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운기업의 안전관리체제 도입 성과 실증연구

        노창균(Chang-Kyun Noh) 한국항해항만학회 2007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31 No.10

        이 연구는 해운기업의 안전관리체제 도입에 따른 성과를 실증 분석하였다. 먼저 안전관리체제 도입 후 국내 현황을 간단히 살펴보았다. 이어서 안전관리체제 도입 성과를 분석하였다. 21개 항목으로 조사한 결과, 5점 만점에 3.5점으로 전반적으로 도입성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내항 해운기업보다는 외항 해운기업이, 98년 이후 가동기업보다는 그 이전 기업이, 중소기업보다는 대기업에서 ISM시스템이 정착되고 도입 성과도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This paper is the empirical study results on the introduction effects of safety management system(SMS) for the shipping company. First of all, we take a brief look at the present Korean situations after the SMS induction Next, we analyse the effect of the SMS induction. We divided the effect of induction in 21 factors. The result was 3.5 out of 5 perfect points, which shows the high preference. Higher points were scored with international companies than domestic ones, the companies accepted before 1998 than the ones after 1998, and large enterprises than smaller ones.

      • KCI등재

        Optimized Shoot Induction and Histological Study of in vitro Cultured Korean Soybean Cultivars

        Vipada Kantayos,배창휴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32 No.3

        Soybean is the one of recalcitrant legume species for shoot induction. Shoot regeneration via direct organogenesis was investigated in five soybean cultivars, ‘Dawon’, ‘Pungsan’, ‘Daewon’, ‘Taekwang’ and ‘Chongdoo 1’ by using cotyledonary node explants. Out of 5 soybean cultivars, an efficient shoot regeneration condition was developed in the two soybean cultivars, ‘Dawon’ and ‘Pungsan’. When various kinds of plant growth regulators with different concentration were estimated, the optimum medium condition for shoot induction in both soybean cultivars was MS + B5 vitamin supplemented with BA at concentration 2 ㎎/L. In addition, shoot formation efficiency was increased with 97.09% and 93.88% by the pretreatment of BA onto the explants before in vitro culture in both cultivars. Shoot induction in ‘Dawon’ cultivar was originated from epidermal tissue and sub-epidermal layers when histological changes were investigated under shoot regeneration after culturing cotyledonary node segments on shoot induction medium for 0 to 21 days. Especially, cell dedifferentiation was observed from parenchyma cells to meristematic cell in 3-day cultured segments.

