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谷城의 豆可漁箭과 馬天牧 그리고 도깨비 설화

        변동명 호남사학회 2019 역사학연구 Vol.75 No.-

        谷城의 豆可漁箭을 豆加所와 馬天牧 그리고 도깨비 설화 등과 연관시켜 검토하였다. 두가어전은 蟾津江의 중류에 돌로 쌓아 만든 어로시설이었다. 중앙의 관찬 자료에는 마천목이 이 어살을 조성한 것으로 전하는데, 후대에는 귀신 내지 도깨비 축조 설화가 더해져 한층 흥미를 돋운다. 이 글에서는 두가어전의 축조 경위라든지 운영 등을 그것이 위치한 고장의 지역사회와 연관시켜 검토하였다. 한국 전통시기의 어살을 역사적인 측면에서 접근해 이해하고자 시도하였거니와, 먼저 두가어전을 그것이 위치하던 豆加所 지역과의 관련 속에서 살핀 다음, 마천목이 어떤 과정을 거쳐 이 어살을 조성하고 또 운영하였는지 등을 따져보고, 마지막으로 그에 얽힌 도깨비 설화를 음미하는 것으로 끝을 맺었다. 두가어전은 『新增東國輿地勝覽』에서 처음 그 존재가 확인된다. 조선초에 마천목이 南原의 豆可川에 설치했다는 魚梁이 곧 그것이었다. 그런데 현재 두가어전의 유적은 全南 谷城郡 梧谷面과 古達面 사이의 섬진강에 위치한다. 두가어전의 존재를 전하는 최초 기록에 나오는 바 소재 하천과 그 어살이 실제 들어선 하천의 명호에 차이가 나거니와, 지리지에 등장하는 남원 두가천은 곧 두가 지역을 흐르는 하천을 지칭하며, 아울러 그처럼 두가 지역을 흐르는 하천인 섬진강에 설치된 어로시설이 곧 두가어전이었다. 두가어전이 들어선 곳은 고려시기의 豆加所 지역이었다. 섬진강의 어량을 관리 운영하는 ‘所’였거나, 아니더라도 섬진강에서의 어로활동과 무관치만은 않은 특수 행정구역이었다. 두가소는 고려후기 들어 점차 쇠퇴의 길을 걷다가, 조선초에 폐지되면서 남원고을로 편입되었다. 마천목의 두가어전은 그처럼 퇴락한 상태이던 옛 두가소의 어량을 계승해서 거의 신축 수준으로 보수한 것이거나, 혹은 반드시 그렇지는 않더라도 섬진강과 연관되었음이 분명한 두가소 주민의 강변에서의 오랜 삶의 경험을 바탕으로 조성된 것이었다. 마천목은 곡성 지역사회라든지 두가 지역민의 동의와 협조 아래 두가어전을 축조하였다. 대략 태종 9(1409)년에서 17년의 사이, 아마도 태종 12년 즈음이었다. 두가어전은 개설된 뒤 한동안 마천목 내지 그의 집안에서 私占해 운영하였다. 그렇지만 머잖아 곡성현의 관할 아래 들게 되었는데, 마침 옛 두가소 지역을 관내로 둔 남원의 관할권 주장이 받아들여짐에 따라 『신증동국여지승람』의 남원 두가천 조항에 이 어량이 수록되고, 더불어 남원부에서 두가어전을 수리해 운영한다는 사실이 기재되기에 이르렀다. 그러자 곡성에서는 그것이 본시 자기 고을의 관할이었음을 내세우며 두가어전을 돌려받고자 애를 썼다. 정유재란 뒤 곡성이 남원부로 폐합되면서 두가어전도 함께 넘어갔는데, 고을이 복원된 뒤에도 돌려받지 못했다는 주장이 나타나게 된 배경이었다. 두가어전의 도깨비 축조 설화가 퍼뜨려진 것은 그러한 속에서의 일이었다. 곡성에서는 임진왜란 이후 새삼 두가어전을 향한 관심이 높아져 갔다. 때로 상전 노릇을 하던 남원에 대한 경쟁 내지 견제의식의 발로였다. 두가어전을 실마리로 삼아 마천목의 존재를 부각시킴으로써, 그러한 공신을 배출한 곡성이야말로 왕조의 창업에 기여한 고장으로서, 남원에 못지않은 전통을 지닌 독자적 고을임을 강조하려는 게 저들의 본심이었다. 이른바 도깨비 설화는 두가어전의 관할을 두고 그처럼 ... This study examines DugaEojeon in Gokseong county in relation to DugaSo, Machenmok and tales of the goblins. According to the geography of Korea in the early Joseon dynasty(『Sinjeung Dongguk Yeoji Seungnam』), DugaEojeon was a fishery facility that was installed in Duga stream of Namwon by Macheonmok. However, the ruins of DugaEojeon are located in Seomjin River in Gokseong-gun, Jeonnam. In the record,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name of the river where "DogaEojeon" is located and the river where a fish weir is actually located. And Namwon's Dugacheon, which appears in the geography of Korea, refers to rivers flowing in the Duga area. Also, the fishing facilities installed on the Seomjin River, a river that flows through the Duga area, was called "DugaEojeon". It was the DugaSo area of ​​the Goryeo Dynasty, where DogaEjeon was placed. It was a "special place" that managed or operated fish traps of the Seomjin River, or the special administrative district that is not unrelated to fishing activities in the Seomjin River. DugaSo gradually declined in the late Goryeo period, but was abolished in early Joseon period and was