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제지역연구로서 중국학의 방법론에 대한 고찰

        이규태 한국중국문화학회 2016 中國學論叢 Vol.0 No.49

        In general, International area studies integrates all the issues including culture, history, politics, and society, focusing on a certain international area like China. Therefore, this study requires comprehensive analysis capability for wide fields such as culture, history, politics, economy etc. about a certain area. Accordingly, when compared to study methodologies requested by single academic category like existing politics, economics, cultural studies, historical studies etc., it would be natural that this requires more comprehensive, interdisciplinary thinking. But limitation of study method in international area studies including sinology has always become an important issue in the study realm - related scholars mainly quoted methodology of existing academic studies because independent study methodology for International area studies is still poor. Due to such limitation of methodology, scholars with critical view in the nations where International area studies including sinology are comparatively active have discussed problems of their academic study, and suggested main issue of limitation as an independent academic studies. In Korea, International area study actively started after middle 1990s, so it can be said that study on its study methodology just actively started. In the body, the author analyzed problems of study methodology in international area studies including sinology discussed until now. Based on its results, the study intended to discuss possibility of study methodology which can overcome issue of study methodology under going and can bring more objective study results, considering integrated and interdisciplinary aspects of international area study.

      • KCI등재

        비교교육학과 교육평가학

        박찬호 한국비교교육학회 2018 比較敎育硏究 Vol.28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help establish the status of comparative education as an academic discipline by investigating its relationship with educational evaluation. Comparative education as a subfield of education covers other areas of study in education, while educational evaluation is a study of methodology. First,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was investigated, and recent methodologies in educational evaluation were introduced.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started in 1960's, and is being expanded. The participating countries hope for better education by comparing their educational curricula and practices with others. For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ies, a differential item functioning analysis as a multigroup analysis can provide information on what sociocultural factors other than the construct are affecting the measurement results. The study dataset has a hierarchical structure so that multilevel item response theory is suitable to obtain multidimensional national profiles. Although there have been methodological advances in educational evaluation, the methods are not available in comparative education. In order to reduce the gap, scholars in educational evaluation should try to make the methods easily available, while those in comparative education should try to use the exact and precise methods in their studies. 이 논문은 교육평가학과의 관계를 점검함으로써 비교교육학의 학문적 위상을 정립하는 데 도움을 주려는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비교교육학은 교육학의 분과 학문이면서 교육학의 다른 분과 학문들을 포괄할 수도 있다는 점에서 독특한 성격을 지닌다. 그리고 교육평가학은 평가의 내용을 다루기도 하지만 평가 방법론이 연구 영역에 포함된다는 특징을 지닌다. 교육평가학과 비교교육학 간 접점으로는 먼저 점차 확대되고 있는 국제비교평가를 들 수 있다. 국제비교평가는 1960년대 12개국의 수학교육을 비교하기 위해 실시된 국제수학연구를 필두로 대상 과목과 참여국가가 점점 확대되고 있다. 국제비교평가는 단지 참여국의 순위 경쟁이 목적이 아니라 각국의 교육과정 및 교육실천을 다각도로 비교함으로써 교육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해 실시되고 있다. 국제비교평가에는 다집단 분석을 실시할 수 있으며, 특히 국가 간 사회문화적 차이 등 측정구인 외의 요소가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지 밝히는 차별적 문항기능 분석이 가능하다. 또한 국제비교평가 자료는 다른 교육 자료들과 마찬가지로 위계적 구조를 지니고 있어 다층모형 또는 위계적선형모형이 적절하다. 따라서 문항반응이론을 확장시킨 다층문항반응이론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국가 간 차이에 대한 다차원적 진단이 가능하다. 교육평가학의 방법론적 진보에도 불구하고 비교교육학과의 간극으로 인해 그 도구들은 적절히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이를 해결함으로써 비교교육학은 학문으로서 진일보할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방법론을 쉽게 풀어 널리 알림으로써 연구자가 도구를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평가 학계의 노력과 함께 이러한 도구들을 사용함으로써 보다 정밀하고 정확한 분석을 통해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는 비교교육 연구자들의 노력이 함께 요구된다.

