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세대 차이와 갈등은 삶의 질을 낮추는가? 자기효능감의 영향

        박영신,박영균,김의철 한국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29 No.3

        The focus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ollowing questions: Do generational gap and intergenerational conflict reduce quality of life and what role does self-efficacy play? This study examines the influence of the perception of generation gap and intergenerational conflict on quality of life among adolescents and their parents and the mediating role of self-efficacy. A total of 3,114 respondents, consisting of 1,038 adolescents and their father (n=1,038) and mother (n=1,038) completed a questionnaire that included the perception of generation gap, intergenerational conflict, and quality of life developed by the present researchers and self-efficacy (Bandura, 1995). Hierarchical analysis indicate that inclusion of self-efficacy significantly increases the percentage of variance explained for quality of life, far and above the influence of the perception of generational gap and intergenerational conflict. LISREL analysis indicate that the perception of generational gap had a direct and positive influence on intergenerational conflict, which had a direct and negative influence on quality of life. The perception of generational gap had a direct and negative influence on self-efficacy, which in turn had a direct and negative influence on intergenerational conflict and a direct and positive influence on quality of life. Those respondents with less intergenerational conflict and with higher self-efficacy had higher quality of life. However, self-efficacy had a more powerful effect on quality of life than intergenerational conflict. The effect size of self-efficacy on quality of life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e influence of the perception of generational gap and intergenerational conflict on quality of life. The effect size of self-efficacy on quality of life was 3 to 9 times greater than that the perception of generational gap and intergenerational conflict on quality of life. A similar pattern of results were obtained for adolescent, father and mothers samples. In summary, the perception of generational gap increases intergenerational conflict, which in turn reduces quality of life. However, self-efficacy reduces intergenerational conflict and significantly increases quality of life. 세대 차이와 갈등은 삶의 질을 낮추는가? 그러한 과정에서 자기효능감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라는 질문에서 이 연구는 출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세대 차이와 갈등을 청소년과 부모의 세대차에 대한 지각과 이로 인한 세대갈등에 초점을 두고, 이러한 세대갈등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기효능감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분석대상은 총 3,114명으로서, 청소년 1,038명, 아버지 1,038명, 어머니 1,038명이었다. 세대차 지각, 세대갈등, 삶의 질 질문지는 연구자가 제작하였으며, 자기효능감은 Bandura(1995)의 도구를 번역하였다. 위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 세대차 지각과 세대갈등에 비해 자기효능감이 추가되었을 때, 삶의 질에 대한 설명변량이 크게 증가하였다. LISREL분석 결과, 세대차 지각은 세대갈등에 대해 정적인 경로계수를, 세대갈등은 삶의 질에 대해 부적인 경로계수를 나타내었다. 세대차 지각은 자기효능감에 대해 부적인 경로계수를, 자기효능감은 세대갈등에 대해 부적인 경로계수를, 삶의 질에 대해서는 정적인 경로계수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세대갈등이 낮을수록,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삶의 질이 높았지만, 삶의 질에 대한 영향력의 정도는 세대갈등보다 자기효능감이 현저하게 높았다. 효과분석 결과, 세대차 지각이나 세대갈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전체효과는 부적인 효과계수를 보이는데 비해, 자기효능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전체효과는 매우 높은 정적인 효과계수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세대차 지각이나 세대갈등이 클수록 삶의 질이 감소되지만, 자기효능감은 높을수록 삶의 질이 향상되었다. 효과크기를 비교해 보면, 세대차 지각이나 세대갈등에 비해 자기효능감은 삶의 질에 대해 3∼9배의 강력한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반응 패턴은 청소년, 아버지, 어머니 집단에서 공통적으로 확인되었다. 분석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세대차 지각과 이로 인한 세대갈등은 삶의 질을 낮추지만, 높은 자기효능감은 세대갈등을 감소시킬 뿐만아니라, 삶의 질을 크게 증진시키는 매우 영향력 있는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

        현대사회의 쟁점과 문학교육 : 세대갈등과 문학교육의 전략

        박용찬 ( Yong Chan Park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3 문학교육학 Vol.41 No.-

