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한국의 사회학 연구영역에서의 근거이론의 활용 방법과 전개, 그리고 향후 방향의 모색

        김은정(Eunjung Kim) 한국사회학회 2017 韓國社會學 Vol.51 No.3

        근거이론은 기존 질적 연구방법의 약점을 보완할 수 있다고 평가되어 그 위상이 높아졌으며, 인기를 모아왔다. 이러한 점에서 한국의 사회과학계도 예외가 아니다. 사회복지학, 행정학, 교육학 등의 동향을 살펴보면, 근거이론을 활용한 연구가 질적 연구 패러다임의 대다수를 차지한다. 한편, 이들 연구들을 보면, 이전에는 스트라우스와 코빈(Strauss and Corbin)의 근거이론 방법론을 중심으로 한 연구가 대부분이었으나, 2010년대 들어서 근거이론의 다양한 논의를 반영한 연구들이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근거이론의 다양한 논쟁을 소개하는 작업과 방법론에 대한 논의도 활발한 편이다. 이러한 사회과학계 전반의 추세와는 달리 한국 사회학계에서는 근거이론에 대한 소개와 활용이 미미했다. 물론, 근거이론의 분석방법 및 존재론적, 인식론적 입장에 대한 논란도 많고 비판도 많다. 그러나 근거이론이 가지고 있는 방법론적 장점도 분명이 있기 때문에 이 연구에서는 근거이론에 대한 논의를 함으로써, 사회학 영역의 질적 연구방법 논의의 진전을 시도하고자 했다. 이러한 점에서 이 연구에서는 <한국사회학회지>를 중심으로 사회학계의 근거이론 활용을 살펴보았다. 첫째, 근거이론을 활용한 연구가 다른 사회과학 영역에 비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사회학계에서 근거이론은 분석적 절차를 제공하는 방법(method)으로만 이해되고, 이론을 형성하기 위한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방법론(methodology)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논의는 별로 없었다. 셋째, 한국의 사회학계에서는 스트라우스와 코빈의 연구만이 독점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상태이며, 근거이론의 다른 논쟁들에 대한 논의가 별로 소개되고 있지 않다. 이상의 점들을 살펴 볼 때, 근거이론 활용을 한 연구들이 좀 더 활발해지고, 방법론적 논의가 진전된다면 사회학 영역에서의 질적 연구 방법론 논의에 발전이 있을 것이라는 점을 지적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에서는 편수는 적지만, 사회학계에서 근거이론을 활용한 연구를 심층 분석함으로써, 사회학 영역에서 가능한 근거이론 활용 방향을 제시하였다. Grounded theory has dominated the qualitative research in Korea since it was considered to be rather an effective and useful method that can overcome what is previously known as weakness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ere has been explosively rapid increase in the use of grounded theory in the qualitative research of social sciences in Korea such as social welfare, public administration or gerontology. There used to be a propensity to adopt grounded theory by Strauss and Corbin(1990); however, entering the 2010s, social science studies applying other grounded theory methods done by scholars such as Charmaz or Rennie, have also emerged and flourished. Grounded theory has not been debated much in qualitative research of Korean Sociology as in other social divisions. This study explored the trend, limits and implications of relatively underestimated grounded theory research in Sociology, reviewing the articles adopting grounded theory published in <Korean Journal of Sociology> from 1999 to 2016.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That there is a scant amount of grounded theory studies in the field of Korean Sociology, which suggests that ground theory research quality in Sociology may be far left behind; 2) grounded theory is considered to be as a procedure to analyze data rather than as a methodological research approach/paradigm for a substantive-level theory; 3) Grounded theory approach by Strauss and Corbin has exclusively dominated over the years, curtailing the methodological debates regarding post-Strauss and Corbin. This study aimed to ignite the overall discussions of qualitative research by shedding lights on grounded theory, which has been underestimated and less utilized for qualitative research in Korean Sociology.

      • KCI등재후보

        근거이론 담론과 사회복지 지식형성

        김인숙(Kim In Sook)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2 비판사회정책 Vol.- No.34