incorporated as part of the Namwon county. DugaEojeon of Macheonmok succeeded to the old fish trap of DugaSo, which was in a state of dilapidation, and was repaired almost as good as new. Or it was built on the long experience of DugaSo residents living on the riverside who were closely related to the Seomjin River. Macheonmok built DugaEojeon with the help of the local community and Duga residents. It was about King Taejong 12 years (1402). After the opening of DugaEeojeon, Macheonmok or his family had operated it for a while. Then, it was under the jurisdiction of Gokseong-hyun, and the claim of jurisdiction in Namwon, which had the former DugaSo district within its jurisdiction, was accepted. Therefore, the fish trap was recorded in the Namwon's Dugacheon provision of 『Sinjeung Dongguk Yeoji Seungnam』, and the fact that Namwon county repaired and operated DugaEojeon was recorded as well. Then, Gokseong county tried to get back DugaEojeon, saying that it was originally under the jurisdiction of Gokseong. After the Japanese second invasion of 1597, Gokseong county was abolished and integrated into Namwon county, together with DugaEojeon, and there was the claim that it was not returned even after the county was restored. It was in such a thing that the story of DugaEojeon's goblin was spread. In the area of ​​Gokseong, there was a growing interest about DugaEojeon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1592. It was seen to keep in check Namwon that acted like its master sometimes. By using DugaEojeon to highlight the existence of Macheonmok, it was their real intention to emphasize that Gokseong is a unique county with a tradition that is as good as Namwon and it is the village that contributed to the founding of the dynasty and to produce meritorious retainers. The so-called "goblin story" first appeared in the Gokseong community in the process of raising the issue toward Namwon with the jurisdiction of DugaEojeon. Because of the spread of the goblin story, the perception of the connection between DugaEojeon or Macheonmok and Gokseong becomes more firmly recognized, therefore it would be easier to claim Gokseong's legitimacy to control DugaEojeon. Furthermore, as a county that produced Macheonmok who is a vassal of merit of the founding of the dynasty, its status is enhanced and ultimately, it would also be helpful to show off the fact that Gongseong is as unique as Namwon. This is the background of the goblin's story in DugaEojeon that first appeared and spread in the Goseong area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1592. The goblins tale was born in the background of conflict between Gokseong and Namwon and specifically, the competitive spirit of Gokseong community towards Namw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competitive spirit between the two neighboring counties just Gokseong and Namwon, the ...