        Intergenerational Conflict and Strategies of Literature Education Park, Yong-Chan This article focuses on the role of literature education to resolve the intergenerational conflict. This article deals with literary works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mainly concerning intergenerational conflict. Intergenerational conflict comes from the difference in recognition of reality and values which each of generations have. The rapid social changes bring about the difference of historical events and cultural experience between each generations. This is a factor accelerating the intergenerational conflict. Since human life contains a conflict itself, the conflict is bound to be a main material in literature works. Intergenerational conflict in literature works is mainly presented as a form of the conflict between parents and child. Since intergenerational conflict takes on the aspects of vertical conflict, it is more serious than horizontal conflict within the same generation. The novels dealing with intergenerational conflict have been positioned as an important canon(正典) in the literary education fields. This article adopted Lee Tae-jun`s ?A Stone Bridge?, Park Wan-seo`s ?A Twilight?, Oh Seung-hee`s ?Meju which followed Grandmother? as main texts in discussion. The main cause of conflicts is mainly derived from the difference of value consciousness looking at the object. These three literary works show the conflict between characters whose values are different. These conflicts can be called a confrontation between characters grew up in a different culture. Intergenerational conflict is derived from an absence of communication between each generations about assessment of value. To resolve the conflict, The width of sympathy and understanding for each other is important. It is more desirable to expose the aspects of conflict rather than hiding it in order to find a solution more seriously. For the first, It is necessary to secure many education canon dealing with intergenerational conflict in the literature education fields. Next, in the process of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to understand the other side must be planned as a teaching strategies. Through these process, it makes the learner experience the empathy and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At last, while the learner re-contextualize the conflicts on the basis of learned literary abilities, the learner also should develop the problem-solving skills in a new situation.

      • KCI등재

        세대 간 갈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제주특별자치도민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강수진,김주경 한국공공관리학회 2023 한국공공관리학보 Vol.37 No.3

        최근 한국사회는 급속한 고령화 현상 등의 사회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채 코로나 19 라는 예기치 못한 현상을 경험하며 복합적인 사회문제를 양산했다. 개인의 영역에서부터 국가의 영역까지 사회문제를 둘러싼 해결 방안에 대하여 세대 간 입장 차이가 극명하게 드러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주특별자치도 도민들을 대상으로 세대 간 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실증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제주도민 5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 결과를 활용하였다.연구모형으로는 독립변수로 ‘사회적요인’, ‘사회신뢰 요인’, ‘경제적 요인’, ‘환경적 요인’, ‘정치적 요인’을 설정하였으며, 종속변수로는 ‘세대 간 갈등 인식’을 설정하고 다중회귀 분석모형을 활용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사회적 요인, 경제적 요인, 환경적 요인은 세대 간 갈등 인식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중에서 경제적 요인이 세대 간 갈등 인식에 가장 큰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신뢰 요인은 세대 간 갈등 인식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세대 간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함께토론하기 위한 공론의 장을 많이 만들어야 할 것이며, 청년들의 취업난을 해소하기 위한 시효성 있는 정책개발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Korean society has experienced rapid changes in politics, economy, and social history over the past century, As a result, while achieving highly compressed economic growth, social conflicts related to ‘inequality’ and ‘fairness’ occurred. In the process, various generations emerged,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degree of cohesion of each generation according to values, lifestyle, and interests, social problems were naturally resolved, or they appeared intensified as social conflicts. In addition, Korean society has recently experienced an unexpected phenomenon called Corona 19 without solving social problems such as rapid aging, and has produced complex social problems. As a result, the difference in position between generations on the solution of social problems from the individual domain to the national domain was clearly revealed. This movement will intensify into ‘intergenerational conflict’ and act as an element that hinders social integration. As such, Korean society is experiencing for the second time an era in which the industrial structure, national view, and individual values are rapidly changing, experiencing not only social problems hidden behind remarkable growth, but also recent demographic changes and the COVID-19 pandemic. Therefore,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situation of the times that Korean society is facing, It aims to remind people that they are a 'common destiny' that must wisely deal with today's 'delay in growth', even if several generations, from the older generation to the MZ generation, have different interests. To this end, the results of a survey targeting 500 Jeju residents were used to empirically analyz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perception of intergenerational conflict. For the research model, ‘social factors’, ‘social trust factors’, ‘economic factors’, ‘environmental factors’, and ‘political factors’ we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As a dependent variable, ‘intergenerational conflict awareness’ was set and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ode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social factors, economic factors, and environmental factor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erception of intergenerational conflict. Among them, economic factors were found to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perception of intergenerational conflict. It was found that social trust factors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perception of intergenerational conflict. Based on findings, we make policy suggestions to alleviate intergenerational conflict and achieve social integration.