        Glaser와 Strauss가 1967년 ‘근거이론의 발견’을 출간한 이후 근거이론에 대한 논쟁과 다양한 담론들이 제기되고 있다. 한국 사회복지학계는 이러한 논쟁 및 담론들에 무관심한 채 오직 Strauss의 방법에 기대어 근거이론 연구들을 생산해내고 있다. 이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근거이론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담론의 지형을 소개하고 사회복지학 내 근거이론 지식생산의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근거이론을 이용한 앞으로의 지식생산의 의미와 방향을 짚어보았다. 근거이론은 창안자인 Glaser와 Strauss는 물론 다양한 논자들 사이에서 근거이론의 방법, 근거이론의 인식론적 ‘재해석’과 ‘통합’을 둘러싸고 논쟁적 담론이 형성되고 있었다. 사회복지학에서 근거이론방법을 이용한 연구들은 양적 우위와 방법적 획일성, 기본적 사회적 과정의 비가시화, 실체이론의 결여, 현상과 맥락의 분절화, 미시와 거시, 속성과 실천의 지나친 불균형을 보이고 있었다. 근거이론이 사회복지학 내 풍부한 지식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근거이론의 인식론적, 방법적 다양성에 대한 실험과 거시-구조적 맥락을 가시화하고 확장하는 것이 필요하다. Grounded theory has raised many important debates since 1967 when was published “The Discovery of Grounded Theory” by Glaser and Strauss. But social welfare academics in Korea are indifferent to these debates relating to grounded theory. They have produced only grounded theory researches which relied on Strauss’ method. This study mapped the configuration of grounded theory discourses and analyzed grounded theory resesrches in social welfare academics. Based on these maps and analyses, I proposed the directions and implications of grounded theory debates. Grounded theory has been divided into two versions, Glaser version and Strauss version. Two versions are different in research methods. And many writers has reinterpreted epistemologically and integrated grounded theory with other perspectives- feminism, critical theory, hermeneutics. Fiv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were founded in social welfare researches using grounded theory: 1) quantitative superiority among various qualitative methods and methodological uniformity 2) not visualizing of Basic Social Process 3) lack of substantive theory 4) segmentalization of acts and contexts 5) unbalance between micro and macro, attribute and practice. We need to experiment methodologically and epistemologically diversities around the debates and to expand macrostructural contexts.

      • 한국의 사회학 연구영역에서의 근거이론의 활용 방법과 전개, 그리고 향후 방향의 모색: 『한국사회학』 게재논문을 중심으로

        김은정(Eunjung Kim) 한국근거이론학회 2024 한국근거이론학회 학술대회 Vol.- No.1

        근거이론은 기존 질적 연구방법의 약점을 보완할 수 있다고 평가되어 그 위상이 높아졌으며, 인기를 모아왔다. 이러한 점에서 한국의 사회과학계도 예외가 아니다. 사회복지학, 행정학, 교육학 등의 동향을 살펴보면, 근거이론을 활용한 연구가 질적 연구 패러다임의 대다수를 차지한다. 한편, 이들 연구들을 보면, 이전에는 스트라우스와 코빈(Strauss and Corbin)의 근거이론 방법론을 중심으로 한 연구가 대부분이었으나, 2010년대 들어서 근거이론의 다양한 논의를 반영한 연구들이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근거이론의 다양한 논쟁을 소개하는 작업과 방법론에 대한 논의도 활발한 편이다. 이러한 사회과학계 전반의 추세와는 달리 한국 사회학계에서는 근거이론에 대한 소개와 활용이 미미했다. 물론, 근거이론의 분석방법 및 존재론적, 인식론적 입장에 대한 논란도 많고 비판도 많다. 그러나 근거이론이 가지고 있는 방법론적 장점도 분명이 있기 때문에 이 연구에서는 근거이론에 대한 논의를 함으로써, 사회학 영역의 질적 연구방법 논의의 진전을 시도하고자 했다. 이러한 점에서 이 연구에서는 <한국사회학회지>를 중심으로 사회학계의 근거이론 활용을 살펴보았다. 첫째, 근거이론을 활용한 연구가 다른 사회과학 영역에 비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사회학계에서 근거이론은 분석적 절차를 제공하는 방법(method)으로만 이해되고, 이론을 형성하기 위한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방법론(methodology)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논의는 별로 없었다. 셋째, 한국의 사회학계에서는 스트라우스와 코빈의 연구만이 독점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상태이며, 근거이론의 다른 논쟁들에 대한 논의가 별로 소개되고 있지 않다. 이상의 점들을 살펴 볼 때, 근거이론 활용을 한 연구들이 좀 더 활발해지고, 방법론적 논의가 진전된다면 사회학 영역에서의 질적 연구 방법론 논의에 발전이 있을 것이라는 점을 지적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에서는 편수는 적지만, 사회학계에서 근거이론을 활용한 연구를 심층 분석함으로써, 사회학 영역에서 가능한 근거이론 활용 방향을 제시하였다. Grounded theory has dominated the qualitative research in Korea since it was considered to be rather an effective and useful method that can overcome what is previously known as weakness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ere has been explosively rapid increase in the use of grounded theory in the qualitative research of social sciences in Korea such as social welfare, public administration or gerontology. There used to be a propensity to adopt grounded theory by Strauss and Corbin(1990); however, entering the 2010s, social science studies applying other grounded theory methods done by scholars such as Charmaz or Rennie, have also emerged and flourished. Grounded theory has not been debated much in qualitative research of Korean Sociology as in other social divisions. This study explored the trend, limits and implications of relatively underestimated grounded theory research in Sociology, reviewing the articles adopting grounded theory published in <Korean Journal of Sociology> from 1999 to 2016.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That there is a scant amount of grounded theory studies in the field of Korean Sociology, which suggests that ground theory research quality in Sociology may be far left behind; 2) grounded theory is considered to be as a procedure to analyze data rather than as a methodological research approach/paradigm for a substantive-level theory; 3) Grounded theory approach by Strauss and Corbin has exclusively dominated over the years, curtailing the methodological debates regarding post-Strauss and Corbin. This study aimed to ignite the overall discussions of qualitative research by shedding lights on grounded theory, which has been underestimated and less utilized for qualitative research in Korean Sociology.