      • KCI등재

        곡성지역 누정의 현황과 특징

        박정하 ( Park Chung-ha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7 역사학연구 Vol.67 No.-

        곡성군은 섬진강과 보성강이 흐르는 산자수명한 고장이다. 섬진강 유역에서는 조선조 중반기부터 누정들이 나타났는데, 현재까지 존재했거나 사라진 곡 성군의 누정들은 모두 174곳으로 조사되어 있다. 이러한 수치는 곡성군이 전라도 지역에서 많은 정자 분포를 보이는 지역 중에 하나이며 이는 전국적으로 보아도 매우 높은 수치이다. 곡성군의 누정은 섬진강을 경계로 곡성군과 접한 여타 시군의 누정수 보다 훨씬 많이 운영된 것으로 파악되고 있어 곡성군은 `누정의 집적지`라 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이처럼 수적으로 우세한 누정의 분포를 보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곡성지역 누정들은 많은 주목과 관심을 받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본고에서는 곡성군의 누정 중 1996년도까지 파악된 누정들에 관해 현재의 현황을 살펴보고, 권역별, 가문별, 시대별로 구분해 그 특징들을 파악해 보았다. 곡성지역의 누정들은 대부분 섬진강과 삼기천, 보성강 주변에 자리잡고 있으며 수변공간을 중심으로 번성하고 활발하게 운영되었다. 과거 곡성현과 옥과현은 사회경제적으로 주민들의 교류가 극히 적었으나 순자강(섬진강의 곡성지역 옛이름)변에 지어진 누정을 통해서 만큼은 선비문화의 지적 교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었다. 즉 순자강을 따라 줄띠를 이루듯 늘어선 누정을 통 해 하나의 문화벨트를 이루어 `순자강 문화권`을 형성하고 있다. 이 같은 순자 강 누정을 통한 선비적 교류는 어느 지역 못지않은 `누정문학`을 꽃피웠고, 국가와 지역을 이끌어가는 거대 담론을 형성, `임진왜란 최초의 의병거사의 산실`이 되어 국가와 지역사회의 좌표가 되었다. 외세에 맞서는 이러한 활약은 후세 선비들의 준거 틀을 이루어 병자호란, 정묘호란 그리고 일제에 항거하는 의병활동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곡성누정 운영의 특징 중 또 하나는 가문의 누정운영이다. 특히 삼기천 유역에 토반을 이룬 세력들이 가문을 중심으로 음풍농월의 공간으로서뿐만 아니라 누정을 조상과 가문의 위세를 상징하는 중심공간으로써, 가문과 지역의 인재를 키우고 배출했던 강학공간으로 활용되면서 지역의 인재를 길러내고 가문의 기풍과 자긍심을 조성한 핵심적 동력이 되었다. 그리고 근대기에 들어오면서 점차 누정문화를 향유할 수 있는 지식층이 그만큼 많이 늘어나면서 설립된 누정은 새로운 학풍을 따르고 이어받는 산실이 되었다. Gokseong-gun is the county of scenic beauty with Seomjin River and Boseong River. In Seomjin-river basin, there appeared pavilions(called Nujeong in Korean) in the middle of Choseon dynasty, and the number of Nujeongs that still exist or disappeared in Gokseong is reported as one hundred and seventy-four (174). The number suggests that Gokseong is one of the top rankings showing the most number of pavilions in Jeolla province, and also high in the nation-wide statistics. The number of Nujeongs operated in Gokseong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any other county or city adjacent to Gokseong bounded by Seomjin RIver, which means Gokseong is kind of `a cluster of Nujeong`. But, in spite of the high number and distribution, they located in Gokseong haven`t got much interest and attention still now. This study reviewed the state of Gokseong Nujeongs surveyed till 1996,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by classifying them by area, family, and the times. The Nujeongs in Gokseong are mostly located in the basin or around Seomjin River, Samgicheon Stream and Boseong River, and they flourished and were actively operated centering around the waterfront area. In the past, Gokseong-hyeon and Okgwa-hyeon had minimal socioeconomic exchanges among their resident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ctive intellectual interchange of scholar culture called Seonbi-Munhwa through Sunja River (old name of Seomjin River in Gokseong area), which shows that there formed a cultural belt. so called, `Sunja River Culture Belt“ along with Sunja River through Nujeong. Such exchange and interchange among scholars bloomed through Sunja River Nujeong, not less than any other area, which was called `Nujeong Literature`, and formed meta-discourse leading the area and the state, finally made the area as `the cradle of the first Righteous Army Movement during the period of Imjin War` to become a guideline for the local area, as well as the state. Such activities against foreign power became the frame of reference for following scholars and had big influence on the righteous army activities against foreign invasions such as Manchu`s invasions in 1627 and 1636 called Jeongmyohoran and Byeongjahoran respectively, and Japanese imperialism. Another characteristic of Gokseong Nujeong is their family-operated type. Especially, centering around the power families that settled down and resided in Samgicheon-Stream basin, Nujeong was used as the place not only to commune with nature, but also symbolize the power of the ancestors and family. And Nujeong was a key driving power to cultivate local elites and to build the family ethos and pride, being utilized as the education space to cultivate and grow family and local members of talent. Stepping into the modern times, the intellectual class who could enjoy Nujeong culture increased and accordingly the number of Nujeongs was increased as well. Nujeong played a role as a cradle to follow and succeed to new academic tradition.

