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The actual condition and policy agenda of gender equality education in Korean schooling system

        Kim dong-seok(김동석) 한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0 교육연구 Vol.18 No.2

        이 연구는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양성평등교육의 실태를 분석하고, 양성평등 실현을 위한 정책적 과제와 개선 방안을 탐색하고 있다. 실태 분석은 준거를 설정하여, 초등학교 교과서 내용과 학교운영계획서를 검토하였다. 교과서 내용 분석의 결과는 양성을 균형 있게 다루는 경우, 불평등하게 다루는 경우, 여성에게 적극적 역할을 부여하는 경우, 소극적 역할기대를 하는 경우 등으로 범주화하여 제시하였다. 학교운영 계획서 분석 결과는 양성평등교육을 학교경영의 역점사업으로 추진하는 경우, 부서의 업무분장으로 추진하는 경우, 진로상담과 연계하여 운영하는 경우, 인성교육으로 대치하는 경우 등이 있었고, 학교운영계획에 전혀 반영하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학교 양성평등교육에 대한 실태분석에 기초하여 양성평등 실현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양성평등 실현방안은 세 차원으로 나누어 질 수 있다. 첫째는 국가수준의 거시적 접근 방안들을 설정하였고, 둘째는 사회구성원들의 행동변화 전략을 공식화하여 제시하였다. 셋째는 구체적인 수준에서, 학교 양성평등교육 개선 방안과 과제를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I analyze the actual condition of gender equality education in schools and explore the policy agenda and improvement measures to realize gender equality. By establishing criteria,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 I review the contents of textbooks and school management plan. Analysis results of textbook contents suggest categorization, including a case to treat both genders equally, a case to treat them inequally, a case to give female active roles, and a case to expect passive roles of female. Analysis results of the school management plan show different cases: a case to promote gender equality education as a core of school management, a case to promote it as a division of work within a single department, a case to operate it by connecting to career counseling, a case to substitute it for personality education, and a case not to contain it at all in the school management plan. Based on an analysis on the actual condition of gender equality education in schools, I suggest measures to realize gender equality, which can be categorized by three dimensions. First, I set nationwide measures of macro approach. Second, I formulate and suggest strategies to change behaviors of society members. Third, at the concrete level, I suggest measures and agenda to improve the gender equality ducation in schools.

      • 학교양성평등교육의 실태와 정책적 과제

        김동석 韓南大學校 敎育硏究所 2010 교육연구 Vol.18 No.2

        In this study, I analyze the actual condition of gender equality education in schools and explore the policy agenda and improvement measures to realize gender equality. By establishing criteria,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 I review the contents of textbooks and school management plan. Analysis results of textbook contents suggest categorization, including a case to treat both genders equally, a case to treat them inequally, a case to give female active roles, and a case to expect passive roles of female. Analysis results of the school management plan show different cases: a case to promote gender equality education as a core of school management, a case to promote it as a division of work within a single department, a case to operate it by connecting to career counseling, a case to substitute it for personality education, and a case not to contain it at all in the school management plan. Based on an analysis on the actual condition of gender equality education in schools, I suggest measures to realize gender equality, which can be categorized by three dimensions. First, I set nationwide measures of macro approach. Second, I formulate and suggest strategies to change behaviors of society members. Third, at the concrete level, I suggest measures and agenda to improve the gender equality education in schools. 이 연구는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양성평등교육의 실태를 분석하고, 양성평등 실현을 위한 정책적 과제와 개선 방안을 탐색하고 있다. 실태 분석은 준거를 설정하여, 초등학교 교과서 내용과 학교운영계획서를 검토하였다. 교과서 내용 분석의 결과는 양성을 균형 있게 다루는 경우, 불평등하게 다루는 경우, 여성에게 적극적 역할을 부여하는 경우, 소극적 역할기대를 하는 경우 등으로 범주화하여 제시하였다. 학교운영계획서 분석 결과는 양성평등교육을 학교경영의 역점사업으로 추진하는 경우, 부서의 업무분장으로 추진하는 경우, 진로상담과 연계하여 운영하는 경우, 인성교육으로 대치하는 경우 등이 있었고, 학교운영계획에 전혀 반영하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학교 양성평등교육에 대한 실태분석에 기초하여 양성평등 실현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양성평등 실현방안은 세 차원으로 나누어 질 수 있다. 첫째는 국가수준의 거시적 접근 방안들을 설정하였고, 둘째는 사회구성원들의 행동변화 전략을 공식화하여 제시하였다. 셋째는 구체적인 수준에서, 학교 양성평등교육 개선 방안과 과제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헌법상 성평등의 현대적 이해와 실현방향