      • KCI등재

        고교학점제에 대한 국제비교 연구

        김대영,우옥희 안암교육학회 2019 한국교육학연구 Vol.25 No.3

        The Ministry of Education recently announced that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will be applied in 2025. However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has never been experienced in history of high school, and there are concerns over whether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will be able to settle down in high school. Such concerns cannot be dispelled without an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by comparing cases abroad that use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ough the credit system and unit system are complementary to each other, high school has yet to break away form the tradition of the graded system. To expand the understanding of the credit system based on a understanding of the unit system, this study looked at how the credit system is being realized by comparing the curriculum of the United States, Japan, Germany, Finland and IB. As a result of international comparison, this study was able to confirm that our National Curriculum document did not establish sufficient regulations to realiz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that it would act as a burden on future students’ choice of subjects due to a relatively low unit for determining the amout of study. 최근 교육부는 고교학점제를 2025년 전면 도입한다고 밝힌바 있다. 하지만 고교학점제는 국가 교육과정에서 한 번도 경험해 보지 못한 것으로 고교학점제가 고등학교에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존재한다. 이러한 우려는 사실 고교학점제에 대한 이해 부족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를 사용하고 있는 해외 사례를 비교 분석하여 고교 학점제의 이해를 높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와 현재 고등학교에서 사용 중인 단위제는 서로 보완적 관계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마치 별개의 정책으로 인식되고 있는 문제점에서 출발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단위제에 대한 선이해를 바탕으로 학점제로의 이해의 폭을 확장시키고자 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학점제를 처음 고안한 미국, 우리와 비슷한 교육체제를 유지하는 일본, 독일, 최근 전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핀란드, IB 교육과정을 비교하여 고교학점제가 어떠한 모습으로 실현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국제비교 결과 우리의 국가교육과정 문서는 단위제를 실현하기 위한 충분한 규정을 설정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학습량을 결정하는 1단위 규정이 상대적으로 낮게 규정되어, 향후 학생들의 과목 선택에 대한 부담으로 작용할 여지가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한・일 초등학교 진로교육 비교 연구

        서우석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8 實科敎育硏究 Vol.24 No.1

        이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초등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진로 교육을 비교 분석하여 우리나라 진로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하였다. 이 연구는 문헌 연구를 중심으로 수행되었으며, 양국의 진로교육을 비교 분석하기 위한 준거는 초등학교 진로교육목표, 교과 활동, 교과 외 활동으로 설정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교육 목표는 우리나라의 경우 진로개발역량 중심으로 4개 대영역, 8개 중영역으로 구성하여 행동용어로 기술되어 있고, 일본의 경우에는 진로개발역량과 핵심역량으로 4개 영역으로 구성하여 역량용어로 기술되어 있다. 둘째, 교과활동의 경우 우리나라와 일본 모두 독립교과 없이 전체 교과에서 관련 단원을 통해 진로교육을 다루는 소위 ‘분산적 접근’을 통해 진로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주요 진로교육 관련 교과는 우리나라는 ‘실과’ 교과였고, 일본은 ‘생활’ 교과였다. 셋째, 교과 외 활동은 우리나라는 주로 창의적 체험활동의 ‘진로활동’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진로탐색집중학년·학기제는 시범운영 중에 있었다. 일본의 경우에는 도덕, 종합적 학습 시간, 특별활동 시간, 외국어 활동 등 다양한 비교과 활동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진로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고 마지막으로 진로교육 비교연구의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implications for career education in Korea by comparing and analyzing career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in Korea and Japan. This study was conducted mainly on the literature study. The criteria for comparative analysis of career education in both countries were set as the objectives of elementary school career education, curriculum activities,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Korea, the career education objectives is composed of 8 sub-behavioral domains in 4 behavioral domains and described in behavioral terms. In the case of Japan, it is composed of four competencies domains and described in competency terms. Second, in the case of curriculum activities, both Korea and Japan are carrying out career education through related units in the whole subject without independent subject. The major subjects related to career education are 'Practical Arts' subject in Korea and 'Life' subject in Japan. Third, extracurricular activities are mainly conducted through 'career activities' of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in Korea. In the case of Japan, extracurricular activities are mainly conducted through morality, comprehensive study time, special activity time, and foreign language activit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ome implications for career education in Korea were suggested, and finally, some recommendations for follow-up study for comparative study of career education were also suggested.

