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Integrating the English-language International Baccalaureate Diploma Programme (IBDP) into a Korean High School - with a focus on language policy and implications -

        ( Nicole Birdsall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21 Asia Pacific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Vol.4 No.1

        This paper focuses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International Baccalaureate Diploma Programme (IBDP) at Chung Nam Samsung Academy (CNSA), an autonomous private high school located in Asan, Republic of Korea. CNSA became the second Korean school in the country to be authorized by the International Baccalaureate (IB) when it became an IB World School in August 2020. In the context of IB in Korea―dominated by international schools on the one hand and the expectations surrounding the development of the IB Dual Language Diploma Programme (IB DLDP) in Korean on the other hand―one distinctive about the IBDP at CNSA is the choice to offer the program in English, as part of a Korean school. The goal of integrating it into the school as a whole and making it as accessible as possible to interested students presents both practical and more abstract challenges. In planning for IBDP implementation, the school developed a language policy to articulate its language philosophy, explain possible reasons behind why students would want to pursue the IBDP in English, and develop strategies for English-language learning for both IB students and staff, while at the same time affirming the use of Korean as a mother tongue and identifying specific ways to continue to cultivate students’ Korean linguistic competency and cultural awareness. It is suggested that, with a proper approach, students can develop in both their Korean and English abilities, and, in tandem, become more engaged both locally and globally. In other words, they can become more internationally-minded―one of the goals of IB education. The idea of autonomy and student choice ultimately underscores the educational approach at CNSA, as the English-language IBDP is just one of many curricular options available in the school.

      • KCI등재

        일본 국⋅공립학교 IBDP 교육과정 운영 현황 분석 및 시사점 탐구

        이지은,신경애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0 교육연구 Vol.7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implications for Korean public IBDP (International Baccalaureate Diploma Programme) education’s development by doing a case study of Japanese seven national and public schools’ IBDP curriculum operation, as Japan has a similar education system and has recently introduced the IBDP in public education. Based on five analytical frameworks - way to select IB students, operation method of IBDP curriculum, IBDP subjects, annual costs, and university admission - the study analyzed each school’s case through information on the school’s website. The research outcomes are as follows. Each school selects a small number of IB students separately, and connects the IB curriculum to Japanese national curriculum by making school’s own new subjects, which can be included in credits of the Japanese national curriculum. Furthermore, each school tries to narrow the gap between IB students and non IB students. With the dual language IBDP, a few subjects have set by the school and have applied to all students. Also, students need to pay additional costs for the programme. For the spread of the IBDP in Japan, the Japanese government is actively making a new university admission system related to IB. With these outcomes, the study suggested implications for Korean public IBDP education. 본 연구에서는 국내 공교육에서의 IBDP 교육과정 운영의 현실적인 해결방안을 찾기 위해 우리와 비슷한 교육제도를 지녔으며 최근 공교육에 IBDP를 도입한 일본의 국⋅공립 고등학교 7개교의 IBDP 운영 현황을 연구하여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학생 선발 방식, 교육과정 운영 방식, 교과개설 현황, 연간 소요 비용, 대학 진학의 다섯 가지 분석 틀을 기반으로 운영의 구체적인 사례를 각 학교 웹사이트 정보공시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각 학교에서는 별도로 IB 학생을 소수 선발하여 학교설정과목을 통해 일본 국가교육과정과 연계를 시켰으며, IB 과정 학생과 비 IB 학생 간의 격차를 줄이려는 노력도 병행하였다. 일본어 DP 운영을 통해 특정 교과는 학교에서 지정하였으며, IB 과정 참여 시 별도 비용이 존재하였다. 한편, 일본에서는 정부 차원에서 IB 대입제도를 적극적으로 신설 중에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에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인터내셔널 바칼로레아 디플로마 프로그램 (International Baccalaureate Diploma Programme)의 국내 공교육 도입에 대한 비판적 고찰

