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리와 투명 디스플레이를 적용한 공간디자인 BM(Business Model)에 관한 연구

        이수림 ( Surim Jeissca Lee ),이종세 ( Jongse Yi ),김주연 ( Jooyun Kim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5

        (연구배경 및 목적) 유리는 건축, 인테리어, 그리고 생활소품으로 흔하게 쓰이는 소재이다. 유리는 과거에 가공이 어렵고 빛을 투과시키는 소재적 특성 때문에 종교건물에 상징적인 의미로 쓰였다. 산업시대에 들어가면서 여러 가공법을 거치게 되면서 유리의 품질이 점차 좋아지게 되었고, 그 결과 유리의 소요는 늘어갔다. 외부로부터 빛을 통과시키면서, 동시에 차단시키는 특성으로 인해 건축에 기능적, 장식적인 요소로 많이 쓰였다. 유리의 품질이 좋아지면서 유리가 건축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창문에서 건물의 마감재로 범위가 넓어졌다. 흔하게 사용되고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 유리를 더 특별하게 써 볼 수는 없을까 라는 의문을 가지게 되었고, 이 질문을 토대로 본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흔한 재료를 흔하지 않게 사용하는 것, 유리에 새로운 가능을 추가하여 활용도를 높이고 새로운 경험 가치를 창출해 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논문에서는 유리 소재를 특색 있게 사용한 건축물들과 투명 디스플레이의 기술동향을 조사하여 앞으로 나아갈 디자인 방향과 BM의 방향을 예측해보자 한다. 디스플레이의 역사, 현재의 기술, 기술동향을 특허 검색을 통해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자료를 토대로 디스플레이의 발전 가능성과 나아갈 방향을 새로운 BM을 설계하고자 한다. 유리에 관해서는 유리의 종류와 건축유리, 그리고 유리를 특색 있게 사용한 건축물에 관한 사례분석을 하였다. 이 두 가지 분야의 선행조사를 바탕으로, SWOT 분석틀을 이용해서 투명디스플레이 기술과 유리가 만났을 때 기대할 수 있는 효과, 투명 디스플레이의 효과적인 적용 방법제시와, 구체적으로 구축할 수 있는 투명디스플레이 BM제시를 하고자 한다. (결과) 유리는 빛이 투과되는 각도에 따라 다양한 이미지로 표현이 가능하다. 유리로 구현된 공간은 주변을 투영한 이미지를 보여주기 때문에 색다른 공간감과 장엄함 또한 느낄 수 있다. 브랜드의 이미지를 반영한 건축 외벽과 내부 구조물 등, 유리 공간자체로 브랜드를 대신하고 이를 통해 특정 브랜드가 인식 되어질 수 있다. 또한 유리 공간이 사람들의 시각적 호기심을 자극함으로써 사람들의 시선과 관심을 머무르게 하는 효과를 기대 수 있다. (결론) 투명 디스플레이는 사람들의 시선을 끌기 충분한 요소이고 넒은 면적에 쓰이게 될 경우 사람들의 시각과 관심을 충분히 확보 할 수 있다. 또한 그에 따른 광고 효과와 행동을 유발하게 하는 경험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고정돼 있는 유리건물과 유리면에 새로운 형태와 방식의 디스플레이를 구현, 투명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공간을 건축물로 한정 짓지 않고, 팝업스토어나 움직이는 스토어 즉, 트레일러와 같은 형태로 다양한 방식으로 공간에 적용을 하게 되면, 이로 인한 광고효과와 파급력 또한 클 것으로 예상한다. 이러한 방식의 투명 디스플레이는 공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여러 분야에서 활용이 가능한 분야라고 기대된다. 이를 토대로 새로운 방식의 디스플레이 방식과 기존의 투명 디스플레이가 가지는 단점을 보완하고, 더 나은 방향의 디자인 방향과 적용 방식을 제안해보고자 한다. (Research Background) Glass is a commonly used material in architecture, decoration, and life props. Glass used to have a symbolic meaning in the past due to its lack of processing and material characteristics that transmit light. Entering to the industrial age, glass production increased, and glass began to be manufactured in factories, improving its quality. As glass transmits and blocks light at the same time, it has been used as both functional and decorative elements in architecture. As the quality of glass got better, the portion of windows on walls became wider, and called a “glass curtain wall.” The question is whether glass is being used in a special way, and this question started this research. Commonly found materials but use as different ways, commonly used glass, add new function and enhance of utilization for create new experience values. (Method) In this study, architectural projects that have used glass in unique ways and the technical trend of transparent displays were researched to propose a new design direction and BM. History of displays, current technologies, technological trends through patents were researched, and based on the data collected and the trend direction of the transparent displays, design and BM proposals were made. A case analysis of glass, architectural glass, and structures that feature glass were conducted. Based on these fields, the SWOT analysis framework aimed to analyze the effect of glass in transparent displays, and was used to propose effective applications of transparent displays and specific BM. (Result) Glass can be expressed in various images according to the angle of light transmitted. Space designed by glass can also project images that reflect the surrounding areas, thereby creating a sense of awe and grandeur. The exterior walls and internal structures, and the glass space itself, can be the image of a brand. Also, the effects of glass space can tempt people’s visual curiosity and hold their gaze and interest. (Conclusion) Transparent displays ensure people's eyes and attention are secure. It can also create experience values that lead to the promotion of advertising and behavior. Given new forms and styles of transparent displays of spaces, such as a pop-up store or a moving store or shop, the effects of advertising effectiveness and forces are also expected to be enormous. These types of transparent displays are expected to be used in many areas, regardless of space and location. Based on this study, we propose to complement the new ways of transparent display and to suggest better design direction and applications.

