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퀘이커의 영성을 바탕으로 한 제임스 터렐 작품 연구

        김용민 한국기초조형학회 2023 기초조형학연구 Vol.24 No.5

        This study examined the religious and sublime meaning of light and space through James Turrell’s work. According to the previous studies on James Turrell’s work, his work analyzes the space of light and darkness from the perspective of perceptual phenomenology. On this basis, I found that there were rare cases in which his work was approached from the religious aspect of Quakers. As such, James Turrell’s work reflects Quaker beliefs. One keyword is “inner light.” In other words, we go into James Turrell’s work to see the true light. “Inner light” is Turrell’s important topic and Quaker’s core idea. Quakers shows the mystical tradition of Christianity, and also represents an ethical move to implement peace and reconciliation without staying in an individual’s mystical experience. This study mentioned three categories of the cave metaphors in Chapter 7 of Plato’s the Republic, the emanation theory of Plotinus’s Enneades, and Meister Eckhardt’s unity with God as ideas that precede Quaker’s mysticism. It also mentioned ethical mysticism, as Howard Brinton, a religious activist did. With this background, this study summarized Quaker’s spirituality into silent worship, inner light, and practice of peace, and applied them to James Turrell’s work. Above all, the place of his <SkySpace> reminds us of Quaker’s place. Like Quaker’s meeting house, the inside of “SkySpace” is where the audience sits face to face with light. Audiences appreciate the light of the sky in silence through upward holes, often involving other artistic performances, such as music and performances, in Turrell’s space. His works, such as <SkySpace> and <Wedgework>, show the similarities with Quakers not only in the form of space but also in aesthetic experiences. Soon, as a sublime experience, this study compared colored abstract paintings with Turrell’s spatial works, a trend of American art in the 1950s. As it is well known, James Turrell’s work on light and space evokes sublime and religious feelings. In particular, Turrell’s work, which unites Quaker’s spirituality, confirms the place of the other and shows how the artist can encounter the other as a work.

      • 제임스 터렐 작품의 현상학적 지각 공간체험 사례에 대한 이론적 고찰

        최선민(Choi, Sunmin)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2 디자인지식저널 Vol.22 No.-

        본 논문은 제임스 터렐(James Turrell, 1943~)의 Catso(1967) ~ Roden Crater(1974~2011)의 작품범위 안에서 빛의 성향과 공간구조 연출의 특징을 시대적으로 대표할 수 있는 8개 작품을 선정하여 인간의 본질적 접근을 위한 현상학적 지각체험의 다양한 공간 표현 가능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현상학의 이론과 지각 공간체험의 이해를 바탕으로 관람자와 작품 사이에서의 상호 작용을 파악했으며 시간성에 의한 빛의 연출, 신체의 움직임에 의한 체험, 감각과 기억에 의한 체험을 현상학적 분석의 틀로 제시하였다. 또 제임스 터렐 작품의 성향을 빛의 위치와 형태에 의한 연출, 목적의식 공간에 의한 연출, 자연요소를 활용한 공간 연출로 분류해 분석의 틀에 적용하여 작품의 의미를 서술적으로 해석하고 특징을 구체화하였다. 결과적으로 제임스 터렐 작품은 빛의 사용에 따른 본질적 자아체험의 목적은 동일하지만 장소적 의미와 공간범위 확장에 따른 작품표현은 관람자의 몰입의 효과를 극대화 시키고 본질적 경험을 제공하는데 있어 의미가 좀 더 명확하게 부각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 현시대가 추구하는 융합적인 사고와 함께 공간디자인의 응용에 있어 좋은 예가 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해 볼 수 있다. This thesis intends to investigate various possibilities of space expression of phenomenological perception experience for human"s essential approach by selecting to 8 works which can periodically represent characteristics of light"s tendency and space structure"s direction characteristics among the range of Catso(1967) ~ Roden Crater(1974~2011), works of James Turrell(1943~). Based on the theory of phenomenology and understanding of perception spatial experience, the interaction between audience and work was grasped and light"s display by temporality, experience by body"s movement and experience by sense and memory were suggested as the frame of phenomenological analysis. Also, the tendency of James Turrell"s work was divided into display by light"s position and form, display by purpose sense space and space display with natural factor and then, the meaning of work was interpreted descriptively and its characteristics were concreted by applying to the frame of analysis. In conclusion, this thesis showed that the purpose of essential ego-experience by using light was same in James Turrell"s work, but work expression by expanding space meaning and space range can express the meaning more clearly for maximizing the effect of audience"s immersion and providing essential experience. In addition, it can confirm that becoming a good example for the application of spatial design, with amalgamative thought pursued by current period.