      • KCI등재

        여성창업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국제비교

        원숙연(Sook-Yeon Won)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17 여성학논집 Vol.34 No.1

        본 연구는 여성창업에 대한 사회문화적 인식을 중심으로 여성창업 환경을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창업을 둘러싼 여성과 남성 간의 불평등한 구조와 젠더유형화 등 여성창업에 부과되는 사회적 압력을 논의하였다. 둘째, 여성창업의 형식적 특성이나 정 책내용을 넘어선 사회문화적 인식에 주목하였다. 셋째, 한국, 미국, 영국, 그리고 스웨덴을 대상으로 국제비교를 하였다. 이를 위해 Global Entrepreneurship Monitoring(GEM) 의 2013년 National Entrepreneurship Survey(NES)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내용은 첫째, 한국을 비롯한 대상국가 창업의 전반적인 환경으로 창업기회인식, 창업위험, 네트워킹, 창업에 대한 문화적 지원 및 창업에 필요한 인적자본을 파악하였 다. 이를 바탕으로 여성창업에 대해서는 첫째, 일-가족 양립지원, 둘째, 여성창업에 대한 문화적 수용과 여성창업권장, 셋째, 창업기회의 평등한 제공, 넷째, 창업기술과 지식의 성별차이를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비교대상 국가 모두 여성창업에 대한 문화적 수용은 높은 반면 여성창업에 대한 지원과 권장은 소극적이다. 둘째, 창업기회가 남녀에게 평등하게 제공되는가에 대해서는 비교대상국가 모두에서 현저하게 낮았다. 그러나 여성의 창업기술이나 지식이 남성보다 낮지 않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한국은 여성창업에 대한 사회문화적 인식이 다른 나라와 비교해 일관되게 낮았다. 넷째, 여성창업에 대한 인식에서 성별차이는 비교적 크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가 갖는 함의를 심층적으로 논의하였다. Recently startup has been paid attention. However, the link between women and startup is loosely coupled in comparison to startup in general. It is in part because of dichotomy between public (labor market-men) and private (family-women) which is still tenacious in Korean society. Keeping this in mind, this study explores sociocultural perception towards female startup. In doing so, this study takes the following ways which are different from the existing studies on female startup. First of all, this study pays a special attention to gendered implications of female startup. To this end, gender typing and discriminated structure of startup along gender lines are addressed . Secondly, this study sheds light on sociocultural perception towards female startup rather than superficial statistics and state policy for female startup. Third, this study applies a comparative approach. Based on typology of gender regime, the sociocultural perceptions toward female startup for four countries are compared: Korea as family centered model, USA and UK as liberal market model, and Sweden as women friendly equality model. For empirical analysis, data from the National Expert Survey provided by Global Entrepreneurship Monitor: GEM) are utilized. For perception towards startup in general, opportunity recognition for startup, risk acceptance, networking with entrepreneurs, cultural supports for startup, and perception towards equality of human capital are compared by country. For female startup in particular, there are four components to be compared; work-family supports for female startup, cultural supports for female start up (social acceptance and encouragement of female startup), gender equality for opportunities of startup, and human capital of female entrepreneurs for starting up.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albeit variations by country, female start up is socially accepted in general. On the contrary, female start up is not highly encouraged as much as social acceptance. Then, gender equality for opportunity of startup is considerably low regardless of country compared. This result shows the very nature of gendered reality faced by female startups. Interestingly, human capital of female startups is evaluated as high as male startups. Lastly, among countries compared, Korea has the most gendered reality of female startups showing consistently lower social and cultural supports for them.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re discussed in depth.