      • 고대 琉璃玉 제작기술에 대한 검토

        金周弘 ( Kim Ju-hong ) 국립중앙박물관 2011 고고학지 Vol.17 No.-

        본 연구는 고대 琉璃玉이 출현하는 기원전 2세기부터 기원후 6세기까지 연구의 시간적 범위를 설정하고, 고대 琉璃玉의 제작기술에 대한 성형·가공이라는 관점에서 유물의 관찰을 통하여 유리 착색과 성형기법을 기술하였다. 고대 琉璃玉 제작과 관련된 유리공방 및 유리거푸집, 도가니가 출토된 유적을 중심으로 전국을 4대유역권으로 구분하여 유적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또한 실험고고학적 측면에서 지역별 琉璃玉이 출토된 유적을 재검토하여 원료의 산지 추정 및 유리의 화학적 조성을 체계적으로 검토하여 보완하는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해 주고 있다. 고대 유리의 착색 물질은 코발트(Co), 구리(Cu), 철(Fe), 망간(Mn) 등으로 확인되며, 유리의 색상은 전이금속의 양에 따라 좌우되지만 주성분의 조성과 산소의 공급, 제작조건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나타나는 琉璃玉에 있어 중심이 되는 색상은 청색계이다. 그러나 삼국시대 琉璃玉의 특징은 청색 외에 적색이나 주황 계통의 착색이 등장한다는 점이다. 당시에 보석과 같은 색을 만들기 위하여 금(노란색), 호박과 마노(적갈색 또는 황색), 비취(녹색), 수정(흰색), 경옥과 연옥(청색 외)으로 착색기법이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유리 제작기술은 고온의 열관리 기술이 필요한 철기시대 제철기술과 함께 출현하는데 철기와 함께 겸업체제 유지 가능성을 확인 하였다. 고대 琉璃玉의 제작기술의 성격 고찰을 위해 시기별 특징 및 고대 유리가 가지는 고고학적 의미를 정리하고, 고대 琉璃玉을 통해 본 대외교류 관계의 문화적 유입경로와 생산 및 소비에 관한 당시 고대문화의 성격을 엿볼 수 있었다. 이외 고대 유리의 성격을 명확히 고찰하기 위해서는 琉璃玉이 출토된 전체 유적을 중심으로 제작 형태와 성분 분석, 유리공예 측면의 비교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paper covers the period when glass beads were used in Korea, i.e., from the 2nd century BC to the 6th century AD, and focuses on the coloring and molding technology of glass bead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elting and processing of glas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levant artifacts were studied by dividing the sites from which glass workshops, glass molds, and crucibles have been unearthed into four areas. The review, made from an experimental archaeology perspective of the archaeological sites where glass beads have been unearthed, helped assumption to the production site of their raw materials and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glass objects. The main minerals used to color glass objects in ancient times were cobalt (Co), copper (Cu), iron (Fe), and manganese (Mn). The color of glass is determined by the volume of transition metal used. The composition of the main ingredients, the conditions for the supply of oxygen, and the production environment were also factors that determined the color of glass. Blue was the main color of the glass beads found in Korea. However, red or orange-colored glass beads were also made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It is assumed that gold (yellow), amber and agate (reddish brown or yellow), jade (green), crystal (white), jadeite and nephrite (blue) were used to obtain gem-like colors. Glass production techniques appeared simultaneously with the introduction of iron-production technology, which requires a technique for melting iron ore at an extremely high temperature, during the Iron Age. This study examined the archaeological context of glass and the features of glass objects made in different periods, with the focus on the techniques of producing glass beads in ancient times. This study also examined how an external culture was introduced into Korea, with glass beads and the ways in which they were produced and consumed in Korea as its basis. My contention is that a review should also be conducted of the forms of production (along with an analysis of the components of glass objects) and glass art in connection with the sites where the majority of glass beads have been unearthed, so as to elucidate the archaeological context of glass objects more clearly.