        정다영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법학논총 Vol.42 No.1

        Gender equality is a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the conditions essential tocomplete gender equality. Gender Inequality In order to solve the fundamentalproblem of reality and to realize gender equality, the gender perspective in theconstitutional equality discourse should be reflected and evaluated in legislative andnormative interpret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ast legislationactualizing the orders of ‘gender equality’ norms in the Constitution and thetendencies of interpretation on laws and figure out problems internalized in them. Also, this researcher aims to look into the meaning of ‘gender equality’ norms,reexamine its concrete realization in connection to the other principles or norms orvalues found in the Constitution, and discuss the directivity of it. 1. From the point that the ideal of the Constitution is to guarantee all humans’fundamental rights associated with human dignity, realization of value, freedom, orequality, we can make sure of the conceptual categories and indexes of genderequality norms. The pursuit of power inequality correction according to sexdifferences of ‘all individuals’ should be guaranteed by constitution, and specificgroups should not be excluded. 2. Concerning interpretation on the norms of equality, it is absolutely important tounderstand the sameness and difference and also the gap between legal equality andsubstantial equality. To narrow the gap,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women who arethe objects of inequality in their viewpoint. In fact,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tohave a gender-neutral perspective, and it may even deepen or conceal the aspects ofgender inequality. Meanwhile, if we try to look at how the provisions of the Constitution and related laws have been established previously as a way of realizing substantial equality, wecan find there are underlying male-dominant nationalism, protectionism, patriarchaltradition, culture, and custom, myth about strong maternal instinct, and ideology fornormal family completed with children. We can point out that the realization ofgender equality norms has been fixed and promoted within the frame actually. Regarding such ideologies mingled within the ideas of equality, we should justify ifthe current Constitution does really correspond to the other values we pursue. Moreover, unless it conforms to the realization of freedom and equality of thesubjects in the Constitution fundamentally, the directivity must be reestablished. 3. In realizing gender equality, the government’s roles and interventions arecrucial. It can be completed only when it is sought and practiced in close relationswith other principles of the Constitution, for instance, constitutionalism, social/nationalprinciples, or democracy. Particularly, it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toguarantee the right of the subjects of inequality to participate in politics and havetheir own voice, which means democracy is inseparable from gender equality. 평등에 대한 젠더적 이해는 성평등을 완성하는 필수불가결한 근본조건이다. 성불평등 현실 문제의 근본적 해소와 실질적 성평등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젠더적 관점이 입법과 규범해석에 반영되고 평가되어야 한다. 이 논문은 헌법의 ‘성평등’ 규범 명령을 구현한 지난 입법과 법해석의 경향을 젠더적 관점을 반영하여 검토하였으며, 이에 근거한 문제를 제기하였다. 그리고 ‘성 평등’ 규범의 이해와 실제적 구현의 관철을 위해 평등원칙과 헌법의 다른 가치 규범원리들을연결하여 법이론을 보강하고자 하였으며, 그 실현 방향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1. 헌법의 이상이 ‘모든 개인’의 인간존엄과 가치의 실현, 자유와 평등에 관한 기본권의 보장이라는 점에서 성평등 규범의 해석과 실현도 이와 동일한 이상을 지향하여야 한다. 즉, ‘모든 개인’의 성차에 따른 권력 불평등 시정의 추구가 헌법적으로 보장되어야 하며, 여기에 특정집단이 배제되지 않아야 한다. 2. 평등에 대한 규범해석은 동일성과 차이에 대한 이해, 법적평등과 실질적평등과의 간극에 대한 이해가 매우 중요하며, 이러한 간극을 해소하기 위해서는불평등 당사자 관점의 이해가 반영되어야 한다. 성중립적인 관점은 존재하지 않으며, 성불평등을 심화시키거나 실제적 성평등의 구현을 방해하는 기제가 된다. 한편 기존의 헌법규정과 관련 입법에서의 실질적 평등실현 조치들은 여성의 신체적 기능 차이에 집중하여 추진되어 왔다. 그리고 그 기저에는 남성 지배적인 국가주의적 관점, 보호주의, 가부장적 전통문화의 관습, 강력한 모성신화의 내재와 자녀출산과 양육으로 완성되는 정상가족 이데올로기가 발현되고있으며, 성평등 규범의 실현도 실제로 이러한 틀 안에서 구획되고 추진되었다는 것을 지적할 수 있다. 평등이념 속에 혼재된 이 같은 이데올로기들, 성별고정관념들은 제거되어야 하며, 오늘날 성평등의 추진이 헌법이 지향하는 근본적 가치들과 부합하는지 정당화되어야 한다. 그리고 궁극적으로 헌법 주체의자유와 평등실현에 부합하지 않는다면 그 방향성은 재정립되어야 한다. 3. 성불평등 현실의 개선을 위해서는 국가의 역할과 개입이 중요하다. 국가의 성평등실현조치는 궁극적으로 개인의 인간존엄을 실현하는 방향으로 추구되어야 하며, 법치주의·사회국가원리· 민주주의와 함께 모색되고 실천되는 것으로 지향되어야 한다. 성평등 규범의 가치가 실질적 법치주의와 사회국가원리, 민주주의 이념에도 내재되어 있기 때문에 성평등은 평등원칙과 함께 다른헌법원리들과의 조화로운 실천으로 완성되어질 수 있다. 특히 불평등의 주체가 정치적 주체로서 목소리를 낼 수 있도록 참여를 보장하는 것이 무엇보다중요하다는 점에서 민주주의와 성평등은 분리될 수 없으며, 그 연관성이 강조되어야 한다.