        김천홍(Kim Chunh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2

        본 연구는 인터내셔널 바칼로레아 디플로마 프로그램(International Baccalaureate Diploma Programme, 이하 IBDP)의 국내 공교육 도입에 대한 교육 정책적 타당성을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IBDP 공교육 정책 실행과 효과를 다양한 교육주체와 연계하여 교육과정, 교육평가, 교사교육 및 교육 거버넌스 영역에서의 타당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정책 실행 측면에서 IBDP 공교육 도입은 IBO의 인증 및 운영비용이 매우 높고, IBDP 성적을 대입에 활용하기 위한 평가 기술적 선행 조건들이 복합적이며 교육 주체별 공교육 도입의 정책적 수용성 수준이 높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이와 함께 정책 효과 측면에서 공교육에서의 IBDP 적용 대상의 타당성과 적절성 및 교육 형평성 측면에서 교육 기회 및 대입 활용에서의 차별적인 효과가 있을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중등교육 전반 의 교육 권한과 책임을 IBO에 위임해야 한다는 점에서 국내 교육정책 거버넌스에 심대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IBDP 국내 공교육 도입 주장은 그 실행을 위한 재정적 소요, 기술적 실현가능성, 교육 주체의 정책 수용성과 정책 도입의 효율성, 정책 파급성, 형평성에 대한 엄밀한 논의와 연구에 기초하여 재검토한 후 교육정책 실행 여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ntroduction of ‘International Baccalaureate Diploma Programme(IBDP)’ in Korean public schools. To analyze the validity of the policy, this study explored the main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IBDP, and then a two-pronged analysis, which focused on the issues surrounding its implementation and the effects of the policy, was conducted. In doing so, the various stake-holders and specified dimensions such as curriculum, assessment, teacher education and educational governance were taken into account. The research findings showed that cost incurred by the public education system in implementing the IBDP policy would be very huge and the technical feasibility of using the IBDP score for the university admission seem to be low. In addition, the various stake-holders would not give enough support for the policy to be implemented. . Regarding the effects of the policy, the high demanding contents and the educational aims of IBDP would not fit for the purpose if it was to be introduced in public schools located in socio-economically deprived area. It would also produce different opportunities of providing IBDP in school level and create inequalities of university admission in student level, due to the chances of applying to foreign universities with IBDP certificates. Moreover, substantial changes on education governance would be accompanied because the IBO will have the responsibility and authority over curriculum, assessment and teacher education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in accredited public schools as IB World School. The research findings indicated that introduction of IBDP in Korean public schools should be revised with rigorous research on the issues of policy implementation such as cost, technical feasibility, various actors’ acceptability, and effectiveness on the targeted problem, equity on students’ group and influence on the other domestic policies.

      • KCI등재

        IB 디플로마 프로그램(DP)의 공교육 도입 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홍원표 ( Won-pyo Hong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9 교육과정연구 Vol.37 No.3

        최근 들어 일부 시도 교육청을 중심으로 국제 교육과정인 인터내셔널 바칼로레아 디플로마 프로그램(IB DP: International Baccalaureate Diploma Programme)을 관내 고등학교에 도입하려는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다. 2000년대 초반 일부 특목고나 자사고의 틀 내에서 시작된 IB DP 도입 담론이 일반 고등학교로 경계를 확장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IB DP를 공교육 기관에 확대 적용하는 것은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이나 사회적 파급력이 큰 변화이기 때문에 좀 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토대로 본 연구는 IB DP가 국제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이유와 그것의 국내 도입이 가져올 수 있는 쟁점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시도하고 있다. 연구 결과 IB DP의 국제적 확산은 우수성이라는 하나의 요인이 아니라 국제 질서의 변화, 계층적 열망, 국가적·지역적 상황과 같은 복합적 요인에 의해 추동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는 IB DP의 도입이 교육격차를 해소하는데 기여할 것인가, IB DP는 과연 우수한 교육과정인가, 공교육에 대한 거버넌스를 외주화할 가능성은 없는가라는 세 가지 질문을 중심으로 IB DP 도입의 타당성을 재검토하고 있으며, 이들 토대로 IB DP 도입 논의가 좀 더 균형 있게 이루어지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In Korea, the International Baccalaureate Diploma Programme(IB DP) received attention in the early 2000s, as several international and foreign language high schools were interested in adopting it. Recently, a revived attention to IB DP is emerging, since a number of provincial education authorities attempt to expand it into general high schools under their jurisdiction. Considering the credential culture in Korea, however, social impact of expanding IB DP in general schools needs to be more carefully examined. In this contex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mplicated reasons underlying the global expansion of the IB curriculum, beyond the dominant perception of its ‘curricular excellence.’ In addition, this study explores three main issues related to adopting IB DP in Korean general high schools- its effect on the educational gap which is already serious, its effect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college admission, and the issue of outsourcing the public curriculum to IBO. The main argument of this study supports that a more carful and balanced approach is required to expanding IB DP into Korean general high schools.