      • KCI등재후보

        유리 소재를 적용한 환영적 공간 특성 연구

        고초 ( Chao Gao ),이재규 ( Jae Kyu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5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0 No.5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인들은 현실 세계와 환영 속에서 동시에 살고 있으며 ``진짜``와 ``가짜``를 구별하는 것이 모호해지고 있다. 우리가 살고 있는 현실은 거대한 환영 세계라고도 말할 수 있다. 유리 소재는 환영을 일으키는 중요한 한 근원이고 생활 속에서 건축물의 창문이나 외피 등 많은 영역에서 환영적 이미지를 만들어 낸다. 유리는 빛과 상호작용하여 환영적 표현을 나타나며, 생활 용품과 가구뿐만 아니라 건축에도 사용되는 소재이다. 현실공간과 가상공간이 중첩되는 현시대에 유리소재에 의한 환영적 공간의 연구에 의한 물리적공간의 재해석에 대한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공간디자인에서 유리 소재와 관련하여, 환영과 시지각의 관계를 살펴보면 대부분 유리가 갖는 본질적 특성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사람들은 유리의 그 특성에 따라 환영을 체험하며 시각적으로 사람들의 지각과 인지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중요한 디자인 요소가 된다. 본 연구는 유리의 환영적 특성과 시지각적 효과에 대해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유리소재로 적용한 공간의 환영적 표현 특성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범위 및 방법) 본 논문은 먼저 이론적 고찰을 통해 유리의 역사와 물질적, 건축적 특성과 환영에 대하여 두 관계영역을 연구 하였으며,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환영의 개념과 유형을 분석하여, 유리 소재를 적용한 환영적 공간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틀을 도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유리 소재에 관한 선행연구 중 연구내용에 자주 등장한 사례와 환영적 특성을 표현하는 대상을 선별하여 분석 대상으로 정하였다. 그리고 유리를 사용한 모더니즘 실험 이후 재방향 설정시기인 1990년대 이후의 대표적 유리 건축물과 공간을 사례로 선정하여 환영적 공간 특성에 대해 분석하여 그 결과와 결론을 도출하였다. (결과) 유리 소재를 적용한 환영적 공간 특성에 관한 사례분석을 통해 형태적 왜곡성과 모호성, 공간적 확장성, 그리고 표현적인 재현성 등의 공간 특성을 파악 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환영의 특성을 이해함으로써 유리 소재를 적용한 공간이 형태적, 공감각적 표현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특성을 공간에 적용하였을 때 왜곡감, 모호감, 확장감, 재현의 표현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로써 환영적 특성을 가진 유리소재를 활용한 공간의 다양한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으며, 공간 고유의 특징이나 표현의도들을 통해 흥미로운 공간으로의 가능성을 열 수 있다. 환영을 통한 시지각적 형태의 변형과 모호, 공간적 확장, 그리고 표현적 재현에 자극을 주는 공간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Modern people are living in the real and illusionary world at the same time; thus, it is becoming difficult to distinguish "real" from "fake." The reality that we are living in is also illusionary. Glass material is an important source of manifesting illusion, and glass creates illusionary images in the form of window or building fa?ades. Glass embodies illusionary expressions after interacting with light. In the current era in which reality and virtual space overlap, there is a growing need for the reinterpretation of physical space by studying the illusion of space with glass materials. Glass is a material that is used not only for items used daily, including furniture, but also for buildings. In spatial design, the relationship between illusion and visual perception shows natural characteristics that most glass materials have. Moreover, illusions are possible because of the traits of glass- an important design element that visually influences people``s perceptions and recognition. This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illusion attributed to glass and its effects on visual perception.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characteristics of the illusion of space with glass materials. (Research scope and method) In this study, two related domains-the history of glass and its physical and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illusion according to a theoretical study-were examined. An analysis regarding the concept and type of illusion based on previous research resulted in the creation of a framework for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illusion in a space with glass material. Based on this analysis, commonly used cases and objects that illustrate the illusional traits in objects were selected for analysis. Additionally, symbolic glass buildings and spaces of the post-1990s were designated for a case study analysis regarding characteristics of the illusion of space. The 1990s were considered as a reorienting period after the modernism experiment with glass. (Results) After analysis, results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illusion of space using glass material confirmed actual characteristics of space, such as morphological distortion, ambiguity, spatial expansion, and expressive reproducibility. (Conclusion) This study found that spaces with glass material affect expressions of morphology and synesthesia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illusion. Applying these characteristics increases the possible expression of distortion, ambiguity, expansion, and reproducibility. This shows that spaces with glass materials that have characteristics of illusion can provide direction. Further, the nature of space or expressed intention opens up new possibilities for illusion formats, thanks to glass. It is likely that spaces that stimulate morphology, ambiguity, spatial expansion, and reproducibility can be created through illusion.

