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과 항공무역 주요국간 수출입 패턴 분석

        임재환 한국항공경영학회 2019 한국항공경영학회지 Vol.17 No.6

        In this study, the gravity model is used to analyze the trade patterns that occur between Korea and the major countries of air transportation using air transport, one of the Korean means of trade. In particular, in order to grasp the detailed characteristics of air transport, the dependent variables are divided into amount and weight, and then analyzed into export, import and trade respectively. The major countries were selected from the top 89 countries based on air transport exports as of 2017, and the analysis period was 20 years from 1998 to 2017. The scope of analysis was divided into export, import and trade. In addition to the basic explanatory variables of the gravity model, GDP per capita, and distances between countries, the research model added national areas as explanatory variables. In addition, the model also considers the landlocked country status and accession to APEC and OECD. The analysis shows that Korea’s trade volume is proportional to GDP or GDP per capita and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countries. Specifically, in the analysis of air trade amounts in Korea, exports were proportional to GDP per capita, and GDP and accession to the OECD did not show significant results. On the other hand, the amount of imports was proportional to GDP, and the membership of the OECD also had a positive effect, showing a difference between exports and imports. The amount of trade was proportional to GDP per capita, as was the result of exports. In air trade weight analysis, exports were proportional to GDP and inversely proportional to GDP per capita and distance between countries. In addition, the country area had a negative effect, which was a factor that reduces the export volume. Imports did not show significant results for both GDP and GDP per capita, but access to the OECD had a positive effect. Trade volume is proportional to GDP and inversely proportional to GDP per capita as shown in the export analysis. In addition, both APEC and OECD membership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본 연구는 중력모형을 이용하여 한국의 무역 운송수단 중 하나인 항공운송수단을 통한 한국과 항공운송 주요국간 발생하는 무역 패턴을 분석하였다. 항공운송 분야의 자세한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종속변수를 금액과 중량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주요국 선정은 2017년 기준 항공운송 수출금액 기준상위 89개 국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분석 기간은 1998년부터 2017년까지 20년간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범위는 수출, 수입 그리고 교역으로 나누어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모형에서는 우선 중력모형의기본 설명변수인 GDP와 1인당 GDP 그리고 국가간 거리 이외에도 국가면적을 설명변수로 추가하였다. 그리고 내륙국가 여부와 APEC, OECD 가입 여부도 모형에서 고려하였다. 분석결과 한국의 무역 규모는 GDP나 1인당 GDP에 비례하고 양국간 거리에 반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한국의 항공무역 금액 분석에서 수출액은 1인당 GDP에 비례하는 결과를 보였으며, GDP와 OECD 가입 여부는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지 못했다. 반면 수입액의 경우는 GDP에 비례하는 결과를 보였고, OECD 가입 여부도 정(+)의 효과를 나타내면서 수출액과 수입액간 차이를 나타냈다. 교역액은 수출액 결과와 마찬가지로 1인당 GDP에 비례하는 결과를 보였다. 항공무역 중량분석에서 수출량은 GDP에 비례하고 1인당 GDP와 국가간 거리에는 반비례하는 결과를 보였다. 그리고 국가면적은 예상과 달리 부(-)의 효과를 보임으로써 국가면적은 수출량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수입량은 GDP와 1인당 GDP 모두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지 못했지만, OECD 가입 여부는 정(+)의 효과를 보였다. 교역량은 수출량 분석결과와 같이 GDP에 비례하고 1인당 GDP와 국가간거리에는 반비례하는 결과를 보였다. 그리고 APEC과 OECD 가입 여부는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GDP 예측을 통한 국내 외식 산업 전망에 관한 연구 - 한.미.일 비교를 중심으로 -