      • KCI등재

        우리나라 교과서와 International Baccalaureate Diploma Programme(IBDP) 교과서 비교·분석 -수학적 모델링의 관점에서 함수 영역을 중심으로-

        박우홍,고상숙 한국학교수학회 2022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2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International Baccalaureate Diploma Programme(이하 IBDP)의 수학 교과서와 우리나라 고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함수 단원의 문제 중 모델링 문제의 수와 특징을 비교·분석하는데 있다. IBDP 교과서 3종과 우리나라 교과서 9종 선택한 후 이원분류법을 사용하여 교과서의 모든 문제를 실세계 문제와 그렇지 않은 문제로 분류한 후 실세계 문제는 수학적 모델 설정의 필요성에 따라 문장제와 모델링 문제로 분류한 다음 모델링 문제는 일반적 응용문제와 적절한 모델링 문제로 분류하였다. 12 종의 교과서 중 모델링 문제를 가장 많이 포함한 교과서는 IBDP의 ‘수학: 응용과 해석 HL’ 교과서로 전체 문제대비 50.41%의 모델링 문제 비율을 나타내었다. 이 교과서는 2%에서 9% 사이의 모델링 문제 비율 분포를 보인 다른 교과서에 비해 학습자들에게 현저히 높은 모델링 기회를 제공하였다. 수학적 모델링의 6가지 하위 행동 요소 중 ‘수학적 분석’ 요소와 ‘해석과 결과에 대한 분석’ 요소는 모델링 문항 수와 매우 유사한 정도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수학화’ 요소가 뒤를 이었다. 위의 연구 결과로 모델링 문제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각 교과서에서 등장하는 모델링 문제의 수와 비율에 대한 비교와 모델링 문제에서 어떠한 모델링 하위행동요소가 어느 정도로 나타나는지에 대한 이해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글로벌 인재 양성을 위한 국제표준 교육과정의 실행현황 분석과 발전 방안 탐색: 카자흐스탄 국립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아이게림,박선형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19 글로벌교육연구 Vol.11 No.4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ternational Baccalaureate Diploma Programme(IBDP) implementation in the Kazakhstan national education system and to explore practical implications for its improvement. The interpretation of the results i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literary data and interviews with IBDP teachers and students. According to the interviews' results,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for IBDP implementation, integration curriculum based on learners, operation of curriculum considering students' needs and management etc. characteristic was confirmed.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problems such as high level of education difficulty and increased workload, inadequacy of connection with the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system in Kazakhstan, difficulties in program operating were still on the agenda. This study conducted an in-depth analysis of the implementation of IBDP in Kazakhstan and reached the following solutions: there was given the possibility of the introduction of IBDP to the public education system in the future. 현재 급격히 진전된 세계화의 흐름에 발맞춰 차세대 글로벌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제도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많은 나라가 선진 교육프로그램을 자국 교육현장에 적극적 으로 반영하고 있다. 본 연구는 최근 교육 혁신과 교육과정 재구성 대책으로 주목받고 있는 국제표준 교육과정(International Baccalaureate Diploma Programme, 이하 IBDP) 의 실행 사례 분석을 통해 공교육체제의 IBDP 운영과 발전에 주는 실질적 시사점을 탐색 하는 데 주요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관련 문헌 자료 분석을 토대로 카자흐스탄 국립학교 IBDP 교육에 참여한 교원, 학생을 대상으로 면담 조사를 시행하였다. 조사 결과, IBDP 실행을 위한 단위학교 차원의 행·재정적 지원, 학습자 중심의 통합교육과정 편성, 학생 들의 요구를 고려한 교육과정 운영 및 학생 관리, IB학교 간의 교수-학습 경험 공유와 컨설팅 형식의 협력체제 구축 등의 특징이 확인되었다. 한편 높은 수준의 교육 난이도와 학습량 증가, 카자흐스탄 대학입시제도와의 연계 미비, 학사 운영의 어려움과 교사들의 전문성 부족 등의 문제점도 여전히 쟁점화되고 있었다.