      • KCI등재

        효과적인 성경교수를 위한 창조적 교수-학습 모형 설계-로렌스 리차즈의 HBLT 접근법을 중심으로-

        이선영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4 기독교교육논총 Vol.38 No.-

        Effective Bible teaching is not just a simple delivery of information from theBible, but has the goal of spiritual maturity and the changes of the students intheir lives. There is a huge gulf between the ancient world of the Bible and themodern world. Not only the differences of time and space, but there are gaps inculture, custom, language, life style, and value system. Building a bridge over thevast difference, Bible teachers are to impart the truth of the Words and help thestudents understand the Bible, have personal faith, and change their lives. LawrenceO. Richards suggested the Creative Bible Teaching based on the principles ofguided discovery learning. It consists of three steps: focusing on the students’interests (Focus), helping them discover what God has given us in the Bible(Discovery), and encouraging them to respond to what God expects us to do(Response). This teaching method imply HBLT approach and are composed offour basic sections “Hook(gaining attention)–Book(studying the passage)-Look(implications of passage to life)-Took(application of truth to life).” First, theteacher gains attention of the students to focus on the passage of the day. Then,he seeks to clarify the meaning of the passage through inductive Bible study. Next, he applies the understood passage to daily living to discover theimplications. Finally, he encourages the students to practice the implications intheir lives. Richards’s HBLT approach is an effective Bible teaching method, leading students’ spiritual growth and the change of life. It is a creative teachingmethod that can be applied from preschoolers to adults. The purpose of thisstudy is planning of creative teaching-learning model based on Richards’s HBLTapproach that can be performed in the church school. Although only one Sundayschool curriculum for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grades 4-6) is presented inthis study, a lot of changes and growth are found in all departments of thechurch school when this model is actually performed. First, the attitudes of thestudents are changed positively. Next, the teachers also grow as responsible andtrained Bible teachers. Most of all, the Words is reaffirmed as truth in the heartsof the students and teachers and they experience the work of the Holy Spirit intheir lives. Of course, the HBLT approach cannot be the sole method for aneffective Bible teaching. However, it is a creative and prominent Bible teachingmethod as it helps the students enter into the biblical world with curiosity anddiscover the truth there, and respond to the truth. Therefore, if each churchreorganizes this teaching method and plans and performs it according to theirown situation, an effective Bible teaching that leads to the maturity and change ofthe students should be possible. 효과적인 성경교수는 단지 성경의 지식만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들의 영적성숙과 삶의 변화를 목적으로 한다. 중요한 것은 어떻게 성경을 효과적으로 가르치는가하는 것이다. 사실 고대 성경의 세계와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 사이에는 커다란간극이 있다. 단지 시간적, 공간적 간극뿐 아니라, 문화, 관습, 언어, 생활양식, 가치관등의 간극은 학습자들로 하여금 성경의 세계를 낯설게 만든다. 성경교사는 이 간극을뛰어넘어, 성경말씀이 학습자들에게 진리로 전달되어 성경을 이해하고 인격적으로 믿으며 삶이 변화되도록 돕는 자이다. 이를 위해서는 보다 창조적인 성경교수방법이 필요하다. 기존에 행해오던 강의법은 교사중심의 일방적인 교수방법으로서, 학습자들의 자발적인 참여와 말씀의 적용을 통한 삶의 변화를 도출하기에는 역부족이다. 반면, 창조적인성경교수방법은 학습자 중심의 교수방법으로서 발견학습의 원리를 따른다. 즉, 학습자의관심에 초점을 맞추는 “초점”, 그들로 하여금 하나님이 성경에서 우리에게 주신 것을발견하도록 돕는 “발견”, 그리고 그들로 하여금 하나님이 기대하는 것에 반응하도록 격려하는 “반응”이라는 세 단계를 따르는 것이다. 로렌스 리차즈(Lawrence O. Richards)는 이 원리에 기초하여 창조적인 성경교수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는 HBLT 접근법으로서, “Hook(주의 끌기)-Book(주제 연구하기)-Look(적용점 찾기)-Took(실천사항 찾기)”의 네 단계로 구성된다. 먼저 학습자들의관심을 그 날의 학습 주제에 초점이 맞춰지도록 유도하여 성경본문 속으로 끌어들인다. 그리고 귀납적 성경연구를 통하여 주의 깊게 성경본문을 연구하여 명확하게 본문을 이해하도록 돕는다. 다음으로는 이해된 본문이 실생활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함축된의미를 탐구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교사는 학습자들이 발견한 본문의 함의를 삶속에서 실천할 수 있도록 독려한다. 리차즈의 HBLT 접근법은 학습자들로 하여금 말씀을 단순히 지식적으로만 배우는 것이 아니라, 실제 삶속에서 말씀을 체험하고 이를 내면화하여 삶에 적용하도록 도움으로써, 학습자들의 영적 성숙과 삶의 변화를 이끌어내는 효과적인 성경교수방법이다. 무엇보다 유아부터 장년에 이르기까지 적용할 수 있는 창조적인 교수방법이다. 본 연구는 리차즈의 HBLT 접근법에 기초하여 교회학교에서 시행할 수 있는 창조적교수-학습 모형을 설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모형은 교회학교에서 직접 실행되었던 것으로서, HBLT 접근법의 원리를 바탕으로 한 프로젝트 수업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부(4-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구성된 공과 커리큘럼 중의 하나만을 제시하였지만, 실제로 이 수업모형을 실행하였을 때 교회학교 전 부서에서 많은 변화와 성장의열매가 있었다. 먼저 공과에 임하는 학습자들의 태도가 적극적인 자세로 변화되었다. 다음으로 교사들 또한 책임 있고 훈련된 성경교사들로 성장할 수 있었다. 무엇보다 성경말씀이 학습자들과 교사들에게 진리로서 재인식되고, 삶속에서 체험되는 성령의 역사가있었다. 물론 HBLT 접근법이 효과적 성경교수를 위한 유일한 방법은 아니다. 하지만,학습자들로 하여금 성경의 세계로 들어가, 그 속에서 진리를 발견하고 그 진리 앞에 반응하도록 돕는데 있어 탁월한 성경교수방법이다. 따라서 개 교회에서 각 교회의 실정에맞게 이를 재구성하여 수 ...