      • KCI등재

        근거이론의 근거에 대한 음미

        이영철(李永喆) 한국정책과학학회 2014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18 No.1

        근거이론을 사용하는 연구가 늘어나고 있지만, 근거이론의 적절한 적용이 문제가 되고 있다. 가장 큰 이유는 근거이론에는 상이한 세 가지 흐름이 있고, 각 흐름에 따라 연구의 방법도 달라질 수 있는데, 이런 측면이 실제 연구에서는 체계적으로 검토되고 있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 글은 근거이론을 둘러싼 논의를 활성화하고 근거이론의 적절한 적용을 위해서 두 가지 작업을 하였다. 첫째, 근거이론의 방법론과 방법에 관한 논의를 세 가지 흐름, 즉 Glaser의 실증적 근거이론, Strauss의 상징적 상호주의 근거이론, 구성주의 근거이론을 이론적으로 검토하여 정리하였다. 둘째, 이론적인 논의에 따라서 근거이론방법을 구체적으로 적용한 논문을 대상으로 삼아 근거이론방법과 절차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Despite of the growing popularity of grounded theory, its proper application has been subject to scrutiny. A major reason for the debate comes from the fact that there has not been a conscious effort to make distinctions between three different streams of grounded theory and to see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distinction for research. In this paper, we have two objectives: first, to analyze theoretical underpinnings of three streams, i.e., positivistic grounded theory(by Glaser), symbolic interactionism-based grounded theory(by Strauss) and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mainly by Charmaz); second, illustrate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our theoretical distinction by critically examining a study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 근거이론의 근거에 대한 음미: 방법론과 방법

        이영철(Yung Chul Lee) 한국근거이론학회 2024 한국근거이론학회 학술대회 Vol.- No.1

        근거이론을 사용하는 연구가 늘어나고 있지만, 근거이론의 적절한 적용이 문제가 되고 있다. 가장 큰 이유는 근거이론에는 상이한 세 가지 흐름이 있고, 각 흐름에 따라 연구의 방법도 달라질 수 있는데, 이런 측면이 실제 연구에서는 체계적으로 검토되고 있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 글은 근거이론을 둘러싼 논의를 활성화하고 근거이론의 적절한 적용을 위해서 두 가지 작업을 하였다. 첫째, 근거이론의 방법론과 방법에 관한 논의를 세 가지 흐름, 즉 Glaser의 실증적 근거이론, Strauss의 상징적 상호주의 근거이론, 구성주의 근거이론을 이론적으로 검토하여 정리하였다. 둘째, 이론적인 논의에 따라서 근거이론방법을 구체적으로 적용한 논문을 대상으로 삼아 근거이론방법과 절차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Despite of the growing popularity of grounded theory, its proper application has been subject to scrutiny. A major reason for the debate comes from the fact that there has not been a conscious effort to make distinctions between three different streams of grounded theory and to see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distinction for research. In this paper, we have two objectives: first, to analyze theoretical underpinnings of three streams, i.e., positivistic grounded theory(by Glaser), symbolic interactionism-based grounded theory(by Strauss) and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mainly by Charmaz); second, illustrate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our theoretical distinction by critically examining a study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 KCI등재

        질적 연구방법으로서 근거이론의 철학적 배경과 방법론적 특성에 대한 고찰

        이동성(Lee Dongsung),김영천(Kim Youngchu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2 열린교육연구 Vol.20 No.2