      • KCI우수등재

        여성가족부 폐지를 둘러싼 퇴행의 젠더정치

        김경희 비판사회학회 2024 경제와 사회 Vol.- No.141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backsliding gender politics surrounding the recent abolition of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within the historical trajectory of women’s policy institutions from the establishment of the Presidential Commission on Women’s Affairs in 1))8 to the current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Major results of the paper are as follows. First, the article argues that from the establishment of the comprehensive women’s policy institution during the Kim Dae-jung administration to the trajectory of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under the conservative governments of Lee Myung-bak and Park Geun-hye, the machinery of women’s policies has shifted towards expanding organizational size, compromising feminist political essence of gender equality. Paradoxically, this shift serves as both the basis for advocating its abolition and a reflection of the weakening commitment to gender equality within the institution. Secondly, under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which declared itself feminist government, there have been more favorable attitudes towards gender equality policies and numerous achievements than ever before. However, this period has also seen the highest level of backlash and anti-feminism towards gender equality. This period demonstrates both the innovative potential of progressive governments in gender equality policies and the coexistence of limitations stemming from a cautious attitude towards gender conflicts. Finally, this paper diagnoses the gender politics surrounding the abolition of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under the current government in the context of a democratic backsliding. Its specific dimensions include: first, discursive depoliticization openly opposing gender equality; second, policy decay, replacing existing gender equality policies with family population policies through reframing policies; third, gradually advancing policy regression through budget cuts, execution delays, and failure to fulfill promises; and finally, the deterioration of inclusivity and obligation mechanisms through the absence or abolition of governance. In conclusion, the article suggests the necessity of feminist politics to transcend regressive gender politics and the challenges of gender policies.