        고재윤,유은이,송학준,김민지,Ko, Jae-Youn,Yoo, Eun-Yi,Song, Hak-Jun,Kim, Min-Ji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007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Vol.17 No.4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edict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Korean food service industry by forecasting the per capita GDP. Forecasting the GDP, involved two primary approaches. One was related to looking at the Korean food service industry's situation by per capita GDP and comparing it to that of the US and Japan. The other was to predict food service industry projections in Korea by quantitative forecasting models. Holt's simple exponential smoothing method and new types of the series models(Damped trend exponential smoothing method), were employed to predict the per capita GDP. The accuracy of the models was measured by MAPE. The empirical results of the forecasting models indicate that the three time series models performed fairly well. Of these Damped trend Damped trend exponential smoothing performed best with the lowest MAPE(9.9%). The results show that the time for reaching a per capita GDP level of $20,000 was 2008 with the Damped trend model and 2009 with the Holt model. Moreover, we found that a per capita GDP level of $30,000 will be achieved in 2012 from the Damped trend model and in 2013 from the Holt model. Within this study, the implications for the Korean food service industry are further discussed. It was predicted there will be a stabilization period in 2008 or 2009 in Korea with achievement of a per capita GDP of $20,000. At this time, major food service industry companies will need to invest in equipment toy external growth and there will be industry trends toward ethnic food and theme restaurants. Also, if a per capita GDP of $30,000 is achieved by 2012 or 2013, the Korean food industry will need to be highly responsive. Therefore, food industry companies should forecast and study customer values and prepare for changes.

      • KCI등재

        식민지기 조선인 1인당 소득과 소비에 관한 논의의 검토

        허수열(Huh Sooyoul) 동북아역사재단 2015 東北亞歷史論叢 Vol.- No.50

        식민지근대화론의 대표적인 저작인 『한국의 경제성장 1910-1945』과 『한국의 장기통계: 국민계정 1911-2010』, 그리고 『해방 전후사의 재인식』에서 생활수준 부분을 담당했던 주익종에 따르면, 일제강점기 동안 조선인 1인당 GDP와 실질소비지출은 70% 가량 증가하였다고 한다. 일제의 조선 강점의 부당함과 는 별개로 조선인들의 물질적인 삶의 질이 향상되었다는 의미고, 수탈론을 정면으로 반박하는 주장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식민지근대화론의 핵심적인 주장의 하나인 조선인 1인당 GDP 및 실질소비지출이 주익종의 계산처럼 그렇게 증가한 것은 아니었음을 밝혔다. 그의 주장은 조선총독부의 부정확한 통계에 의존하는 바가 컸다. 따라서 그것을 합리적으로 수정하고 1941~1945년 간의 조선경제 몰락기를 고려하면, 조선의 GDP 증가율은 한층 줄어들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새로운 조건에 따라 주익종의 모델을 풀어보면, 그가 상식적으로 도저히 받아 들이기 어렵다고 생각했던 결과들이 모두 납득할 수 있는 수준이 된다. 그가 자신의 모델을 통해 얻은 결론을 합리화하기 위해 덧붙인 조선인 1인당 소비에 대한 논의 역시 자료를 엄밀하게 분석해 보면, 거꾸로 자신의 주장과 배치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일제강점기 동안 조선인들의 1인당 소득이나 소비가 증가했다는 식민지근대화론의 주장은 사실에 반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Joo Ik -Jong was in charge of writing the sections regarding the standard of living in several books, including Economic Growth in Korea 1910-1945 (2006), National Accounts of Korea 1911-2010 (2012), and New Understanding of Korean History around the Liberation Period (2006). He argued that per capita GDP and per capita real consumption expenditures of Koreans increased by approximately 70% during the colonial period. This finding suggests that the physical standard of living of Koreans improved significantly, and directly refutes the theory of colonial exploit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fute Joo’s argument by generalizing his model. In my generalized model, I show that the per capita GDP of Koreans depended mainly on the growth rate of the GDP and that his argument relies on inaccurately estimated growth rates of the GDP. If we modify the exaggerated growth rate from 1910 to 1917 and consider the Korean economy’s collapse between 1941 and 1945, the GDP growth rate of Korea will decline significantly. And in this low growth rate, the per capita GDP of Koreans will be reduced. The argument through the colonial modernity that per capita GDP and per capita consumption expenditures of Koreans increased substantially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is opposed to the facts.