      • KCI등재

        유리 물성과 중첩 표현을 반영한 건축 및 공간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신승수 ( Shin Seungsu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3

        (연구배경 및 목적) 근대건축에 들어서기 이전에 유리는 대부분 종교 건축에서의 장식적 요소로 사용되어왔다. 주로 일종의 타일이나 창문 패턴 등의 역할을 했으며, 신에 대한 묘사를 극대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다반사였다. 하지만 근대 건축 이후로 유리는 건축 외장재, 공간 분할용 벽체 등으로 활발하게 도입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우리가 알고 있는 공간의 깊이감, 공간 내부와 외부 사이의 상호 관입, 경계의 모호함, 공간의 확장성 등의 유리에 관한 이론적 개념이 등장하였다. 유리는 이러한 이론들을 논할 때 항상 빠지지 않고 거론되는 일종의 독립된 소재로서 존재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리가 갖는 물성과 개념적 특성을 파악하고 공간 구성 요소와의 관계를 이해하는 것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공간디자인 분야의 발전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에 주된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연구의 방법은 크게 문헌 연구와 사례 분석 연구로 나뉜다. 문헌 연구는 유리의 이론적 배경에 대한 지식의 습득을 우선으로 한다. 이후 조사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키워드를 도출하여 사례에 적용 후 분석한다. 사례연구는 유리가 역사적으로 어떻게 사용되었는지에 관한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3가지 시대로 나누어 선정한다. 시대별 사례는 각각 3가지로 총 9개의 사례를 선택했다. 공간의 유형은 주거형 공간, 사무형 공간, 공공형 공간으로 한정 짓는다. 또한, 공간 및 건물의 규모가 사례별로 큰 격차를 갖는다면 객관적 분석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판단되어 독립된 하나의 공간이거나 단독 주택 형태인 사례들로 선정 범위를 축소했다. 사례분석은 유리의 물리적 성질과 개념적 특성으로 구분하여 진행하고자 한다. (결과) 선정한 방법을 통해 연구를 진행한 결과 유리의 물리적인 성질과 개념적인 특성은 서로 깊게 연관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유리와 유리, 유리와 사물, 유리와 환경 등 상호적 중첩을 연출할 때는 더 효과적인 공간 기획을 위해 유리사용의 완급 조절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시대 흐름에 따라 유리의 사용 동향이 함께 변화되어왔다는 것이 결과로 나타났다. 이것은 유리의 개발과 같은 기술적인 발전에 의한 것 때문일 수도 있다. 하지만 과거에 비하면 대담해진 공간 연출 방식과 건축 양식의 다채로움에 따른 유리사용의 진화에서 비롯된 것이 크다고 본다. 향후 유리의 발전 가능성은 굉장히 광범위하다. 따라서 유리를 공간 및 건축 디자인에 대입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식인 중첩을 활용한 연구가 필수적이라고 판단된다. (Background and Purpose) Before entering the modern architecture era, glass was mostly used as an ornamental element in religious architecture, for example, as a tile or window pattern and was almost used to maximize the description of God. However, modern architectural techniques have used glass for building exterior materials and walls to divide space. This has resulted in theoretical concepts regarding the depth of space we know, interweaving between the interior and exterior of the space, ambiguity of boundaries, and spatial scalability. Glass has come to exist as an independent material that is always mentioned when discussing these theories.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identifying the physical and conceptual characteristics of glass and understanding its relationship with spatial component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study aim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future development in the field of spatial design. (Method) The methods are largely divided into literature and case analysis studies. Literature research prioritizes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about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glass. Then, keywords are derived based on the investigated theoretical background, applied to the case, and analyzed. Cases are selected from three different eras to identify trends in how glass has historically been used. A total of nine cases were selected, with three cases each for each era. The type of space is limited to residential space, office space, and public space. In addition, if the size of the space and building has a large gap on a case-by-case basis, it was determined that it could affect objective analysis, reducing the scope of the selection to one independent space or single-family housing form. The case analysis will be carried out separately by the physical properties and conceptual characteristics of glass. (Results) The study conducted through the selected method shows that the physical and conceptual properties of glass are deeply related to each other. In addition, it has been shown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finely control glass use for more effective space directing when creating interactive overlapping such as glass and glass, glass and objects, glass and environment. (Conclusion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rend of using glass has changed with the times. This may be due to technological progress such as the development of new glass. However, above all, it is largely from the evolution of using glass in a bold way to create space and the greater variety of architectural styles available compared to the past. The possibility of future glass development is wide. Therefore,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study this overlap, the most common way for putting glass into the spatial design.

      • KCI등재

        현대 유리조형의 일루전 효과와 확장가능성

        이강모 ( Lee Kangmo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8 예술과 미디어 Vol.17 No.2

