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omparison of bone metabolism based on the different ages and competition levels of junior and high school female rhythmic gymnasts

        ( Taewoong Oh ),( Tatsuki Naka ) 한국운동영양학회 2017 Physical Activity and Nutrition (Phys Act Nutr) Vol.21 No.2

        [Purpose]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effect of age and competition level by measuring bone metabolism markers and bone mineral density measurements of junior high school and high school female rhythmic gymnasts, who restrict their diets to maintain a low body weight, while routinely undertaking long hours of high-intensity exercise, comparing the gymnasts based on their elite/non-elite. [Methods] The study investigated 7 junior high school and 12 high school female rhyth-mic gymnasts. For comparison by competition level, the 7 junior high school gymnasts were separated into 3 gymnasts who competed at national level (junior high school elite), and 4 gymnasts who did not compete at that level (junior high school non-elite), and the 12 high school gymnasts were separated into 7 gym-nasts who competed at national level (high school elite) and 5 gymnasts who did not compete at that level (high school non-elite). The measurement items were bone mineral density, bone metabolism markers (under-carboxylated osteocalcin (ucOC), osteocalcin (OC), bone-specific alkaline phosphatase (BAP), calcium (Ca), inorganic phosphorus (P), alkaline phosphatase (ALP), parathyroid hormone (PTH), type 1 collagen cross-linked N-telopeptide (NTx)). We also surveyed the gymnasts` height, weight and nutrition. [Results] In this study we found: 1) The high school gymnasts who competed at high-level rhythmic gymnastics had good results for bone metabolism markers and bone mineral density. 2) Elite high school gymnasts had restricted diets. 3) Nutritionally, their energy intake and carbohydrate intake was low, but their intake of protein, calcium, iron, vitamin D and vitamin K was good. [Conclusion] The results found that the elite gymnastics showed a higher bone density than the non-elite group that suggests the possibility of inhibiting bone formation in the bone metabolism.