      • The Process and Influence of Implementing Korean Dual Language Diploma Programme of International Baccalaureate on the School Culture and Philosophy

        ( Jinah Choi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21 Asia Pacific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Vol.4 No.1

        The outstanding product of the MOC (Memorandum of Cooperation) between the IBO (International Baccalaureate Organization) and the DMOE (Daegu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Korean Dual Language Diploma Programme of International Baccalaureate (IB), is the result of meeting bottom-up research and practices by teachers who’ve made efforts for classroom innovation by focusing on learners’ competences along with top-down actions by DMOE shifting its pedagogical paradigm towards a goal of developing future competences of students for future society. Although it is not easy to adopt pedagogical reform to improve the limited and rigid educational situation which has been geared toward the framework of college entrance systems, efforts to pursue the essence of education have taken form connected with IB, which has been internationally refined and verified over a significant period of time. Each part of the IB programmes has been used for college application worldwide by operating stable ‘criterion referenced assessment.’ This could suggest us a lot in solving such issues as student-centered learning, growth-oriented evaluation, and differentiated education, which are key factors for the full implement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its successful settlement. Here I provide the past two years of efforts and actions which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igh School has made from the phase of consideration up to the current candidacy phase of consultation visit with its overall influences on the school community.

      • KCI등재

        IBDP(International Baccalaureate Diploma Programme)의 평가 체제 연구 - ‘Language A: language and literature’를 중심으로 -

        박소은 국어교육학회(since1969) 2019 국어교육연구 Vol.- No.6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ssessment system of the International Baccalaureate Diploma Programme (IBDP) and to explore implications for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through it. To that end, to select the ‘Language A: language and literature’ subject and analyze a professor and learning assessment program. In chapter 2, this study provides an overview of the objectives required by this subject, an overview of the curriculum, what is learned in Part 1 through 4, and the conditions of the text covered by each part. This allows IBDP to choose from a variety of text to explore the role of language within a selected topic. By providing guidelines on which literary works should be selected and directed in which direction, it can be viewed as a way to support the autonomy and identity of schools and teachers in teaching and learning. Through the chapter 2, IBDP has evaluation criteria that are applied to the world in common across countries and regions, and they are discussed in detail in Chapter 3. It is intended to be evaluated during or after the course of teaching and learning. All subjects have internal and external evaluation systems. The internal evaluation is performed by teachers during the course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unlike having a formative evaluation characteristic, external evaluation takes the form of a general assessment made by the IB at the end of the learning process and is performed by an epilogue. Chapter 4 focuses on the implications of Korean language and education. IBDP’s assessment criteria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minimize errors in evaluators’ subjective ratings and can be assessed on a strict and fair basis. In principle, the evaluation criteria presented in Table 4 are to be released to students as well as teachers, which makes students think of the true significance of the assessment in helping them evaluate their achievements and take advantage of their own opportunities. 이 연구는 IBDP(International Baccalaureate Diploma Programme)의 평가 체제를 연구하고 이를 통해 국어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Language A: language and literature’ 과목을 선정하여 교수·학습 평가 프로그램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2장에서는 이 교과의 목표, 교육과정의 개요, Part 1~4에서 학습하는 내용, 각 Part에서 다루어지는 텍스트의 조건 등을 개괄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를 통해 IBDP는 선택된 주제 안에서 언어의 역할을 탐구하기 위해 다양한 텍스트를 고를 수 있고, 어떤 방향에서 문학 작품을 선택하고 지도해야 하는지에 관한 지침을 제공함으로써 교수·학습 시 일선 학교 및 교사들의 자율성과 주체성을 지지하는 입장을 표방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IBDP의 지원은 공교육에 대한 절대적인 신뢰나 엄격한 교사 연수 시스템을 통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겠지만, 무엇보다도 교수·학습 평가가 체계적이고 엄정한 형태를 띠고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는 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3장에서는 이 교과의 평가 기준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았다. IBDP는 국가와 지역을 넘어서서 세계 공통으로 적용되는 평가 기준을 가지고 있으며, 교수·학습 과정 중이나 후반에 평가를 치르도록 되어 있다. 모든 과목에서는 내부평가와 외부평가 제도를 두고 있는데, 내부 평가는 교수·학습 과정 중에 교사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일종의 형성 평가적 특성을 띠는 것과는 달리 외부 평가는 학습의 마지막에 IB에 의해 이루어지는 총괄 평가의 형식을 띠며 지필 평가로 치러진다. 4장에서는 IBDP가 국어과 교육에의 시사하는 바를 알아보았다. 첫째, 교육을 통한 실제적인 경험을 제공하고 그 성취 정도를 체계적으로 평가한다. 둘째, 평가기준을 명확히 설정하여 학생의 학업 수행을 객관적으로 평가한다. 셋째, 다양한 교육 자료를 선정하여 수업에서의 교사의 자율성을 보장해야 한다. 넷째, 성취기준을 바탕으로 과제를 선정하고 그에 맞는 평가기준을 개발해야 한다.

