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하나로 수업 모형 적용을 통한 반응 변화 탐색

        김낭규(Nang Kyu Kim)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0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17 No.4

        본 연구는 고등학교 체육수업 내실화를 위해 인문적 체육교육의 실천모형인 하나로 수업을 적용하여 학생들의 반응 변화를 통해 그 가능성을 찾는 데 목적이 있었다. 이러한 목적달성을 위해 하나로 수업연구회의 회원으로 활동하면서 자문과 협조를 얻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울산광역시에 위치한 N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1년간 하나로 수업모형을 적용하였다. 그 중 16명(각 반 남녀 2명씩)의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 심층면담, 수업일기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사례 분석과 귀납적 범주분석을 통해 주제어를 도출하였으며 전문가협의, 구성원간 검토, 삼각분석법을 이용하여 자료의 진실성을 확보하였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첫째, 하나로 수업과의 만남에서는 상반된 2가지의 반응이 있었다. 하나는 `이상한 체육`, 또 하나는 `새롭고 특이한 체육`이었다. 둘째, 하나로 수업의 들어서기에서는 몸소 실천을 통해 재미있음을 아는 `괜찮은 체육`으로, 셋째, 활동하기에서는 `생각하는 체육`과 `활력 있는 체육`으로의 반응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고등학교에서 내실있는 체육수업을 위한 한 가지 방안으로 하나로 수업모형의 적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improve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es by applying the Hanaro Model, a humanistic teaching model, and investigate the model`s potential by observing student reactions. I carried out the study as a member of the Hanaro Teaching community and sought advice and cooperation from other members. The model was applied for one year to first-grade students at N High School located in Ulsan. Data was collected from 16 students (2 male and 2 female students from each class) through surveys, in-depth interviews and class diaries, and used to identify topic words via case studies and inductive categorical analyses. Data validity was established through member checking, peer debriefing and triangul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ly, students initially gave two contrary reactions to the Hanaro Model. One was that lessons were `strange` while the other was that lessons were "new and unique." Secondly, after lessons started,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found it interesting, thought-provoking and excit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Hanaro Teaching Model has the potential to enhance the quality of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es.

      • KCI등재

        하나로수업모형 성장기(成長記): 연구 동향에서 드러난 성과와 과제

        박용남,정현수 한국초등체육학회 2018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2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하나로수업모형의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하나로수업모형의 성과와 향후 연구 과제를 도출하고, 체육수업의 질적 제고를 견인하는 모형기반체육수업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하나로수업모형이 소개된 2001년 이후 현재(2017.08.30)까지 하나로수업모형을 연구한 총 75편의 학술 논문과 학위논문을 분석하였다. 연구 동향은 모형 적용기(2001-2006), 검증기(2007-2010), 확산기(2011-현재)로 나누어 각 시기 별로 연구주제, 출판 학회지 및 대학원, 연구자, 연구대상, 연구방법으로 유목화하여 특징과 함께 정리하였다. 연구 동향 데이터에 의거한 하나로수업모형의 성과는 대안적 체육수업모형, 시대적 흐름에 부응하는 체육수업모형, 연구하는 교사를 양성하는 체육수업모형으로 범주화되었다. 또, 하나로수업의 학문적, 실천적 성장을 위해 성장통 역할을 할 수 있는 비판적 연구의 필요성과 편중된 연구방법의 다각화가 향후 연구 과제로 도출되었다. 끝으로 체육수업모형연구와 모형기반체육수업 활성화를 위해 교육과정 개발자로서의 교사를 양성하는 예비 및 현직교사교육의 강화와 한국형 체육수업모형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raw outcomes of Hanaro Teaching Model and its further research task, and to provide a perspective for a model-based instruction which could lead to qualitative improvement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75 academic papers and dissertations have been published since 2001 when this model was introduced and these 75 papers were analyzed in this study. Research trend is divided into three periods; effective period(2001-2006), verification period(2007-2010), diffusion period(2011-ongoing), and each period’s trend is arranged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research topic, journal/graduate school, researcher, research subject, and research method with specific features. Based on this research, we identified Hanaro teaching model as an alternative instructional model, an instructional model that is responsive to current time, and an instructional model that promotes teachers’ study.  Furthermore, we have identified its further research tasks such as significances of critical research for academic and practical growth of Hanaro teaching model and its necessities of diverse research methods. Lastly, this research suggested the possibilities of Korean instructional models for physical education as well as strength of pre- and in-service teacher training which could train teachers as curriculum developers.