      • KCI등재

        지역문화콘텐츠로서 곡성 단군전의 가치와 활용 방안

        박성혜 실천민속학회 2024 실천민속학연구 Vol.43 No.-

        이 글은 지역문화콘텐츠로서 곡성 단군전의 가치를 확인하고, 이를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곡성 단군전은 다른 단군전과 달리 그 유래가 명확하고 오래되었으며, 단군 표상에 더해 독립운동가 신태윤과 관련된 표상이 확장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이곳에서는 지역민들을 중심으로 일 년에 두 차례 의례가 진행된다. 곡성 단군전은 공간생산이론을 통해 보았을 때 지역민들이 주도적으로 재현의 공간을 구성하고 의례를 통한 공간의 실천을 수행하며, 산업화와 도시화의 흐름에 굴하지 않고 의절의 고장이라는 곡성의 정체성을 구현해내고 있다. 이는 곡성 단군전이 지역문화콘텐츠로서 충분한 가치가 있는 것을 보여준다. 이에 곡성 단군전의 활용 방안을 두 가지로 제시하였다. 먼저 곡성 단군전이 근대 독립운동의 맥락에서 형성되었다는 점을 강조하는 스토리텔링을 강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현재 단군전 옆에 있는 백당기념관을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이곳의 방문객들이 여기에 전시된 유물들을 볼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두 번째로 세대와 지역을 뛰어넘어 연계망을 구축할 것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 인근의 학교와 연계하여 근대 독립운동의 차원에서 신태윤이 세웠던 단군전이라는 스토리텔링을 교육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지역적으로 인근의 ‘섬진강기차마을’의 곡성역사와 연계하거나 보성의 홍암나철기념관과의 연계를 통해 ‘곡성의 근대’, ‘근대 호남의 독립운동’이라는 큰 틀 안에서 곡성 단군전의 가치와 의미를 주목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resent a plan to use Gokseong Dangunjeon as local cultural content. In Gokseong Dangunjeon, local people hold a ritual twice a year. The origin of the Gokseong Dangunjeon is clear, and representations related to independence activist Shin Tae-yoon are expanding. Viewed through The Theory of Space Production, Gokseong Dangunjeon Hall constitutes a ‘Spaces of representation’ led by local residents. And it carries out ‘Spatial practice’ through rituals. In addition, it embodies the identity of Gokseong, which is the hometown of righteousness, without being daunted by the flow of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This reveals the possibility that the Gokseong Dangunjeon can be used as a local cultural content. Two measures were proposed to expand the Gokseong Dangunjeon as a local cultural content. First of all, it should be emphasized that the Gokseong Dangunjeon Hall was formed in the context of the modern independence movement.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atic management system for the Baekdang Memorial Hall next to the current Dangunjeon. Seco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network beyond generations and regions. Specifically, in connection with nearby schools, the storytelling of Dangunjeon, which was established by Shin Tae-yoon in the modern independence movement, should be educat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locally link with the Gokseong Station of the nearby Seomjingang Train Village or with the Hongam Nacheol Memorial Hall in Boseong. Through this, it was proposed to pay attention to the value and meaning of Gokseong Dangunjeon within the large framework of ‘the modern era of Gokseong’ and ‘the modern independence movement of Honam’.

      • KCI등재후보

        곡성군 누정 제영시와 고목판 현황

        임준성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12 南道文化硏究 Vol.0 No.23

        Of the pavilion this paper Gokseong-County recorded history, literature data about the status of my English poems and old woodblock look for. Where is the pavilion that exist in the current Gokseong-County 32 locations. General walks the historical literature records where the 106 locations degree high is showing. This nationally, is higher. Gokseong the pavilion's failure to call deserves. Pavilion material of literature exists in the record that Gokseong-County pavilion status at the time of this paper, with my English poetry literary characteristics examine. Beautiful nature and arithmetic Gokseong-County said that the remaining few works. Thus, future work to deal with bandits to accumulated that could be found. In addition, the pavilion was built before 1945, 14 locations of the Survey. Status of old woodcut by summing all points in 199 tablets, favor though enough to have a vast amount of it was confirmed that the results However, has been neglected by governments and some clan. Pavilion and high Gokseong-County old woodblock through cultural content as thus he was able to determine the possibility. Representative of maintenance is Gokseong-County cultural attractions can be positioned within the earliest possible time to be expected.