      • KCI등재후보

        세대갈등과 세대통합에 대한 고찰: 노년교육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원영희(Won, Younghee),한정란(Han, Jungran) 한국노년교육학회 2019 노년교육연구 Vol.5 No.1

        우리 사회는 급격한 산업화와 도시화, 압축적 경제성장을 거치면서 경험, 사고방식, 가치관, 행동 등 세대 간의 차이가 증대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세대차이는 권력 불평등과 이해갈등, 세대간 편견과 접촉의 제한 등과 맞물리면서 세대갈등으로 확대되고 있다. 세대 갈등은 사회통합을 저해하고 사회발전을 가로막는 중요한 사회문제로서, 세대갈등의 원인은 사회적 정체성 이론, 사회적 접촉 가설, 현실적 집단갈등 이론 등 사회심리학적 이론들에 의해서 설명될 수 있다. 세대갈등 완화 및 세대양극화 해소, 사회 공동체성 회복에 도움을 주는 세대통합은 고령화에 따른 다양한 사회문제를 해결함은 물론이고, 지속가능한 고령사회의 기초가 된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년교육학적 관점에서 세대갈등을 해결하고 세대통합을 증진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세대통합 규범의 내재화, 세대통합 문화의 조성, 세대통합을 위한 제도 구축 등을 제안하였다. In our society, the generation gap and the intergenerational conflict are increasing due to rapid industrialization, urbanization, and compressed economic growth. The generation gaps are being combined with power inequality, conflict of interests, intergenerational prejudices, and limited contacts between generations, which are expanding into intergenerational conflicts. The intergenerational conflict is an important social problem that undermines social integration and prevents social development, and the causes of intergenerational conflict can be explained by social psychological theories such as social identity theory, social contact hypothesis, and realistic group conflict theory. The intergenerational integration is meaningful in that it contributes to easing intergenerational conflicts and resolving generational polarization, and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restoration of a social community.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internalization of intergenerational integration norms, the creation of intergenerational integration culture, and the establishment of a system for intergenerational integration as a way to promote intergenerational integr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al gerontology..

      • KCI등재

        부양지원과 세대 갈등

        이여봉(Lee Yeo-Bong) 한국가족학회 2011 가족과 문화 Vol.23 No.1

        본 연구는 기혼여성과 노부모 간 부양지원 모습과 세대 갈등의 연관성이 딸과 친정부모 관계 그리고 며느리와 시부모 관계에서 어떻게 유사하고 상이하게 나타나는지, 또한 세대 간 갈등관계를 결정하는 메커니즘이 동거/비동거에 따라 어떻게 유사하고 상이한지에 주목하였다. 한국 여성정책연구원에서 수집한 〈여성가족패널조사〉 1-2차 자료가 사용되었으며, 다변량 회귀분석과 T-검증 및 Chi-검증 그리고 빈도분석 등을 통해 관찰과 분석이 이루어졌다. 세대 간 동거는 노부모든 성인자녀든 어느 한편 혹은 양편 모두의 필요에 부응하기 위해 행해진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을 가능성이 여러 변수들에서 발견되었다. 시부모와 친정부모를 막론하고 동거하는 경우에 갈등수준이 높지만, 며느리와 시부모 간의 관계에서 이러한 경향이 두드러진다. 특히 성인자녀의 필요보다 시부모의 필요에 의해 동거부양이 이루어질 경우 그리고 시부모와 대화를 하지 않는 경우보다 대화를 하는 관계에서 오히려 높은 갈등수준이 관찰되었다. 반면에 비동거 며느리/딸이 취업을 해서 접촉기회가 적은 경우에는 세대 갈등이 덜하다. 이처럼 세대 간 상호작용이 많을수록 갈등 또한 증가하는 것은, 친족 간 상호작용이 배태하는 부작용, 즉 서로의 삶에 대한 관여 및 간섭과 충돌 그리고 저항에 기인한다. 한편 노부모부양과 관련하여 형제들과 협력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세대 간 갈등수준이 낮아서, 성별이나 출생순위에 관계없이 모든 성인자녀들 간 부양협력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그리고 친정부모보다 시부모와의 관계에서 갈등이 더 많이 발생한다는 결과는, 우리 사회 역시 며느리보다 딸에 의한 부양이 더 순조로워서 점차 부양의 무게중심이 딸/사위에게로 옮겨가게 될 가능성이 높음을 예측하게 한다. This study observes and compares the intergenerational conflict of daughters-in-law with the parents-in-law and that of daughters with their own parents. It also compares the effects of the variables on the conflict according to the living arrangements of the two generations - living together or living apart. Analysed is th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1st & 2nd wave, collected by the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The analysis was made based on the multiple regression, t-test, chi-square test, and frequency analysis. The level of intergenerational conflict is higher when both generation live together in a house than when they live apart. The level of conflict is higher when the decision for co-residence is made for meeting the demand of parents-in-law. The level of conflict increases in the presence of intergenerational conversation, and the tendency is more consistent in the relationship of the daughters-in-law with the parents-in-law. It may be due to the downside effects of the interaction itself - the elderly's frequent interference into the other's domain or vice versa. The level of conflict is reduced when the daughter/ daughter-in-law living apart is employed. It is because the employment reduces the chance of intergenerational contact. On the other hand, siblings' cooperation for the elderly caregiving reduces the level of intergenerational conflict. Overall, conflict occurs more frequently between daughters-in-law and parents-in-law than between the daughters and their own parents. It signifies that the caregiving tends to be done more smoothly by daughters than by daughters-in-law.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role of the primary caregiver is gradually moving from daughters-in-law/son to daughters/sons-in-law.