      • KCI등재

        논문 : "전인" 실현을 위한 유아교육의 통합적 접근 방향 모색

        송혜순 ( Hye Soon Song ) 한국무용기록학회 2011 무용역사기록학 Vol.21 No.-

        본 연구는 유아교육을 통합적으로 접근하고자, 전인교육의 실천적 제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이를 위한 대안적 방법으로 서사중심적인 통합적 접근인 ``하나로 수업``을 선택하여 놀이수업의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서사중심적인 통합적 접근은 지식전달 위주 교육에서 벗어나 교사의 바른 행동, 바른 말씨, 바른 습관을 본보기로 하여 교과관련 주제에 대해 아이들과 함께 생각하고, 보고, 듣고, 이야기하면서 스스로 생각을 정리하도록 하여 아이들이 잠재적으로 학습내용을 알아차리고 깨우치게 하는데 있다. 특히 인성교육을 위해 교사는 아이들에게 문화예술 활동 체험을 통해 공동체의식을 함양하고 아이들이 넓은 혜안을 갖고 지·정·의, 진·선·미, 지·덕·체와 같은 덕목들을 갖출 수 있는 정신적인 존재로 성장을 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하나로 수업의 방법론을 적용하여 구성된 하나로 놀이수업은 교사와 아이들이 일상생활과 교육이 하나 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교사의 계획된 프로그램에 의해 자연스럽고 즐겁게 진행되는 놀이에 의해 교육이 진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하나로 놀이수업은 결과적으로 ``전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다양한 활동들을 하나로 하는 서사중심의 통합적 접근이라 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유아교육을 구체적이고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전인교육 실현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유아교육자는 첫째, ``전인``을 위한 인성교육에 초점을 맞추어 바른 행동, 바른 말씨, 바른 습관으로 유아에게 몸과 마음 그리고 영혼을 담아 자신이 본보기가 되는 교육적 마인드를 지녀야 한다. 둘째, 유아무용을 교수할 때 무용이라는 전공에 집착하지 않고 예술교육자로서 즐겁게 학습할 수 있는 무용을 놀이로 접근해야 한다. 셋째, 체계적인 교육수행과 기능, 지식, 태도가 하나로 통합된 교육실천이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문화예술교육자로서 아이들과 즐겁게 소통할 수 있는 무용을 통한 교육방법론으로 하나로 놀이수업을 채택하고 철저한 재교육을 통해 지도자를 양성해야 한다. For practical suggestion, this study examines into finding solutions to realize, ``Education for whole person`` by direction for an integrated approach. Through using ``Hanaro Teaching``, this study suggests the method of teaching play as an alternative plan. Contents of this study are finding standards on which the present programs of Education are based, mean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understanding principle of teaching internal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notional level. On the basis of these, it expounds the trend of Internal Studies for the whole person and the direction for an integrated approach to practice education for whole person concretely. As a system of integrated approach, ``Hanaro Teaching`` which is the alternative plan for achievement of goal, makes sure about the possibility of integrated approach by play class`s goal, contents, method and management. To realize education for the whole person, children experience activities were such that they were to experience direct experience activity and indirect experience activity simultaneously. Together with physical activity, narrative activities such as playing, looking, speaking, listening, writing, drawing, and singing were implemented. In conclusion, this study presents a useful method of teaching for the practice of ``whole person``. First, when you teach young children, you should have the educational mind, working on humanism education, so that you be the example. Second, when you teach young children, you should be the educator, not just the dance instructor. So you approach it as play, not just as dance. Third, it should be accomplished as an integrated educational play by skill, knowledge, and attitude. Fourth, take ``Hanaro Teaching`` as a teaching method to communicate with young children and use it for reeducational purpose to train educators.