      • KCI등재

        여순사건 경험담의 구술양상과 기억의 역사로서의 의미 - 전남 곡성군을 중심으로 -

        서해숙 ( Seo Hae-sug ) 남도민속학회 2020 남도민속연구 Vol.41 No.-

        본 연구는 역사적 시각에서 여순사건 무렵 곡성군 일대의 시대적 상황과 분위기를 살펴보고, 그 당시 곡성군에서 벌어진 상황을 기억하거나 경험했던 구술자를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실시하여 파악한 자료를 주제별로 살펴서 구술 속에 담긴 의미를 해석하였으며, 이에 드러난 구술집단의 인식과 기억의 역사로서 의미를 분석하였다. 1948년 10월 19일 여수 주둔 국방경비대 제14연대 소속 군인들의 반란으로 시작된 여순사건 당시 곡성군의 희생규모는 여순사건의 주된 전투 지역이었던 여수와 순천에 비하면 적은 숫자이고, 반란군 점령지역 가운데에서도 적은 숫자이다. 그러나 여순사건 이후 지리산으로 입산한 반란군이 인근 지역인 백아산, 백운산, 조계산 등으로 옮겨 다니면서 곡성군을 지나갔다. 이러한 과정에서 반란군을 추적한 진압군들은 마을을 지나갈 때마다 반란군에게 도움을 준 주민들을 부역자로 간주하고 사살, 폭행, 감금 등을 무차별적으로 자행하였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을 겪은 곡성군 구술자들이 들려준 여순사건 경험담은 저마다의 기억을 표출한 것이기에 다양할 수밖에 없으나, 크게 여순사건에 대한 구술과 기억은 ‘군경의 만행, 반란군의 약탈 그리고 그로 인해 민간인들이 겪은 고난과 죽음’에 대한 기억으로 점철되었다. 이 구술의 공통점은 모두가 구술자 주변에 일어난 일이고 생과 사의 갈림길에 고통 받은 심경이 사무치기에 시간이 흐른 현재에도 생생하게 구술하고 있다. 그들이 들려준 수많은 이야기는 모두가 그 당시 주민들이 겪은 위기, 고난, 슬픔, 죽음을 압축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결국 이런 기억은 특정 개인의 기억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개개인이 모여 집단적으로 기억하고 재현되고 있으므로 ‘집단기억’으로 확장된다. 그리하여 그 기억은 더욱 견고해지면서 그들만의 정서와 인식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험담이 구술집단에게 ‘기억의 역사’로서 의미를 충분히 갖추고 있고, 공동체적 기억의 산물이라 할 수 있다. Based on the data collected from the experiences of the Yeosun incident in Gokseong-gun, this study examined the situation and atmosphere of the times in Gokseong-gun at the time of the ‘Yeosu-Suncheon Rebellion’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By examining the meaning contained in the oral passage, the meaning of the oral group's recognition and memory was examined. At the time of the Yeosu-Suncheon Rebellion, which began on October 19, 1948 as a revolt by soldiers of the 14th Regiment of the National Defense Guard stationed in Yeosu, the size of the victims of Gokseong was smaller than that of Yeosu and Suncheon, which were the main battle areas of the Yeosu-Suncheon Rebellion, and even among the rebel-occupied areas. However, after the Yeosu-Suncheon Rebellion, the rebels who entered Jirisan, moved to nearby areas such as Baekasan, Baegunsan, and Jogyesan, passing Gokseong-gun. In this process, the rebels who followed the rebels regarded the residents who helped the rebels as assistant workers whenever they passed through the village, and committed killing, assault, and imprisonment indiscriminately. The dictations and memories of the Yeosu-Suncheon Rebellion told by the Gokseong-gun dictators who went through such a period of time were filled with memories of “the brutality of the military and police, the looting of the rebels, and the suffering and death suffered by the civilians.” The commonality of this dictation is that everyone has happened around the dictator, and even now, as time has elapsed due to the pain of suffering at the crossroads of life and death, it is being dictated vividly. The numerous stories they have told are all condensed expressions of the crisis, suffering, sorrow, and death experienced by the residents at that time. The dictations and memories of the Yeosu-Suncheon Rebellion told by the Gokseong-gun dictators who went through this era were marked by memories of “the brutality of the military and police, the looting of the rebels, and the suffering and death suffered by civilians. The commonality of this dictation is that everyone has happened around the dictator, and even now, as time has elapsed due to the pain of suffering at the crossroads of life and death, it is being dictated vividly. The numerous stories they have told are all condensed expressions of the crisis, suffering, sorrow, and death experienced by the residents at that time. Therefore, these experiences have sufficient meaning as a “memory history” for the oral group, and can be said to be the product of community memory.

