학농민군이 희생된 처절한 전투가 전개되었다. 동학농민전쟁 이후의 강원도 농민군은 정부와 일제의 강력한 탄압으로 해산하였다. 그러나 이후에 전개되어진 항일 의병전쟁에 개별적으로 참여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기타 동학교도들은 최시형을 도와 동학 지도부의 보호와 포교에 힘을 기울이고 있었다. 이와 같은 강원도 동학의 움직임은 동학을 유지 발전시키는데, 중요한 디딤돌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어 일제강점기에는 3.1운동을 주도적으로 이끌어 강원도 전지역에서 만세운동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기폭제가 되었다. 서울로부터 독립선언서를 강원도 지역에 전파하였을 뿐만아니라 각 지역의 천도교인들을 중심으로 조직화하여 독립만세운동을 확산시키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1894 before February the Donghak farmers war which happens from the Jeollabuk-do Gobu was joined together even in the Gangwon area. 1894 September 4th Donghak farmer army occupying Kangnung department with start Keenly from Kangnung·Youngwol·Pyeongchang·Jeongseon·Hongcheon etc., was developed. About 1,000 where Cha Gi Seok leads specially from Hongcheon-gun Naechon-myeon Mulgeol-li the Donghak farmer army burnt the east warehouse. Also from that Seoseok-myeon Pungam-li thousands people Donghak farmer armies with Maeng Young Jae,s punitive force open the fierce battle, but this from in the Donghak farmers war which happens from the Kangwon-Do area to be the biggest battle, about 800 the battle where the Donghak farmer army of people are sacrificed was developed. The Kangwon-Do farmer army of Donghak farmers war after that dispersed with the oppression which the government and Japanese imperialism is powerful. With the fact that will participate to the Righteous Armies`` anti-Japan Struggle which comes to be developed but after that individually. And the other Donghak followers helped Choe Si Hyeong and protection of Donghak leadership and they concentrated a energies in propagation. Like this the activity of Kangwon-Do Donghak maintained Donghak and is develops the base which is important became, there is a possibility of doing. During Japanese Imperialism period led 3.1 independence movement lead and the possibility the independence movement happening from Kangwon-Do all areas became the motive. Cheondo-gyo believers from Seoul will propagate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in the Kangwon-Do area not only them to be diffuses an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center, took charge of the major role.