      • KCI등재

        예비 미술교사 교육실습에 관한 문화상대주의적 관점의 참여관찰 연구: 미국 애리조나 대학과 국내 교육대학 수업을 중심으로

        서제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

        This study is a comparative educational approach to prospective teachers’ experiences of teaching practice about visual arts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in two educational institutions.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has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locality, culture, and social systems. As the educational field is diversified, there is an increasing need to understand the specific aspects of education in the comparative study. As a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prospective teachers’ teaching practice, the following differences were found. Firs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educational system, Second, differences in subjectivity of a prospective teacher in the classroom, and Finally, the difference in educational meaning between reflection and practice in an art classroom. 본 연구는 2개국 교육기관의 예비 미술교사 실습수업에 관한 문화상대주의적 관점의 참여관찰 연구이다. 그동안 교육기관의 국제비교는 그 기관이 갖는 지역성, 문화성, 제도적 특징 등을 파악하는 것에 도움이 되어왔다. 교육현장이 다양하게 분화되고 각기 다른 성격으로 전개되면서 국제비교에 관한 교육현장의 구체적 양상이나 현장에 따른 다양성, 혹은 미시적 관점을 이해할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 연구는 상이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두 교육기관에서 연구자가 예비 교사들의 교육실습을 한 학기 이상 참여관찰하고 수업과정과 작품 이미지 촬영, 예비 교사들과의 인터뷰 등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 결과 다음의 세 가지로 분류되는 다음과 같은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교사 양성기관이 실시하고 있는 제도의 차이에 따라 교육실습 현장의 모습이 달리 나타난다. 둘째, 교실에서 예비 미술교사가 가진 주체성의 차이에 따라 교수학습 활동의 다름이 발생한다. 셋째, 교육실습에서 겪는 예비 교사들의 반성과 실천 따라 실습수업의 교육적 의미가 달라졌다. 각각의 교육현상에 대한 단면들을 통해 문화적, 제도적 차이를 다양한 시각에서 이해할 수 있으며 교육현장의 실천적 변화와 개선을 추구하는 것에 기여할 수 있다.

      • KCI등재

        영어교과 평가의 성취기준 비교 분석

        이병천 ( Lee Byeong Cheon ) 한국중등영어교육학회 2018 중등영어교육 Vol.1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suggestions for the ways of presenting Achievement Standards(AS) in National English Curriculum.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foreign language national curricula of two countries were analyzed. The curricula of Finland and Singapore were selected based on the grounds that Finland has slimming curricular while Singapore has an independent volume with elaborated explication on the curriculum. The criteria for the analysis include the structure and connectedness of the AS, the level of elaboration, the content areas connecting to the AS, and the ways of connecting AS to the English subject key competences. The several main findings from the analysis include the following: First, the curricular include culture with integrating four language skills and attitudes, which enables content areas to maintain coherence with AS; Second, content areas and assessment standards are aligned with educational objectives, educational contents, and evaluation; Third, English subject key competences in the two countries are interconnected with subject content areas and assessment items, while 2015 English national curriculum often has been criticized for the lack of this connectedness. Based on these findings, some discussions are made along with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 KCI등재