      • KCI우수등재

        연령주의와 연령통합이 세대갈등인식에 미치는 영향

        정순둘(Jung, Soon-Dool),정주희(Jeong, Ju Hi),김미리(Kim, Mi Ri) 한국사회복지학회 2016 한국사회복지학 Vol.68 No.4

        본 연구는 연령주의와 연령통합이 각 세대별로 세대갈등인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고, 세대갈등 을 줄이기 위해 어떠한 노력들이 진행되어야 하는가에 대해 탐색하고자 진행되었다. “한국의 고령화 사회에 대한 인식조사”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총 1,000명의 조사대상자들을 인구 비율에 따른 가중치 를 적용한 후 청년층 476명, 중년층 369명, 노년층 155명의 3개의 연령집단으로 구분하였다. 각 집 단의 세대갈등인식의 차이, 연령주의 관련 변수와 연령통합 관련 변수가 세대갈등인식에 미치는 영향 을 분석하기 위해 ANOVA와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각 연령집단별로 세대갈등인식에 는 차이가 없었으나, 세대갈등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차이가 있었다. 모든 연령집단에서 연령 주의 관련 변수 중 연령차별 심각성 인식이 세대갈등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연령 차별을 심각하게 받아들일수록 세대 간 갈등이 높은 것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세대갈등인식이 연령 그 자체에서 기인하는 인식과 편견들로부터 시작될 수 있음에 주목하고 연령주의 와 연령통합이 세대갈등인식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성을 탐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how ageism and age integration influence the perception of intergenerational conflict for each age group, and to seek alternatives to decrease intergenerational conflict. Study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their age: adolescence, middle age, and old age groups. For each group, the effects of ageism and age integration related variables on intergenerational conflict were examined using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specific difference on the perception of intergenerational conflict by three different age groups; however, there were differences on influencing factors to explain the perception of intergenerational conflict. Among those factors, especially, the severity of the perception of age discrimination, which is one of ageism related variables, influenced the perception of intergenerational conflict for all age groups. That is, the more people perceived the severity of age discrimination, the more people perceived intergenerational conflict.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because this study revealed ageism and age integration could be causes to trigger intergenerational conflict.

      • KCI등재

        상사의 포용적 리더십이 세대 간 갈등 완화에 미치는 영향: 조직 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윤석구(Seock Koo Yoon),정승언(Seung Eon Jeong)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 2024 창조와 혁신 Vol.17 No.2