        현대 유리조형은 기존의 유리공예 개념과는 달리 조형에 중점을 두면서 예술과 산업의 접목을 시도한다. 특히 유리조형에서 나타나는 일루전(Illusion)의 개념은 기존 미술에서 논의되던 일루전 개념과는 달리 유리라는 재료 자체에서 나오는 시각의 확장성을 통해 예술 공간의 개념을 확장시키는 것이다. 시지각의 대상을 단순히 대상으로만 한정하는 기존의 입체조형과는 달리 유리조형은 시·지각이 가지는 다양한 요소를 일상공간에 배치함으로써 예술공간이 일상공간에 공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이러한 유리조형은 이미 건축을 비롯한 산업과 접목을 하고 있는데, 특히 유리 재료 산업의 발전은 유리조형의 예술적 기능을 강화하고, 유리조형의 예술성은 기존의 유리산업이 가지는 형태적 한계성을 극복해주는 효과를 가져다준다. 따라서 유리조형은 미래의 새로운 예술교육과 산업에 접목할 수 있는 양식으로서 향후 더욱 더 다양한 방식으로 예술과 현실에 접목할 수 있는 요소를 가지고 있다.본 고에서는 유리가 예술적· 산업적 측면을 논구한다. 특히 현대 유리산업이 비약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예술적 효과라는 재료적 의미를 넘어서 유리 자체가 조형의 한 양식으로 정립된다. 현대의 미술가들 중에서 나움 가보, 댄 그래험, 래리 벨의 작품들은 유리와 현대미술이 서로 융합되는 형태들을 보여주고 있고, 특히 일루전의 측면에서 유리가 가지는 시지각적 요소들은 예술 공간과 일상공간을 매개하는 역할을 한다.국내에서 유리조형은 이제 시작하는 개념이다. 기존의 입체의 방식과 다르게 유리조형은 산업동향과 밀접한 연관을 가지고 있다. 유리기술의 발전은 예술적 조형을 더욱 풍부하게 해주고 유리가 가지는 시지각적 요소는 일상과 예술 양자에 고르게 영향을 주고 있다. 결국 유리조형은 실용적인 측면을 바탕으로 예술적으로 성장하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유리조형은 예술교육과 예술의 새로운 직업군으로 성장할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Modern glass art focuses on the art aspect unlike the old concept of glass crafts, making an attempt at the incorporation of art and industry. The concept of illusion in glass art, in particular, expands the concept of art space through the expandability of vision deriving from the glass material itself unlike the illusion concept discussed in the old art. Glass art has already attempted to combine with industries including architecture. The development of the glass materials industry has especially reinforced the artistic functions of glass art, and the artistry of glass art has been effective for overcoming the form limitations of the old glass industry. As a style capable of being incorporated into new art education and industry in the future, glass art has elements to integrate art into reality in much more diverse ways.This study discussed the concept of sublimation from glass to art through the historic development of glass and the industrial and artistic aspects of glass. Works by such modern artists as Naum Gabo, Dan Graham and Larry Bell show the forms of glass fusing with modern art. The visual perception elements of glass mediate between art space and daily space in the illusion aspect.In South Korea, glass art is a burgeoning concept. Unlike the old three-dimensional style, glass art is closely related to industrial trends. The development of glass technology enriches artistic sculpture even further, and the visual perception elements of glass have even influences both on daily life and art. In the end, glass art makes artistic growth based on its practical aspects, in which sense glass art has the possibilities of growing into a new occupational group in art education and art.

      • KCI등재

        안경의 제작과 인도양 무역 네트워크 -중국 문헌 자료에 나타난 유리 제작을 중심으로-

        한지선 대구사학회 2019 대구사학 Vol.135 No.-

        We have been focusing on identifying where the center of eyeglasses manufacturing technology was through bibliographical information. However, eyeglasses are results of converging complicated technologies and knowledge with diverse materials. Due to the complexity, when they are manufactured on the spot, materials to be acquired and technological limits should be considered. When they are simply copied, they reflect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can not be faithful to their original functions as they have peculiar shapes and mass. Therefore, to identify the center of eyeglasses manufacturing, this study considered technological information relating to composition and general conditions including manufacturing of glass as a material of lens, and classified and examined glass manufacturing, development of optics, use of lens, and problems on eyeglasses manufacturing based on Chinese historical records. China had independent culture in glass manufacturing. However, as its lead glass was opaque, it was not suitable for lens of eyeglasses. Arabia had a special technology of glass manufacturing. It was that borax can make glass have more durability. The achievements of the Arab glass production would have been the assets gained from the interaction with civilizations linked to India or Bengal. Sichuan, Yunnan, India and Southeast Asia formed a special culture in the distribution of borax and the production of glass. Having dominated the Indian Ocean network, the Arabs were able to absorb extra information in glass making. Arabic glass manufacturing technology at that time deserves attention in that glass that was used for eyeglasses making must have high transparency and endure usual shocks. ‘Brille’ that meas lens of eyeglasses or spectacles in German was evolved from ‘Beryllos’ in Greek, Billur in Arabic or Balungr and Beryl in Hindi. Beryllos or Beryl is a rough stone of beryllium(element number 4) and indicates variants of all colors except emerald green and aquamarine blue in beryl variants. However, in addition to beryl, ‘bori(玻璃)’, which was one of the kinds of glass in medieval China, can also be a source of ‘Brille’. ‘bori(玻璃)’ products were made of special glass with high transparency from Arabia and India. Although sodium glass had more transparency than lead glass of China, eyeglasses made of Billur which was made in India and Arabia and called pseudo-crystal in Arabia had much more strength and durability than sodium glass. It seems that glass products made in Arabia were called crystal in the East and the West and had a specially dominant position in eyeglasses making. 안경은 복합적 기술과 지식의 산물로 다양한 물산을 병합한 결과물이지만 특히 유리 제작 기술의 발달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중국은 고대부터 독자적인 유리 제작 방법이 있었다. 그러나 중국의 납유리는 불투명해서 안경렌즈에 합당하지는 않았다. 송대 중국에는 광학지식과 함께 아랍의 유리제품이 대량으로 유입되었다. 10세기 무렵 인도양 교류 네트워크를 장악했던 아랍은 수정과 같은 맑고 내구성 있는 유리제품의 제작과 수출에서 독보적인 지위를 점하였다. 아랍이 유리 제작에서 이룬 성과는 인도 혹은 벵골 등으로 연결되는 문명권역과의 교류에서 확보된 자산이었다. 붕사의 유통과 관련하여 주목되는 곳은 사천과 운남, 티벳 등지이지만 이러한 기술을 활용하여 유리 제작 기술을 주도한 것은 아랍이었다. 아랍은 유리 제작에서 붕사를 활용하여 유리의 내구성과 투명도를 높였다. 독일어로 안경을 의미하는 브릴러(brille)라는 말은 그리스어 베릴로스(Beryllos), 아랍어 Billur(水晶) 등 녹주석의 보석 이름에서 전화한 것으로 보이지만 아랍의 유리로 알려진 玻璃(bori)나 붕사(borax) 역시 독일어 브릴러의 어원과 관계가 있었다. 파리나 왜납 등의 유리 제품들의 보급과 함께 인도양 곳곳에서는 유리 관련 공통의 용어들이 사용되었다. 이것은 13세기 해양과 육상이 광범위하게 연결되면서 나타난 현상이었다. 상품과 정보의 에너지에 추동되고 움직이는 이 광역적 문명공간이 ‘인도양 무역 네트워크’에 의해 출현한 ‘인도양 세계’이며 이 공간이 바로 안경이 제작된 요람이었다.

