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럽연합안전규격(EN)을 통과한 복합기능 원단을 활용한 다목적 안전작업복 개발 - 119구조대원복, 주유복 및 건설·중공업복 중심으로 -

        이규진 ( Kyu-jin Lee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6 한국디자인포럼 Vol.53 No.-

        연구배경 국내외 산업 현장에서 쓰이는 각종 안전 작업복들은 안전 환경에 대한 기본적인 보장은 물론 분류와 기준도 명확하지 못한 상태에서 산업별 용도와 기능성을 고려하지 않은 일률적인 디자인이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협력기업인 ㈜케이엠, HSTG와 협업하여 유럽연합안전규격(EN)을 통과하는 작업자의 작업환경에 적합한 복합기능 원단제작기술 개발과 이를 활용한 사용자 중심의 다목적 안전작업복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최적화된 다목적 안전작업복 개발을 위해 국내외 안전작업복 개발 시장조사와 선행사례를 연구하며 산업현장의 작업환경 분류에 따른 현장평가를 통한 작업 활동성과 개선 니즈(Needs)를 분석한다. 연구결과 사용자의 안전기능성을 향상시키는 유럽연합안전규격(EN)에 적합한 복합기능 원단개발을 하여 이를 활용한 작업자의 작업환경에 적합한 활동성과 동작적합성, 착의편의성을 고려한 기능적인 측면과 동시에 작업복 색채의 배색, 소재의 질감, 의복의 선, 디테일, 변화된 체형조건을 고려한 작업복별 디자인 다양화로 국내외 안전작업복 시장 마케팅전략 수립을 통한 전문성과 실용성을 확보하였다. 결론 총 21종의 안전작업복 착장 아이템 제작과 보급을 통해 기존의 안전작업복이 산업현장에서 보편화 되지 못하였던 부분을 최대한 보완하여 안전보호가 필요한 각종 산업 및 작업, 재난 현장, 관공서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용 스포츠레저 의류로서도 다목적으로 활용 가능 하도록 차별화 하였다. 이는 현장에서의 안전작업복의 착용률을 증가시키며 이에 따른 재해의 감소와 사회 복지의 증대로 연결 될 것으로 전망한다. Background Designs are being applied uniformly to various kinds of safety workwear at domestic and foreign industrial fields, failing in considering use and functionality by industry without guarantee for a safe environment and also definite classification and standard.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manufacturing technique for multi-functional fabric fitting for a work environment of a worker and satisfying the European Union safety standard(EN) and multi-purpose safety workwear centered on a user under collaboration with KM Corporation and HSTG CO. Methods This study analyzes needs for improving working performance through the site evaluation according to working environment classification of industrial fields along with market research and precedent case study for domestic safety workwear to develop optimized multi-purpose safety workwear. Result This study developed the multi-functional fabric fitting for the European Union safety standard(EN)) that improved safety of a wearer. Besides, popular safety workwear was developed design diversification by workwear considering functional aspects including the mobility test and wear convenience, and workwear coloration, material texture, clothing line and detail, and a changed body type. As a result, planning for mass production was done through patent application for the fabric and design and specification standardization to establish a marketing strategy for domestic and foreign safety workwear markets. Conclusion This study complemented lack of the existing safety wear in generalization to an industrial field through producing and spreading 21 kinds of safety workwear items to be used as everyday sports/leisure clothing beyond industrial and working fields, disaster sites and government/public offices needing safety protection. It is expected to reduce disasters and enhance social welfare with increase of the wearing rate of a safety workwear.