      • KCI등재

        한국과 일본의 중·고등학교 국어교과서의 어휘 등급 분석

        이미숙 ( Lee Mi-suk ) 한국일어교육학회 2018 일본어교육연구 Vol.0 No.45

        본고에서는 한국과 일본의 「등급별 국어교육용 어휘기준」을 설정하여 양국의 중·고등학교 학교급(級)별 국어교과서(이하, 교과서) 텍스트에 사용된 어휘의 등급(等級, level)을 분석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더불어 의미분야별 어휘와 등급간의 상관성을 밝혀 교과서 어휘연구의 기초자료를 구축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국어교과서 제작에 있어서 학교급에 따라 어휘의 등급을 충분히 고려하여야 함을 역설하고자 한다. 먼저, 김광해(2003)「등급별 국어교육용 어휘표」와 일본 國立國語硏究所(2001)「7종 교육기본어휘 데이터베이스」를 바탕으로 출현빈도, 난이도, 어휘량 등을 고려하여 0-5급, 즉 6단계의 등급기준을 구축하였다. 이상의 등급 기준을 적용한 결과, 나라별로 중·고등학교 학교급에 따라 어휘 등급의 차이가 나타났는데, 그 원인은 정규 교육 이전에 습득 가능한 0-2급 비중이 낮고 5급 전문어의 비중이 높다는 데에 기인한다. 즉, 사고 도구어인 3-4급 비중에서 학교급별 차이가 거의 없다는 점이 공통적인 문제로 지적되었다. 어휘 등급 실태를 통해 본 양국 교과서 어휘의 난이도는 고등학교 개별어수에서 한국이 일본보다 다소 높은 것을 제외하고는 일본이 중학교의 개별어수 및 전체어수, 고등학교의 전체어수에서 한국에 비해 난이도가 높게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일본 교과서가 한국 교과서에 비해 0-1등급 어휘 비중은 낮고 3급 및 5급 어휘의 비중이 높았다. 다음으로, 「分類語彙表」(1964)에 의해 양국의 중·고등학교 교과서 어휘를 분류한 李美淑(2016, 2017) 및 학교급별 어휘 변화를 분석한 李美淑(2018)을 토대로 하여, 학교급별, 나라간 의미 분야별 어휘와 등급간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개별어수에서 한국의 중학교는 5개 대분류 중 <1.3 인간활동 및 행위>에서, 고등학교는 <1.2 인간활동의 주체>분야에서 어휘 등급이 높았고, 일본은 중·고등학교 모두 <1.4 생산물 및 물품>분야에서 어휘 등급이 높았다. 한편, 전체어수에서는 양국의 중·고등학교 모두 <1.4 생산물 및 물품><1.3 인간활동 및 행위>에서 높은 등급의 어휘가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급별, 나라별로 의미 분야에 따라 어휘량은 물론, 등급에도 차이가 있다는 점은 고무적이라 할 수 있다. 앞으로 학교급에 맞는 국어교과서 제작을 위해서라도 보다 정확한 국어교육용 등급별 어휘표가 개발되고 시대변화에 맞추어 주기적으로 정비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rrent status of levels of vocabulary and the levels of vocabulary for different semantic fields in national language textbooks for middle and high schools in Korea and Japan. To this end, the textbook vocabulary was classified intosix levels by using the ‘Vocabulary Table for Different Levels of National Language Education’ by Gwang-hae Kim (2003) and ‘The Database of Seven Kinds of Basic Vocabulary for Education’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National Language of Japan’ (2001). In both countries, national language textbooks for the middle school have a high proportion of vocabulary of 0-2 levels that can be acquired before formal education, and national language textbooks for the high school have a high proportion of vocabulary of level 5. This leads to differences in educational level, and the difference is larger in Korea than in Japan. On the other hand,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educational levels for vocabulary of 3-4 levels in both countries, which is vocabulary for thinking tools. This demands further consideration. Analysis of the levels of textbook vocabulary shows that the level of difficulty of vocabulary in the two countries was high in Japan except for the number of individual words for the high school. As for the number of individual words in the vocabulary level for different semantic fields, Korean middle school textbooks have a high level of vocabulary in the field of < 1.3 Human activities and behaviors > and Korean high school textbooks have a high level of vocabulary in the field of < 1.2 Agent of human activities >. In the case of Japan,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are characterized by high level of vocabulary in the field of < 1.4 Products and goods >. As for the overall number of vocabulary,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of both countries show high levels of vocabulary in the order of < 1.4 Products and goods >, < 1.3 Human activities and behaviors >.

      • KCI등재

        고등학교 재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따른 등교통행 패턴 차이 분석: 의정부시를 중심으로