      • KCI등재

        현대 건축유리조형의 경향 - 스테인드글라스에서 입체 유리조형으로 변화한 작가 사례를 중심으로 -

        이규홍,하명구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020 조형디자인연구 Vol.23 No.3

        Architectural glass art, with the exception of glass craft and sculpture, does not readily belong to the world of mainstream art. It is not portable, hard to exhibit and expensive to make. Yet despite these limitations, it has been slowly emerging these days. Over the last four decade, architectural glass art has generated a wider consciousness of its potential as powerful art form that has the capacity to truly transform environm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troduce the concept of architectural glass art by flow of ages, and through the research of artists working on these area, to analyze the trend of modern architectural glass art which is being developed into various aspects that are different from the past traditional stained glass ar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concept of architectural glass according to the trend of the times and to analyze contemporary architectural glass through case studies of three glass artists. For this purpose, I studied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various techniques of architectural glass art, and figured out the tendency of modern architectural glass art by analyzing the renowned architectural glass artists who started as stained glass artists and transformed into three-dimensional or relief form.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earlier architectural stained glass art which was limited to religion architecture has been developed into new and various forms and has been applied to general buildings as well as religion ones. This reflects the worldwide trend of architectural glass art, and also the future tendency can be predicted by this study. 건축유리조형이라는 분야는 유리공예나 유리조각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알려진 분야이다. 이 건축유리조형은 제작 후 운반도 어려우며 전시하기도 쉽지 아니하고 제작비용도 많이 소요되는 단점을 안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많은 제약에도 불구하고 서서히 그 두각을 드러내며 지난 40년간 나름대로 상당한 역량을 보이며 다양한 방식으로 발전을 거듭해왔다. 본 연구는 시대적 흐름에 따른 건축유리의 개념을 소개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는 건축유리 작가들의 사례분석을 통해 과거의 전통적인 스테인드글라스에서 벗어나 다양한 양상으로 전개되는 현대 건축유리조형의 경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그 내용은 건축유리조형의 역사적 배경과 제작기법을 살피고, 평면적인 형식의 종교건축유리에서 시작하여 시대적 흐름과 다양한 현대 건축유리조형 제작기법들의 발달로 입체, 혹은 부조 형식으로 변화한 건축유리 조형작가들의 작품분석을 통해 현대 건축유리조형의 방향성을 파악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종교건축에 국한되었던 초창기 건축유리조형의 형태인 스테인드글라스가 시대적 흐름과 기술의 발전을 통해 종교건축뿐 아니라 일반건축에도 다양하고 새로운 형태로 적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이는 건축유리조형의 세계적인 경향을 반영하며 이를 통해 향후 건축유리조형의 방향성을 예측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안정제 배합비에 따른 고대 소다유리의 재현 실험과 물성 특성

        정지윤,한민수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문화연구소 2022 한국전통문화연구 Vol.30 No.-