      • KCI등재

        한국기독교 사역자의 양성평등 인식 수립을 위한 실천적 교육 방법론 -토마스 그룸의 나눔의 프락시스 적용-

        이미아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23 기독교교육정보 Vol.- No.76

        Education is a powerful tool of socialization process to perpetuate the values of an individual or a society. An ideology to maintain the social structure of gender inequality is established as social convention by formal and informal educational activities. Today, Korean church should reform herself to realize gender equality, which is the important move not only for her renewal and revival but also the enhancement of the value of gender equality in Korean society. To make it come true, educational practice for the seminary students is needed for their’s recognizing of the value of gender equa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practical teaching method to the seminary curriculum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value of gender equality in the seminary students. In a concrete way, this study illustrates a lesson plan model to practice into a teaching-learning process with the purpose of gender equality education through employing the teaching method of Thomas H. Groome’s shared Christian praxis. This study describes the following contents as the result of the study. Introduction brings out a question related to awareness of gender equality in Korean church and presents main topics to be discussed for the value of gender equality. Chapter II investigates the necessity of the establishment of gender equality awareness in Korean church based on literature review of gender equality issue in Korean church, which helps to understand the women ministers’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context and the relation between gender equality and the renewal of the church. Chapter III conducts the literature review of theological and philosophical ideologies of curriculum and educational paradigm shift for the establishment of gender equality awareness. Based on this investigation, it tries to build the educational philosophy to include the concepts of gender equality awareness. Based on the study of chapter II and chapter III, Chapter IV explicates the components and movement process of Thomas H. Groome’s shared christian praxis model as a practical teaching model and adds some consideration to apply to teaching-learning scene. Chapter V illustrates the example of an actual model employing shared Christian praxis model to practice in a particular educational field. Specifically, that example is presented as a lesson plan with the class topic titled as “a typical pattern of workload sharing in pastoral ministry between men and women” for one session of a course of women’s studies in a theological seminary’s curriculum. Conclusion summarizes the overall process of the study and proposes the practical use of this praxis model for the teaching of gender equality awareness over the various educational are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ould be utilized as a practical educational method for the paradigm shift of the value of gender equality and to contribute to the renewal of Korean church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gender equality recognition in Korean society. 한 개인이나 한 사회의 가치를 영속화하는 사회적 과정은 ‘교육’에 의해 이루어진다. 성차별적 사회구조를 유지하는 이데올로기 역시 공식적, 비공식적 교육과정을 통해 사회적 통념으로 자리잡은 것이다. 오늘날 한국 기독교회의 양성 불평등 문제의 개혁은 한국교회의 개혁을 위해, 나아가 한국 사회의 양성평등 가치의 발전에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신학교 차원에서부터 기독교 사역자로 교육받는 남녀 사역자의 양성평등 인식을 위한 교육적 실천이 필요하다. 본서의 목적은 한국기독교(개신교) 사역자의 양성평등 인식 수립을 위해 기독교 관련 고등 교육기관으로서의 신학교 차원의 커리큘럼에서 실천적 교육방법론을 제시하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토마스 그룸의 나눔의 프락시스 모델을 적용하여 양성평등의 인식과 관련한 실천적 교수-학습 모델(레슨 플랜)을 구성하여 구체적 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실례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같은 목적 실현을 위해 본서는 1장 서론에서 한국 기독교회의 사역자들의 양성평등 인식 수립과 관련한 문제를 제기하고 양성평등 인식 수립을 위해 다루게 될 주요 명제를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한국 기독교회 내 젠더 문제와 관련된 선행 연구를 고찰하면서 한국 기독교회와 양성평등 인식 수립의 필요성을 서술하였다. 3장에서는 양성평등 인식 수립을 위한 교육과정의 신학적, 철학적 이데올로기와 교육적 패러다임 전환과 관련된 선행 연구를 먼저 고찰하고, 양성평등 인식 수립을 위한 교육방법론의 기초가 되는 교육 철학의 구성 요소를 다루었다. 4장에서는 2장과 3장의 연구를 기초로 한국기독교(개신교) 사역자의 양성평등 인식 수립을 위한 실천적인 교육적 방법론으로서 토마스 그룸의‘나눔의 프락시스’방법론의 구성 요소와 핵심 활동의 과정 및 교수-학습 활동에서 이를 적용하기 고려점에 대해 연구하였다. 5장에서는 이상의 연구를 토대로 교육 현장에서 ‘나눔의 프락시스’모델을 적용한 교수-학습 과정의 실제적인 진행 모델을 연구하고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신학교 차원의 한 학기의 여성학 강의 중‘교회 내 남녀 사역자의 업무 분담의 정형성’이라는 한 차시의 수업을 위한 레슨 플랜을 프락시스 모델의 전개과정을 적용하여 예시하였다. 6장 결론에서는 연구의 전체적인 과정을 요약하고 양성평등 인식 수립을 위한 교육적 방법론의 활용 및 확장을 위한 제안을 진술하였다. 본 연구가 ‘양성평등 인식’의 가치의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실용적인 교육 방법론으로써 활용되고, 한국 기독교회의 성숙과 개혁을 위해, 나아가 한국사회의 사회적 차원에서의 ‘양성평등’ 인식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공무원의 양성평등행동의도 및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김금미(Keummi Kim),정해숙(Haesook Chung),정경아(Kyungah Jung)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07 여성연구 Vol.72 No.-