      • 제임스 터렐의 빛과 지각 공간

        이민정 미술사문화비평학회 2011 미술사문화비평 Vol.2 No.-

        The works of James Turrell(1943- ) are composed of light, space where light exists and perceptual experience of viewers perceiving and interpreting them. His early work Projection Pieces(1966- ) created forms of image with light emitted from a projector, while giving a three-dimensional effect to the plane image of light by using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space. Through works in such a method, Turrell dealt with the thingness of light by forming cubic images of light, as if they physically existed, and led viewers, starting to perceive nonmaterial-like light, to visual perceptual experiences. In the flow of Minimalism starting to appear in the early 1960s, Turrell’s Projection Pieces was evaluated to possess physical characteristics of Minimalism because of its light cubic sculptural shape. However, the theme of his work, called a viewer’s perceptual experience, is the peculiar attribute of Turrell’s works, which cannot be read with the generalized proposition of Minimalism that pays attention to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works. In this view, this study attempted to carry out a research on the originality and distinction of Turrell’s works by investigating the perceptual process of a viewer perceiving light. As mediums to induce viewers to have perceptual experience so that they might perceive images of light, Turrell used the attributes of light and the structure of exhibition space likely to sustain three-dimensional forms while having visions. In addition, by inducing the visual stimulus and tactual sense of viewers perceiving light, Turrell intended them to be absorbed into elements of work themselves. Such a characteristic helped viewers expose their mental self-awareness, so-called perceptual experiences, by having them perceive visions of light in space where actual objects don’t exist. From Projection Pieces to Ganzfeld APANI, images of light expressed by being materialized were intended to be viewers’ visual visions, and the process of viewers perceiving light and light was suggested through his work. Besides, he also suggested a philosophical thinking of phenomenology that the process of viewing works to grasp the substance of light was ‘seeing a fact that one is seeing.’ Viewers’ personal emotions and philosophical and meditative process of perception leads Turrell’s work even to an experience of sublimity, while appreciating visions of light in space that something exists and nothing exists at the same time. Turrell’s work suggested a research on the concept of spirituality, called viewers perception through simple forms of light images. Turrell also explains well the process of reaching the ‘perceptual art’ called by himself.