        서울굿의 다양성과 구조

        김헌선(Kim Heon-Seon) 한국무속학회 2006 한국무속학 Vol.0 No.12

        이 논문은 서울굿의 다양성과 다양성 속에 내재되어 있는 통일적인 원리로서의 구조를 발견하고 이를 해명하고자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서울굿이 다양성을 지니고 있으며 이 다양성을 드러내는데 있어서 필요한 모든 원리를 가지고 있는 것은 구조적 통일성이 있기 때문이다. 서울굿의 다양성은 여러 각도에서 이루어지는 것임이 해명되었다. 서울굿의 다양성은 담당층의 다양성으로부터 비롯된다. 생산자의 다양한 자기 표출은 반드시 수요자의 요구 때문으로부터 비롯된다. 굿이 다양한 수요에 부응하면서 다양하게 마련되었음이 확인된다. 경제적 뒷받침이 되어서 다양한 굿이 소요되고 충족되었다. 서울굿의 다양성을 이루는데 있어서 요긴한 것은 담당층의 다양성이다. 만신, 단골 등을 양대산맥으로 해서 이를 부응하는 악사, 만신의 상차림이나 옷을 입는데 도움을 주는 시봉자들이 있어서 여러 측면에서 굿을 성립하도록 도와준다. 담당층이 다양한 것은 매우 주목되는 서울굿의 특징이 된다. 서울굿에서 작은 단위의 치성과 큰 단위의 굿이 양립하면서 이 둘이 서로 조합되어서 다양한 의례를 생산한다. 치성은 만신과 단골이 어우러지는 기본적인 요점 사항이 되고, 치성이 더 발전하게 되면 치성에서 얻어진 날짜에 의해서 굿을 이루게 마련이다. 서울굿의 근간은 치성이고 굿은 담당층이 총체적으로 동원되어서 굿을 하게되는 종합적인 제전으로된다. 서울굿은 재수굿과 진오기굿을 근간으로 하면서도 만신들만의 내림굿과 진적굿이 조합되고, 마을 단위의 굿인 부군당굿이 첨가되고, 여기에 예탐굿, 하직굿, 화전치는 굿, 병굿 등이 결합되어서 입체적인 굿을 완성하게 된다. 굿의 핵심은 여러 위계로 존재하는 신격과 조상신앙이 결합하는 방식에 있음이 확인된다. 서울굿에서 핵심적인 주체는 만신이다. 만신이 하나의 정립된 연행자로서 완성되기 위해서 여러 가지 조건이 필요하다. 큰만신들로 간주되는 이들로부터 얻은 정보를 종합하면 사회적 지위와 재주아치, 태도 등이 중요한 요건임을 알 수 있다. 동시에 서울굿은 지역적인 편차가 있는데 동쪽제와 서쪽제가 서울의 궁궐을 중심으로 양분되어 있음이 확인된다. 굿을 운용하는데 있어서 명백한 지역적 차이가 있고, 이것이 대타적 인식 속에 만연하고 있음을 확인하게 되었다. 서울굿의 구성 요소가 여러 가지 있으나 가무악희에 의해서 여러 가지 굿을 구성하고 있으며 유형화하고 있음이 확인된다. 서울굿 연구를 온전하게 하기 위해서는 내적 비교와 외적 비교가 온전히 진행되어야 한다. 내적 비교는 규모가 작은 것에서 큰 것까지 일관된 준거를 가지고 연구하는 방법이고, 외적 비교는 서울굿 이외의 지역 굿과 이를 견주어 보는 것이다. 이 논문은 이를 실현하고자 하는 방법론적 모험과 결과를 담고 있다. 특정 지역 무속의례 연구의 고양과 진작을 위해서 비교 연구를 해야 하는 것이 지상 과제로 대두되었다고 하겠다. It is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clear the diversity and structure which is the unificative pricipal of the Seoul Gut. It contributes to understand of Korean shamanism. 1. The person in charge : Mansin, Gidae, Geonak, Sibongja. Traditionally There are four parts to perfome the Seoul gut. but We can see the Mansin and the Geonak now. Gidae has dismissed due to make up the role by mansin. The sibongja is the important role in Seoul gut but It has not been studied. If We know the diversity and structure of the Seoul Gut, We should understand the traditional system. 2. The rites of the heavenly Gods is the key of the ancestor worship and the root of the guts. The rites of the heavenly Gods is not guts but a rites to wish. Generally saying It is Chisung. Chisung is not Gut but shows the essential conditions of Gut and It enlarges as the structural feature of the Gut. 3. There are units of Gut and the principal of organization in it. We can see the situation by fieldworking on Naerimgut and Jinjeokgut of Mansin to themselves. 4. There are the aesthetic standard of Mansin which is the conditions of a great sharman (큰무당 : Kenmudang). 5. There are the difference by area in Seoul Gut. Normally we can divide it into Eastern style and western style. 6. The constituent of Seoul Gut are song, dancing, music and play etc. These factors are organized by the principal in Gut and is the important standard is Music to analyze.