        본 연구는 계획된 행동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 Ajzen, 1988)에 근거를 두고, 5급 이상의 고위직 공무원을 포함한 전체 공무원을 대상으로 표집하여 양성평등 의도 및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그 실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즉, 양성평등행동 및 양성평등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변인들, 즉 태도, 주관적 규범, 및 지각된 행동통제의 변인의 영향을 알아보고, 부가적으로 당위성을 포함하여 양성평등행동의도 및 행동에 영향을 미치리라 예상되는 요인들의 영향도 확인하였다. 1,518명(남자 787명, 여자 731명)의 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연구한 결과 양성평등행동에 가장 높은 관련성을 보인 변인은 양성평등태도였고, 이어서 양성평등행동에 대한 당위, 양성평등행동의도 등의 순서였다. 양성평등행동의도에 가장 관련성이 높은 변인은 양성평등행동에 대한 당위, 양성평등 태도 등의 순서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현재 공무원들의 양성평등의식 및 태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중요한 결과들을 계획된 행동이론과 사회정체성이론에 관련하여 논의하면서 성 편견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도 제안하였다. For the purpose of investigation of gender equality intention and action among officials, the present study was intended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It was conducted to (1) examine the effect of attitude,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behavior control in explaining gender equality intention as well as gender equality behavior, (2) investigate the role of ought in the prediction of gender equality behavior and intention. A nationwide sample of 1,518 Korean officials (male 787, female 731)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gender equality behavior was most related to gender equality attitude, next, friend-discrimination instigation, equality difficulty at work, equality difficulty at home, ought of gender equality. The gender equality behavior intention was most related to ought of gender equality, next gender equality attitude. There are difference of gender equality behavior in gender equality education. Along with the decrease of age, gender equality behavior and intention increased. This results of this study have implications in investigation of suggestion for gender equality intention and action improvement. The important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in connection with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social identity theory. Also, the ways to the extend of prejudice decrease were suggested.

      • KCI등재

        실과수업에서 양성평등적 관점의 교육이 아동의 양성평등의식에 미치는 영향

        박영호,양정혜 한국실과교육학회 2009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2 No.2

        본 연구는 양성평등관점의 실과 교수ㆍ학습 방법이 아동의 양성평등의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가평군에 위치한 유사 규모 초등학교 2개교 6학년 학생을 대상을 두 집단 간 양성평등의식의 동질성을 검증한 후 실험처치를 위한 연구도구로 양성평등교육 프로그램을 실험집단에 20회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일반적인 실과수업을 실시하였다. 두 집단의 동질성 여부와 사후 검사를 위해 SPSS/windows 14.0K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도 검증, t-검증을 실시하였고, 투입한 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집단 내 paired t-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두 집단의 양성평등의식 사전, 사후검사를 비교한 결과 p<.005 수준에서 양성평등 실과 교수ㆍ학습 프로그램을 투입한 실험집단에서는 양성평등의식이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나 양성평등 프로그램을 투입하지 않고 전통적인 방법으로 교수ㆍ학습을 실시한 비교집단에서는 실험전과 실험 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양성평등교육을 위한 실과수업에서 양성평등 교수ㆍ학습 프로그램을 투입하여 아동의 양성평등의식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practical arts teaching-learning program from the of gender equality affects elementary school children's gender - equality consciousness. In order to this purpose, the author reviewed theoretical background and previous researches, and devised the practical arts teaching-learning program newly and applied to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This study hypothesized that after executing a gender equality education program, children in the experiment group will show significantly higher improvement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in their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To verify hypotheses above, it was applied a gender equality education program to 10 of an experiment group and 9 of a control group that consisted of the 6th grade children at 2 elementary schools in Gapyeong County, Kyonggi Province, and executing the program, measured their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nd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 of the program.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In gender-equality consciousness, the experiment group participated in gender equality education program devised newly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did not. 2) The difference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in control group educated by traditional method without applying education program, did not appear. It was identified that the application of the devised gender- equality educational program improved children's gender-equality consciousness, therefore, we could know which is proven to be effective. Thus, based on these results, there should be continuous educational efforts to improve children's understanding of gender roles and gender-equality consciousness.