        양시진,노시학 국토지리학회 2010 국토지리학회지 Vol.44 No.4

        This study analyzes the difference of school trip pattern due to the high school academic achievement level of the students. Four high schools in Uijeongbu City, where a competitive high school entrance system is applied, are selected for the study based on the loc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level of the schools. Residential distributions and school trip patterns of the four high school students are analyzed. It was found that there are strong relationships between the school trip pattern and academic achievement level. The residential distribution of the students attending the school with higher academic achievement level tends to dispersed more widely than that of the students attending the school with lower academic achievement level. As a result, the students of the school with higher academic achievement level spend more money and time for the school trip than those of the students attending the school with lower academic achievement level. Travel mode choice for school trip of the students attending the school with higher academic achievement level are more complex than that of the students attending lower academic achievement level. If the school trip distance become longer because of the introduction of a competitive high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ystem, the burden associated with school trip for the high school students will increase because there is almost no high school which operates school bus system actively in Korea and the high school students in general cannot afford to pay enough money to use more flexible and comfortable transportation modes such as taxi or private automobile. 본 연구는 고등학교 재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따른 통학통행패턴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현재 비평준화 경합지역의 형태로 고등학교 입시를 치르고 있는 의정부시의 고등학교들 중 학업성취도와 학교의 위치를 고려하여 선발 된 4개의 고등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학교를 중심으로 한 거주지 분포와 등교통행패턴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지역 고등학교 재학생들의 통학패턴은 이들의 학업성취도와 상당한 연관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학업성취도가 높은 학교의 학생일수록 학업성취도가 낮은 학교의 학생들에 비하여 거주지가 학교로부터 원거리에 위치하며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통학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비용 또한 많이 지출하고 있으며 통학통행수단 이용이 더욱 복합적인 패턴을 보이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 고등학교에서는 스쿨버스의 운영이 거의 활성화되어 있지 못하며, 또한 고등학교 학생들의 경우 일반인들과 달리 자가용 승용차나 택시 등 보다 더 유연적이나 고비용이 소요되는 교통수단의 이용에 상대적으로 많은 제약이 있다. 이러한 점들을 감안할 때, 이제 과거 고교평준화정책에서 벗어나 점차 경쟁적인 고등학교 입시제도로의 전환에 따라 학생들의 통학거리가 장거리화 되는 경우 통학과 관련된 학생들의 부담은 더욱 크게 다가올 것으로 예상된다.

      • KCI등재후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부모지지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라기훈,임나영,이창훈 대한공업교육학회 2019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support and career decision level of specialization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and to find out ways to improve the level of desirable career guidance and counseling.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level of parent support, career decision level, and resilience of special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Secon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support, career decision level and resilience of high school students? Third, the resilience of resilience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support and career decision level of special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theoretical background related to parent support, career decision level, and resilience of special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was investigated and the test tool was produced. The questionnaires consisted of 70 items including personal characteristics (1 items), parent support (22 items), career decision level (22 items), and resilience (27 item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850 students in the specialized technical high schools in the National Industrial Technology Area and 689 piec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except for the questionnaires of non - respondents and untrue respond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ent support, career decision level, and resilience by grades. Also, parental support, career decision level, and resilience were highly correlate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arent support and career decision level, resilience and career decision level, and emotional support and verbal encouragement were more than 50% of the career decision level. In terms of mediating effect, the effect of parent support on career decision level was found to be partially mediated by overall resilience and sub - factors such as control, positive, and sociality.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career guidance counseling, a program linked to the school and the home should be conducted considering both domestic factors and internal factors. Especially, as the grade increases, it should be preceded by education that can form positive parent support and resilience by utilizing emotional and linguistic aspects. 이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부모지지와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가정과 학교가 연계된 바람직한 진로지도·상담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수준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문제로는 첫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부모지지, 진로결정수준, 회복탄력성의 수준은 어떠한가, 둘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부모지지, 진로결정수준, 회복탄력성의 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부모지지와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은 매개변인의 역할을 하는가로 설정하여 구명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부모지지, 진로결정수준, 회복탄력성에 관련된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여 검사도구를 제작하였다. 설문지는 개인특성(1문항), 부모지지(22문항), 진로결정수준(22문항), 회복탄력성(27문항)으로 총 70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전국 공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 8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무응답이나 불성실한 응답의 설문지를 제외한 689부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년별 부모지지, 진로결정수준, 회복탄력성은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각각 보통수준을 나타냈다. 또한 부모지지, 진로결정수준, 회복탄력성 모두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하위요인별로는 부모지지와 진로결정수준, 회복탄력성과 진로결정수준이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부모지지의 하위요인 중 정서적 지지와 언어적 격려가 진로결정수준에 50%이상의 설명력을 보였다. 매개효과 측면으로는 부모지지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회복탄력성 전체와 하위요인인 통제성, 긍정성, 사회성이 모두 부분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진로지도상담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가정적요인과 학생 내적요인을 모두 고려한 학교와 가정이 연계된 프로그램이 진행되어야 하며 특히 정서적, 언어적인 측면을 활용하여 학년이 올라갈수록 긍정적인 부모지지와 회복탄력성을 형성할 수 있는 교육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고교유형에 따른 성취도 격차의 양상과 발생요인