      • KCI등재

        징후, 장소, 이미지: 제임스 터렐에 대한 조르주 디디 위베르만의 재해석을 중심으로

        안수진 ( Ahn Soojin ) 한국미학회 2021 美學 Vol.87 No.1

        이 글은 제임스 터렐의 작업에 대한 조르주 디디 위베르만의 재해석을 통하여 터렐의 작업에서 관객의 주체성에 대한 기존의 양분된 해석을 재고한다. 터렐의 작업은 주로 관객 주체 스스로의 지각 경험을 반추하게 하거나 자기 자신의 내면에 침잠하는 명상을 유도한다고 해석된다. 동시에 터렐의 작업은 사물이나 기호, 경계나 구획을 제거하고 관객 주체를 강렬한 감각 자극에 휩쓸리게 해 스스로를 잃어버리게 하는 기술적 스펙터클에 불과하다고 비판받기도 한다. 디디 위베르만은 이 상반된 해석 중 하나를 따르는 대신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을 경유해 터렐의 장소를 징후로 고찰하기를 제안한다. 단, 이는 터렐의 장소를 터렐개인의 징후로 해석하는 것이 아니다. 프로이트는 의식의 논리로 해명 불가능한 모순이 동시에 공존하는 장면에서 의식의 차원에서 부재할 수밖에 없는 무의식의 존재를 감지한다. 그를 따라 디디 위베르만은 터렐의 장소에서 상반된 해석을 일으키는 역설적 요소로서 빛에 주목한다. 터렐의 장소에서 빛은 시각의 근본 조건이자 가시적 대상의 부재를 드러내며, 장소 안팎을 구획하는 경계이자 관객 주체와 대상, 그리고 장소 사이의 구분을 어렵게 만드는 원인이다. 빛의 이 같은 역설적 작용은 기존의 주체성을 확언하거나 주체 자체를 무화하기보다 시각에 근거하는 의미화 논리를 체화하였던 기존의 주체성을 무력하게 만들고 무의식처럼 주체가 주체로서 존재하기 위해 기각되어야 했던 차원을 환기하며 징후로서 장소를 짓는다. This paper reconsiders the contradictory interpretations on the work of James Turrell based on Georges Didi-Huberman’s reinterpretation. Turrell’s works are mainly interpreted to make the spectator reflect their own perceptual experience or sink into meditation. On the contrary, Turrell’s works are also criticized for making the spectator lose themselves in the technical sensory spectacle. Instead of choosing one side, Didi-Huberman suggests to regard Turrell’s works as psychoanalytic symptom. Sigmund Freud discovers the existence of unconsciousness from the scene where the contradictions which cannot be explained according to the rules of consciousness co-exist. Based on his discovery, Didi-Huberman focuses on the light causing the conflicting interpretations on Turrell’s works. In Turrell’s works, the light is the fundamental condition of vision and at the same time visualize the absence of visual object. Furthermore, the light divides the inside and outside of Turrell’s works and simultaneously blurs the distinction among the spectator, the object and the place. This paradoxical function of light reminds the dimension which should be dismissed to establish the subjectivity such as unconsciousness rather than reconfirm or deconstruct the subjectivity.

      • KCI등재

        제임스 터렐의 빛과 색에 나타난 공간의 모호성에 관한 연구

        김소영 ( Soyoung Kim ),윤재은 ( Jaeeun Yoo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1