      • 미디어 내 성평등을 위한 개선방안에 관한 고찰

        전(田)별 ( Jeon Byeol ) 아세아여성법학연구소 2017 아세아여성법학 Vol.20 No.-

        오늘날 우리는 미디어를 통해 정보를 제공받고 여가 선용을 한다. 또한 아이들은 애니메이션과 어린이 프로그램 등을 시청하면서 가치관을 형성하며, 무의식중에 미디어에서 방영되는 모습들이 우리 사회의 보편적인 모습이라고 인식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미디어가 우리 사회 전반에 미치는 영향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미디어에서는 성평등의 관점이 전혀 고려되지 않은 것처럼 보이는 내용이 지속적으로 발견되었다. 드라마나 예능프로그램에서는 여성의 모습을 순종적인 모습 내지는 악녀로 양분하거나 남성 출연자의 보조 및 막내의 이미지로 그려내며, 재미를 이유로 성을 희화화하는 모습도 다수 발견하게 된다. 뉴스나 시사프로그램에서는 남성의 과대대표성을 더욱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미디어 내 성별구조를 살펴보면 과연 미디어 내 성평등의 실현이 가능한 것인가에 관한 의문은 더욱 깊어지게 된다. 우리나라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인식하고 양성평등기본법, 방송법 등의 관련 법률, 방송심의규정, 양성평등 방송 프로그램 제작 안내서 등을 두어 미디어 내 양성평등 실현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미디어에서 소비되는 여성의 이미지와 질적·양적인 비율은 20여 년 전과 비교해 보아도 크게 달라지지 않았기에 미디어 내 성평등의 실현은 여전히 달성하기 어려운 과업처럼 느껴지는 것이 현실이다. 이와 같은 현상은 비단 우리나라만의 문제가 아니다. 해외 각국에서도 이러한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방송 내지는 성평등 관련 법제에 미디어 내 성평등 실현을 위한 규정을 두어 현업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프랑스에서 평등법을 개정할 당시 미디어 내 성평등에 관한 규정을 당해 개정의 가장 핵심적인 내용으로 두고 이를 중점적으로 연구한 후 성평등에 관한 규정을 개정안에 적극 반영하였던 것이 그 대표적인 예라고 볼 수 있다. 또한 법률과 별도로 제정된 방송 제작 관련 가이드라인에서도 미디어 내 성평등의 실현을 위한 구체적인 규정을 두어 프로그램 제작 당시 이를 직접 적용하도록 함으로써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노력을 계속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영국 오프콤의 방송규정에서는 유럽인권협정을 근거로 하여 성별을 이유로 한 차별이 인정되지 않음을, BBC의 제작자를 위한 가이드라인에서는 방송에서 성차별적인 언어를 사용하지 않을것, 고정관념이 담긴 언어를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할 것에 관한 점 등을 명시하고 있다. 캐나다 방송협회의 평등 묘사규정에서는 성이나 혼인 유무 등에 관하여 모욕적이거나 부당한 차별적 내용을 포함하지 않을 것, 대상의 복잡함을 반영하지 않고 반복적으로 단순하고 하찮게 여기며 상처를 주고 편견을 갖게 하는 스테레오타입화 금지, 성평등에 관한 적절한 용어를 사용할 것 등을 명시하고 있으며, 폭력규정, 텔레비전 및 라디오 프로그램의 성 역할 묘사규정 등에서도 성평등에 관한 보다 구체적인 규정을 두어 이를 실무에 반영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우리의 방송법에 방송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성평등의 실효성을 강화시킬 수 있는 규정 및 미디어계 종사자들에 대한 성인지교육 실시에 관한 규정을 통하여 성평등에 관한 인식을 도모함과 동시에 책임성을 강화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미디어 내 종사자들이 프로그램을 제작·편성·심의할 당시 직접적으로 참고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에 성평등에 관한 구체적인 기준을 마련함으로써 성평등에 관한 관점이 방송 프로그램에 직접 반영될 수 있도록 하는 방안도 적절한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노력을 통하여 미디어 내 성평등의 실현은 물론 우리 사회의 성평등도 온전히 이루어질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In the modern era, media constantly inputs information into our minds and leads us to subconsciously believe that its materials are accurate representations of our everyday society. In addition, children are highly influenced by cartoons and programs targeted for the youth as their values and beliefs are molded by such products. Regardless of its grave impact, the media has been constantly reproducing contents that violate gender equality. Although continuous efforts have been made to improve the gender inequality depicted by the media, distorted presentations of women yet remain to be rather common. TV series and comedy shows often portray women to be submissive or evil-minded; women often appear as subordinates of men and gender is often ridiculed for the purpose of entertainment. Over-representation of males become more obvious in news shows or those related to current affairs. Ultimately, the gender imbalance in the media makes people question the obtainability of gender equality. As an attempt to promote gender equality in the media, the Korean government has enacted the Gender Equality Act, amended the broadcasting deliberation regulations, and developed protocols regarding the production of programs that adhere to gender equality. However, the female image consumed through the media and the quality and ratio of female appearances have not changed much over the past couple of decades, and gender equality still appears to be an unrealistic dream. The problem of gender inequality in the media is not restricted to Korea. Various countries share similar issues and have included regulations in their gender equality acts in order to improve the status quo. A prime example would be France, which stressed on improving its media regulations regarding gender equality when it amended its equality acts. In addition, multiple organizations have included regulations on gender equality in their guidelines for broadcasting productions and have been striving to solve the issue through its implementation. Rooted in the European Convention on Human Rights, Ofcom’s broadcasting regulations clearly states that any type of discrimination based on gender is prohibited. Similarly, the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s (BBC) regulations ban the use of language that promotes gender discrimination or gender stereotypes. Moreover, the Canadian Broadcasting Corporation’s (CBC) production regulations state that 1) any contents containing discriminative or insulting information in regards to gender or marital status ought to be excluded 2) stereotyping of gender by oversimplifying or belittling its nature ought to be prohibited, and 3) language promoting gender equality ought to be used. It also includes specific clauses in regards to gender equality in its TV and radio broadcasting policies. In accordance with the global effort, Korea can consider amending its broadcast act to include regulations that enforce adherence to gender equality and educating those who work in the media to raise their awareness and sense of responsibility. Another adequate solution might be to provide detailed guidelines, which include a straightforward criteria of gender equality, so that media workers can refer to it throughout the entire broadcasting process (e.g., production, scheduling, deliberation etc.). Through such endeavors, we can hope to take a step closer towards gender equality in the media.