        김준엽(Junyeop Kim),김경희(Kyunghee Kim),한송이(Song-I Han) 한국교육평가학회 2013 교육평가연구 Vol.26 No.3

        본 연구에서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2009중3자료와 2011고2자료를 학생수준에서 연계하여 우리나라의 학생들이 중학교를 졸업한 이후 4가지 유형의 고등학교(일반,자공,자사,외고)에 진학할 경우의 변화를 성취도의 관점에서 살펴보고,학교유형에 따른 성취도 격차가 어떠한 양상이며,그 발생 원인이 무엇인지를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표준점수를 통해 상대적 위치의 전반적 변화양상을 살펴본 결과 입학당시 학생들의 상대적 위치가 학교유형별로 큰 변동 없이 유지되었으나 영어에서는 외고에 진학한 학생들의 표준점수가 향상됨과 동시에 집단내 분산이 커지는 경향이 있었다.입학성적 분위별 고2성적 비교결과 상위권 학생의 경우 성적향상의 이유가 무엇이든 간에 결과적으로 어느 유형의 학교에 진학하느냐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하위 25%에 해당하는 하위권 학생들의 경우,입학성적을 통제하더라도 일반고의 고2성취도가 자공고보다 과목별로 2∼3점 정도 높았다.학력격차의 설명요인을 탐색하기 위한 다층모형 분석결과 고2학업성취도의 학교유형간 격차의 상당부분은 입학생들의 중3학업성취도가 설명하고 있었으며,입학성적,학교학습 및 학교 외 학습,학교 SES등의 변수를 통제한 이후 학교유형간 성취도 격차는 사라졌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chievement gap among different types of high schools.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linked 2009 (9th grade) and 2011 (11th grade) NAEA. result at student level and compared the change in achievement when students graduate middle school and advnaced to four different types of high schools (General, Autonomous private, Autonomous public and Foreign language high schools). Comparisons of standardized score slowed that student's relative standings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across different types of high schools. However in English, students who advanced to foreign language high schools showed more progress in relative standings and inflated within-school achievement variation at the same time. Comparison of 11<sup>th</sup>grade achievement within 9<sup>th</sup> grade achievement quintile showed that, among high-achieving students at high school entrance, their 11<sup>th</sup>grade achievement differed depending on the types of high schools they advanced. For low-achieving students,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11<sup>th</sup> grade score was point higher than autonomous public high school even after additional control for 9<sup>th</sup> grade score. Multi-level mood for exploring the factors related to achievement gap revealed that, 11<sup>th</sup> grade achievement gap among different types of high schools was mostly explained by the difference in 9<sup>th</sup> grade score. After taking into account the difference in 9<sup>th</sup>graede score, within-school and out-of-school learning factors and school SES, the achievement gap among different types of high schools disappeared.

