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인터페이스 에이전트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친밀성 형성

        박주연(Joo Yeon Park) 한국언론학회 2007 한국언론학보 Vol.51 No.2

        The interpersonal and social capabilities of interface agents, as well as the task-oriented capability, are becoming more important according to the evolvement of the concept of computers, from tools to agents. This study examined the generation of closeness between users and interface agents, adapting self-disclosure, the mechanism which form clos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the effects of users' attachment styles on the process of generating closenes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exchange of self-disclosure between participants and an agent can increase the behavioral, affective, and cognitive closeness toward the agent; 2) there are differences of the perceptions of closeness, according to participants' attachment styles; 3) the effects of self-disclosure on the increasing of trust were influenced by attachment styles.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mutual exchange of self-disclosure can increase the closeness between the users and agents, suggesting the needs of considering the interpersonal and relational aspects in user-agent interaction, and that various personal attributes, which can affect the forma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need to be considered in the design of user-agent interaction.

      • KCI등재후보

        영화'웰컴투 동막골'의 웹 인터페이스에 나타나는 감성지향성 디자인 스타일 연구

        서정미(Suh Jeong mi)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07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7 No.2

        다양한 문화와 사상 철학 감성 오락을 수용할 수 있는 영화 컨텐츠는 원소스 멀티 유즈로써 활용가치가 크다. '영화텍스트'는 형태와 색의 기본 표현으로 웹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다루는 1차성을 넘어 사용자의 감성에 호소할 수 있는 컨텐츠가 된다. 영화 PR 웹사이트를 디자인하는데 있어서 영화텍스트는 기존의 말하기라고 할 수 있는데 이를 새로운 미디어에 맞게 재가공 시켜 우리의 인식의 장에 소구될 수 있는 감성디자인 스타일을 분석하고 제시하기에 적합하다. 여기서 웹 인터페이스의 감성지향성 디자인 스타일은 스토리텔링식 네비게이션 구조와 다음의 영화적 비주얼들이 사용되는데 이것은 숏트 동영상 스틸이미지들의 몽타주적 구성방식 겹치기 형태의 모션그래픽 따뜻함이 배어나오는 수채화풍의 일러스트레이션 등이며 이러한 시각 요소들을 구조화하여 인터랙티브의 구현과 시각 메타포의 사용 일상과 자연의 소리가 네비게이션 전개와 함께하는 청각적 구성은 바로 웹 인터페이스의 감성디자인을 추구하는데 필요한 스타일의 구성요소가 될 수 있음을 말하고자 한다. What aspects should be considered to set up a user-friendly web-site? Not only logical hierarchy and arrangement of information but also humane emotional designs bearing feelings in daily life and with endless stories should be pursued. This study aims to present how to take advantage of emotional codes in building up a web-site concerning movie contents which are of great value for'One Source Multi Use.' Designing of the web-site of the movie "Welcome to Dongmakgol," will include understanding of synopsis of the movie script navigation production and audio-visual analysis of the screenplay which is to show the development of web interface design from information design to emotional design. Cinematic texts or the former shape of storytelling are reprocessed and implanted in according to a new medium and become respondent to our recognition field. The storytelling navigation structure and cinematic visuals - the biggest type is Short Movie organizing methods like montage layered motion graphics watercolor-like illustration skills bearing warmth visual metaphor and the acoustic formation combining natural sounds of daily life and the navigation process - all these factors can bring up great synergy effect in pursuing emotional design of a web interface. This study therefore will present the essential methods and elements in setting up emotional web interface design.

      • KCI등재

        대학생을 위한 행복 증진 수업의 성과

        이용민 한국인격교육학회 2022 인격교육 Vol.16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new subjects so that college students can be empowered to lead happy lives based on a change in their perception of happiness and verify their performance. To this end, after comprehensively analyzing and reviewing the main themes and related subjects of existing classes for the promotion or pursuit of happiness, the practical nature of <What is happiness?> Curriculum (Lessons) was develop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operational performance of the developed course, 70% of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lass during one semester showed an increase in happiness at the end of the semester compared to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achievement of class goals,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the learning content, and the usefulness of class activities showed overall positive result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ontent of the students' learning reflection journals,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positive changes and growth of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class. Based on this, educational implications related to classes for improving students' happiness were derived. 이 연구는 대학생들이 행복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바탕으로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힘을 키울 수 있도록 새로운 교과목을 개발하고, 그 성과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행복 증진 또는 추구를 위한 수업들의 주요 주제들과 국내 대학의 관련 교과목들을 종합적으로 분석 및 검토한 후, 교과목 개발의 방향성 및 목표에 맞게 학생의 수행을 기반으로 한 실천적 성격의 <행복이란 무엇인가> 교과목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교과목의 운영 성과를 분석한 결과, 한 학기 동안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 중 과반수가 학기초에 비해 학기말에 행복도가 증가하였고, 수업목표 달성도, 학습내용의 이해 수준, 수업 활동의 유용성 등도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성과를 보이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학생들의 학습성찰 내용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도 이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의 긍정적인 변화와 성장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를 중심으로 학생들의 행복 증진을 위한 수업과 관련한 교육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 KCI등재