      • KCI등재

        유럽연합의 젠더평등의 현주소 - 유럽젠더평등연구소의 젠더평등지수를 중심으로

        안숙영 ( Ahn Sook-young )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19 여성학연구 Vol.29 No.2

        유럽연합은 창립 당시부터 젠더평등을 하나의 근본 원칙으로 천명했다. 오늘날 전세계적으로 젠더평등의 가장 중요한 척도의 하나로 간주되는 ‘동일노동 동일임금 원칙’을 처음으로 제기한 것도 유럽연합이었다. 유럽연합은 1980년대 후반에 접어들어 경제와 노동에 집중되었던 젠더평등의 영역을 정치와 사회 및 문화를 비롯한 다양한 영역으로 확장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젠더평등을 향한 유럽연합의 이런 여정에서 최근에 가장 주목을 받고 있는 것의 하나가 바로 유럽젠더평등연구소가 발표하고 있는 젠더평등지수다. 이 논문은 이 젠더평등지수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을 바탕으로 유럽연합의 젠더평등의 현주소를 자세히 조명하는 한편으로, 젠더평등지수를 통해 드러내기 어려운 젠더불평등의 구조적 차원에 대해서는 유럽연합이 어떤 방안을 모색하고 있는지에 주목하고자 한다. 이런 맥락에서, 이 논문은 2장에서는 유럽연합이 유럽젠더평등연구소의 설립을 통해 젠더평등과 관련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 과정에 대해 살펴본다. 이어 3장에서는 유럽젠더평등연구소가 젠더평등지수를 개발하게 된 배경 및 구조를 분석한다. 그리고 4장에서는 젠더평등지수로 본 유럽연합의 젠더평등의 현주소를 탐색한다. 마지막으로 결론에 해당하는 5장 에서는 지금까지의 논의를 정리하고 앞으로의 전망에 대해 간략히 개괄한다. Since its foundation, the European Union considered gender equality as one of its fundamental principles. The European Union was the first international organization to bring up ‘the principle of equal pay for equal work' which is regard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measures for gender equality. Since the end of 1980s, the European Union has tried to expand the reach of gender equality to various areas such as politics, society and culture etc. that are related to both the economy and work. A representative one of these efforts of the European Union is the Gender Equality Index which is published by the European Institute for Gender Equality. On the one side, this article tries to explore the current status of gender equality in the European Union on the basis of a detailed analysis of this Gender Equality Index. On the other side, it will pay attention to efforts which the European Union is making to develop alternatives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structural dimensions of gender inequality which are not covered by the Gender Equality Index. In this context, this study in chapter 2 looks at the process that the European Union has prepared to facilitate continuous research about gender equality through the foundation of the European Institute for Gender Equality. In chapter 3, it examines the background against which the European Institute for Gender Equality developed the Gender Equality Index and its structure. In chapter 4, it reveals the current status of gender equality in the European Union through the lens of the Gender Equality Index. Lastly, in chapter 5, it summarizes the arguments and gives a brief outlook on the future of gender equality in the European Union.