      • KCI등재

        대구 중학생의 고등학교 유형 선택 결정 요인

        박상은(Park, Sangeun),서봉언(Seo, Bongeon) 한국지역사회학회 2018 지역사회연구 Vol.26 No.3

        본 연구는 학생과 학부모들이 진학할 고등학교 유형을 결정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분석하고자 대구교육실태연구2016 중학교 자료를 활용하여 1,873명을 대상으로 전·후기고의 다양한 고교유형을 반영하여 고등학교를 진학하고자 할 때 학생의 가정배경, 개인특성과 학교특성, 고교 선택 시 고려하는 요소와 진로영향력 등의 요인들이 어떻게 작용하는지 다항로지스틱 다층모형을 적용하여 검토하였다. 첫째, 학생들의 성취수준은 고등학교를 선택하는 데에 있어 가장 강력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그에 반해 부모 학력, 가구소득 등과 같은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학생의 개인특성 변인을 통제하면 고등학교 유형 결정에 독립적인 영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부모의 기대수준이 고등학교 유형 결정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둘째, 지리적 접근성과 유리한 내신 성적은 다른 학교유형에 비해 일반고를 선택할 때 고려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특목․자사고와 특성화․마이스터고는 상대적으로 진로와 취업을 더욱 고려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고등학교 진학 시 의사결정에 작용하는 요인에 차이가 있었다. 특목․자사고에 비해 통학거리 즉 지리적 접근성이 일반고의 경쟁력 있는 요인으로 나타남에 따라 보다 통학시간을 줄일 수 있는 배정방법을 고안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요컨대 고등학교 계층화로 인한 일반고 위기론이 대두되고 있는 시점에서 전․후기고의 다양한 고교유형을 반영하여 고등학교 유형 선택의 결정요인을 파악한 데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또한 일반고의 활성화를 위해 경쟁력 있는 요소를 적용한 방안모색이 필요하며, 일반고 내 학교선택의 효과성에 대한 후속연구를 기대해본다. This study examines determinants that explain high school choice as an indication of educational aspiration among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Using multinomial logistic multi-level model, we explored determinants of high school choice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based on data retrieved from the Analysis of Actual Status of Daegu Education 2016. The main research question is as follows: What are the most significant factors related to choice of high school type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in Daegu? Our research found that there is robust influence of academic achievement to choose high school. Family background such as parents’ education and family income, however, independently has less influence on high school choice than students’ variables such as academic motives, their own educational aspirations, and study time. Factors related with career and employment are important to choose self-governing private high schools and Meister high schools. Further, geographical proximity and the advantages of academic performance have no rival factors in choosing general high schools compared with self-governing private high schools and Meister high schools. Taken together, this study suggest that a variety of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implemented in general high schools to overcome their difficulties. We also proposed further research on the effectiveness of high school choice specifically within general high schools.

      • KCI등재후보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인지수준과 과학의 물질 단원 내용수준 비교 분석 및 교사들의 인식

        김성숙,박소영,정미현,류상미,강성주,박국태 韓國敎員大學校 敎育硏究院 2009 敎員敎育 Vol.2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ek for improv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by comparatively analyzing the cognitive level of 10th grade students and the content level of high school science textbooks's matter unit and examining the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se issues. For this study, the cognitive level of 336 10th grade students from 4 areas were analyzed using SRT Ⅲ (Science Reasoning Task Ⅲ) and the content level of 10 scientific concepts selected from the matter unit of high school science textbooks were analyzed using CAT (Curriculum Analysis Taxonomy). How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understood these issues was also examined. The result showed that 51% of the research subjects were the formal operational level, 30% of the transitional level, and 19% of the concrete operational level. The percentage of students of the formal operational level varied according to each school. The scientific concepts of the matter unit of the 6 high school science textbooks were mostly of the early formal operational level. However, the content level of the same scientific concept varied according to each textbook, since the level of each textbookordiexpdeining scientific concepts to students and the answers theyiexpected from students were different. Furthermore,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considered the content level of the scientific concepts lower than the actual content level analyzed through teptsAT. Such d6 harmonyibetween the cognitive level of students and the content level of the scientific concepts and the wrong conceptt. Furtteachers of the content level of the scientific concepts effects the students' understanding of scientific concepts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I Furder to solve the discordance between the level of students and scientific concepts and to increase the understanding of students of scientific concepts, teachers should develop the appropriat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at considers the cognitive level of students and content level of scientific concepts, by analyzing the cognitive level of students and understand the content level of scientific concepts of science textbooks, prior to class. 이 연구는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인지수준과 고등학교 과학 물질 단원의 내용수준을 비교 분석하고, 이에 대한 공통과학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봄으로써, 교수 학습 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하여 4개 지역의 고등학교 1학년 학생 336명 을 대상으로 SRT Ⅲ(science reasoning task Ⅲ)를 사용하여 인지수준을 조사하였으며, 고등학교 과학 물질 단원에서 10개의 과학 개념을 추출하여 CAT (curriculum analysis taxonomy) 분석틀로 내용수준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에 대한 공통과학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51%가 형식적 조작가 수준이었으나, 30%의 학생들과 19%의 학생들은 각각 과도기 수준과 구체적 조작기 수준이었으며, 형식적 조작기 수준의 학생 비율은 학교별로 차이가 있었다. 고등학교 6종 과학교파서에 제시된 물질 단원 과학 개념들의 내용수준은 대부분 초기 형식적 조작기 수준이었으니, 같은 과학 개념이라도 설명하는 수준과 학생들에게 요구하는 답변의 수준 차이로 인해 교과서별로 내용수준에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과학교사들은 과학 개념의 내용수준을 CAT 분석틀로 분석된 실제의 내용수준에 비해서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학생들의 인지수준과 과학 개념의 내용수준의 불일치와 과학교사들의 과학 개념 내용수준에 대한 잘못된 인식이 학생들의 과학개념에 대한 이해도와 교수-학습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그러므로 학생들의 인지수준과 과학 개념 내용수준간의 불균형을 해소하고 과학 개념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과학교사들이 학생들의 인지수준과 과학 개념의 내용수준을 사전에 파악하여, 학생들의 인지수준과 파학 개념의 내용수준을 고려하는 교수-학습 전략이 필요하다.