      • 논문(論文) : 독립운동가 윤희순(尹熙順)의 국내,외 항일독립운동

        강대덕 ( Dae Duk Kang ) 강원대학교 사학회 2011 江原史學 Vol.0 No.25

        19세기 말 일제침략으로부터 우리나라를 지키기 위해 올바로 인식한 대응책으로 다양한 형태와 방식의 하나로 전통적 가치관에 기반을 둔 민족주의 적인 위정척사사상이었고 이를 행동화시킨 민족운동이 바로 항일 의병운동이고 독립운동이었다. 우리나라 여성으로서 한말 최초 여성의병장 윤희순(1860~1935)은 華西學派의 華·重·省·毅門에서 함께 수학한 畏堂 柳弘錫의 며느리이고 지식인의 夫人으로서 抗日 女性義兵運動을 주도하였으며, 활발하게 抗日獨立運動을 전개하였던 대표적인 여성 독립운동가였다. 화서학파 지식인들은 男·女구분 없이 행동으로 실천하는 민족독립운동의 중심지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민족의 항일독립운동은 그 목표의강도와 성취도와 민족구성원의 감정상태에 따라서 다양하게 나타났었다. 특히 윤희순은 행동하는 지성으로 강원지역 전·후기 항일의병운동에서 여성의병장으로서 활동은 그 후 만주에서 민족학교를 설치 운영하여 항일독립운동에 앞장 설 청년들을 배출하는 교육운동과 나라를 빼앗긴 민족에 대한 계몽운동 등 국외에서 항일독립운동이었다. 그는 일본의 침략으로 이루어진 갑오왜란, 을미사변, 갑오·을미개혁, 단발령시행, 태양력사용, 을사늑약체결, 고종퇴위, 군대해산, 한일병탄 등 기존질서의 위기상황에 직면하여 개항전후 나타난 화서학파의 民族意識, 즉 對外危機意識에 따라서 형성된 尊華攘夷·衛正斥邪論의 논리를 배경으로 전개된 민족운동의 연장이었다. 19세기말 서구문물의 팽창이 가져다주는 민족의 정체성위기 앞에서 우리민족은 그때까지 지켜온 민족의 정체성을 확인하고 일제 침략에 대항하여 국권회복을 위하여 독립운동으로 승화시킨 국내 抗日義兵運動 속에서 女性義兵將으로서 부녀의병대를 조직하여 전개한 의병활동과 만주지역 등 국외에서 민족학교 설립과 교육철학, 학교경영, 항일독립운동 등에서 그의 역할을 통해 독립운동가 윤희순의 성격과 의의를 규명하였다. 윤희순의 항일의병활동은 朝鮮中華의 自尊意識이 지니는 민족주체성을 남성만이 아닌 여성도 함께 지키기 위한 실천운동이었다고 평가 할 수 있다. 우리 민족의 주체성은 민족내부를 통합할 수 있는 통합의 원리를 통하여 민족의 역량이 결집되고 그것이 민족의식으로 定礎되어야만 진정한 의미를 지니는 것이다. 본 연구는 한말 항일의병운동의 전개과정을 통해 국내의 특히, 강원여성의병은 근대적인 민족의식과 자주적인 주체성을 형성하게 하였으며, 국권회복과 민족국가 수립을 위해 항일독립운동을 전개토록 하였던 保國實踐運動으로 화서학파의 활동 중심지였던 강원 춘천지역 여성에 대한 여성독립운동사 연구이다. 이는 새로운 자료발굴과 새로운 시각에서 재해석이 그 어느 때 보다도 절실히 요구되는 시기에 독립운동가 尹熙順의 국내 抗日 婦女義兵隊 活動과 국외에서의 민족학교 경영 등을 통한 항일독립운동 활동은 한국 항일독립운동사의 역사적 의의가 있는 여성독립운동이었다. One of the Korean responses for protecting the country from the japanese invasion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was "defending orthodoxy andrejecting heterodoxy thought"(wijung chuksa sasang) based on Korean traditional value. And national movement to embody it was anti-japanese righteous army and independent movement. Yoon Hui-sun, the first Korean woman leader of righteous army, was a daughter- in-law of Yoo Hong-seok who was a confusion scholar of Yi Hwa-su school and wife of Yoo Je-won who was an intellectual. She was a representative independent fighter. Intellectuals of Yi Hwa-su school had key roles in national independent movement without division of sex. National anti-japanese independent movement varied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the purpose, levels of attainment and feeling of the people. Yoon Hui-sun was a leader of the former and latter anti-japanese righteous army in Kangwon province. And later, she founded and ran a school in Manjuria and fostered many future independence fighters. Moreover, she engaged in enlightenment movement for Korean immigrants who lost their country. Her anti-japanese activities in abroad were one of the national movements that developed based on the logic of national consciousness of Yi Hwa-su school that appeared in a dangerous situation including the Gabo Reform, the assassination of empress Myeongseong, the Ulmi reform, the ordinance prohibiting topknots, using of the solar calendar, Ulsa Illeagal Treaty, deposing of emperor, disbanding of national army, annexation of the country by the japanese invasion. When national identity confronted with a crisis by extension of western civilization in the end of the 19th century, Korean people confirmed their identity. When the country was invaded by Japan, activities of righteous army were developed into independence movement for recovering the country. At that time, Yoon Hui-sun organized righteous army with women in the country and founded a school in abroad. So, this paper determines her characters and importance as a Korean independent fighter. Her activities as an anti-japanese righteous solder showed that not only men but also women tried to keep their national identity of emphasizing independence. Korean national identity can get a meaning when all the people become one, their capacity is concentrated and it is set up as national consciousness. Through the developing process of anti-japanese righteous army in the end of the Choseon, this paper shows that women righteous army in Kangwon province helped to form modern national consciousness and independent national identity. Also, this discovers activities of Yoon Hui-sun as the first woman leader of righteous army and her activities as an anti-japanese independent fighter in Manjuria and determines her importance in the history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 논문(論文) : 공립 박물관의 역할과 소속 학예연구원의 제문제 연구 -강원도내 공립 박물관을 중심으로-