        이 연구는 교육연구자들에게 질적 연구방법으로서 근거이론(grounded theory)에 대한 철학적 및 방법론적 지식과 이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우리는 근거이론의 철학적 배경을 고찰하기 위하여 근거이론의 철학적 기초로 볼 수 있는 프래그머티즘(pragmatism)과 상징적 상호작용론(symbolic interactionism)의 인식론적 및 존재론적 전제들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철학적 배경에 터하여 Glaser와 Strauss가 창안한 근거이론의 원형(prototype)을 조명하고, 근거이론방법론(grounded theory methodology)의 상이한 네 가지 분기(分岐)와 쟁점들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 연구는 근거이론의 방법론적 특성을 포착하기 위해서 개방 코딩과 축 코딩 그리고 선택적 코딩으로 불리는 구별적인 분석절차를 명확히 설명하고, 근거이론 연구물의 질에 대한 평가준거들(criteria)을 다각적으로 검토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국내 교육연구자들에게 근거이론에 대한 방법론적 시사점을 제공함으로써 질적 교육연구를 위한 방법적 토대가 될 것이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uggest philosophical and methodological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the grounded theory as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o education researchers. For this purpose, we examined epistemological and ontological premises of pragmatism and symbolic interactionism, which has philosophical backgrounds of grounded theory methodology(GTM). Also, we examined Glaser & Strauss(1967)’s “Discovery” as a prototype of GTM, and scrutinized respective ramifications(Glaserian, Straussian, Charmazian, SA of Clarke) and issues of GTM. In addition, this paper articulates discriminative analytic procedures, such as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It also comprehensively examined evaluation criteria of GTM products for capturing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is paper will be a methodological cornerstone to promote qualitative education research through suggesting methodological implications on the GTM to education researchers.

      • KCI등재

        체육 교과 교육학 연구에 있어서 근거 이론적 접근 방법의 활용

        김성곤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11 교과교육학연구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mote the applicable possibility and an understanding of the grounded theoretical approach in sport pedagogy studies. In the field of physical education, as the experience of physical activities is based on subjective experience and the perception of the participants (students, physical education teachers, etc.), there are many difficulties and limitations to presenting a quantification of these aspects in the scientific method based on objectivistic paradigms. The main focus of the grounded theory is the development of a substantive theory. Grounded theory adduces theoretically formal results with respect to a matter of substance based on subjective materials (suggested and various evidence through the individual experiential process) by somewhat complicative systematic and deep analytic processes. The grounded theoretic approach can therefore be a very useful implement in physical education studies, which has strong subjective characteristics for identifying the research problem and its formalization of theory. Especially, grounded theory is an alternative for minimizing the gap between 'research' and 'practice' problems in physical education practice. This approach lays the foundation for academic identity and diversity in sport pedagogy studies through the various research methodologies and the development of academic capabilities. 체육 교육의 장에서 신체 활동의 경험은 참여 주체의 주관적 체험과 인식에 바탕을 두고 있기 때문에 체육 교과 교육학 연구에 있어서 질적 연구의 필요성은 결코 간과될 수 없다. 현재까지 체육학 분야에 있어서 활용되어온 질적 연구 방법으로는 문화기술적 연구(ethnographic study), 사례 연구(case study), 담론 분석(discourse analysis), 내용 분석(content analysis) 등 다양한 방법들이 활용되어 왔으나, 질적 연구의 한 형태로 근거 이론적 접근 방법의 활용은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근거이론의 주요 목적은 실제에서 이론을 발달시켜 가는 과정으로 실체 이론을 개발하는 것이다. 근거이론에서는 이와 같이 주관적인 자료를 수집하여 다소 복잡한 체계적이고 심층적인 분석 과정을 거침으로써 그 실체를 이론적으로 공식화하여 결과를 제시한다. 따라서 근거 이론적 접근 방법은 신체 활동을 배우고 익히는 주관적 성격이 강한 체육 교과 교육학 연구에 있어서 다양한 연구 문제를 규명하고 이에 대한 실체 이론을 정형화하는데 매우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다. 특히, 기존의 연구자가 정립한 이론과 실제 교육 현장에서 수집되는 자료와의 지속적인 비교분석이 중요한 개념이 된다는 점에서 현재 체육 교과 교육학 분야의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는 ‘연구’와 ‘실제’의 간격을 좁히는 문제와 연구 패러다임의 다각화 문제에 대한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따라서, 근거 이론적 접근 방법과 같은 다양한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해 개인이나 소집단의 특별한 경험을 보다 총체적·심층적·체계적으로 규명함으로써 하나의 이론을 정립해가는 노력은 체육 교과교육학 연구 패러다임의 다각화와 함께 학문적 정체성 및 다양성을 더욱 공고히 하는 토대를 제공해줄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질적연구(근거이론)와 양적연구(구조방정식모형)의 새로운 통합적 설계