      • KCI등재

        과학고등학교와 과학중점고등학교 학생들의 창의적 성취 수준 분석

        양리라(Yang Reera),정용석(Jeong Yongseok),김연희(Kim Yeon Hee),김영민(Kim Youngm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5

        본 연구의 목적은 한글화된 창의적 성취 질문지(CAQ)를 개발하고 이를 과학 고등학교 및 과학중점학교 학생들에게 적용하여 그 성취 수준을 조사하는데 있다. 연구 참여자는 과학 고등학교 학생 62명, 과학중점학교 학생 57명이었다. 기존의 도구인 창의적 성취 질문지(CAQ)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확보된 도구이며, 여기에 스포츠 영역에서의 성취 수준을 조사하기 위한 질문을 추가하여 한글 버전을 완성하였다. 창의적 성취 질문지(CAQ) 한글 버전은 2018년 9월에 투입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두 집단 모두 과학적 발견에 가장 높은 성취 수준을 보였으나 발명 영역에 서는 과학고등학교 학생들만 가장 높은 성취 수준을 보였다. 그 다음 순위로 과학고 등학교의 경우에는 시각 예술, 음악, 창의적 글쓰기와 유머 영역이었고 과학중점고 등학교는 거기에 발명 영역과 집단 스포츠 영역이 더 포함되었다. 그런가 하면, 두집단 모두 무용, 건축 설계, 연극과 영화 분야에서 매우 낮은 성취를 보였다. 개인별 창의적 성취 수준을 분석한 결과 두 집단 모두 한 명의 학생이 매우 출중한 창의적 성취 수준을 보였는바, 과학고둥학교에서는 발명 영역에서 한 학생이 매우 성취 수준이 높음을 발견하였으며, 과학중점고등학교 학생 중에서는 유머 영역에서 한 학생이 매우 출중한 성취를 보여 이 학생의 경우에는 과학보다는 다른 영역으로 진로지 도가 필요함을 보였다. 고등학교 수준의 학생들임을 감안할 때 과학고등학교나 과학 중점고등학교에 진학했다고 해도 일부 학생들의 경우에는 앞으로의 진로에 대해 현재까지의 성취 수준과 적성을 고려하여 선택되어야 함을 보여주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evelop Korean version of CAQ(Creative Achievement Questionnaire) and to implement it to the students of science high school and science core high school for investigating their achievement level in many areas.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62 students from a science high school and 57 students from a science core high school. The tool, CAQ, is tested already by the developers in reliability and validity. In Korean version, questions for investigating students’ achievement in sports area were added through in-depth developmental proces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both school students showed highest achievement in the areas of scientific discovery, but in case of invention, only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showed highest achievement. And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showed the second hand achievement in the areas of visual arts, music, creative writing and humor, but science core high school students showed second hand achievement in the areas of invention and team sports as well as visual arts, music, creative writing and humor. Secondly, both high school students showed very low achievement in the area of dance, construction design, and drama and film. The difference in these areas between the two groups is that achievements of the students of the science core high school are much lower than those of the students of the science high school. Thirdly, only one student showed very unique and highest achievement in invention area, which means that he will be able to do good achievement in his future job in invention area. Finally, the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students could be couched appropriately for their future careers according to their achievement levels in many areas.