      • KCI등재후보

        설화기반 축제 캐릭터의 스토리텔링과 노스탤지어 담론 -전남의 장성 < 홍길동 > 및 곡성 < 심청 >을 중심으로-

        이윤선 ( Yoon-sun Lee ) 남도민속학회 2007 남도민속연구 Vol.15 No.-

        전남 장성 < 홍길동축제 >의 홍길동, 전남 곡성 < 심청축제 >의 심청 캐릭터가 매개하는 축제담론에 대해서 살펴본 글이다. 축제 캐릭터가 문화관광산업의 블루오션이라는 맥락에서 접근하는 것에 반해, 그 이면에 은닉되거나 혹은 부분적으로 노출되는 성격에 대해 주목해보았다. 두 개의 캐릭터가 함유하고 있는 가상공간은 매우 흥미롭다. 율도국과 용궁이라는 가상의 세계가 향유공간으로 지목되었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향유자들의 글로컬한 공간의식 혹은 공간지향성을 엿볼 수 있었다. 특히 연고논쟁의 와중에서 지역의 정체성을 획득하려는 의지가 천명되고 있고, 이는 빈약한 연고에 대한 대응논리라는 점을 살펴볼 수 있었다. 지역 간의 캐릭터 연고권 논쟁이 촉발되는 것은, 소재 헌팅에서 각 지자체가 캐릭터뿐 아니라 로케이션 등의 장소에 대한 독점적 점유권을 행사하려고 하기 때문이다. 나아가 역사적 인물이나 설화 기반의 인물들을 축제뿐만 아니라 지역의 메인 캐릭터로 내세우는 이유는 이 캐릭터들을 통해 그러한 자신들의 욕망을 충족시킬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결국, 연고에 상관없이 국가적 캐릭터들을 선점하여 자신들의 이야기로 전환시키는 전략을 구사하게 되는데, 이는 대개 스토리텔링의 경향으로 나타나곤 한다. 이처럼 동일한 설화가 지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것은 설화가 기본적으로 담화 주체들의 인식 방향에 의해 그 성격을 달리하기 때문이다. 이때의 홍길동이나 심청의 스토리는 참가자의 선택에 의해 취사되는 매개물일 뿐이며, 수요자의 선택 용도에 따라 차용된 도구로 기능할 따름이다. 연고논쟁과는 별개로, 캐릭터를 통해 이들 전체를 관통하여 향유하고자 하는 욕망의 동시성이 존재한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장성군과 곡성군이 유사 연구결과를 토대로 캐릭터를 선점했으며, 이를 대외적으로 표방하기 위한 방편으로 축제를 개최하고 있는 셈이다. 달리 말하면 강릉시와 옹진군 이하 연고논쟁에 관련된 다른 지역은 캐릭터를 통해 매개되는 욕망의 동시성을 가지고 있으되, 공식적으로 그것을 표출시킬 ‘판’을 놓쳐버렸고, 캐릭터를 향유하거나 소비하는 수요자들은 적어도 축제라는 공식적인 ‘판’을 위해서는 장성과 곡성에서 벌여놓은 ‘판’에 참여하는 방법을 택하도록 강제된다고 볼 수 있다. 장성 홍길동축제와 곡성 심청축제에서 국가적 캐릭터인 홍길동과 심청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매개했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답을 얻지 못했다. 부분적인 측면에서는 지역연고에 너무 사로잡혀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정도를 짚어봤을 뿐이다. 결국 지역 연고성이 없는 대신 국가적 브랜드로 활용할 수 있는 대외적 인지도의 캐릭터를 선정하여 지역적, 그리고 오프라인뿐만이 아닌 영상콘텐츠 등의 영역을 확장해 가려는 의도가 드러남을 살펴보았다. 곡성군은 원홍장설화를 매개로 하여 심청을 중국 주산군도로 확장시키기도 했다. 홍길동 또한 장성군을 통해 애니메이션이라는 또 하나의 영상공간으로 확장되고 있는 중이다. 이것이 진위논쟁과 연고논쟁을 촉발하는 등 상당한 문제점을 안고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어쨌든 그 기저에 흐르는 노스탤지어는 장성과 곡성을 통해서 글로벌세계로-아마도 동아시아적 공간이 대상이 되겠지만-확장해 나간다는 공간 확장논리가 부분적으로 드러나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a festival discourses what it mediates to the characters of Hong Gil Dong in ‘Hong Gil Dong Festival’ of Jangseong and Sim Cheong in ‘Sim Cheong Festival’ of Gokseong.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hidden or partially exposed personalities of festival characters in opposition that most of festival characters are approached in a context called “Blue Ocean of Industry of Culture and Tourism.” It interests to a virtual space what two characters include. This is because the virtual space called Yuldo-guk and Yong-gung are appointed as an enjoyable space. Through this factor, The study can find out enjoyer’s glocal space-consciousness or space-directivity. Especially in the process of the controversy of character’s birth places, local people have a will to acquire a local identity, and this originates from a countermeasure logic to a poor preemptive rights. This controversy of character’s preemptive rights among local governments starts from that each local government tries to exercise a possessory right about the places of their locations as well as characters. Furthermore, the reason why the local governments put up historical or tale-based characters as local main characters is that the governments think to be able to be satisfied their desire with the characters. As a result, many local governments take a strategy to preoccupy national characters regardless of their connections. This usually used to be expressed in the tendency of a storytelling. Like this, the same narrations differ from each regional group. This is because the feature of narrations is changed by speaker’s cognitive direction. At this time, a story about Hong Gil Dong and Sim Cheong is just a medium selected by participants, and functions as a borrowed implement.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re exists synchronous desire to try to possess all things through the characters in another matters of the controversy of preemptive rights. However, Jangseong county and Gokseong county preoccupied the characters based on the results of similar researches, and held the festival as an expediency to profess this to the outsides. In other words, Gangneung city, Ongjin county, and other local governments related with the controversy of preemptive rights have the synchronous desire to be mediated by characters, but miss the time and the field to express them. Conclusionally, the user to enjoy or consume the characters have to take part in the field of Jangseong and Gokseong in order to enjoy an official field, festival. The study can not find out the answer about how Hong Gil Dong Festival in Jangseong and Sim Cheong Festival in Gokseong effectively mediate the national characters, Hong Gil Dong and Sim Cheong. The study treats the problem only in a partial aspect which the characters may be confined to a local connection. The study can figure out the intention of local governments that tries to choose a high recognized character to utilize them as a national brand as well as a local one and then tries to enlarge its field to off-line and visual contents. For examples, Gokseong county enlarges Sim Cheong to Zhousan archipelago by mediating the narration of Wonhongjang and Jangseong county makes Hong Gil Dong as an animation, another visual space. It is true that these phenomenons have many problems to drive the controversy of authenticity or preemptive rights, but it can be said that the nostalgia flowing into its basis shows a space enlargement logicality to enlarge the nostalgia to the world, especially East Asia through Jangseong and Gokseong.