        (연구배경 및 목적)최근 들어서 디자인 전반에서 예술가와 콜라보레이션(Collaboration)을 통해 새로운 디자인 문화현상을 만들어 내고 있다. 라이트 아트의 미니멀한 공간에서 빛과 색으로 공간을 표현하는 공간 표현 방식에 주목하고자 한다. 라이트 아트의 공간 표현은 빛으로 보다 자유로운 상상력을 통해 공간을 표현하고 경험하게 한다. 특히 공간에서 빛과 색의 실재성과 표현 형식에 따라 공간의`모호성`이 나타나는데, 제임스 터렐의 작품에 나타난 공간의 모호성은 건축과 공간디자인에서 나타나는 모호성과 비슷하지만 감성적 차별화가 느껴진다. 이런 관점에서 터렐의 작품은 우리 공간디자이너들이 작업에 임할 때 어떤 감성과 태도를 가져야하는지 힌트를 준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모호성`의 개념과, 공간의 모호성을 고찰하여 터렐의 작품에 나타나는 공간의 `모호성`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방법)본 연구는 제임스 터렐의 작품 경향을 조사 하고 빛과색의 시지각적 공간이 주는 공간의 `모호성`의 관계에 대해 문헌 조사와 방문 조사를 통해 연구 한다. 이를 바탕으로 제임스 터렐의 작품에서 빛과 색으로 나타나는 공간의 모호성과 특성을 사례분석을 통해 파악하고자 한다. (결과)사례분석의 결과로 터렐에 공간의 모호성은 비물질적 이지만 상당 부분 물질적 특성과 비슷하게 인식 되었다. 특성으로는 첫째 경험적 공간의 모호성, 둘째 관찰적 공간의 모호성, 셋째 경계적 공간의 모호성으로 분류 되었고, 작품 시리즈에 따라 모호성의 빈도도 다르게 나타났다. (결론)이상의 연구를 통해 제임스 터렐의 작품에 나타난 공간에 `모호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빛과 색으로 표현 된 비물질적공간의 모호성은 현대건축과 공간 표현의 일시적 현상이 아닌 창조적인 공간 창출의 요소로서 발전 가능성을 기대한다. 공간 사용자들의 감성인식과 경험은 우리가 디자인하는 공간 이상의 가치를 부여하는 중요한 표현 요소임을 다시 한 번 깨닫는 계기가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빛의 비물질적 공간 표현에 대한 연구가 보다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작품이 아닌 실재 공간에서 활발하게 표현 되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Recently, a new design culture phenomenon has been created in overall design through artist collaboration. This study focuses on the ways of expressing space that represents the space with light and color in a minimal space of the light art. The spatial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light art allow people to experience more liberal imagination in a space with light.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investigating the ambiguity of space, the appearance of which depends on the reality of light and color in the space, and method of expression. The spatial ambiguity showed in the works of James Terrell is similar to the ambiguity seen in architecture and space, but with palpable emotional differentiation. In this perspective, the works of James Terrell give hints on the sensibility and attitude space designers should adopt when they engage in work. This study aims to characterize the “ambiguity” of space and characteristics in Terrell`s works by exploring the concept of “ambiguity,” particularly spatial ambiguity. (Methods)This study investigates the tendencies of James Terrell`s works and the relationship of the visual perception of light and color with spatial “ambiguity”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visiting. Based on this,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ambiguity with light and color that appear in the works of James Terrell are identified though comprehensive case analysis. (Results)The comprehensive case analysis revealed the Terrell`s spatial ambiguity was immaterial but recognized similarly to materialistic characteristic to a certain extent. The characteristics were divided: first, the ambiguity of experiential space, and second, the ambiguity of observed space. The ambiguity of boundary space and frequency of the ambiguity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series of works. (Conclusions)The study determined the spatial “ambiguity” in Terrell`s works. The immaterial spatial ambiguity expressed by light and color may have potential for development as a creative spatial creation rather than a temporary phenomenon of modern architecture and space expression. The emotional recognition and experiences of users indicated that design gives value to physical space. Future studies may focus on the expression of immaterial space of light made in a variety of ways and expressed in actual space rather than in works.

      • KCI등재

        제임스 터렐의 작품에 나타난 기하학적 공간구성, 시지각적 역동성 그리고 존재론적 의미에 관한 연구

        김종진(Kim, Jong-Jin)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2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1 No.5

        Since 1966 when James Turrell completed his studies on Art, he has been working on the consistent theme of Art. For the 46 years of time, site contexts, scales, methods of light have been changed and they made Turrell"s unique "project series". Each series has different spatial, visual-perceptual forms and characteristics from other series. The differences were caused by the given situations, but also Turrell intentionally pursued it. However, there are essential theme of art that has not changed in most of Turrell"s projects. Target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unchanged theme as well as the differences. The study starts with three questions: first, what is the geometrical space composition?, second, what is the visual-perceptual phenomenon?, third, what is the hidden consistent theme? This research focuses on three case projects: Wedgework, Space Division Constructions, Skyspaces. These project series are in between the early small object-like installations and the late mega-scale outdoor projects. The study found that geometrical space composition has important role to give visual-perceptual dynamism to the viewer. The phenomenological perception is connected to the questions of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space, ultimately human and the world. Although the Merleau-Ponty"s philosophy has been related to the work of Turrell in various previous studies, Cartesian 3-dimensional geometry has also crucial role to experiment a viewer"s perceptual boundaries. Image of infinity is another aspect of three cases, especially Space Division Constructions and Skyspaces. Through these structure, Turrell"s work lead to an ultimate question of meaning for human existence in infinite space. It is hoped that this paper is helpful for Architecture and Interior design field in which light and space are essential.