      • KCI등재

        농협 하나로마트의 DEA 효율성과 Malmquist 생산성 분석

        장동현 한국산업경제학회 2011 산업경제연구 Vol.24 No.2

        본 연구는 서울지역 농협 하나로 마트에 대해 DEA분석과 MPI분석을 하였다. 분석대상은 23개 하나로 마트이며, 분석기간은 2005년에서 2009년까지 5개년간이다. 그리고 효율성 및 생산성 분석을 위한 투입변수는 매장규모, 종사직원수, POS(point of sale) 단말기대수를, 산출변수는 일평균 고객수, 총 매출액을 이용하였다. 우선, 투입과 산출변수에 대한 기술통계량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농협 하나로 마트의 기술효율성(TE), 순수기술효율성(PTE), 규모효율성(SE)을 분석하였다. 끝으로 Malmquist 생산성 지수(MPI)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시계열적으로 보면 매장규모, 고객수, 총매출액은 증가경향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Malmquist 생산성 지수(MPI)는 전체적으로 하락하고 있다. 특히 순수기술효율성(PECI)은 그 변화의 폭이 크지 않아서 하나로 마트들이 경영 합리화를 위한 노력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농협 하나로 마트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서는 기술효율성의 부분인 규모효율성 변화지수(SECI)의 증가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DEA and MPI of Nonghyup Hanaro Mart stores located in Seoul. The analysis targeted 23 Hanaro Mart stores and was conducted for 5 years from 2005 to 2009. As input variables for efficiency and productivity analysis, store scale, employee count and POS (point of sale) terminal count were used. As output variables, daily average customer count and total sales were used. First, technical statistics of input and output variables were examined. Second, TE(technical efficiency), PTE(pure technical efficiency) and SE(scale efficiency) of Nonghyup Hanaro Mart were analyzed. Last, Malmquist productivity index (MPI) was analyzed. Based on the results, it was intended to find improvement measures for Nonghyup Hanaro Mart. Time-series analysis of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tore scale, employee count and total sales displayed an increasing trend. On the other hand, Malmquist productivity index (MPI) decreased as a whole. In particular, the depth of pure technical efficiency change (PECI) was not large, indicating that Hanaro Mart stores were making efforts for management rationalization.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increase in scale efficiency change index (SECI), a part of technical efficiency, is necessary for productivity improvement of Nonghyup Hanaro Mart.

      • KCI등재

        모형 기반 초등 체육 수업을 위한 교사 지식 탐색

        장경환(Kyung Hwan Jang),이옥선(Ok Seon Lee)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4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모형 기반 초등 체육 수업을 위한 교사 지식을 하나로 수업을 중심으로 탐색하고, 수업모형에 대한 교사의 이해와 지식이 체육 수업의 실천과 어떠한 관계를 맺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데 있다. 교사지식의 분석을 위해서 Cochran-Smith와 Lytle(1999)의 ``지식-실천의 관계``를 이론적 틀로 채택하였다. 이를 위해 하나로 수업을 1년 이상 꾸준히 연구하며 적용해 온 초등교사 3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과 수업관찰을 실시하고, 문서 자료를 수집하였다. 귀납적 범주 분석의 결과, 형식적 지식으로는 하나로 수업의 목표를 인성교육을 위한 실천 모델로써 인식하고 있다는 점, 내용과 방법 측면에서 하나로 수업의 네 가지 구조를 이해하고 있다는 점, 운영의 측면에서 하나로 수업의 핵심 요소인 터와 패를 교육적으로 이해하고 있다는 점이 드러났다. 실천적 지식의 주제는 초등교육의 특성을 반영하는 ``교실과 운동장을 하나로``, 하나로 수업 모형과 이외의 ``다양한 수업 모형과의 전략적 유대로``, 하나로 수업에 대한 기존의 ``오해와 비판을 이해와 긍정으로`` 등 크게 3가지로 범주화되었다. 마지막으로 생성적 지식의 수준에서는 국가 수준 교육과정의 실천 모델로써 하나로 수업을 발전시켜 적용할 수 있다는 점, 수업 모형을 넘어 하나의 수업 철학 및 새로운 렌즈로써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이 주요 주제로 드러났다. 아울러 수업 모형과 관련된 교사의 지식은 형식적 지식에서 출발하여 실천적 지식으로, 더 나아가 생성적 지식으로 연결되는 흐름 및 순환의 과정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교사의 역할이 ``수동적 지식 활용자``에서 ``능동적 지식 생성자``로 전환될 것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model-specific knowledge in Hanaro Teaching (HT) and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knowledge on model and PE practice. Participants were three elementary school teachers(n=3, 3 males) who have over a year of HT model implementation experience. Data were collected from in-depth interviews, class observations, teachers` reflective journal entries, lesson plans and analyzed inductively. Findings revealed three domains of HT model-specific teacher knowledge based on the Conceptions of Teacher Learning Framework (Cochran-Smith & Lytle, 1999). The framework conceptualizes teacher knowledge in terms of knowledge for practice, knowledge in practice, and knowledge of practice. First, knowledge for practice dimension in HT model implementation included: (a) the purpose of HT as a character education model, (b) perception of 4 basic structures of HT as contents and teaching methods, and (c) pedagogical understanding of Teo(i.e. learning station) and Pae(i.e. activity group) in terms of PE management. Second, knowledge in practice in HT implementation included: (a) classroom management as an extension of HT implementation, (b) building connection with other instructional models, and (c) transforming misconception on HT model into possibility. Lastly, knowledge of practice dimension included: (a) building connection with the National Curriculum of Physical Education, and (b) understanding HT model as teaching philosophy and fresh lens for re-searching and re-viewing the elementary PE. In conclusion, we identified that model-specific teacher knowledge was related to teacher professionalism, and teacher knowledge was developed progressively from knowledge for practice to knowledge in practice, and eventually shifted toward knowledge of practice. Through this process, teacher`s role should be also shifted from passive knowledge user to active knowledge producer.