      • KCI등재

        IBDP(International Baccalaureate Diploma Programme) 공교육 도입의 선결 조건 탐색

        류영규(Ryu, Young-Kyu),김대현(Kim, Dae-Hyun)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8 교육혁신연구 Vol.28 No.3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IBDP를 우리나라 공립 일반계 고등학교에 도입하는 것에 대한 타당성, 가능성, 선결 조건 등을 탐색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를 위해 사용된 연구 방법은 문헌연구로서, IBDP에 대한 국내외의 연구 보고서와 논문들을 철저히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저자들의 견해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및 논의: 첫째, 상황단계에서 우리나라 공립고등학교에서 IBDP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IBDP성적 결과를 대입 제도에 반영하는 평가 기술적 문제들이 선행적으로 논의하여 구제적인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투입단계에서 IBDP는 성취 수준이 높은 학생에 보다 적합한 교육과정이기 때문에 그 한계를 가지며, 거버넌스 측면에서 IBO가 공립학교의 승인하고, 평가하고, 교육활동에 개입하는 것이 정단한지에 대한 심각한 논의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과정단계에서 IBDP는 교수·학습 과정에서 학생 간, 교사 간 협력적인 문화를 조성하지만, IBDP 교육과정의 요구사항이 증가함에 따라 IBDP 교사들은 업무량의 증가로 극심한 스트레스를 받고, 경직된 IBDP 교육과정으로 인해 IBDP 학생들은 일반 학생과 구별되는 고립감을 느낀다. 따라서 IBDP를 공교육에 도입할 경우, 학교 계층화 문제, 교육적 불평등 문제, 공교육의 공공성 및 형평성 문제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넷째, 산출단계에서 IBDP 학생들은 높은 수준의 학습 동기와 자신감으로 학업성취도가 우수하며, 일반 학생들에 비해 대학 입학률과 졸업률 그리고 학업의 지속성이 훨씬 높았다. 하지만 학업 성취기준이 낮고 학습동기가 부족한 학생들을 위한 다양한 맞춤형 교육과정이 제공되어야 한다는 측면에서 이에 대한 보완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결론: 우리나라 공립 일반계 고등학교에 IBDP 교육과정을 도입하는 것은 매우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 국가교육과정과의 양립가능성을 모색해야 하고, 학교의 자율적인 교육과정 운영을 저해할 수 있으며, 교육 주권을 침해당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IBDP 교육과정의 도입을 위한 소요 예산이 막대하여 개별 학교와 학부모가 부담할 수 없고, 교육청이 부담한다면 일부 학생들을 위한 재정지원이라는 점에서 예산 배분의 형평성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IBDP 교육과정의 운영이 교수·학습 측면과 대학 준비 및 대학에서의 학업 적응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하더라도 상기한 교육 주권과 과다한 교육비 그리고 교육재정 배분의 형평성 문제 등을 감안하여 우리나라 일반계 고등학교에 IBDP의 도입은 신중을 기하여 면밀한 검토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feasibility, possibility, and prerequisites for introducing the IBDP curriculum into public high school in Korea. Method: The research method used for this study was a literature review, and the research reports and papers about IBDP curriculum. These materials were analyzed thoroughly and the authors opinions were presented based on them. Results: First, in order to operate the IBDP in the public high schools in Korea, evaluation technical problems that reflect the results of the IBDP results in the substitution system should be discussed in advance. Second, during the input stage, the IBDP would be a more appropriate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high achievement levels, and has a serious debate as to whether the IBO should approve, evaluate, and engage in educational activities in terms of governance. It should be preceded. Third, during the process stage, IBDP creates a cooperative culture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However, as the requirements of the IBDP curriculum are increased, IBDP teachers are exposed to extreme stress due to increased workload, IBDP students feel a sense of isolation from ordinary students. Therefore, when introducing IBDP into public education system, it will be necessary to closely examine the problem of school stratification, educational inequality, and publicity and equity of public education. Fourth, during the output stage, IBDP students have to have high academic motivation and confidence, high academic achievement, and have a much higher college admission rate, graduation rate and academic continuity than general students. However, a supplementary plan should be prepared in order to provide various customized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low academic achievement standards and lack of learning devices. Conclusion: Although the IBDP curriculum has a positive effect on teaching and learning, college preparations, and academic adaptation in universitie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IBDP in Korea in consideration of the issue of education sovereignty, excessive education costs, the introduction should be carried out with careful consideration.

