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반론: 「1910년대에 쌀 생산은 정체했나?」

        허수열 ( Sooyoul Huh ) 경제사학회 2016 經濟史學 Vol.40 No.3

        차명수와 황준석은 『경제사학』 제59호(2015)에서 필자를 비판하였다. 이 논문은 그 논문에 대한 대답으로 작성되었다. 그들의 주장은 1910년대의 쌀의 공급이 가격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는데 1910년대 쌀 가격이 상승하였기 때문에 쌀 생산이 증가하였다는 것과 다수확 품종인 일본 품종이 매우 빠르게 보급됨으로써 토지 생산성이 증가하고 따라서 1910년대 쌀 생산이 증가했다는 두 가지 주장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통계의 정확성이 특히 의심스러운 1910-1913년을 제외하고, 1914-1926년간의 쌀의 생산량과 가격에 대한 데이터들로부터 공급곡선을 도출해 보면, 공급곡선은 수직선이었고, 따라서 공급의 가격탄력성은 0에 가까운 것이었다. 또 일본 품종의 보급에도 불구하고 1926년까지 단보당 생산은 거의 변화하지 않았기 때문에 일본 품종이 다수확 품종이라는 것도 입증될 수 없는 것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일본 품종이 척박지에서 비옥지로 보급이 확대되어 갔다는 가설을 도입하여 일본 품종이 다수확 품종이라는 것을 입증하려고 시도하였지만, 그들이 사용한 시뮬레이션에서도 또 회귀분석에서도 나아가 당시의 여러 기술사료들에서 보았을 때 타당하지 못한 것이었다. Myung-soo Cha and Jun-seok Hwang criticized me in Review of Economic History No.59 (2015). This paper was written in response to that paper. Their argument is made of two parts stating that the increase in rice prices in the 1910s led to an increase in rice production and that the rapid spread of Japanese rice species, the high-yield varieties, increased land productivity and thus increased rice production in the 1910s. However, except in 1910-1913 where the accuracy of the statistics was particularly questionable, when we derive the supply curve from the data on rice yield and price from 1914 to 1926, the supply curve was a vertical line, and therefore the price elasticity of supply was close to 0. In spite of the spread of Japanese rice species, until 1926, production per tan(段步) remained almost unchanged, so it could not be proved that Japanese rice species were the high-yield varieties. Nevertheless, they have introduced a hypothesis that Japanese rice species have been spread from infertile to fertile fields and tried to prove that Japanese rice species were the high-yield varieties, they were not valid in the simulations they used, nor in their regression, nor in the descriptive historical records of the time.

      • KCI등재

        식민지기 조선인 1인당 소득과 소비에 관한 논의의 검토

        허수열(Huh Sooyoul) 동북아역사재단 2015 東北亞歷史論叢 Vol.- No.50

        식민지근대화론의 대표적인 저작인 『한국의 경제성장 1910-1945』과 『한국의 장기통계: 국민계정 1911-2010』, 그리고 『해방 전후사의 재인식』에서 생활수준 부분을 담당했던 주익종에 따르면, 일제강점기 동안 조선인 1인당 GDP와 실질소비지출은 70% 가량 증가하였다고 한다. 일제의 조선 강점의 부당함과 는 별개로 조선인들의 물질적인 삶의 질이 향상되었다는 의미고, 수탈론을 정면으로 반박하는 주장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식민지근대화론의 핵심적인 주장의 하나인 조선인 1인당 GDP 및 실질소비지출이 주익종의 계산처럼 그렇게 증가한 것은 아니었음을 밝혔다. 그의 주장은 조선총독부의 부정확한 통계에 의존하는 바가 컸다. 따라서 그것을 합리적으로 수정하고 1941~1945년 간의 조선경제 몰락기를 고려하면, 조선의 GDP 증가율은 한층 줄어들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새로운 조건에 따라 주익종의 모델을 풀어보면, 그가 상식적으로 도저히 받아 들이기 어렵다고 생각했던 결과들이 모두 납득할 수 있는 수준이 된다. 그가 자신의 모델을 통해 얻은 결론을 합리화하기 위해 덧붙인 조선인 1인당 소비에 대한 논의 역시 자료를 엄밀하게 분석해 보면, 거꾸로 자신의 주장과 배치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일제강점기 동안 조선인들의 1인당 소득이나 소비가 증가했다는 식민지근대화론의 주장은 사실에 반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Joo Ik -Jong was in charge of writing the sections regarding the standard of living in several books, including Economic Growth in Korea 1910-1945 (2006), National Accounts of Korea 1911-2010 (2012), and New Understanding of Korean History around the Liberation Period (2006). He argued that per capita GDP and per capita real consumption expenditures of Koreans increased by approximately 70% during the colonial period. This finding suggests that the physical standard of living of Koreans improved significantly, and directly refutes the theory of colonial exploit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fute Joo’s argument by generalizing his model. In my generalized model, I show that the per capita GDP of Koreans depended mainly on the growth rate of the GDP and that his argument relies on inaccurately estimated growth rates of the GDP. If we modify the exaggerated growth rate from 1910 to 1917 and consider the Korean economy’s collapse between 1941 and 1945, the GDP growth rate of Korea will decline significantly. And in this low growth rate, the per capita GDP of Koreans will be reduced. The argument through the colonial modernity that per capita GDP and per capita consumption expenditures of Koreans increased substantially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is opposed to the facts.

      • KCI등재

        한국경제의 근대화 시점

        허수열(Sooyoul Huh) 충남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2010 경영경제연구 Vol.33 No.2

        20세기 어떤 시점 이후에 한국경제는 전근대경제에서 근대경제로 이행하였다. 이 논문은 1인당 GDP, 근대적 공업과 노동, 근대적 교육, 사회간접자본, 1인당 소비 등에 관한 각종 지표의 시계열적 변화를 검토함으로써, 언제부터 한국경제가 근대화 국면에 들어서게 되었는지를 검토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들 장기경제지표에 의하면, 한국경제는 해방 이전에도 많은 변화가 있었지만, 본격적인 변화는 1960년대 중엽 이후에 이루어진 것이 명백히 드러난다. 한국이 일본의 식민지에서 정치적으로 독립하게 되면서 경제가 급속히 발달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토대가 마련되었다. 공업발전에 선행하여 농업부문에서 생산의 비약적인 증가가 이루어졌고, 이것을 전제로 하면서 수출주도형 공업개발이 이루어졌다. 그 결과 1960년대 말 이후에는 농업중심사회 혹은 공동체사회의 해체가 뚜렷이 나타나기 시작하고, 실질임금이 상승과 l인당 GDP로 급속한 증가현상이 나타났다. 한국에 있어서 사이먼 쿠즈네츠적 의미에서의 ‘근대적 경제성장’은 1960년대 중엽 이후에 비로소 명확해지기 시작하였다. Korean economy was in transition from pre-modem economy to modem one in the twentieth centur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when Korean economy begin to be modernized by investigating the trend in how leading indices of economy regarding per capita GDP, industrial and agricultural sectors, labor and educational sectors, social overhead capital and per capital consumption had changed through whole twentieth century. According to long-term economic indicator, it appears to be evident that full-blown change of Korean economy was initiated after the mid-60s despite the fact that there had been many changes prior to liberation from Japan. Political independence from Japan became a crucial element in rapid economic development in Korea. A rapid growth of agricultural production preceded industrial production. A rapid Industrial growth by export-driven Industry began thereafter. Consequently, the agriculture-dominated society or community society disintegrated by the end of 1960’s and a rapid increase in per capita GDP by the growth in real wage initi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