        김규호 ( Gyu Ho Kim ) 강원대학교 사학회 2011 江原史學 Vol.0 No.25

        우리나라에 근대적 의미를 담은 박물관이 들어온 지 100년이 되었고, 지금 우리나라 박물관은 1,000개 시대가 멀지 않았다. 박물관 1,000개 시대는 공립박물관 수의 증가도 한 몫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공립박물관 학예연구사들의 수급의 적정성과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의 제공 등 제문제를 다루어 공립박물관 운영에 도움을 주고자 작성되었다. 본 논문은 강원도에 있는 11개 공립박물관을 위주로 작성하였으며, 필요에 따라서 전국 공립박물관의 통계자료를 인용하였다. 강원도내에는 지금도 공립박물관, 미술관, 문학관 등의 건립을 추진하는 곳이 여러 곳 있다. 지방자치제 실시 이후 거의 대부분의 자치단체에서 박물관 건립을 추진하였으며 지금은 대부분의 시군이 박물관을 운영하고 있다. 현재 공립박물관이 없는동해, 철원, 횡성 등도 박물관 건립이 가시화 되는 걸로 알고 있다. 중요한건 건립이후의 문제에 대한 심각한 고민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최초 공립박물관 건립 당시는 경영수익을 염두에 두고 수익을 올려 자치단체의 재정에 도움을 주기 위해 건립된 박물관은 하나도 없다. 공립박물관은 문화복지 공간으로서의 공공의 목적이 크다. 따라서 건립이 전부라는 인식을 버리고 최초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운영을 위한 노력들이 필요하다. 이제 박물관은 단순히 역사, 민속, 고고자료를 전시하는 지역의 정체성을 보여주는 공간의 차원을 지났다. 미래의 콘텐츠를 담아낼 뿐만 아니라 자료수집, 전시, 교육, 연구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 박물관의 세가지 요소는 건물, 자료, 인력이다. 아무리 훌륭한 건물에 훌륭한 자료가 있다고 하더라도 이를 운용할 인력이 뒷받침이 안 된다면 이는 무용지물이다. 박물관은 최초에는 수집과 전시에 많은 기능이 집중되었지만 지금은 연구와 교육의 중요성이 강화되고 있다. 따라서 박물관 인력 중에는 여러 전문인력이 존재하지만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curator이다. 즉공립박물관에서는 학예연구사인 것이다. 도내 공립박물관에는 대부분이 1~3명의 학예연구사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들은 대부분 박물관 시설유지관리, 운영, 해설, 교육, 연구 등 박물관의 모든 영역에 관여한다. 물론 직원 수가 적다보니 겪어야 하는 상황들이다. 공립박물관은 자치단체의 관리감독을 받더라도 대외적으로 보았을 때는 독립기관으로 보아야 한다. 따라서 박물관의 운영과 관련하여서는 박물관 담당자의 책임과 역할을 존중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현재 박물관장이 존재하지 않는 여러 박물관의 조직이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공립박물관의 역할과 기능은 다른 무엇보다도 공공성의 강화이고, 공공성의 강화는 학예인력의 전시, 교육, 연구에 대한 전문성을 보장해 주는 것에서 출발하여야 한다. In Korea, it has been 100 years to introduce modern museums and now there are almost 1,000 museums, which also helped increase the number of public museums.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suggestions to properly operate public museums in Korea by researching related issues such as the adequacy of demand and supply of curators in public museums, work environment given for curators to maximize their abilities, and so on. The study was conducted mainly within 11 public museums in Kangwon and quoted statistical data from domestic public museums. In Kangwon, there are still several agencies that are promoting establishment of a public museum, art gallery, or literature museum. Since the execution of the local government system, most local governmental bodies tried to set up museums in community and also most cities or counties are operating them. Donghae, Cholwon, Hoengseong, and other cities that haven``t had public museums now initiated the project to establish. It is very important for them to think about post-establishment plan. At the initial phase of construction, there were no public museums that make profits based on their lucrative management strategies for the purpose of financial support to local governments. Public museums are designed to be used for public as a cultural welfare space. Therefore, it needs to be viewed in long-term to operate these museums properly to achieve the initial goals after establishment. Now, museums contain the meaning beyond a space simply exhibiting history, folklore, or archaeological materials to represent its locality. It should be a place to include contents and provide opportunities for data collection, education, and research. The 3 components of museums are building, bequest, and manpower. It is meaningless to have a great building and precious data without suitable personnel to operate. Museums at the initial phase were focused on data collection and exhibition whereas on research and education nowadays. The most professional personnel needed in museum industry are curators. Curators are the most essential manpower for public museums as well. There are 1~3 curators assigned for public museums within a province and they are involved in almost every areas like facility management, operation, interpretation, research, etc. however they are forced to do due to the lack of manpower. A public museum should be considered as an independent institute even though it is controlled by local governments. Therefore, the responsibility and roles of museum personnel should be respected when it comes to the museum operation. Furthermore, the organization of museums that don``t have a director should be supplemented properly. The roles and functions for public museums are to enhance publicity, and it starts from securing curator``s expertise for exhibition, education, and research.