      • KCI등재

        중국 20-30대 소비자의 건강기능식품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확장된 목표지향행동 모델을 중심으로

        이영희 ( Younghee Lee ),류미현 ( Mi Hyun Ryu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20 유라시아연구 Vol.17 No.4

        경제성장과 소득수준의 향상은 소비자의 삶의 질을 높였으며, 인구구조의 변화와 기대 수명의 연장은 건강과 식품에 대한 관심을 고조시키고 있다. 보다 간편하게 기능적인 다양한 영양소를 보충해줄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은 세계 주요시장에서 지속적인 성장 추이를 보이고 있다. 특히 중국은 경제발전과 가처분 소득의 증가로 인해 건강식품에 대한 수요가 점점 더 커지고 있으며, 최근 코로나 19 사태 이후 질병 예방과 의료비용을 절감하도록 돕는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관심도 증대되고 있다. 또한 건강기능식품은 더이상 중장년층, 노인들만 복용하는 것이 아니라 20대, 30대가 찾는 필수용품으로 부각되고 있어 그 수요가 클 전망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의 20-30대 소비자를 대상으로 확장된 목표지향 행동 모델을 적용하여 건강기능식품 구매의도를 살펴보았다. 중국 20-30대 소비자들의 건강기능식품 구매의도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을 위하여 중국 북경에 거주하는 20-30대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2020년 4월 28일부터 5월 13일까지 15일간 중국의 리서치 업체를 통하여 웹서베이를 실시한 결과 총 248부가 최종 분석에 이용되었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24.0 program과 AMOS 18.0 program을 이용하여 통계처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목표지향행동 모델 변수인 지각된 행동 통제, 구매태도, 부정적 예기정서가 건강기능식품 구매열망에 영향을 주었으며, 구매열망은 건강기능식품 구매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식품안전인식은 건강기능식품 구매태도와 구매의도에 모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건강기능식품 친숙도는 건강기능식품 구매태도와 구매의도에 모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건강기능식품관련 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시 필요한 마케팅 전략 구축에 도움이 될 것이며, 국가적으로도 건강기능식품산업의 글로벌화 정책 추진에 실증적인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20-30대 소비자들의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효율적인 선택과 이용을 위해 건강기능식품 관련 정보제공과 소비자교육 실시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Economic growth and income level improvement have improved the quality of life of consumers, and the change of population structure and extension of life expectancy are raising interest in health and food., health functional foods that can supplement various functional nutrients more easily are showing steady growth trend in major markets in the world. In particular, demands for health foods in China are gradually growing with increases in disposable income and economic development and interest is also increasing recently in health functional food, which is allowing for disease prevention and reductions in medical costs after the recent COVID-19 situation. Also, health functional food is no longer consumed only by the middle-aged and the elderly but is now being highlighted as an essential product of those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showing that there will continuously be great demand in the future. Therefore, this study observed health functional food purchase intentions by applying the model of goal-directed behavior, expanded for Chinese consumers in their 20s-30s. In order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of purchasing health functional foods of consumers in their 20s and 30s, a survey was conducted on consumers in their 20s and 30s living in Beijing, China.,A total of 248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as a result of web surveys conducted through Chinese research companies for 15 days from April 28 to May 13, 2020., For data analysis, statistical processing was conducted using SPSS 24.0 program and AMOS 18.0 program. Research results showed first that, it was confirmed that perceived behavior control, purchasing attitudes, and negative expected emotions, which are variables of model of goal-directed behavior, have effects on health functional food purchasing desires and that purchasing desires have a positive effect on health functional food purchase intentions. Second, food safety perceptions have positive effects on health functional food purchasing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s. Lastly, health functional food familiarity had positive effects on both health functional food purchasing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s. This study will aid in the establishment of marketing strategies that are needed by health functional food-related businesses when they advance into global markets and nationally, it is anticipated to be used as empirical data in the promotion of globalization policies for the health functional food industry. In addition, it is intended to help provide information on health functional foods and provide consumer education for efficient selection and use of health functional foods of consumers in their 20s and 30s.