        온톨로지 기반 건축물 사례 학습시스템 구현 연구

        김성아 대한건축학회 2005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1 No.10

        The computer mediated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knowledge-based society calls for an intelligent learning environment which is adaptive to learner’s various needs and changing situations in a learning process. Such an intelligent learning environment can be embodied by having intelligent features such that the user interfaces are adaptive to user’s learning style. The learner model is introduced as a main component for designing adaptive features. The learner modeling makes it possible to create a highly effective learning environment by allowing the development of tutoring media, interface design, and the design of learning strategy tuned to the perception style, input, processing, and understanding of learning information. In order to come up with a more accurate and reliable learner model, the system should be able to record interactions between the learner and the learning system so that their interrelations with the leaning situations can be analyzed and reflected to the learner model. The learner model is to be updated according to the analysis in a dynamic manner to provide the adaptive learning environment tailored to each learner. In this paper, such a learning system is demonstrated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a heritage alive learning system. In order to develop a learning contents network, the author has investigated the nature of learning contents in architectural heritage domain, and applied the ontology engineering method.

      • KCI등재

        Metro 스타일 GUI의 가시화 효율 최적화

        김강태(Kangtae Kim),김기혁(Kihyuk Kim),이성길(Sungkil Lee) 한국정보과학회 2014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20 No.12

        최근의 소프트웨어는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직관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시각적으로 정보를 표현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를 사용한다. 잘 디자인된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효율적으로 전달하나, 그렇지 않은 경우는 보기에 불편하고 난해하다. 시각적 정보가 효율적으로 사람에게 전달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시각적 관심이 이미지의 중요한 영역에 있도록 해야한다. 이 논문은 사람의 시각체계 내 탐색(visual search)를 고려하여 Metro-Style GUI를 시각적으로 향상시키는 방법을 소개한다. 이 방법은 Metro-Style GUI 버튼의 공간적 매핑과 색 매핑의 두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Metro-Style GUI의 효용성을 정의하고, 이를 최적화하는 알고리즘을 함께 제안한다. 결과에서는 우리의 방법을 적용하여 Metro-Style의 GUI를 시각적으로 향상시킨 예시를 제시한다.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in modern software deliver information visually, and a well-designed interface can provide information to the use in an organized and intuitive manner while poorly-designed interfaces can cause visual inconvenience and confusion. In order to effectively deliver information to the user, visual attention should be placed on a prominent location in the image. This paper introduces a method based on a human visual system (HVS) that can improve Metro-style GUIs by reducing a user"s workload to visually find information. Our method is designed with spatial mapping and color mapping for buttons in the Metro-style GUI. Also we define a metric for Metro-style GUI effectiveness, including an optimization algorithm. The results show that our method improves the performance of visual search tasks in a Metro-style GUI.

      • KCI등재후보

        실버 세대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한 연구 - 웹 스타일가이드 확장을 중심으로

        김양호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08 조형미디어학 Vol.11 No.2

        This study aims to propose the effective improvement direction of web site style guide adequate for the silver generation in order to help solving the social problems of the aging society. In comparison with a common people, silver generation have some depressed bodily function as lowering eyesight, muscular strength, and retentive faculty, and so on. In order to complement these physical dependency of silver generation and enhance the web usability, the sites developed for the silver generation as the target audience provide the extensible functions as "focusing", "guide", "zooming", "extension of keyboard control", "enhancing log-in", "screen reader", and so on.Because each site provide cannot provide a standardization of web, the silver user is confused. This study is defined the properties of extensible web style guide by the elements of usability as the efficiency of use, the accuracy, the meaningfulness, the flexibility, the consistency and make practical application of them.As a result, the try to increase web usability of web sites related to silver generation was positive, but interface designs are not unified which requires users to learn new skills, and developer produce designs that are not standardized. Therefore, I suggest web environment improvement methods to guide silver generation to be adapted to information society by suggesting solutions such as support for module of operation system and establishment of standardized style guide design. 본 논문은 초 고령화 사회 진입에 따른 사회적 문제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실버세대를 위한 효율적인 웹 사이트 스타일 가이드 개선 방향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의 분석을 통한 고령화 사회에 따른 실버 세대를 위한 인터페이스 디자인 고려 사항을 탐색한 후, 실버 세대를 사용자로 생성된 기존 사이트를 통해 실버세대에 필요한 확장된 웹 스타일 가이드 요소를 분석하고, 고려 사항의 적합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사용성 요소를 기준으로 확장 인터페이스의 각 요소를 분석하였다. 일반인에 비해 다양한 장애를 가지고 있는 실버세대는 신체의 노화로 인해 근력의 부족과 단기 기억 능력 저하 등과 같은 다양한 신체 기능 저하가 발생한다. 이러한 실버세대의 사용성을 높이기 위해 관련 사이트에서는 포커싱 기능, 가이드 기능, 줌 기능, 키 기능의 확장, 로그인 기능의 개선, 스크린 리더기 등의 확장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각 사이트별로 통일되지 않은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혼란을 일으키게 되어 사용성 기준 요소인 효율성, 정확성, 의미성, 유연성, 일관성으로 성격을 정의하고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실버세대와 관련 사이트에서 웹 사용성을 높이고자 하는 시도는 긍정적이었지만, 통일되지 않은 인터페이스디자인으로 사용자에게 새로운 학습이 요구되고 개발 업체는 표준화되지 못한 디자인을 양산하는 문제점이 나타났다. 이에 표준화된 스타일 가이드 디자인 방안 수립, 운영체제의 모듈 지원 등의 해결 방향 제시를 통해 실버세대의 정보화 사회 적응을 유도하기 위한 웹 환경 개선 방향을 제안한다.