      • KCI등재

        제임스 터렐의 빛과 공간을 통한 관람자의 지각체험

        박성연 한국영상학회 2016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4 No.5

        본 논문은 빛의 예술가로 잘 알려진 제임스 터렐(James Turrell)의 작품을 통해서 어떻게 빛이 관람자에게 지각체험을 불러일으키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그의 작품은 빛과 공간에 반응하는 관람자의 시각적 경험에 기반하고 있다. 터렐은 비물질인 빛에 물질성을 삽입하여 빛을 인지하는 관람자의 시지각적 경험을 유도한다. 이 연구에서는 터렐의 이러한 특징을 관람자의 지각체험이라는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자신을 자각하는 과정이 터렐 작품의 의의라고 볼 수 있다. 빛을 표현하려는 작가들은 많았지만 터렐에게 빛은 빛 자체이며 다른 무엇으로 대체할 수는 완벽함이다. 터렐은 그러한 빛에 물질성을 부여하여 조각적 사물로 보이게 하거나 무한히 확장되는 공간으로 보여주었다. 먼저, 터렐은 미니멀한 형식과 테크놀로지를 사용하여 관람자에게 사색적인 시간과 주관적인 경험을 제공한다. 이것은 정교한 기술과 시각적 착시를 통해 가능하다. 그의 작품에서는 프로젝터, 강한 조명, LED 등을 이용한 빛에서 부터 햇빛 등의 자연적인 빛까지 모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효과는 관람자가 작품을 본다는 행위에 집중하도록 유도한다. 결국 관람자는 터렐이 연출한 빛의 공간과 시각적 착시에 의해 심리적이고 정신적인 그 무엇을 이끌어내고 이후에 초월적인 감수성과 숭고를 경험하게 된다. 그의 초기 작품이 공간 구조와 원근법적인 요소들을 의도적으로 숨김으로써 무한한 공간감을 체험하게 하였다면, 최근의 작품은 대자연이 주는 거대한 규모를 경험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분화구 정상에 있는 관람자는 우주 공간에 떠 있는 느낌을 받으며 그 과정에서 자기 자신에게 몰입한다. 이것은 관람자가 거대한 자연을 마주하며 느끼는 실존적 시간인 것이다. 그러므로 터렐의 작품은 관람자의 심리와 공간구조를 이용하여 관람자를 명상으로 유도하고 자신의 내면에 집중하여 우주 속 자신의 존재를 자각하도록 만든다. This study explores how light evokes the perceptual experience of viewers through the work of James Turrell. It focuses on the viewer's visual experiences, reacting to light and space. Turrell's work emphasizes the perceptional experiences of humans by combining immateriality with materiality. In other words, his work leads to the phenomenological perceptual experience of the viewer facing light within a space shaped by materiality. The present study reveals the meaning of perceptional experience by analyzing his minimalist works. Turrell's works, most of all, provide viewers with time to meditate and to gain a subjective experience by utilizing high technology along with the minimalized structures of the works, which maximizes the effects of light. The illumination and the spaces he composes become one complete entity when advanced technology maximizes psychological experience. Applying natural and artificial light from the sun, electric light through a projector and LEDs, his works capture the viewer's attention and concentration on the act of watching itself. As a result, viewers can participate in surreal experiences in their psychological and mental realms through the obstruction and superposition of sensitivity and the sublime in a visual sense. While Turrell's early works aim to evoke viewers' surreal experiences of infinite space in a physically limited space through an illusory effect of light, ignoring perspective, his recent works aim to reflect the unlimited extensiveness of nature. His recent work at the site of the Roden Crater provide, the viewer with a feeling of floating in space, which allows them self-recognition in infinite space. This is an existential time for the viewers to face and experience the vastness of nature. By maximizing the effects of the psychological changes of viewers within a spatial structure, Turrell's works drive them to meditate to thus reinforce self-consciousness in infinite space.