      • KCI등재

        한국불교학 40년, 중관학의 연구성과와 과제

        남수영 한국불교학회 2013 韓國佛敎學 Vol.68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examining the research products andsubjects of Madhyamaka Studies of the Korean Buddhist AcademicWorld, during 40years after foundation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Buddhist Studies. Present writer examined the research products ofMadhyamaka Studies centered on period and person, raising up theupper limit of period to 1950, dividing the period into 1950∼1980 and1981∼2012, to help reader's general understaning, and examined theresearch subjects of Mdhyamaka Studies based on that. So presentwriter knew the facts as follows. The important research products of Madhyamaka Studies from1950 to 1980 are the formation of research scope by Dongwha Kim(김동화) and Ingsuk Kim(김잉석), the translation of 24th chapter ofMūlamadhyamaka-kārikā(『근본중송』) from Sanskrit to Korean byTaehyuk Jung(정태혁), and the translation of whole verses ofChung-Lun from Chinese to Korean by Sanduk Hwang(황산덕). IndukKim(김인덕) and Hau Kim(김하우), the important scholars from 1980to 1991, succeed the researches of Dongwha Kim and Ingsuk Kim, andpropagate it to younger scholars. The research products from 1991 to2012 show that the various research papers and works published invarious research fields, and the research tendencies of that time are asuccession of traditional research field and a development of newresearch field. The translations of texts from 1981 to 2012 show that 1) the greater part of the translations are being on Nāgārjuna's works,2) the translations for reasons of policy are much more than thetranslations for reasons of individual, and 3) the translations onChinese works are much more than Sanskrit or Tibetan works. But the Madhyamaka Studies are divided historically into theformer, middle, latter Madhyamaka Studies, and divided theoreticallyinto the philological, philosophical, hermeneutical, thought comparativestudies. So, following that division, the research products ofMadhyamaka Studies of the Korean Buddhist Academic World showthat the balanced researches are required historically, even thoughtheoretically in balanced status, for most of the research products areconcentrated on former Madhyamaka, and the translation productsalso show that the balanced translations are required for most of thetranslations are concentrated on Nagarjuna's works. These show thatthe researches and translations of the middle and latter Madhyamakaare needed along with of the former Madhyamaka. Following Katsura Shoryu(桂 紹隆)'s article, the researchtendencies on Indian Buddhism of the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icWorld are 1) the wide reference of Tibetan buddhist texts, 2) theinternationalization of buddhist studies, 3) the diversification ofresearch method, 4) the popularization of codicology, 5) thecomputerization of buddhist texts. So the Madhyamaka Studies ofKorean Buddhist Academic World also need 1) the expansion ofphilological studies and translations of texts into Korean not only onthe former Madhyamaka texts but also the middle and latterMadhyamaka texts, 2) the studies of Madhyamaka based not only onChinese and Sanskrit texts but also on Tibetan texts, 3) theinternational academic exchange, and 4) the copmputerization of thatresearch products and translations. And it needs of wide interests andsupports of goverenment, universities, research institutes, and studysocieties to do that works. So it needs not only of endavours of individual scholars but also interests and supports of goverenment,universities etc. for the quantitative as well as qualitative developmentof the Madhyamaka Studies of the Korean Buddhist Academic World. 본 논문은 한국불교학회 창립 이후 40년간 한국불교학계의 중관학 연구성과와 앞으로의 연구과제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지만, 전체적인 연구성과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하기 위하여, 시대 상한선을 조금 올려서 1950년부터 1980년까지와 1981년부터 2012년까지의 두 단계로 나누어 연구성과를 파악하고, 그것을 토대로 하여 앞으로의 중관학 연구과제를 고찰해 보았다. 본 논문에서 살펴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950년부터 1980년까지 중관학에 대한 주요 연구성과는 김동화와 김잉석에 의한 중관학의 연구범위 형성, 정태혁에 의한 범어 『프라산나파다』 제24장 우리말 역주, 그리고 황산덕에 의한 한문 『중론』의 게송부분 우리말 번역이다. 1981년부터 1990년까지의 주요 연구자인 김인덕과 김하우는 삼론학과 중관학의 연구를 통하여 김동화와 김잉석의 연구를 계승하고, 후학들에게 확산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1991부터 2012까지는 다양한 연구분야에서 다양한 연구성과가 발표되었으며, 그 시기 여러 연구자들의 주요 연구경향은 전통적인 연구분야의 계승과 새로운 연구분야의 개척이라고 할 수 있다. 1981년부터 2012년까지의 원전번역성과를 보면 1) 용수의 저술에 대한 번역이 압도적으로 많고, 2) 개인적으로 번역한 것보다 정책적으로 번역된 것이 많으며, 3) 한문 번역이 범어나 티벳어 번역보다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중관학의 연구는 시대적으로는 초기, 중기, 후기중관학의 연구로 구분할 수 있고, 내용적으로는 문헌학적, 철학적, 해석학적, 비교사상적 연구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러므로 그런 구분에 따르면 한국불교학계의 중관학 연구는 내용적으로는 고르게 분포되어 있다고 해도, 시대적으로는 초기중관학에 치중되어 있어서 균형 잡힌 연구가 부족함을 알 수 있다. 원전번역성과를 보아도 몇 권의 번역을 제외하면, 대부분이 용수의 저술에 대한 번역이어서 역시 불균형 상태임을 알 수 있다. 이로부터 한국불교학계의 중관학 연구는 초기중관학 만이 아니라, 중기 및 후기중관학에 대한 연구와 번역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카츠라 소류의 연구에 따르면 오늘날 세계불교학계의 인도불교 연구경향은 1) 티벳불전의 폭넓은 참조, 2) 불교연구의 국제화, 3) 불교연구방법론의 다양화, 4) 사본연구의 대중화, 5) 불교문헌의 전산화라고 한다. 그러므로 한국불교학계의 중관학 연구도 세계불교학계의 연구경향에 발맞추어, 1) 중기 및 후기중관학 관련 원전들에 대한 문헌학적 연구의 강화와 우리말 번역, 2) 한문 및 범어불전과 함께 티벳불전을 통한 중관학 연구, 3) 국제적인 교류, 그리고 4) 그에 대한 전산화 작업 등이 뒤따라야 할 것으로 생각되며, 그런 작업을 위해서는 정부, 대학교, 연구소, 학회 등 여러 기관의 폭넓은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 따라서 한국불교학계의 중관학 연구의 양적 질적 성장을 위해서는 연구자 개인의 노력과 함께 정부와 대학교 등 여러 기관의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KCI등재