        이현철 한국질적탐구학회 2017 질적탐구 Vol.3 No.1

        본 연구에서는 질적연구의 근거이론(grounded theory)과 양적연구의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의 통합연구를 위한 가능성과 접점을 탐색해보았다. 이는 통합연구방법을 활용한 자료 분석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함께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해줄 것이며, 실제 적인 연구 수행을 위한 통합연구방법론 차원에서의 심화된 논의 전개를 이끌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근거이론의 개념, 구조방정식모형의 개념을 간략하게 살펴보고, 해당 내용들을 바탕으로 각각의 연구방법론의 통합 가능성에 대하여 이론 및 모형 구축과 검증 의 접점, 패러다임모형과 잠재변수 간의 접점, 개방코딩과 관측변수 간의 접점의 측면들을 중 심으로 탐색해보았다. 이러한 접근은 연구설계 및 모형적인 측면만 강조되고 있는 통합연구방 법론의 논의 경향을 탈피하고, 그 논의의 장을 좀 더 자료 분석과 글쓰기 영역까지 확장하고자 하는데 이바지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at the possibility of integrating grounded theory of qualitative research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f quantitative research. This will suggest ways to improv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data analysis, using mixed research methods and will lead to deepening discussion on the mixed research methods for practical research in fields. For this purpose, I summarized the concept of grounded theory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Based on the concepts and contents, I searched for three possible ways of the methodological integration of grounded theory (qualitative research)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quantitative research): Theory and model construction and verification, relation between paradigm model (grounded theory) and latent variabl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relation between open coding (grounded theory) and observed variabl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of the study is expected to deepen and expand the level of discussion on the mixed research methods and provide academic ideas for research writing.

      • KCI등재

        근거이론을 통한 인과순환지도 구축 : 근거시스템이론(GST)의 모색

        김동환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학회 2023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 연구 Vol.24 No.2

        Grounded theory, which has recently gained popularity in the social sciences, can be an excellent method for providing empirical support for system dynamics research. Several efforts have been made to integrate grounded theory and system dynamics for this purpose. However, previous integration attempts have primarily focused on system dynamics and have not incorporated the paradigm model of Strauss and Corbin, widely used in the social sciences. This paper introduces ‘grounded system theory (GST)’, aiming to integrate systems thinking and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by Strauss and Corbin. The grounded systems theory approach involves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loop coding. The application of ‘grounded system theory’ was discussed by utilizing interview data on ‘the dilemma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e ‘grounded systems theory’ proposed in this paper presents a systematic procedure for using qualitative data to construct a causal loop diagram, thereby serving as a bridge between grounded theory and system dynamics.

      • KCI등재

        근거이론의 수행방법에 대한 이해

        권향원(Hyangwon Kwon) 한국정책과학학회 2016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20 No.2

        본 연구는 질적연구방법으로서 근거이론을 적용하고자 하는 연구자들이 참조할 수 있는 실천적 가이드 라인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특히 다음의 세 가지 중심주제에 논의의 초점을 두었다: (1) 첫째, 연구자들이 자신의 질적연구에서 근거이론의 필요성과 정당성을 실효적으로 제시할 수 있도록 이론적 논거로서 근거이론의 개념, 대두배경, 및 방법론적 의의를 논의하였다. (2) 둘째, 근거이론을 사용한 연구가 실제 어떠한 연구 산출물을 제시할 수 있는지 혹은 어떠한 연구문제를 다룰 수 있는지를 ‘이론 및 연구문제의 유형’을 제시함으로써 검토하였다. (3) 셋째, 연구자가 근거이론의 분석기법인 질적코딩을 실제 수행하는 데에 있어서 겪기 쉬운 난점들을 논의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근거이론가들이 제안한 다양한 기법들을 예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qualitative researchers -particularly novice researchers- with practical guidelines of grounded theory so that they are better able to apply the method into actual case studies. My understanding is that while prevalent accounts as to grounded theory have been busy dealing with profound epistemological or theoretical issues, the basic how-to-guideline have been largely overlooked thus far. Therefore, those researchers who would use grounded theory as their qualitative research strategy were in loss with practical guideline. This study seeks to fill in the gap. Particular attention was paid to three aspects: (1) First, the basic concept, contextual background, and justification logics of grounded theory were addressed. (2) Second, the types and styles of theories that can be generated through grounded theoretical research procedure were introduced. (3) Third, the difficulties and their solutions in conducting qualitative coding we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