      • KCI등재

        고교학점제 연구학교 현황 분석을 통한 학생평가 내실화 방향 탐색

        김현미(Kim Hyun Mi),김태환(Kim Tae Hw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8

        목적 본 연구에서는 고교학점제에서의 학생평가 운영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일반고 고교학점제 연구학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2025년에 본격적으로 도입되는 고교학점제에서의 학생평가 내실화를 위한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방법 고교학점제 연구학교 학생평가 운영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교육부에서 제시한 ‘2020학년도 고교학점제 연구⋅선도학교 운영 계획’의 중점 운영 과제(안)의 ‘학생평가 내실화’ 영역에 기초하여 ‘과정 중심 평가 활성화 및 학생부 기재’, ‘성취평가 내실화’, ‘최소학업성취수준 보장을 위한 책임 지도’를 분석의 틀로 도출하고 설문 조사 도구를 만들었으며, 일반고 연구학교 1~3년차 학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고교학점제 연구학교의 학생평가 운영 현황에 대한 설문 조사 및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연구학교에서 과정 중심 평가가 활성화되고 있었고, 서⋅논술, 실험⋅실습, 포트폴리오 등 다양한 방법을 평가에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절반 이상의 학교들이 교수⋅학습계획서를 제공하고 있었으며 교수⋅학습계획서에 평가 계획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많았다. 학생들이 수강신청을 하는 시기에 교수⋅학습 계획서를 제공하는 학교보다 그렇지 않은 학교가 많았으며 선택 과목이 확정된 후에는 절반이 넘는 학교에서 교수⋅학습계획서를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절반 정도의 연구학교들이 최소학업성취수준보장을 위한 별도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을 운영하지 않는 학교들은 최소학업성취수준 설정의 어려움, 프로그램 운영 시간 부족, 대상 학생 선정의 어려움 등을 제시하고 있었다.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학교의 경우 학업 성취도를 학생 선정의 핵심 기준으로 설정하고 있었으며, 국어, 영어, 수학 등 주요 과목 내용 복습을 중심으로 하는 프로그램 위주로 운영되고 있었다. 결론 고교학점제에서 학생평가가 내실화되기 위해서는 과정 중심 평가가 활성화되어야 하고 그러한 평가가 생기부에 생생한 기록으로 남도록 노력해야 한다. 그리고 학생들의 과목 선택권이 제대로 보장될 수 있도록 적절한 정보가 담긴 교수⋅학습계획서와 평가계획서가 제공될 필요가 있으며, 고교-대학-지역사회와 기업과 같은 연계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고교학점제에서 학생들의 최소한의 성취 수준을 보장하기 위해 교육 당국에서는 최소학업성취수준 보장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다양한 지원을 제공하고, 학교 차원에서는 개별 학교 상황에 맞는 프로그램들을 내실화 있게 운영하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Objectives In this study, to identify the student assessment status i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performed with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research schools were analyzed in order to obtain the implications for the subtantialization of student assessment i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which will be introduced earnestly in 2025. Methods To identify the student assessment status i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e activation of process-based evaluation’, ‘writing on school life record’, ‘substantialization of achievement standards assessment’ and ‘responsible guidance to guarantee the minimum academic achievement level’ were drawn as the frame of analysis based on ‘student assessment substantialization’ area of the major operation tasks of ‘2020 academic year high school credit system research and leading school operation plan’ suggested by Ministry of Education. The questionnaire survey tool was made,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with the first to third-year general research schools and its results were analyzed. Results The results of questionnaire survey and analysis on the school assessment status i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research school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shown that the process-based evaluation is activated in the most research schools, and diverse methods such as narrative and essay, experiment and practice, portfolio, etc. are used in assessment. Second, more than half of the schools provide the teach and learning plans, and the case that the assessment plan is included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plan was more than the case that it is not. There are more schools that provide the teaching and learning plan during the period of signing up for subject than the schools that do not, and after the selective subjects are determined, more than half of the schools provide the teaching and learning plan. Third, about half of the research schools were represented to operate separate program to guarantee the minimum academic achievement level. The schools that do not operate the program appealed the difficulties in establishing the minimum academic achievement level, insufficient time to operate the program, difficulties in selecting target students, etc. In case of the schools that operate the program, they established the academic achievement as a core criteria to select the student and operate mainly the program focusing on the revision of major subjects such as Korean language, English, mathematics, etc. Conclusions To substantialize the student assessment i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e process-based evaluation should be activated, and such evaluation should remain as vivid record in the school life record. And in order to guarantee the student s right to choose the subject, it is necessary to furnish the teaching and learning plan and the assessment plan containing the appropriate information and to expand the connection like high school-college-local community and the enterprise. Finally, to guarantee the students minimum academic achievement level i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e educational authority should provide diverse supports for the operation of minimum academic achievement level guarantee program, and the school should prepare the measures to operate the program conformed to the situation of individual school.