        관광분야 지방정부 간 국제 네트워크에 관한 연구

        임이랑(Im, Yirang) 한국지방정부학회 2016 지방정부연구 Vol.20 No.3

        본 연구는 한국 지방정부의 주도로 창설된 강원도의 ‘동아시아지방정부관광포럼’, 부산시의 ‘아시아태평양도시 관광진흥기구’, 제주도의 ‘섬관광정책포럼’을 사례로 전개 과정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선행연구 검토를 바탕으로 추진 요인, 구조적 특성, 기능적 특성을 중심으로 분석 틀을 설정하였고, 문헌 자료와 인터뷰 조사 등을 기초로 실증적 사례 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네트워크의 구조적, 기능적 특성에서 다소 상이한 특성을 나타냈으나, 네트워크 추진 요인 및 창설 지방정부와 상설사무국과의 관계, 협력 사업의 내용 등에서 유사한 특징이 나타났다. 향후 네트워크 전략 추진을 위해서는 첫째,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달성할 수 있는 구체적인 목표와 현실성 있는 계획 수립이 요구된다. 둘째, 사무국 유치 도시로서 운영에 주요 역할을 수행하되 네트워크를 회원 전체 이익을 대표하는 국제적 기구로 성장시키기 위한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셋째, 네트워크를 통해 지역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활용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development process of international tourism networks between local governments and explores the implications on these network strategies. The“East Asia Inter-Regional Tourism Forum”in Gangwon, “Tourism Promotion Organization for Asian-Pacific Cities” in Busan and “Inter-Islands Tourism Policy Forum”in Jeju, all of which are led by Korean local governments, were selected as comparative case studies. This study analyzed the development process, focusing on the factor of network strategy, structural characteristic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 based on a literature reviews and interviews. According to this analysis, though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structur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several similar features such as; factor of network strategy, relationship between the local government initiating networks and the permanent secretariat, and the network activities, were found in common. The following points were suggested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ere should be more specific goals and achievable plans to be created through the networks. Second, local governments should take a primary role in the network operation as host cities of each network’s secretariat, furthermore, develop the network into representative international body by providing institutional strategies. Third, they’re constantly trying to find way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local community through the networ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