      • KCI등재

        중국의 외자 유치, 시장화, 그리고 경제성장 간 관계 분석

        한병섭 ( Byoung Sop Han ),양우영 ( Woo Young Yang ) 현대중국학회 2014 現代中國硏究 Vol.16 No.1

        1978년 이래, 지난 30년 동안 중국은 시장 개혁.개방정책을 통해 세계가 괄목할 만한 성과를 가져왔다. 대외개방정책으로 인한 대중국 외국인직접투자는 경제개발을 위한 자본의 유입뿐만 아니라 지식유출 효과를 통해 중국의 기술력을 끌어 올렸으며, 경제개발에 발맞추어 중국 도시들의 시장화 속도도 가속화 시켰다. 본 연구는 시장화 지수와 거시변수 간의 관계에 있어 외국인직접투자가 중국의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시장화 정도가 중국의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중국의 경제성장이 외국인직접투자 및 시장화 정도에 미치는 영향들 간의 매개효과에 대해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시장화지수(MKT)가 외국인직접투자(FDIAMT) 와 1인당 GDP(LPGDP) 간 관계에서 시장화가 매개변수인 경우에 완벽한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종속변수인 1인당 GDP에 대해 외국인직접투자와 시장화지수 두 변수를 독립변수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후, 매개변수인 시장화지수를 통제하였을 때, 모든 영역에서 시장화지수의 매개효과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Since 1978, the open-door policy has brought remarkable economic growth to China over the past 30 years. Due to the policy of opening up foreign direct investment, China attracted foreign capital, accelerated the speed of marketization. Also, technological knowledge spill over effect was ramping up the industrial technology. This study empirically analysis mediation effect that is the relationship among the foreign direct investment, marketization degree, and China’s economic growth as the GDP per capita. Through regression analysis using Sobel-Goodman Mediation Test, it was found that the marketization index (MKT) have a perfect mediated effect between foreign direct investment (FDIAMT) and per capita GDP (LPGDP). We perform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found that the dependent variable for GDP per capita is positively related with foreign direct investment and marketization index. Also when the marketization index is the control parameters, there was the mediating effect of marketization index in all areas of the China.

      • KCI등재

        항공자유화 협정이 국제여객운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

        강재석,김청 한국항공경영학회 2019 한국항공경영학회지 Vol.17 No.5

        Following the global trend of aviation liberalization, the Republic of Korea continued to sign the Aviation Liberalization Agreement. As a result, the Republic of Korea signed the agreement on passenger and freight with 29 countries as of 2016, promoting the opening of the aviation market and the development of the air transport industry. But not many studies have conducted empirical analyses of its after effects the Aviation Liberalization Agreement. Thus, this study conducted empirical analysis for the 22 years of panel data (aircraft operation, the number of people entering into the agreement, and the number of passengers between the two countries), using the per capita GDP ratio and the dummy variable of the Aviation Liberalization Agreement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target countries after setting the population of the target countries as control variable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e Aviation Liberalization Agree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Korean aviation industry market through the opening of the air transport market and improving the market competitiveness. In addition, the difference in purchasing power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countries under the agreement was not significant when the number of people under the agreement was set as a control variable. This study is relevant to the empirical analysis that aviation liberalization is a significant factor in the domestic aviation industry by utilizing the ratio of GDP per person based on purchasing power parity (PPP) in the target countries and the number of people in the target countries, not the GDP used primarily in the previous study. 세계적인 항공자유화 추세에 따라 대한민국도 항공자유화협정을 지속해서 체결하였다. 그 결과 대한민국은 2016년 기준 29개국과 여객․화물에 대한 협정을 체결하여 항공시장 개방과 항공운송산업발전을 도모하였다. 그러나 항공자유화협정 체결 후, 그 효과에 대해 실증적 분석을 시행한 연구는 많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한민국과 여객분야 항공자유화협정을 맺은 14개국에 대한 22년간의패널데이터(항공기 운항, 협정 체결 국민의 입국자 수 및 양국 간 여객 수)에 대하여 대상국의 인구수를 통제변수로 설정한 후 양국의 구매력평가가 반영된 1인당 GDP(PPP) 비율 및 항공자유화협정 더미변수를 사용하여 실증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결과, 항공자유화협정은 항공운송시장 개방과 시장경쟁력 향상을 통해 대한민국 항공산업 시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협정대상국의 인구수를 통제변수로 설정할 경우 대한민국 및 협정대상국 간 구매력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연구에서 주로 사용되었던 GDP가 아닌 대상국과의 구매력평가가 반영된 1인당GDP(PPP) 비율 및 대상국의 인구수 등을 활용하여 항공자유화가 국내 항공산업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실증적으로 분석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한국경제의 근대화 시점