      • KCI등재후보

        지방자치단체의 양성평등기본조례에 관한 연구

        김선욱 이화여자대학교 젠더법학연구소 2016 이화젠더법학 Vol.9 No.3

        The Republic of Korea has consistently attempted to amend laws and to improve the gender inequalities since joining the Convention on the Elimination of All Forms of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in 1984. As a result, the gender equality of laws and social system was achieved to some extent, but gender discrimination still exists in Korean society. As gender equality is a matter related to the real life, the acts and the policies of the central government are important. But in order to realize gender equality in the lives of local residents, it is very important for local governments to eliminate all institutional and structural factors that cause inequality and to implement concrete policies for an equal order and system. In this article, the Author analyzed the situation of gender equality policy realization in Korean local governments by examining the contents of the regulations and amendments of the ordinances of 17 local governments after the enactment of the “The Framework Act on Gender Equality”, which is a paradigm shift to Gender Mainstreaming of women's policies. In particular, the Author focused how whether the local governments carry out the responsibilities stipulated in the framework act as specific policies, how they take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councils, and whether they have effective promotion systems such as Gender Equality Basic Plan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re are problems with systematic synthesis because some local governments do not stipulate the responsibility of the local government stipulated by The Framework Act on Gender Equality. And, there is a lack of efforts to implement the framework act in accordance with the local government's situation in general. Regardless of the degree of difference in reality, there was little specificity reflecting the local environment, characteristics, and the policy needs of the local residents. So the basic ordinances on gender equality is insufficient in realistic suitability. It is necessary to provide specific regulations to ensure that changes in the paradigm of women's policies, centering on Gender Mainstreaming, can be implemented in policies, organizations and specific administrations. All local governments need to make efforts for self-government legislation to more faithfully define the basic ordinances on gender equality so that the gender equality policies of local government can be realized more specifically, more diversely, and more realistically. 우리나라는 1984년 유엔여성차별철폐협약 가입 이후 성차별적인 법의 개정과 성불평등한 현실을 개선하기 위한 입법적 노력을 꾸준히 시도해왔고 그 성과로 법과 제도상의 평등은 어느 정도 이루어 졌다. 그러나 아직도 사회 각 부분에는 불평등이 많이 남아 있다. 양성평등의 문제는 사회 전 분야의 실생활과 관련되는 문제이므로 국가의 법과 중앙부처의 정책도 중요하지만 지방자치단체들이 그 지역주민들의 삶 속에서 양성평등을 실현하기 위하여 현재 불평등을 야기하는 모든 제도적 구조적 요인을 제거하고 평등한 질서와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 구체적인 정책을 실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여성정책의 성 주류화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담은 「양성평등기본법」 제정 이후 17개 광역지방자치단체 조례의 제・개정상황 및 그 내용 등을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 지방행정에서의 양성평등정책의 변화 현실을 분석해 보았다. 특히 「양성평등기본법」에서 지자체의 책무로 규정하고 있는 내용을 얼마나 정책적으로 구체화하고 있는지, 지자체의 지역적 특성 등을 고려한 정책적 특별함이 얼마나 있는지, 양성평등기본계획 등 추진체계는 효과적으로 잘 갖추어져 있는지 등을 분석하였다. 지자체별로 약간의 편차는 있으나 「양성평등기본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지자체의 책무를 충실하게 규정하지 않고 있어서 체계적합성에서 문제가 있는 경우도 있고 전체적으로는 기본법을 지자체의 실정에 맞게 구체화하는 노력이 부족하며,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지역의 정책환경이나 특징 그리고 지역주민의 정책요구도를 반영한 특별함이 거의 보이지 않아 현실적합성에도 미흡해 보인다. 특히 성주류화를 중심으로 하는 여성 정책 패러다임의 변화가 정책과 조직과 구체적인 행정에서 행하여질 수 있도록 구체적인 조례의 규정이 필요하다. 모든 지자체는 지자체의 양성평등 정책이 더 구체적으로 더 전문적으로 더 다양하게 실현되어 실질적인 양성평등사회가 구현되는 데 기여할 수 있도록 지자체의 양성평등기본조례를 더 충실하게 규정하는 자치입법의 노력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