        조직 내 구성원의 세대 간 다양성으로 인하여 조직의 혁신을 저해하고 구성원 간 갈등이 심화되어감에 따라 조직은 세대 간 갈등을 완화시킬 수 있는 전략적 방안을 탐색하는 것이 중요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세대 간 갈등을 완화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포용적 리더십을 제안하며 조직 신뢰가 포용적 리더십의 영향을 강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가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포용적 리더십이 세대 간 갈등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 신뢰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의 금융업 및 일반 사무 근로자를 대상으로 자료가 수집되었다. 자료는 온라인 응답 방식의 설문으로 진행되었으며, 전체 응답자 400명 중 불성실한 31개의 데이터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369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포용적 리더십은 조직 긍정 행동을 촉진시키고 조직 부정행동은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조직 신뢰는 포용적 리더십과 세대 간 갈등의 하위 요인인 세대 간 고정관념과의 관계에서 완전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나머지 세대 간 갈등 요인의 하위 요인(긍정적 세대 간 영향, 세대 간 접촉, 세대 간 포용성) 3개는 부분적으로 매개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다양한 구성원의 가치관이나 요구와 조직의 목표를 일치하도록 정렬시키기 위해서는 포용적 리더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한 심층적인 교육 훈련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것이 시사되었다. 또한 구성원들이 조직을 신뢰하게 하기 위해서는 성과 기회의 평등한 제공, 공정한 방식의 보상과 같은 관리 방안을 비롯하여 포용적 리더를 적극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조직의 최고 경영자와 고위 임원들의 노력이 함께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As intergenerational diversity of members within an organization hinders organizational innovation and conflicts among members intensify, it is important for organizations to explore strategic ways to alleviate intergenerational conflict. This study proposes inclusive leadership as a way to alleviate intergenerational conflict and assumes that organizational trust can strengthen the impact of inclusive leadership.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impact of inclusive leadership on intergenerational conflict and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trust.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domestic financial industry and general office workers.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an online response questionnaire, and out of a total of 400 respondents, 31 insincere data were excluded and the data from 369 people were ultimately used for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inclusive leadership was found to promote positive organizational behavior and reduce negative one. In addition, organizational trust was confirmed to complete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clusive leadership and intergenerational stereotypes, which are sub-factors of intergenerational conflict, and sub-factors of the remaining intergenerational conflict factors (positive intergenerational influence, intergenerational contact, Liver inclusiveness) were confirmed to partially mediate. This suggests that the role of an inclusive leader is very important in aligning the values and needs of various members with the goals of the organization, and that an in-depth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is needed for this purpose. In addition, in order for members to trust the organization, management measures such as equal provision of performance opportunities and fair compensation, as well as efforts by the organization's CEO and senior executives to actively support inclusive leaders, must be supported.