      • KCI등재
      • 논문(論文) : 고려시대 강원지역에 대한 왜구의 침탈과 대응

        손승철 ( Seung Cheul Son ) 강원대학교 사학회 2011 江原史學 Vol.0 No.25

        고려시대 말기, 40년간은 왜구약탈이 극심하여 고려를 쇠망하게 하는 원인이 되었다. 이시기에 왜구는 남해안과 서해안 지역은 물론이고, 강원·함경도지역에 이르기까지 침탈하였다. 특히 1380년부터는 내륙으로 진출하였고, 수도인 開京부근까지 침입하여, 도읍을 옮기자는 遷都論까지 제기되었다. 강원지역에 처음 왜구가 출몰하는 것은 1352년 6월, 江陵道이다. 이 지점은 현재의 강릉으로 추측된다. 1372년에는 안변, 함주, 강릉, 영덕에 침입했다. 그리고 1374년에는 강릉, 양양, 삼척, 회양에 침입했다. 1370년대에 왜구가 강원지역을 침입한 이유는 海路를 이용하는 漕運제도를 폐지하고, 육로운송으로 바꾸었기 때문이고, 이후 점차 내륙지방으로 확산되어갔다. 1381년에는 강릉, 울진, 삼척, 평해 등 해안지역에 출몰했고, 1382년에는 영월, 원주, 회양 등 내륙지방으로 침구했다. 1383년에는 영월, 정선, 양구, 홍천, 춘천, 가평에 이르기까지 강원도 전지역을 약탈했다. 영월 등지의 왜구가운데는 假倭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들을 왜구에 포함시키는 것은 부당하다. 고려시대 강원지역에 출몰한 왜구기사는 1385년에 양양과 평해를 마지막으로 자취를 감추지만,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도 강원지역에 대한 왜구의 침구는 계속된다. 한편 고려는 강원지역의 왜구침구에 대해, 중앙차원에서 軍制改編, 水軍再建, 武器體制의 轉換 등으로 대응하면서, 李成桂를 비롯한 장수들을 파견하여 왜구를 진압하는 한편, 동해안 지역에 19개에 달하는 城郭을 재건하거나 새로 쌓으면서 대응해 나갔다. The disastrous plunder of Japanese pirate raiders for 40 years of late Goryeo became a cause of the destruction of Goryeo. During the period, they invaded Gangwon and Hamgyeong provinces as well as southern and western coasts of Goryeo. In particular, the raiders progressed into inland from 1380 onward eventually marching on to the capital area Gaegyeong(開京). This raised an argument of transferring the capital(遷都論). It was in June, 1352 at Gangneung-do when Japanese pirate raiders first appeared in Gangwon province. This place might be in present day Gangneung. In 1372, they advanced to Anbyeon, Hamju, Gangneung and Youngdeok. And in 1374, Gangneung, Yangyang, Samcheok and Hoiyang were under attack. The reason why they invaded Gangwon area in 1370s was because they gave up sea-route based Jo-un(漕運) system and they started to take land route transportation instead. This tendency continued to spread out toward further inland. In 1381, Japanese pirate raiders appeared on the coastal area of Gangneung, Uljin, Samcheok and Pyenghae, followed by inland attack in 1382 to the extent of Youngweol, Wonju and Hoiyang. Finally the whole area of Gangwon up to Youngwol, Jeongseon, Yanggu, Hongcheon, Chuncheon and Gapyeong were raided by the year of 1383. Some raiders of Youngweol were actually pseudo-raiders(假倭) whose identity must not be regarded as Japanese pirate raiders. Whereas the news of raiders invasion toward Gangwon province disappeared in 1382 with the Yangyang and Pyeonghea haunting as the last spell, there was a continual invasion of Japanese pirate raiders toward Gangwon province during the Chosun period. Meanwhile, Goryeo responded to the raids of Gangwon with reshuffle of military system, reinstatement of navy and renovation of weapon system. The government also dispatched troops led by Yi Seonggye to repress the raiders, and reconstructed and built 19 fortresses in the eastern coast of Chosu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