      • KCI등재

        국제바칼로레아 디플로마 프로그램(International Baccalaureate Diploma Programme) 역사 교재의 질문 분석과 시사점

        유득순 역사교육연구회 2022 역사교육 Vol.164 No.-

        This study aims to find definite and practical ways to construct the contents and structure of questions. Accordingly, the history subject curriculum of the International Baccalaureate Diploma Programme(IBDP) was selected as a reference for this study, and the questions from the IBDP history textbook(The Move to Global War; “IBDP History Textbook”) were analyzed. Among the items of the “IBDP History Textbook,” those that can be considered as questions are ‘source-related questions’(including full document questions), ‘questions regarding ATL skills’, and ‘the TOK and class discussion questions.’ The characteristics of source-related questions(Source skills) are that they have a set format(from ‘first question’ to ‘fourth question’), are presented in phases, have a clear purpose, and focus entirely on the source to solve the problem. The characteristics of the questions regarding ATL skills are that they distinguish the necessary abilities for students and categorize competencies needed for learning, which is critical in teaching and learning. The TOK and class discussion questions reflect on generating knowledge and demonstrate how you can practice ‘doing history’ in the entire process of learning. In the structured questions from the textbook, source-related questions and questions regarding ATL skills can be considered basic level, while the TOK and class discussion questions can be considered higher level.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qu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questions in textbooks and instructions, the following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question types that focus on the purpose and direction of learning in advance.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question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history learning. Third, lessons should be designed considering the overall structure and phases of ques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로운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편찬을 앞둔 상황에서, 학습자의 사고를 자극하는 가장 좋은 수단이 질문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질문의 내용과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사례의 하나로 국제바칼로레아에 주목하여, IB 교육과 IBDP 역사 교육과정을 간략히 살펴보고, IBDP 역사의 교재(The Move to Global War, 이하『IBDP 역사교재』)의 질문을 분석하였다. 『IBDP 역사교재』의 각 단원을 구성하는 항목 가운데 질문으로 간주할 수 있는 것은 사료 연계 질문(종합 질문 포함), ATL에 따른 질문, TOK와 학급토론에 따른 질문 등이다. 사료 연계 질문은 1번부터 4번까지 정해진 문항 형식에 따라 단계적으로 제시되며, 질문의 목적과 문제 해결 방향이 명확할 뿐 아니라,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전적으로 사료에 집중해야 한다는 특징이 있다. ATL에 따른 질문은 학습자에게 필요한 역량을 다섯 가지로 구분하여 그에 따른 질문을 제시하는데, 학습자의 사고와 탐구를 강조하며, 학습에 필요한 역량을 범주화하고 역량별 질문의 고른 개발을 안내하는 등 교수・학습의 전략적 측면에서 의미를 지닌다. TOK에 따른 질문은 지식의 생성 과정을 성찰하며 전 단원에서 역사 학습의 본질에 관한 물음을 던지는데, 이는 역사 학습의 전 과정에 ‘역사하기’가 스며들 수 있음을 보여주는 좋은 사례라 할 수 있다. 또한 교재 전체의 질문 구조에서 사료 연계 질문과 ATL에 따른 질문이 기초단계라면, TOK와 학급토론에 따른 질문은 일종의 심화 단계로 기능한다고 볼 수 있다. 각 질문의 특징과 이에 기반한 시사점 도출을 바탕으로, 본고는 새로운 교과서의 편찬 및 현장 수업에서 질문 개발에 관해 다음을 제안하였다. 첫째, 학습의 목표와 방향에 초점을 맞춘 일정한 질문의 형식(유형)을 사전에 개발할 필요가 있다. 둘째, 역사 학습의 본질을 토대로 ‘역사다운 질문’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셋째, 단원(주제)이 질문의 구조 속에서 단계화되도록 수업을 설계할 필요가 있다. IBDP 역사 교재와 우리나라 교과서를 단순 비교할 수는 없지만, IB 교육과 우리 교육의 지향이 일치하는 지점에서 학생의 사고와 탐구를 강조하는 질문 사례나 IB의 내용 선정과 조직 방식 등 우리가 참고할 수 있는 사항에 관한 연구가 지속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