        Glass made with various materials and manufacturing conditions has some different properties, which may have different features in the process of making glass in ancient times. Therefore, glass specimens were produced based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ancient soda glass, and physical properties were analyzed. Six types of soda glass were produced by adjusting the ratio of lime (CaO) and alumina (Al2O3), which are stabilizers. Stereo microscopy has confirmed that the more lime (CaO) is contained, the more often cracks occur and cracks on the branches, and the more alumina (Al2O3) is contained, the smaller the cracks appear in irregular form, and the tendency to develop a lot of blisters. As a result of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more seeds were observed in the LCHA series of glasses larger in size than in the HCLA series, and the number of seeds was greater. As a result of chromaticity measurements, the glass of the LCHA series tended to increase brightness the more alumina it contained, but overall the tendency to change the chromaticity due to the difference in stabilizer type was not confirmed. Therefore, as a result of the ultraviolet-visible light spectroscopy to confirm the difference in absorption rate due to the change in stabilizer content, the glass of the LCHA series showed a higher reflectance at 338, 437, 486, 573, 735, 740, 848, 939 nm, especially than the glass of the HCLA series, and it is estimated that the whiteness is finely higher. In conclusion,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glass of the LCHA series appears to have a lower transparency to the naked eye due to the influence of microbubbles than the glass of the HCLA series, but the viscosity is high, and it is found that less breakage such as cracking occurs during the cooling process. The drawn technique most commonly used in the production of glass beads in Korea is a process in which the working time at room temperature is relatively long, and the glass of the HCLA series is vulnerable to rapid temperature reduction, which is likely to cause a large amount of cracking and defect in the product, and it is believed that the LCHA series of glass, which has a relatively low expansion rate, may have been advantageous to the drawn technique. On the other hand, HCLA-based glass generates less bubbles and has high transparency, so it is believed that the work process would have been advantageous for a relatively short and simple moulded technique. 다양한 재료와 제작 조건으로 만들어진 유리들은 일부 서로 다른 물성을 지니고 있으며, 이로 인해 고대의 유리 제작 과정에서 각기 다른 특장점을 가졌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고대 소다 유리의 화학조성에 기반하여 유리 시편을 제작하고, 물리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시편은 안정제인 석회(CaO)와 알루미나(Al2O3)의 비율을 조절하여 6종의 소다 유리를 제작하였다. 실체현미경 관찰 결과, 석회가 많이 함유될수록 가지상의 균열이 자주 발생하며, 알루미나가 많이 함유될수록 작은 균열이 불규칙한 형태로 나타나고, blister가 많이 발생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주사전자현미경 관찰 결과, LCHA 계열의 유리가 HCLA 계열의 유리보다 크기가 큰 seed가 더 많이 관찰되며, seed의 수도 더 많았다. 색도 측정 결과, LCHA 계열의 유리는 알루미나가 많이 함유될수록 명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종합적으로 안정제 종류의 차이로 인한 색도 변화의 경향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따라서 자외선-가시광선 분광분석을 실시하여 안정제 함량 변화에 따른 흡광도 차이를 확인한 결과, LCHA 계열의 유리는 HCLA 계열의 유리보다 338, 437, 486, 573, 735, 740, 848, 939 nm에서 흡광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따라서 미세하게 백색도가 더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 결론적으로, LCHA 계열의 유리가 HCLA 계열의 유리보다 미세 기포의 영향으로 투명도는 낮지만 점도는 높을 것으로 추정되며, 냉각 과정에서 균열 등의 파손이 적게 발생될 것이다. 유리 제작기법의 측면에서 살펴보면, 유리 구슬 제작 시 가장 많이 쓰인 Drawn기법은 상온에서의 작업 시간이 상대적으로 긴 공정인데, 급격한 온도 감소에 취약해 다량의 균열이 발생하여 제품에 결함이 생길 가능성이 높은 HCLA 계열의 유리보다 팽창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LCHA 계열의 유리가 drawn 기법에 유리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에 HCLA 계열의 유리는 기포가 적게 발생하며 투명도가 높으므로 작업 공정이 상대적으로 짧고 간단한 주조(Moulded)기법에 유리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유리 스트링거를 드로잉 도구로 활용한 작품 제작 연구