      • KCI등재
      • KCI등재

        온라인 정보 서비스 품질평가모델에 대한 귀납적 연구 : 국가 온라인 정보 서비스 NTIS와 NDSL을 중심으로

        허주연(Joo Yeun Heo),김상국(Sang Kook Kim) 한국IT서비스학회 2020 한국IT서비스학회지 Vol.19 No.1

        As diverse online information services are introduced and the use of them are increasing, the importance of the quality control over the online information services is also increasing. Therefore, studies are being attempted to derive quality evaluation models for online information services, but these showed many limitations.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previous studies and create more appropriate quality evaluation model, this study analyzed 408 data collected through the interviews with the users of Korea national online information services (NDSL, NTIS) using content analysis and the coding method of ground theory. Through the analysis, we identified the quality evaluation model (13 elements, 6 dimensions) of online information services and the description and insights of each elements. And the priorities of the most significant element(amount of information) and other key elements(such as the usefulness of the information, the diversity of the field, etc.) were figured out through the frequency analysis. Through these inductive methods based on the responses of users, the quality control model could be derived, which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researches. This study is the first study which derived the quality evaluation model of online information service through the inductive way based on 408 interview responses from users.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helpful to the post researchers who conduct studies on the quality of online information service, etc. Moreo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references of frame for decision-making of working-level officials who have to manage the quality of online information services.

      • KCI등재

        영어 문법 교육에 관한 역사적 고찰: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서소담,김정렬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2020 영어교과교육 Vol.19 No.2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 diachronic flow of English grammar education primarily based on curricula and textbooks for each curriculum period. Classification criteria used in this study are deductive vs. inductive grammar teaching, on the one hand, and explicit vs. implicit teaching on the other.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entire scope of the study, the applications of the inductive and implicit methods of grammar teaching are mainly observed compared to the deductive and explicit methods. Second, through the historical trend of English grammar education, the teaching methods have changed from the deductive to the inductive method, and from the explicit to the implicit method. The implication and suggestion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Grammar should be taught, not only focusing on communication and meaning, but also considering learners’ language proficiency and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lso, follow-up studies are needed to explore desirable methods for future English grammar education.

      • KCI등재

        사례연구를 통한 행정이론의 정립

        장용진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14 行政論叢 Vol.52 No.4

        본 연구는 한국행정학의 적실성을 높이고 한국의 행정에 기초한 이론의 정립을 위해 왜 사례연구가 필요한지에 대해 논한다. 본 연구의 첫 번째 부분에서 저자는 사회과학과 행정학의 범위에 대한 소크라테스와 아리스토텔레스, 그리고 왈도와 사이먼의 논의를 소개하고 이들의 논의에 기초한 연구방법들을 살펴본다. 또한 한국에서의 행정학의 범위에 대한 논의를 검토한다. 두 번째 부분에선 미국의 사례연구에 대해 살펴보고, 최근 10년간 한국행정학보에 실렸던 연구논문들 그리고 행정학 책들을 검토하여 한국의 행정학 연구에 있어 귀납적 사례연구가 부족함을 찾고, 한국적 맥락에 기초한 행정이론의 정립을 위해 귀납적 사례연구가 필요함을 제시한다. The current study has examines the importance of case studies for developing public administration theories considering the Korean context. In the first part of the study, the author introduces Socrates’ universal rule and Aristotle’s Phronesis, the debate between Waldo and Simon in the 1940’s, and the debate over administration as an “art” or a “science” in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In the second part, the study examines the history of case studies, and public administration theories of case studies in the USA and case studies developed in the last decade in Korea. The conclusion suggests that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should recognize the diversity of methods for studying public administration to enrich and allow the field to flourish and conduct inductive case studies to develop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theories in order to build a bridge between the current academic and practical fields of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 KCI등재