      • KCI등재

        이야기 구술 현장에서의 세대 간 갈등과 소통

        김종군 한국구비문학회 2018 口碑文學硏究 Vol.0 No.49

        This article starts from the critical mind that the generations can not communicate in the oral story field of our society at present. The oral field which was a place of communication was transformed into a place of intergenerational conflict. We will look at this corrupted aspect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al field, the theme of the story, and the way of speaking. Storytellers in central park story stage tend to be instructive and educative to audience. The genre of the story text is focused on the legend, the historical story, the character legend, and the unofficial historical story. and the theme is generally the ethical story such as the devoted son, the devoted daughter and the virtuous widow. In such characteristics, when a storyteller of old age describes the story of social conditions or affairs of state, he strongly displays a complaint or criticism against young generations. and in this process, the oral field becomes a place of intergenerational conflict. When storytellers of old age talk about the story of social conditions, intergenerational conflict arises by blaming the young generations impolite. In the case of the golden tower(금자탑), a talented storyteller of Pagoda Park, he is transforming the field of oral statement into the field of communication through the method of speaking with the steps of blame – admonition – plea – encouragement. In the story stage, the experiences of the Korean War are mainly narrated as contemporary historical story. Storytellers of old age blame plainly that young generations have no consciousness of nationalism and anti-communism. In this process, ideological conflicts are substituted for generation conflicts. However, the oral method of war experience based on the consciousness of antiwar and humanitarianism functions as the way of speaking of communication that postwar generation expresses sympathy and respect for the trace of war generation. In order to turn intergenerational conflict of the oral field into communication, the way of speaking of story teller should be changed. Do not force self-consciousness excessively, as dictating the way of speaking based on humanitarian and rational personality, the oral field can be reborn as a place of discourse that generations communicate and sympathize each other. 이 글은 현재 우리 사회의 이야기 구술 현장에서 노년과 젊은 세대가 소통할 수 없다는 문제의식에서 시작한다. 소통의 장이었던 구술 현장이 세대 갈등의 장으로 변질된 양상을 구술 현장의 특성과 이야기의 주제, 말하기 방식 등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구비문학이 갖는 세대간의 소통과 갈등 양상을 살피기 위해서는 이야기를 조사하여 기록한 텍스트보다는 구술의 현장에 주목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보인다. 그래서 이 글에서는 필자가 직접 경험한 도심공원의 이야기판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도심공원 이야기판에서 이야기꾼은 청중에 대해 교시적이며, 계몽적인 태도를 취하는 경향이 있다. 이야기 텍스트의 장르는 전설이나 사화 · 인물전설 · 야담에 치중되며, 주제도 대체로 효자 · 효부 · 열녀 등의 윤리적인 이야기가 대세를 이룬다. 이런 특징 속에서 노년의 이야기꾼이 세태나 시국이야기를 구연할 때 젊은 세대들에 대한 불만이나 비판을 강하게 표시하고, 이 과정에서 구술 현장은 세대 갈등의 자리로 변한다. 노년층의 이야기꾼들이 세태이야기를 구연할 때 젊은 세대들을 버릇없고 어른 공대를 못하는 존재로 비난하면서 세대 갈등이 일어나는데, 탑골공원의 유능한 이야기꾼 금자탑의 경우는 비난-훈계-당부-격려의 단계로 말하기 방식을 진행하여 구술의 현장을 소통 장으로 전환하고 있다. 이야기판에서 한국전쟁 체험담은 현대의 사화로 주로 구연되는데, 노년층의 이야기꾼은 젊은 세대들이 투철한 국가관과 반공의식 · 대북 적대감을 갖지 않는다고 노골적으로 불만을 드러낸다. 이 과정에서 이념 갈등은 세대 갈등으로 전치된다. 그러나 반전의식과 인도주의 사상을 바탕에 깔고 구술하는 전쟁 체험담 구술 방식은 전쟁 세대의 고생에 대해 전후 세대들이 공감과 경의를 표하게 하는 소통의 말하기 방식이다. 구술 현장의 세대 갈등을 소통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구술자의 말하기 방식을 바꾸어야 한다. 자기의식을 과잉되게 강요하지 말고, 젊은 청중에 대한 불만을 토로하는 과정에서도 비판-훈계-당부-격려 등의 단계적 말하기 방식을 익힐 필요가 있다. 그리고 몇몇 사람들에 대한 불만을 세대 전체로 확장하는 말하기 방식도 자제해야 한다. 무엇보다도 인도주의적이고 합리적인 인성을 바탕에 둔 말하기 방식이 요구된다. 그런 가운데 구술의 현장은 세대가 서로 소통하고 공감하는 담론의 장으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다.

      • Understanding a Unique Aspect of Intergenerational Conflict among Korean American Adolescents

        Lee Jee-Sook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2005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Vol.6 No.1

        This study examines unique manifestations of intergenerational conflict related to the acculturation process of immigrant families. No scale that measured the acculturation aspect of intergenerational conflict exsited. Thus, a new scale was developed to investigate this unique aspect among Korean American adolescents. The study design was cross-sectional, and employed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Korean American adolescents of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 age, 14 to18 years old. The study was conducted at eleven Korean churches and one hakwon (private out-of-school studies .institute) in Fairfax County, Virginia. Korean American adolescents expressed that the issues related to education, such as academic pressures and high expectations, caused intergenerational conflict most frequently. Unlike findings from previous studies, the participants indicated that language differences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rarely caused intergenerational conflict. Contrary to previous findings, none of the characteristics variables, such as age, gender, length of residency and language preference,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is unique conflict. This study provides a rare opportunity to enhance our understanding on how Korean American adolescents interact with their immigrant parents.

      • KCI등재

        한국 현대문학에 나타난 세대 갈등과 극복

        최유찬(Choi, Yu-chan) 국어국문학회 2013 국어국문학 Vol.- No.164

        This research study the aspects of intergenerational conflicts that expressed in korean modern literature. Human beings experienced a various generational conflicts with the fate of one"s own generation. Generally The aspects of generational conflicts combined with the process of civiization. The first phase in the process of civilization is characterized with a continual increase of external controls over human"s emotional and physical expressions. The second phase is the the internalization of these external controls. The third phase weaken these controls with the de-ritualization of everyday life. Korean people had experienced these three phase in two siecle"s short term. Especially industrialization and modernization were a primary factor which give rise to the violent intergenerational conflicts. But, in korean modern literature the deployment of intergenerational conflicts has two outset, one is at first 21century"s modernization, the other is the 1950"s Korean war. The war sew up a deep wound over the shocks of moder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The recovery of Korean war "s hurt only is capable of 1990"s post-modern society. Intergenerational conflicts in post-modern society become weakened and the youth take the leading role as a part of social reconcili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