      • KCI등재

        조르주 디디 위베르만의 이미지론에서 부재의 형상: 프라 안젤리코, 미니멀리즘, 제임스 터렐 비평의 경우

        이나라 현대미술사학회 2019 현대미술사연구 Vol.0 No.45

        Georges Didi-Huberman’s idea of the image is about the visuality, the symptom, the presence, not the visibility, the imitation, the representation. Concerning Charcot’s photographies on hysteria patients, he has recognized these as the symptoms image that shows the simultaneous presence of contradictions. In the 1990s, he put forward critical researches about religious paintings of the 15th century, as well as about minimalism and James Turrell’s works. After 2000, on the contrary, he focused on thinking about the image of History. If the former is to analyse the figurability, the Freudian idea, that assembles contradictory symbols and associates one signification to the opposite, the latter on dialectical image. For him, the symptom, the figurability, the place are conditions to reveal the absence and the void. His comments on Fra Angelico’s religious paintings, minimalism and James Turrell let us know that his thinking about image is closely linked to the figure of the absence. James Turrell shows the absence by the use of frame’s paradox slitting the space and hiding this limit. In this sense, his critical image thinking of history is not different to the symptom image of something missing that affects us although we have lost it. 프랑스의 미술사학자이자 철학자인 조르주 디디 위베르만은 이미지에 대한 문제 설정을 새로이 하려고 시도한다. 디디 위베르만은 이미지의 가시성, 모방, 재현에 대해 질문하기보다 이미지의 시각성(visuality), 징후, 현시(presence)에 대해 질문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디디 위베르만은 샤르코가 소개했던 히스테리 환자의 사진을 징후의 이미지, 동시적 모순의 형상으로 분석하는 연구를 수행한 후 1990년 무렵에는 15세기 종교화와 미니멀리즘, 제임스 터렐의 작업에 대한 몇 편의 비평적 이론서를 펴낸다. 이와 달리 디디 위베르만의 2000년 이후 작업은 주로 역사 이미지에 대한 논의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전자의 작업이 주로 모순적 상징을 모으고, 하나의 의미작용을 정반대의 의미작용과 조합하며 징후와 프로이트적 의미의 형상성을 독해하는 작업이라면 후자의 작업은 변증법적 이미지에 대한 분석일 것이다. 디디 위베르만의 징후와 형상성, 장소는 부재와 공백을 가시화하는 조건이다. 프라 안젤리코의 종교화, 미니멀리즘, 제임스 터렐에 대한 디디 위베르만의 비평은 그의 이미지 사유가 부재의 형상을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음을 알려준다. 터렐은 공간을 구획하는 동시에 구획을 사라지게 하는 틀의 역설을 통해 부재를 드러낸다. 이런 의미에서 디디 위베르만의 비판적 역사 이미지는 우리에게 부재하나 우리에게 계속 영향을 미치는 징후의 이미지와 다르지 않다.

      • KCI우수등재

        대상관계이론에 의한 제임스 터렐의 하늘공간 속 건축적 특성 비교분석연구

        이재인(Lee, Jae-In) 대한건축학회 2019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5 No.2

        This study set out to analyze James Turrell"s Skyspace works by applying the object relations theory, compare them with several modern architectural works with a sky window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and check common and differentiating features between them.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urrell"s Skyspace works shed new light on the images of the sky by projecting inner light to the outside; second, sky windows in architecture make the self-representation of inner space clear through the introjection of light; third, ‘Hill of the Buddha’ reflects the most general aspect of the object relations theory as the nature of projection found in Turrell"s Skyspace is added to it; and finally, Turrell installed event-like spaces and steps in ‘Roden Crater’ to apply the introjection of others that was deficient in Skyspace.