        인사조직 분야 내 질적연구 진행 과정과 논문의 구성

        김나정 한국인사관리학회 2022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46 No.2

        The current paper aims to provide a primer on the application of inductiv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for researchers in the fields of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resource management. With this goal in mind, I introduce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inductiv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nd to better understanding of this method, I discuss common misconceptions about qualitative research. Further, I describe each step of the entire procedures of conducting inductive qualitative research and explain key points to consider in each step. I also discuss how to write academic research papers apt for presenting qualitative research by explaining basic components of those papers and providing example writings from the existing literature. I hope that this paper provides easily accessible and practical guidelines on how to conduct inductive qualitative research and promotes applications of the inductiv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 management research. 본 글은 조직행동 혹은 인사관리 분야에서 귀납적 질적연구방법론을 적용하여 연구를 시작하고자 하는 연구자들을 위해 귀납적 질적연구에 대한 기본지침서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목표로 귀납적 질적연구방법론에 대한 정의와 특성을 소개하고, 해당 연구방법론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도모하고자 질적연구방법론에 관한 오해와 진실을 논의한다. 또한, 귀납적 질적연구방법론을 기반으로 연구를 진행하는 과정 전반에 대한 단계별 소개와 각 단계에서 중요한 요인들을 설명하고자 한다. 이와 더불어 귀납적 질적연구 논문 작성에 적합한 논문 구성 요소를 소개하고 논문 작성 예시와 주요 참고 문헌을 제공할 것이다. 본 글이 귀납적 질적연구방법론을 활용한 연구 과정과 논문 구성에 대한 쉬운 이해와 실무적인 지식나눔을 장려하여 앞으로 조직행동과 인사관리 분야에서 귀납적 질적연구방법론을 바탕으로 한 더 많은연구가 진행되길 기대한다.