      • KCI등재

        코로나 19 시기 성별과 학업성취 수준, 경제적 수준에 따른 일반계 고등학생의 신체활동 차이 분석

        윤주석(Juseok Yun),김동혁(Dong Hyuk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7

        목적 코로나 19 시기 일반계 고등학생의 신체활동량을 분석하고, 성별과 학업성취 수준, 경제적 수준에 따른 신체활동량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방법 2021년 S지역에서 편의표집(convenience sampling) 방법을 통해 3개 학교, 1,037명의 학생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신체활동은 한국형 IPAQ(2005) 설문지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일반계 고등학생의 신체활동량을 분석하고, 성별과 학업성취 수준, 경제적 수준에 따라 T-test 및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이용하여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보았다. 결과 첫째, 성별에 따른 고등학생의 신체활동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게 나타나고,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학업성취 수준에 따라 고등학생의 신체활동은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학업성취 수준이 우수한 집단이 보통 집단과 미흡 집단보다 신체활동이 낮게 나타났다. 셋째, 경제적 수준에 따른 고등학생의 신체활동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코로나 19 시기 일반계 고등학생의 신체활동은 CPPSE에서 권고하는 기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기화된 코로나 시기에 청소년들의 신체활동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physical activity in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nd to find out the difference in physical activity levels according to gender, academic achievement level, and economic status. Methods 1,032 students from three high school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through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in the S region, in 2021. The physical activity was assessed using the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s adapted for South Korea. The physical activity of general high school adolescents was analyzed, and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were examined through a T-test and one-way ANOVA according to gender, academic achievement level, and economic level. Results Physical activity levels in high school students were strongly associated with gender, male adolescents showing higher physical activity levels than female adolescents. Second, physical activity levels according to academic achievement showed a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group with high academic achievement showing a lower physical activity level than the moderate and low groups. Third, physical activity levels according to economic status did b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s Physical activity levels in high school studen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did not meet the standard recommended by CPPSE. This calls for a physical activity promotion in high school students during the ongoing COVID-19 pandemi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