        김수연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024 조형디자인연구 Vol.27 No.1

        현대 유리공예 분야에서는 유리를 예술적 표현 수단으로 활용하여 예술적 가치를 부각시키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리실을 드로잉 도구로 활용하는 연구자의 작품을 역사적 맥락을 통해 분석하고, 유리 제작기법이 어떻게 시간의 흐름에 따라 발전되고 활용되었는지 탐구하였다. 이를 통해 현대 유리공예에서 나타난 재료 활용의 새로운 시도와, 고대의 제작기술을 바탕으로 단순히 기술의 재현을 넘어 개인의 창의성이 강조되는 양상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자의 작품에서 유리 스트링거(Glass Stringer, 이하 스트링거 혹은 유리실)를 드로잉 도구로 사용한 것에 주목하여 유리공예의 역사에서 선(線)이 활용된 사례를 분석하고, 현대에 와서 어떻게 변화하거나 발전되었는지 살펴보았다. 세부적으로는 고대 이집트의 코어성형 기법과 이탈리아(무라노)의 케인 및 무리니 기법에서 사용된 유리실의 활용을 살펴보고, 이후 현대 유리공예 작가들 중 유리를 사용하여 선적인 표현을 하거나 유리 스트링거를 물리적 드로잉 도구로 활용한 사례들을 통해 동시대 유리공예에서 실험적으로 확장되는 선의 활용을 탐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현대 유리공예에서 재료를 창작자의 주관적 표현 수단으로 활용하는 다양한 가능성을 제시하고, 역사적 고찰과 작품 제작 연구를 통해 유리공예 분야에서 선적인 표현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유리 스트링거를 그리기 도구로 활용함으로써 유리공예의 영역이 드로잉 영역과 융합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며, 유리공예 분야에서 전통적으로 장식적 요소로 간주되어온 선을 활용한 기법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고 동시대 창작자들에게 재료의 활용과 표현의 확장에 영감이 될 수 있길 기대해본다. There has been a continuous trend to emphasize the artistic value of glass and utilize it as a means of artistic expression in contemporary glass art. This study examines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glass art and its development in the modern era, focusing on the works of the researcher who uses glass thread as a drawing tool. This study investigates how glass production techniques have evolved and been utilized over time. Furthermore, in modern era, these production techniques actively serve as artistic tools, crucial in expressing individual creativity and thoughts. This study explicitly highlights the use of glass stringers(or glass threads) as a drawing tool in the works of the researcher, aiming to analyze cases where lines have been utilized in the historical context of glass art. After examining cases where colored glass threads have been utilized in ancient and contemporary times, the study analyzes the influence of using glass thread in the historical context of ancient glass, focusing on specific techniques such as core forming in ancient Egypt and cane and murrine techniques in Italy (Murano). Subsequently, the study explores the experimental expression of line usage in contemporary glass art by analyzing artworks of glass artists utilizing glass for linear expressions or employing glass threads or stringers as physical drawing tools. The analysis includes a detailed examination of the work of the researcher who utilized stringers as a drawing tool, drawing insights from historical reviews and artistic production research. Through this historical exploration and artwork analysis, the study derives a new understanding of line expression in glass art, presenting intriguing discussions on the potential for material utilization and expression expansion. This research contributes a fresh perspective to techniques traditionally considered decorative in glass art, anticipating new possibilities for material use and artistic expression.

      • KCI등재

        유리의 불투명성을 활용한 유리조형 연구

        최혜숙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023 조형디자인연구 Vol.26 No.3

        유리는 투명하고 빛을 투과, 반사하는 물질이다. 또한, 색과 질감을 표현하거나 반투명, 불투명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 소재이다. 유리가 예술의 영역으로 확장되면서 유리 재료가 가진 다양한 특성들이 작품들을 통해 표출되고 있고, 작가들의 재료에 대한 탐구와 자신만의 조형 언어가 현재 유리 예술로 확장되어가고 있다. 본 논문은 유리가 가지고 있는 투명성과 선명한 색감 등의 일반적인 특성과는 반대되는 불투명성에 중점을 두고 연구자의 실험 및 작품사례를 통해 불투명성에 대해 고찰한 뒤, <21세기 유물시리즈> 주제를 유리의 불투명한 특성을 활용하여 유리조형 작품제작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자는 여러 물질적 대상 중 미(美)와 관련된 현대 물건 중에서 과거에도 존재하였으나 오늘날 상징성을 지니게 된 핸드백과 하이힐을 선택하여 작품의 디자인 소재로 하였다. 연구결과물을 미래의 유물로 표현하기 위해서 출토된 유물의 외형적 특성을 참고하였고 이를 반영하기 위해 유리의 투명도와 광이 없는 거친 질감으로 표현하였다. 본인이 연구한 바에 따르면 유리의 또 다른 특성인 불투명성은 거친 질감 표현과 함께 세월의 흔적이 묻어나는 오래된 유물을 표현하기에 효과적이었고 색, 질감, 형태 등 사물의 다양한 속성을 구현해낼 수 있는 유리 소재의 표현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유리 소재에 대한 고정관념을 깨고 재료가 가진 잠재적인 표현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유리의 예술적 표현영역이 확장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Glass is a transparent material that transmits and reflects light. It is also a material that can create color, texture and change into translucent or opaque glass. As glass expands into the realm of art, various characteristics of glass materials are being expressed through artworks, and artists' exploration of materials and their own formative language are currently expanding into glass art. This study focuses on opacity, which is opposite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glass such as transparency and vivid color and considers opacity through the researcher's experiments and examples of works. The purpose is to express the <21st Century Relics Series>, which has been set as the theme, in a formative way through the opacity of glass. The researcher selected luxury handbags and high heels among many objects that represent the beauty of modern women in the 21st century and used them as design motifs for the work. In order to express the research results as future relics, the external characteristics of the excavated were referred to, and to reflect this, they were expressed with the transparency of glass and a rough texture without shine. According to my research, the opacity and rough texture of glass were effective in expressing old relics with traces of time, confirming the potential of glass materials that describe various properties of objects; color, texture, and shape. Through this study, I aim to break the stereotypes about glass materials and present the expressive potential possibilities of the materials. I hope the area of artistic expression of glass can be expan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