      • KCI등재후보

        Visual Effects Using Human Pose Recognition and Style Transform by Kinect

        Youngrock Lo,Hasil Park,Joonki Paik 중앙대학교 영상콘텐츠융합연구소 2021 TechArt :Journal of Arts and Imaging Science Vol.8 No.2

        In this paper, we present an interactive media artwork that uses human pose recognition and style transfer. Our proposed artwork visualizes an interactive artwork by using a Kinect. The proposed artwork system comprises four steps: joint detection, hand region extraction, hand gesture recognition, and style transfer. Initially, human joints are detected using depth image information in the Kinect. Second, the hand region is selected as the region of interest in the input camera depth image. Finally, the coordinates and distance of the detected hand joint were calculated to perform the visual effects of the proposed artwork. In addition, the proposed artwork transforms the style using a deep learning-based real-time style transfer network. Style transfer networks use visual effect images as reference style images. The objective of this artwork is to interact with humans and artwork using hand motion and style transfer.

      • KCI등재

        행위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인터페이스 양식 연구

        서원영(Won-Young Seo),이원섭(Wonsup Lee)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24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25 No.2

        This study analyzed the interface style of media services provided by smartphones and the types and cases of behavioral addic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media service. The media services were classified into different categories such as social networking services, over-the-top services, casual games, and internet shopping. Then, the content playability of representative media services in each category and six types of interface patterns that induce behavioral addiction were investigated. This study also analyzed the types of behavioral addiction, different interfaces, and the interactive elements that cause behavioral addiction in terms of the action of neurotransmitters. Finally, the self-control strategy for overcoming addictive consumption of media content was considered.

      • KCI등재후보

        신개념 "웰빙 주방가전제품"개발 연구 : 가정용 소독수 생성기를 디자인사례를 중심으로

        김미진(Kim mi jin)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07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7 No.2

        'Well-Being' gale which coded for leading culture for the importance generation of the quality of living extricate from the desire for the standard living is now begin to reached from the time of gale to time of life. It started from consumer's desire for food and drinks of nature-friendly environment and developed to physical and mental field to the rule as we now call'Eat well and live long' which effecting the society and general industry's growth. Pursuing ease in high quality of living consumer has standardized the purchasing choice of product from price to the safety and quality of the product. It brings situation for rational'value expense' so far as appliance domain and better yet it is suggesting the possibility of new market for well-being appliances. The target product of this study home water-sterilize adaptation has offered interface design in user's point of view to easily create to consumer's direct use of request to trust and safely use the product through our living space sterilize and lavage of the foods plates and utensils as a part of well-being that has been mentioned. Also from modular design to adjust consumer's choice to send out into each home as custom-made style offering design to satisfy various consumers desire. These product features and modular design is expected to have effective competitiveness to ensure not only general homes but from market of kitchen furniture's built through construction corporation. 기본적인 삶의 욕구에서 벗어나 삶의 질을 중요시 하는 시대의 중심문화 코드로 대변이 되는'웰빙' 열풍은 이제 열풍의 시기에서 생활화의 시기에 이르기 시작했다. 자연친화적인 환경을 원하는 소비자들의 욕구는 식 음료에서 출발하여 현재에는'잘 먹고 건강하게 오래사는 법'을 중심으로 육체와 정신적인 영역까지 발전 우리사회와 산업전반에 영향이 확대되고 있다. 질 높은 생활 속에서의 편안함을 추구하고자 하는 소비자들은 제품의 구매선택 기준을 가격보다는 상품의 품질과 안정성에 역점을 둔 이른바 합리적'가치소비'를 가져오게 하는 현상은 가전의 영역까지 한층 나아가 웰빙 가전이라는 새로운 시장의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의 대상 제품인 가정용 세척 소독수 생성기는 위에서 언급한 웰빙의 한 부분인 우리가 살아가는 거주 공간 그리고 먹는 음식과 식기 기구들의 소독과 세척을 본 제품을 통해 소비자가 직접 원하는 용도로 손쉽게 생성하고 믿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 관점에서 interface 디자인을 제시하고 최대한 소비자의 선택에 맞추어 각각의 가정환경에 맞춤형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modular design화를 통하여 다양한 소비자의 욕구에 적합하도록 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러한 제품의 특성과 modular 디자인은 일반 가정의 시장 외에도 건설 회사를 통한 주방가구의 빌트인 시장 또한 확보하는데 효과적인 경쟁력을 지닐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