        허수열(Sooyoul Huh) 충남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2010 경영경제연구 Vol.33 No.2

        20세기 어떤 시점 이후에 한국경제는 전근대경제에서 근대경제로 이행하였다. 이 논문은 1인당 GDP, 근대적 공업과 노동, 근대적 교육, 사회간접자본, 1인당 소비 등에 관한 각종 지표의 시계열적 변화를 검토함으로써, 언제부터 한국경제가 근대화 국면에 들어서게 되었는지를 검토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들 장기경제지표에 의하면, 한국경제는 해방 이전에도 많은 변화가 있었지만, 본격적인 변화는 1960년대 중엽 이후에 이루어진 것이 명백히 드러난다. 한국이 일본의 식민지에서 정치적으로 독립하게 되면서 경제가 급속히 발달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토대가 마련되었다. 공업발전에 선행하여 농업부문에서 생산의 비약적인 증가가 이루어졌고, 이것을 전제로 하면서 수출주도형 공업개발이 이루어졌다. 그 결과 1960년대 말 이후에는 농업중심사회 혹은 공동체사회의 해체가 뚜렷이 나타나기 시작하고, 실질임금이 상승과 l인당 GDP로 급속한 증가현상이 나타났다. 한국에 있어서 사이먼 쿠즈네츠적 의미에서의 ‘근대적 경제성장’은 1960년대 중엽 이후에 비로소 명확해지기 시작하였다. Korean economy was in transition from pre-modem economy to modem one in the twentieth centur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when Korean economy begin to be modernized by investigating the trend in how leading indices of economy regarding per capita GDP, industrial and agricultural sectors, labor and educational sectors, social overhead capital and per capital consumption had changed through whole twentieth century. According to long-term economic indicator, it appears to be evident that full-blown change of Korean economy was initiated after the mid-60s despite the fact that there had been many changes prior to liberation from Japan. Political independence from Japan became a crucial element in rapid economic development in Korea. A rapid growth of agricultural production preceded industrial production. A rapid Industrial growth by export-driven Industry began thereafter. Consequently, the agriculture-dominated society or community society disintegrated by the end of 1960’s and a rapid increase in per capita GDP by the growth in real wage initiated.

      • KCI등재

        Public Debt and Economic Growth Nexus in Malaysia: An ARDL Approach

        Foo Tzen YOONG,Abdul Rahman Abdul LATIP,Nur Azura SANUSI,Suhal KUSAIRI 한국유통과학회 2020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 Vol.7 No.11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time-series nexus of public debt and economic growth in Malaysia. For an upper-middle income country, Malaysia had experienced over 50% ratio of debt to GDP since 2009 until now. The question arises is whether this trend is healthy to the economy. With a focus into the debt-to-GDP ratio from 1970-2015,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hort-run and long-run relationship between public debt and economic growth in Malaysia. This study used secondary data by collecting time-series data (1970-2015) from the World Bank Data and Bank Negara Malaysia. Autoregressive Distributed Lag (ARDL) model is applied in this study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debt and economic growth. Based on ARDL framework, it shows that there is a long-run effect between the debt and economic growth in Malaysia. While the significance value of Error Correction Term shows that there is a long-run adjustment in the short run. Generally, this study found government expenditures, in the long run, strongly influence the GDP per capita. Through the findings, the government expenditures could increase the GDP per capita. The study also reveals that any increment of the debt ratio will result in reduction of the GDP per capita.