      • KCI등재

        서사문학 인물을 이용한 곡성의 상징성과 정체성 형성과정 고찰

        표인주(Pyo In-Ju) 한국민속학회 2006 韓國民俗學 Vol.44 No.1

        곡성심청축제를 통해 지역의 상징성과 정체성이 어떤 과정을 통해서 재생산되고 형성되는지를 검토하는 것이 본고의 연구목적이다. 관음사연기설화와 심청전의 구조를 비교해 볼 때 ⓛ결핍→②위기→③해결시도→④해결이라는 구조적 원리를 토대로 모두 효를 주제로 전개되고 있다는 점에서 유사성이 크지만, 관음사연기설화에서는 원홍장이 아버지에 의해 팔려간 것이고, 심청전에서는 심청이 자청해서 팔려간 것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리고 관음사연기설화가 심청전의 배경설화이고, 심청전의 공간적 배경이 곡성이라는 점에서 관음사연기설화의 관계성이 강하지만, 관음사연기설화와 심청전의 등장인물이 서로 다르다는 점과 관음사연기설화와 심청전의 주인공의 이동로를 확인할 수 있는 실증적인 자료가 충분치 않다는 점에서 서로 관계성을 규정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1997년부터 관음사연기설화와 심청전의 관계성에 관한 관심이 증폭되었고, 이것을 토대로 곡성에서는 국민적 효사상을 실천하기 위해 곡성의 심청사업이 추진되었다. 2000년 2월 26일에『효녀심청의 역사적·국문학적 고증』이라는 용역보고서가 간행되고, 2000년 4월 1일 KBS 1TV 역사스페셜〈역사추적, 심청의 바닷길〉이 방송되면서 심청의 곡성 지역인물화가 가속화되기 시작했다. 특히 곡성심청축제는 심청을 곡성의 지역인물화를 통해 지역 정체성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곡성심청축제가 심청의 고향이라고 하는 지역 이미지를 외부에 알리기 위해 개최되었는데, 이것이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고 지역주민들의 내적 욕구를 충족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심청 이미지의 상품화는 심청축제에서 가속화되었다. 축제를 통해 심청의 효행을 재창조하고 현재적으로 활용하는 것은 심청을 곡성의 상징적인 인물로 이미지화하여 상품화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곡성에서는 심청이 곡성의 인물이라는 점을 강조하여 심청을 지역인물화시키고 있는데, 이것은 궁극적으로 지역정체성을 재구성하는 것으로 발전되었다. 즉 곡성을 대표할 수 있는 효의 상징인 심청이 지역주민들에게 내재화되고 미래의 가치로서 효를 재해석함으로써 지역 정체성이 재구성된 것이다. 지역정체성을 형성하기 위해 특정 공간의 배치 혹은 새로운 상징물을 건립하였는데, 그것은 심청마을 조성, 심청문화센터 건립, 심청공원 조성 등으로 이어졌다. 지역정체성 구축의 재생산은 전통의 창출로 이어진다. 곡성은 관음사연기설화를 소재로 심청축제를 개최하면서 심청의 지역인물화를 통해 지역의 상징적인 이미지를 구축하고, 지역의 정체성을 재생산해가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ake into consideration how the image and identity of Gokseong has been reproduced by the Gokseong Simcheong Festival.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a tale of Yeongi at Gwaneum Temple and a tale of Simcheong is found in terms of their themes, but a comparative text analysis does not show their meaningful relatedness, which is due to the lack of empirical data. However, the increasing interest in their presumed relatedness since 1997 has spurred to make Simcheong a character of Gokseong through the Simcheong Festival. In so doing, the image of Simcheong becomes an important marketing item and a tool of restructuring Gokseong's local identity.

      • KCI등재

        일제 강점기 전라남도 종방 마을의 양잠 생산에 관한 연구: 곡성군, 담양군 종방 마을을 중심으로

        최승연 ( Seung Yeun Choi ) 대한가정학회 2018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56 No.4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Jeongbang-village silk culture Jeollanam-do Province during Japanese Colonial Rule with a focus in on Gokseong-gun & Damyang-gun Jeongbang-villag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fter Japanese occupation, it changed from a traditional silkworm species, the Joseon Silkworms and the mulberry tree to an improved Japanese species. Japan established a silk spinning mill called Jongyeon Textile factory in Gwangju and Jeongbang Village was formed in poor rural areas. Second, the way of village management consisted of buying a large number of land for mulberry plans and creating mulberry fields as a cheap way to utilize the labor force for women and men in rural areas. Third, since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mulberry fields in Jeongbang villages which the Japanese left, were sold at a cheap price to Koreans. After the Korean War, the Korean government’s efforts to modernize the silkworm industry resulted in a continuous plan to increase the number of silkworms. The impact of government policies has also increased the production of silkworms in these areas. However, since the early 1980s, Korean companies have been affected by Japanese economic policies and dumping by China that has resulted in in a sharp decline in their production. In the case of Gokseong-gun and Damyang, the production of silk products was halted and switched to other crops in the early 1990s when the farming industry began to decline.