      • KCI등재후보

        하나로 수업모형을 적용한 경쟁활동 핸드볼 수업의 사례연구

        정성우 ( Sung Woo Jung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5 교사교육연구 Vol.54 No.4

        본 연구는 배움터(인지적), 느낌터(정의적), 활동터(심동적)의 터별 활동을 통하여 학교현장에서 경험하기 힘든 핸드볼 수업의 지도방법을 개선하여 다양한 신체활동과 의미 있는 학습경험 제공 그리고 하나로 수업모형의 효과를 통해 체육수업 활성화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연구자가 수업을 운영하고 있는 B광역시 B중학교 1학년 남학생 36명을 대상으로 2013. 11. 4(월) - 11. 29(금)까지 연간 체육수업 일정, 중간고사, 학사일정 학교행사 등을 고려하여 15차시 동안 수업을 운영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심층면담, 개방형 질문지, 체육수업 일지, 나 발견지, 수업참관, 다각도 검증, 전문가 회의 그리고 스프레드시트를 활용하여 구체적인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하나로 수업모형을 적용한 후 핸드볼 수업에 대한 즐거움과 수업 이해력이 높아진 동시에 핸드볼 수업에 대한 만족감 역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단원에 적합한 수업모형 적용과 교수학습지도 방법 개선을 통하여 핸드볼 수업에 대한 성취경험, 자신감 향상, 공동체의식, 책임감 그리고 전인적 성장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pplied the Hanaro Teaching Model, which pursues a balanced integration of physical, moral, and intellectual dimensions of students, to middle school handball classes with the aim to improve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of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6 first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To collect reliable and precise data, in-depth interviews, open-ended survey questions, teaching journals, and class observation reports were analyzed. The results reflect the students’ enjoyment of learning handball, their deeping understanding of handball, and a high satisfaction of learning about handball.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Hanaro Teaching Model can advance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of handball classes and help students develop self-confidence and social skills.

      • KCI등재

        하나로 핵연료시험설비의 소형냉각수상실사고 해석

        박수기,지대영,안성호 한국기계기술학회 2008 한국기계기술학회지 Vol.10 No.2

        The small break loss-of-coolant accidents for the HANARO fuel test loop have been predicted by MARS code. Conservative method was used for the prediction of the loss-of-coolant accidents. The maximum peak cladding temperature was calculated as 1286K, which was lower than the design limit temperature (1477K) of nuclear fuels for the HANARO fuel test loop. The maximum peak cladding temperature occurred for the cold leg break in the HANARO pool. The hydrogen generation and oxidation of the fuel cladding were also negligible. Consequently, it is ensured that the emergency cooling water system for the HANARO fuel test loop is appropriate for the small break loss-of-coolant accidents.