      • KCI등재

        확장적 재정지출에 의한 경제성장은 지속가능한가? -"헤리티지" 경제자유도를 이용한 실증분석-

        조동근 ( Dong Keun Cho ),변민식 ( Min Sik Byun ) 한국재정정책학회 2010 財政政策論集 Vol.12 No.1

        본 연구는 `케인즈적 국가개입주의` 패러다임을 비판하는데서 출발한다. 2007년 미국 발 금융위기로 많은 국가들이 경제안정화 차원에서 정부지출을 확대했다. 재정지출 확대의 성장에의 `단기 효과`를 부정할 수는 없지만, 재정지출 확대가 `자족적 성장 모멘텀`의 충분조건인가는 별개의 문제이다. 본 연구는 "재정지출 확대는 장기적으로 성장잠재력을 잠식 한다"는 가설을 세우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했다. 실증분석을 위해 2004∼2008년에 걸친 176개국의 `헤리티지재단`의 경제자유도와 일인당 국민소득에 관한 패널자료를 이용했다. 실증분석 결과, 정부지출비중 확대가 장기적으로 경제성장에 부(負)의 효과를 미치고, `일인당 국민소득`과 `정부지출규모` 간에 양방향성의 인과관계가 성립하는 것을 발견했다. 본 연구의 정책적 시사점은 "일인당 국민소득이 높아야 공공부문 지출비중을 유지할 여력이 있지만, 공공부문의 과다지출은 민간경제활동의 `구축`을 가져와 일인당 국민소득을 감소시킨다"는 것이다. 이는 재정지출 확대는 장기적으로 정부지출규모를 유지할 수 있는 경제여력(성장잠재력)을 잠식하는 `부메랑`으로 돌아오게 된다는 것이다. In order to overcome global economic depression derived from the shock of sub-prime mortgage in USA in 2007, many countries intended to exercise unprecedented fiscal expansion. Even no one can deny the positive effects of government expenditures on economic growth, however, a question arises whether its effect can be sustainab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erform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government`s spending on economic growth from the viewpoint of `Libertarian economics`. For the empirical analysis, we get data of per capita GDP and Economic Freedom Index from the `World Bank` and the `Heritage Foundation`. The generated data is the panel data through 2004~2008 years and of 176 countries. We intended to inf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overnment size and GDP per capita. From the analysis, we can draw important policy implications regarding the effects of government expenditure. Since excessive government expenditure may decrease GDP per capita through the `crowding-out effects`, the fiscal expansion would be destined to deteriorate the `foundation` of sustaining the high level of government expenditure.