      • KCI등재

        몰입의 담론적 계보와 잠재적 유토피아: 제임스 터렐, 올라퍼 엘리아슨, 팀랩의 작업을 중심으로

        우정아(Woo, Jung-Ah) 서양미술사학회 2020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Vol.53 No.-

        본 논문에서는 제임스 터렐에서 올라퍼 엘리아슨, 그리고 도쿄에 기반을 둔 디지털 아트 그룹, 팀랩까지 이어지는 동시대 미술에서, 작품 감상 및 체험의 주된 범주로 부상한 ‘몰입’의 담론적 계보를 살펴보고, ‘몰입형 미술’의 사회적 의미를 타진했다. 1960년대 캘리포니아에서 등장한 ‘빛과 공간’ 미술의 핵심 인물인 터렐, 1990년대 중반 이후 대형 설치 미술을 주도하는 덴마크 출신의 엘리아슨, 그리고 미술과 테크놀로지의 21세기적 결합을 보여주는 일본의 팀랩 등은 모두 최신 기술을 매개로 빛과 자연이 어우러진 스펙터클을 구현하고, 그 공간 안에서 관람자/참여자/사용자가 ‘몰입’을 체험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러나 1960년대 미니멀리즘의 담론에서 현상학적 주체가 미니멀리즘의 사회비판적이고 정치적인 의의를 상징하는 아방가르드적 주체로 떠오르면서 현대 미술사에서 몰입이란 무비판적이고 무감각한 관람자를 낳는다는 비판을 받아 왔다. 본 논문은 터렐과 엘리아슨, 그리고 팀랩의 작품을 분석하면서 서로 다른 몰입의 환경이 관람자의 주체성을 구성하는 방식에 집중했다. 작가가 이루어낸 환경 안에서 자연의 장엄한 경관을 관조하는 수동적인 몰입형 미술이 터렐의 경우라면, 엘리아슨에서 팀랩에 이르는 과정에서의 관람자는 보기만 하는 관람자가 아니라 적극적인 참여자, 나아가 사용자이자 이미지 제작자로 변모하며 테크놀로지로 구현된 인공/가상의 환경 안에서 상황과 적극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몰입의 경험을 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처럼 서로 다른 몰입의 조건과 매체의 변화를 분석하면서 현대 미술사의 담론에서 줄곧 지배적이었던 몰입에 대한 묵시론적 비관론을 비판적으로 재고하고, 결론적으로 팀랩의 작품이 상정하는 완전한 몰입의 주체가 코로나 시대의 변화된 사회 환경에 최적화된 ‘정보 행동’을 가능케 한다고 주장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discursive construction of ‘immersion’ in contemporary art history based on the works of James Turrell, Olafur Eliasson, and teamLab. Despite their different periodic and cultural backgrounds, these artists have created spectacular spaces, by utilizing digital technology and mechanic devices, in which the optical effects of light and artificial nature allow the audiences to experience psycho-physical immersion. In contemporary art history, the discourse on Minimalism has been dominated by Rosalind Krauss and Hal Foster, who believe that Minimalism’s literalness heightens the awareness of the viewer, and thus derives its critical power from its neo-avant-garde status. For Krauss and Foster, the subject has been utterly fragmented by contemporary society, with its advanced culture industry and highly technologized mass media. In other words, the art of technologized media, which created virtual reality and immersive experience, overwhelms our visual apparatus, replaces our aesthetic appreciation with “intense euphoria,” and ultimately defuses our critical capability. In light of the dominant distrust, I argue that the recent advancement in technology of Human-Computer Interface and digital imaging system made teamLab’s audience/user actively engage with other participants while maintaining physical isolation, which is an alternative mode of subjectivity in this era of global pandemi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