      • KCI등재후보

        EU 기계류 안전 지침(Machinery Directive 2006/42/EC)에 따른 기능 안전 설계/검증/평가 및 적합성 입증 방법론에 관한 문헌적 고찰- 토공기계 및 지게차 분야의 국제 표준 개발 동향을 중심으로 -

        백종희 표준인증안전학회 2019 표준인증안전학회지 Vol.9 No.2

        EU Machinery Directive 2006/42/EC, which is a representative safety regulation in the states of European Union, provides not only primary safety principle such as safety for fire and explosion, emergency stop, guard installation, FOPS, ROPS, TOPS, etc., but also functional safety related with hardware/software fault prevention, etc. On the other hand, in accordance with ISO/IEC Guide 51, standards for safety is categorized as A-type, B-type and C-type. Among the EU member states, these kinds of standards are adapted as European Standards and utilized as a reference to Conformity Assessment for the machinery manufacturers. Therefore, in this study, We will study the necessity of adaptation of functional safety design/ verification/validation process in accordance with EU Machinery Safety regulation and ISO 12100, ISO 13849, etc. We will also review the necessity of korean manufacturers’ self declaration of conformity with regards to the newly developed standard in ISO/TC 127 Earth-moving machinery and in ISO/TC 110 Industrial trucks such as fork-lift trucks for material handling. In addition, We will provide briefly, as a reference, the current C-type standard development status for determining Performance Level(PL) of wheel loaders, excavators and industrial trucks for material handling in order to obtain korean manufacturers’ technical capability for product development and mass production in accordance with functional safety design/verification/ validation process. 유럽 연합(EU)의 대표적 안전 규제인 기계류 안전 지침(Machinery Directive)에서는 화재․폭발, 비상 정지, 가드 설치, 전도․전복 방지 등의 일반 안전과 함께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결함․오류 방지 등 기능 안전에 대한 대응책 마련을 규정하고 있다. 한편, ISO/IEC Guide 51에서는 안전 관련 국제 표준을 A∼C-type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EU에서는 해당 표준을 유럽 지역 표준(EN 등)으로 부합화하고 관보에 게재함으로써 기계류 안전 지침에 대한 적합성을 입증할 수 있는 기준으로 활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계류 안전 지침과 ISO 12100 및 ISO 13849 등을 연계한 기계류의 기능 안전 설계/검증/평가 체계, 그리고 토공기계(ISO/TC 127) 및 지게차(ISO/TC 110) 분야의 최근 국제 표준 개발 동향을 중심으로 제조자 자기 적합성 선언 등에 관한 법령과 표준 관련 문헌의 검토․분석을 통해 국내 건설기계 산업계의 기능 안전 설계/검증/평가 대응 필요성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 KCI등재

        기능 안전 설계 목표 PLc∼PLd를 갖는 이동식 기계류의 소프트웨어 개발에 요구되는 대표적 시험 평가 항목의 도출 - 건설기계 및 농기계 분야의 국제 표준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백종희(Baek, JongHee) 표준인증안전학회 2021 표준인증안전학회지 Vol.11 No.2

        유럽 연합(EU)의 대표적 안전 규제인 기계류 안전 지침(Machinery Directive)에서는 화재․폭발, 비상 정지, 가드 설치, 전도․전복 방지 등의 일반 안전과 함께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결함․오류 방지 등 기능 안전에대한 대응책 마련을 규정하고 있으며, 이동식 기계류인 지게차, 굴착기, 로더와 같은 토공 기계 및 트랙터 등 농기계에 대해서는 B-type 안전 표준인 ISO 13849-1:2015의 4.6.2절, C-type 안전 표준인 ISO 19014-4:2020 및 ISO 25119-3:2018의 7절 등에서 기계류 안전 지침에 따른 개발 제품 적합성 입증을 위한 S/W 설계/개발및 시험 방법론을 제시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첫째로 기계류 안전 지침과 ISO 13849, ISO 19014 및 ISO 25119 등을 연계한 이동식 기계류의 기능 안전 설계/검증/평가 체계와 지게차, 토공기계 및 농기계의 기능 안전 설계 적용 S/W 개발 및 시험방법론의 주요 특징을 비교․검토하고 국내 건설기계 및 농기계 산업계의 대응 필요성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둘째로 기능 안전 프로세스에 따라서 설계 목표 PLc 또는 PLd를 갖는 기능 안전 설계 적용 대상 부품에 대하여 개념 설계 단계에서 요구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설계/개발에 대한 대표적 시험 평가 항목의 도출 사례를 간략하게 소개하고자 한다. 결과론적으로, 건설기계 및 농기계와 관련된 B-type, C-type 국제 표준의 비교․검토를 통해 설계 목표 PLc 또는 PLd를 갖는 소프트웨어 기능 안전 설계/평가의 주요 평가 항목을 정적 분석(static analysis) 또는 동적시험(white box-test 또는 black-box test)으로 구분하여 도출하였다. EU Machinery Directive 2006/42/EC, which is a representative safety regulation in the states of European Union, provides not only primary safety principle such as safety for fire and explosion, emergency stop, guard installation, FOPS, ROPS, TOPS, etc., but also functional safety related with hardware/software fault prevention, etc. In addition, for fork-lift industrial trucks, earth-moving machinery and agricultural machinery, which are all belongs to representative mobile machinery, software design/development and testing methods are provided at ISO 13849-1:2015, ISO 19014-4:2020 and ISO 25119-3:2018. Therefore, in this study, We will compare and review the key features of software development and test methods for applying functional safety designs for mobile machinery with the European Directive and standards such as ISO 13849, ISO 19104 and ISO 25119. In addition, for the purpose of applying functional safety designs in mobile machinery, we would like to briefly introduce the sample case of software design/development and test validation process that may be requested during the conceptual design phase for the SRP/CS belongs to performance level between PLc and PLd.