      • KCI등재

        글로벌 주식시장에서의 자국편의

        주현태,김병준 한국상업교육학회 2012 상업교육연구 Vol.26 No.3

        본 연구에서는 2001∼2009년까지 22개 선진국과 16개 신흥국에서의 주식시장 자국편의를 측정해 보았다. 그 결과 신흥국들의 자국편의가 심각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큰 격차를 보이는 자국편의의 원인을 살펴보고자 거시경제적 영향요인과 자산시장 고유의 영향요인을 선별하여 패널회귀분석을 통한 영향력 정도를 측정하였다. 거시경제적 요인 중에서는 1인당 GDP가 선진국 및 신흥국 주식시장 공통적으로 자국편의에 가장 뚜렷한 유의적인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어 소득수준의 증가에 따라 내국인의 대외분산투자가 확대된다는 사실을 지지하였다. 국가부채비율은 자국편의에 유의적인 양(+)의 영향을 미침으로써 정보비대칭 가설을 지지하였다. 자산시장 고유요인 중에서는 실질환율의 증가(자국통화의 약세)는 자국편의에 유의적인 양(+)의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시장유동성은 자국편의에 유의적인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유동성이 안전한 투자처로서의 기능을 한다는 사실이 뒷받침되었고 시장 수익률 역시 자국편의에 음(-)의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어 투자성과가 좋은 나라들로 국제투자자금이 몰린다는 사실이 입증되었다. 그러나 시장요인 중 주식시장의 변동성은 위험요인으로서 위험의 증가에 따라 자국편의가 확대되어야 한다는 일반적 기대와는 반대로 자국편의를 오히려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국제투자자들이 주식시장 변동성의 확대를 경제기초여건을 반영한 장기적 위험프리미엄의 상승으로 해석하기보다는 일시적으로 형성된 과잉반응의 결과로 해석하여 해당국으로의 투자를 더 늘림으로써 결과적으로 자국편의가 감소된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즉 과잉반응가설을 지지하는 증거로 제시될 수 있다. In this paper, global stock market home bias is examined for 22 developed countries and 16 emerging market countries during the 2001-2009 sample periods. The result indicates that stock market home biases in the emerging countries are quite much higher than those in the developed nations. To find out the sources of that difference, panel data regression models are used with two categories of explanatory variables centered on macroeconomic factors and asset-market-specific factors. Among macroeconomic factors, per capita GDP is shown to have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stock market home bias in both of these two markets, proving that investors participate more actively in international diversification as their personal income levels grow higher. Country leverage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only the emerging market home bias, confirming partially information asymmetry hypothesis. On the contrary, trade volume has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only the developed market home bias, identifying partially the cointegration hypothesis between commodity and asset market. For the impacts of asset-market-specific factors, market liquidity is shown to have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home bias, supporting the 'flight to quality' hypothesis. However, market volatility turned out to be a significant negative factor on the stock market home bias, contrary to the common belief that an increase in risk or market volatility turns away foreign investors from the domestic market and thus enhances the market home bias. This contradicting result supports the overrection hypothesis that foreign investors consider a change in stock market volatility as a signal for the transient market overreaction rather than as a systematic change in market risk premiums.

      • KCI등재

        기업의 종교성이 기업의 혁신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건희 사단법인 한국신용카드학회 2022 신용카드리뷰 Vol.16 No.3

        본 연구는 국가적 차원에서 산출된 기업의 종교성이 기업의 혁신과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국가적 차원의 종교성과 혁신이 기업의 혁신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는 것이고 종교성이라는 문화가 기업의 혁신, 발전과 성과에 영향을 준다고 시작한다. 기업이 존재하는 국가에서 종교를 믿는 인구를 국민 전체의 인구로 나눈 비율을 종교성으로 측정하고 글로벌한 측면에서 국가의 혁신지수를 기업의 혁신 척도로 한다. 기업의 혁신 지수를 혁신의 측정지표로 대용하고 국가의 1인당 GDP증가율을 국가적 차원에서 기업 성과의 지표로 사용하고 56개국의 5년간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국가별로 1인당 명목 GDP와 총 GDP 중 연구개발비 비율을 변수에 포함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제시한다. 첫째, 종교성이 기업의 혁신과는 1% 수준에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어 기존의 선행 연구와 같은 결과를 보인다. 둘째, GDP 대비 연구개발비 비율도 기업의 혁신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친다. 셋째, 종교성과 GDP 대비 연구개발비 비율이 기업의 혁신에 대하여 1% 수준에서 상관관계가 존재하고 기업의 성과를 나타내는 1인당 GDP 증가율은 회귀식의 상관계수가 -0.1016로 나타나 혁신과의 상관관계가 거의 없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와 달리 세계적인 통계를 이용하고 국가별로 산출된 혁신 지수와 종교성을 활용하여 종교성과 혁신과의 관계를 분석한 데 장점이 있고 일반적인 설문조사보다 자료 수집에 정확성을 기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