      • KCI등재

        초고령사회 지역 노인여가문화의 지리적 특성 연구 ― 전라남도를 중심으로 ―

        박종천 ( Park¸ Jong-chun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20 호남학 Vol.0 No.68

        본 연구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초고령사회 지역인 전라남도 동부지역 내곡성군, 구례군, 고흥군, 보성군을 연구지역으로 노인 여가시설의 현황과 여가 프로그램 참여비율 및 운영 실태를 지리적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각 지역별 노인여가복지시설의 유형과 여가프로그램의 유형과 참여정도는 서로 상이하였다. 연구지역에서 운영하는 32개 여가프로그램을 건강교실, IT교육, 교육교실, 음악교실, 취미교실로 5개로 유형화하여 확인하였다. 전체 참여율이 높은 여가프로그램은 취미교실, 건강교실, 교육교실, 음악교실, IT교육 순으로 나타났다. 고흥군은 건강교실, 보성군은 교육교실, 곡성군은 취미교실, 구례군은 건강교실과 취미교실을 중심으로 여가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지역적 차이를 보였다. 이는 지역의 특성과 참여자의 요구와 더불어 관련 교육기자재의 보유 여부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곡성군은 종합사회복지관 같은 시설이 존재하지 않아 IT교육이 어려웠고, 보성군은 노인들의 단체 참여형태의 평생대학원과 행복교실을 운영하는 특징을 보였다. 지역의 노인복지관이나 종합사회복지관의 유무에 따라 여가프로그램의 양적 질적 차이가 현저하게 나타났으며, 여가복지시설의 운영프로그램 참여요인으로는 교통 접근성이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와 지방정부는 여가복지시설에서 운영되는 노인여가 프로그램을 정부가 개발하여 지역에 보급하고, 지역 특성에 맞는 여가프로그램을 추가하여 지리적으로 편차를 보이는 노인의 여가 프로그램에 누구나 참여하여 소외받는 노인이 없는 여가활동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제도적 정비와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leisu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the participation rate of leisure programs, and the actual status of operation over Gokseong-gun, Gurye-gun, Goheung-gun, and Boseong-gun in the eastern region of Jeollanam-do, which is a representative super-aged society in Korea. The result shows difference in the type of leisure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and the type and the degree of participation of leisure program depending on the regions. The 32 leisure programs operated in the research area could be categorized into 5 types: health class, IT education, education class, music class, and hobby class. Leisure program with the highest participation rate in all regions is hobby class, and health class, education class, music class, and IT education follows. The highest participating leisure program in each region, which is health class in Goheung-gun, education class in Boseong-gun, hobby class in Gokseong-gun, and health class and hobby class in Gurye-gun respectively. This is affected by retention of educational tools and material as well as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participants. In particular, Gokseong-gun does not have facilities such as a general social welfare center, having a difficulty to proceed IT education, and Boseong-gun is characterized by operating lifelong graduate schools and happiness classes in the form of group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a local elderly welfare center or a general social welfare center, the difference of leisure programs is remarkable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in both, and the transportation access significantly affects on the participation of the program operated in leisure welfare facilities. This result suggest that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should develop and distribute the leisure program for the elderly operated in leisure welfare facilities and add appropriate leisure program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s, which encourages whoever to participate leisure program without exclusion by supporting institutional maintenance and policy support.

      • 곡성군 석곡천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변동

        장미라(Mira Jang),한승조(SeungJo Han),최원준(Won Jun Choi),이성훈(Seoung Hoon Lee),한경호(Kyeong Ho Han) 전남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2021 수산과학연구소논문집 Vol.30 No.1

        Seasonal varition in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collected by Seokgok stream in Gokseong-gun, Jeollanam-do, Korea, from March to October 2020. The dominant orders were cypriniformes including 35 species, 2 families followed by siluriformes including 5 species, 3 families and perciformes including 4 species, 3 families and beloniformes including 1 species, 1 family. Among the appeared 45 species, Zacco platypus indicus was the dominant species by 16.2%, followed by Zacco temminckii (11.1%), and Acheilognathus lanceolata intermedia (8.8%). The diversity was the highest in Spring (3.2), while the lowest in Autumn (3.0). The evenness was the highest in Spring (0.9), while the lowest in Summer (0.8). The dominance was the highest in Autumn (29.7%), while the lowest in Spring (22.8%). The richness wast the highest Spring (6.2), while the lowest in Autumn (5.6). The similarity of community structure was 85.3% between Summer and Autum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