      • KCI등재

        하나로 수업모형을 적용한 농구수업의안과 밖의 모습에 관한 연구

        유태균 한국체육철학회 2008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16 No.2

        Though this study confirms state of inside and outside about exercise and physical education, and confirms how sense of discrimination of students is mastered and is changed in basketball class that apply Hanaro Teaching Model by realization of students and experience, there is the purpose. To achieve these purpose of study, executed inductive category analysis and continuous comparative analysis from 7 students who take part in D university 2007 first term culture physical education class (basketball) collecting data of activity daily summary, picture and video recording, depths interview, self-examination. And to confirm that classification of data and interpretation, analysis process became right, many-sidedness of examination between member, conference between companion etc. deduced following result through analysis method. While starting position of students who take part in basketball class that apply Hanaro Teaching Modeld have expectation and unquietness about new class, also have fear and tense feeling about is unfamiliar. Also, students who experience Hanaro Teaching Modeld were widened a sense of discrimination's depth and width that look in image of inside and outside about exercise experiencing the another world through various individual and group subject activity. Also, students found another oneself changed within the world that body and mind and spirit are integrated through Hanaro Teaching Model, and furthermore, own life culture and self-reflection and self-examination of connecting process are attained. 이 연구는 ‘하나로 수업모형’을 적용한 농구수업에서 학생들의 인식과 경험을 통해 운동과 체육의 안과 밖에 관한 안목이 어떻게 형성되고 변화되는가를 조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대학교 2007년 1학기 교양체육수업(농구)에 참가한 학생 7명을 연구 참여자로 하여 심층면담, 반성일지, 과제 및 터의 활동일지, 사진 및 비디오 촬영 등의 자료를 수집하여, 귀납적 범주분석과 지속적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자료의 분류 및 분석, 해석 과정이 올바르게 되었는가를 확인하기 위해 구성원 간 검토, 동료 간 협의 등의 다각도 분석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학생들은 입문단계에서 새로운 수업에 대한 기대감과 설렘을 가지고 있는 반면에, 낯설음으로 인한 두려움과 긴장감을 가지고 있었다. 학생들은 다양한 개인 및 그룹의 과제 활동을 통해 또 다른 세계를 체험하면서 운동의 안과 밖에 관한 안목의 깊이와 폭이 심화 확대 되었다. 아울러 학생들은 ‘하나로 수업모형’을 통해 몸과 마음과 정신이 통합되고, 나아가 자신의 생활문화와 연계하여 성찰과 반성이 이루어지면서 변화되는 자신을 발견하게 되었다.

      • KCI등재

        하나로 수업모형을 적용한 뜀틀 고개튀겨돌기 체조 수업의 사례연구

        정성우(Sung Woo Jung),류민정(Min Jeong Lyu)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3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0 No.1

        체조(뜀틀 고개튀겨돌기)는 안전상, 지도상의 어려움으로 인해 학교현장의 체육교사들이 기피하고 있는 수업 내용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로 수업모형을 적용하여 학생들이 보다 쉽고, 안전하고, 재미있게 체조 수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수업환경을 재구성해보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자는 B광역시 수업컨설팅 컨설턴트의 경험을 통해, 뜀틀 수업 지도의 어려움을 이해하고, 교수·학습방법 개선과 단원 수업전략을 개발하기 위해 하나로 수업모형을 현장 적용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총 32명의 학생들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연구자의 일지, 심층면담, 설문자료, 관찰 기록지 등의 질적 자료를 수집·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고난이도 뜀틀 고개튀겨돌기 수업내용을 지도하는데 있어 하나로 수업모형의 효과적 가능성을 이해할 수 있었다. 하나로 수업모형을 적용한 뜀틀 수업을 통해 학생들에게 수준별 단계 및 과제를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고, 또한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고, ``보는`` 스포츠에서 ``하는`` 스포츠로의 실천의지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t schools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void gymnastics (head-bounce spin technique in vault) due to safety problems and difficulties in teaching.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configure classroom environment using Hanaro teaching model, allowing students to participate with more ease, safety, and fun. In order to understand difficulties in vault teaching, to improve the learning, and to develop unit strategies through a classroom consulting experience conducted in B city, this study specifically attempted to examine the process for practical application of Hanaro teaching model. Qualitative data such as researcher log, in-depth interview, survey data, and observation record were used. Detailed data on 32 subjects were utilized for analysis.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understand effective teaching and class management of high-level vault technique, head-bounce spin, in actual physical education through Hanaro teaching model. Opportunity to select steps and tasks for different levels is expected to attract active participation by students, fostering practice of ``playing`` sports instead of ``watching`` sports.

      • 하나로 냉각팬의 회전 블레이드 동역학 해석

        김봉수(Bong Soo Kim),박용철(Yong Chul Park),이한태(Han Tae Lee) 대한기계학회 2005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05 No.11

        The HANARO, a multi-purpose research reactor of a 30 MWth, open-tank-in pool type, has been under normal operation in the KAERI(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The heat which is generated by the nuclear fission in the HANARO is cooled through the 1st and the 2nd cooling system. The cooling tower enables the HANARO to operate normally as a consequence of the heat removal. Consequently, the temperature of the reactor pool is maintained constantly for the heat transfer between the 2nd coolant and atmospheric air through the cooling tower. The cooling tower is equipped with the cooling fan in order to move the air which absorbed in the heat through the 2nd coolant. Therefore, fan performance is very significant to operate the HANARO stably. In this paper, the deflection of the end point for the blade is calculated in relation to the time by the dynamic analysis of the rotating blade. Also, variable natural frequencies of the blade associated with the angular speed of the hub are simulated in order to operate the HANARO saf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