      • KCI등재

        타문화권 선교사의 본보기로서의 족장들

        권오훈(Ohoon Kwon) 한국선교신학회 2015 선교신학 Vol.39 No.-

        하워드 스나이더(Howard A. Snyder)는 신학교 시절에 배운 “우리가 이미 믿고 있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성경이 실제로 가르치고 있는 것을 찾기 위해, 그것이 우리의 가정을 단단하게 하기도 하고 부수기도 하는” 귀납적 성경연구를 오랫동안 계속해서 추구해왔다 고 한다. 이 글은 필자가 나름대로 변혁적 효과를 탐구하며 그 동안 꾸준히 해온 귀납적 성경연구라는 여행의 발견물의 일부이다. 타문화권 선교는 무엇보다도 어떤 마음과 태도로 선교하느냐, 즉 선교 자세가 가장 중요하다는 필자의 그동안의 지론의 연장선상에 놓인 글이다. 창세기 12장부터 하나님은 인류를 복 주시려는 새롭고도 적극적인 전략을 펼치면서 한 가계를 선택하고 그들에게 집중한다. 창세기 12장 부터는 아브라함과 그의 후손들이 거룩한 역사의 거의 유일한 주제인양 다뤄진다. 아서 글라서(Arthur F. Glasser)는 아브라함이 결과적으로 ‘선교의 선구자’가 되었다고 정리한다. 필자는 이스라엘의 족장 아브라 함과 이삭과 야곱은 타문화권 선교사의 롤 모델, 즉 본보기로서 손색이 없다고 본다. 이 글에서 모델이라는 개념은 스코트 모로(A. Scott Moreau)가 분류한 물질적, 은유적, 이론적이라는 세 가지 범주 가운데 두 번째인 은유적인 용도로 사용한다. 족장들은 타문화권 선교사가 열망하는 하나의 이상이라는 의미에서 모델이 될 수 있다. 고로 족장들 의 삶에서 타문화권 선교사의 본보기를 추출하고자 한다. 그들이 타문 화권 선교사의 전형(典型) 즉 기준이나 규범이 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이 연구를 통해 필자는 타문화권 선교사의 기준이 될 만한 이론적 틀을 찾아본다. 아브라함에게서는 관계 성공하는 선교사, 이삭에게서는 우물을 넘겨주는 선교사, 야곱에게서는 우물 아귀의 돌을 옮기는 선교사라는 틀을 찾아낸다. 하나님과는 믿음과 순종의 관계를, 현지인 들과는 사랑의 관계를 맺은 아브라함은 가히 타문화권 선교사의 선구자 라 할 만하다. 순종과 양보의 대명사인 이삭의 삶은 이양과 출구전략이라는 측면에서 타문화권 선교사의 훌륭한 교과서로서 손색이 없다. 전략적 계획의 대가로서 타이밍과 목표와 단계적 접근의 중요성을 포괄적으로 잘 활용한 야곱은 타문화권 선교사의 좋은 본보기가 된다. 많은 일을 겪으면서 사는 것에 더해 하나님의 일을 해야 하는 타문화권 선교사가, 삼대에 걸쳐 창세기를 아름답게 수놓은 족장들인 아브라함과 이삭과 야곱이 밟아 마침내 길이 된 타문화권 선교라는 지난한 길을 잘 걸어가는 모습을 그려본다. Howard A. Snyder is said to have continuously pursued inductive Bible study reflected in the sentence “We study the Bible not to confirm what we already believe but to find out what it actually teaches, whether that cements or shatters our assumptions,” learned when he was a seminary student. This paper is a piece of the treasure discovered in the author’s continuous journey of inductive Bible study and research in transformative effects. The paper is an extension of the author’s long-lived assertion that the attitude of the missionary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cross-cultural mission. Starting from Genesis 12, God chooses and focuses on one household as a novel and active strategy to bless mankind. From Genesis 12, Abraham and his descendents are nearly the sole subjects of God’s holy history. Arthur F. Glasser proposed that in the end, Abraham became the pioneer in mission. The author further takes this idea and claims that the patriarchs of the Israelite clan, Abraham, Isaac, and Jacob are excellent role models of cross-cultural mission. In this paper, the concept of “model,” which is classified by A. Scott Moreau as physical, metaphoric, and theoretical, is used in the context of a metaphoric model. The patriarchs are models in the sense that they are aspired by cross-cultural missionaries as a certain ideal. Therefore, an effort is made to extract the examples of being a cross-cultural missionary from the lives of the patriarchs. This is because they are recognized as the model, in other words the standard or the criterion, of cross-cultural missionaries. Through this study, the author finds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the standards for cross-cultural missionaries: from Abraham, the relationship-succeeding missionary, from Isaac, the well-transferring missionary, from Jacob, the missionary that moved the stone from the mouth of the well. Abraham, who sustained a relationship based on faith and obedience with God and a relationship based on love with the indigenous people, is worthy of being called the pioneer of cross-cultural mission. Isaac, acclaimed for his obedience and concession, is a textbook example of cross-cultural mission in the aspects of transfer and exit strategy. Jacob is also a good model for cross-cultural missionaries in terms of his strategic planning in which the importance of timing, setting goals, and having a phased approach are comprehensively utilized. The author depicts a picture in which cross-cultural missionaries, who must do the work of God while facing many challenges in life, skillfully walk the difficult road paved by the three generations of patriarchs, Abraham, Isaac, and Jacob, that beautifully embroidered the book of Genesis.

      • 실패한 인터넷 기업 사례 분석 : 중다사례 방법과 귀납적 추론 관점에서

        진동수 동의대학교 경제경영전략연구소 2011 經濟經營硏究 Vol.6 No.2

        This paper analyzes affecting elements on failure of main internet company and suggests strategic implications for related interested parties in order to survive in Internet companies. For this, I study fifteen Korea Internet company cases and extract five variables on affecting failure of Internet company. Based on these variables, I composition case set and conduct inductive learning. Through this, I finds five rules of failed Internt companies and suggest three strategic implications on critical success factors of Internet compan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