      • KCI등재

        기능성 물질에 대한 규제의 정비와 새로운 기능성 물질에 대한 보호의 강화

        선정원(Sun, Jeong Won) 행정법이론실무학회 2013 행정법연구 Vol.- No.36

        일반식품에 대한 유용성 표시는 2007년 식품위생법시행규칙 제6조 제2항 별표 3)의 개정부터 허용되었다. 기능성 물질과 유용성 물질은 그 성질상 어떤 차이가 있는지 불분명하고, 그 차이의 구별은 소비자에게는 매우 어렵다. 하지만 기능성 물질과 유용성 물질은 그 규제방식에 큰 차이가 존재한다. 기능성 물질은 기준과 규격을 사전 등록해야 식품에 포함시킬 수 있고, 유용성 물질은 일반 식품에 포함시켜 그것을 표시하여 판매하는데 아무런 사전규제가 없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동일한 기능성 물질을 일반 식품에 사용하면서 건강기능식품의 규제를 회피하는 일도 발생하고 있다. 또, 유사건강 식품들이 범람하고 있고 경제적 사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소비자들에게 판매되는 식품에 관한 정보도 신뢰성이 떨어지고 복용방법이나 부작용 등에 관한 정보도 충분히 제공되고 있지 않다. 이러한 문제점들 때문에 정부는 2012년 유용성 표시를 기능성 표시의 일종으로 통합하는 방향으로 현행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을 전면 수정하여, 가칭 ‘건강기능식품 및 기능성 표시ㆍ광고 등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겠다고 발표하였다. 이 글에서는 통일법에서 유용성 물질과 기능성 물질을 통합하여 규율할 때 규율의 방식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① 기존의 기능성 물질을 규격과 다르게 식품에 사용하는 것도 허용하되, 그 용어에 있어서는 혼란을 막기 위해 유용성이라는 표현은 버리고 기능성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도록 하고, 식품에 섭취량, 섭취방법 및 섭취시 주의사항 등을 표시하도록 하여야 한다. ② 규격에 적합한 것에 대해서는 ‘건강기능식품’의 마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비규격형은 ‘건강기능식품’의 마크는 할 수 없게 한다. ③ 고시형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기능성 물질을 식품에 사용하는 경우, 그것이 이미 시판중이거나 시판전이거나를 불문하고 새로운 물질로 보아, 개별인정형 건강기능식품과 동일한 인정절차를 밟아 사용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등록되지 않고 인정되지 않은 물질에 대한 기능성 표시나 유용성 표시는 허용되지 말아야 한다. 새로운 물질에 대한 지식재산권의 보호강화방안에 관해서도 다음과 같이 제안했다. ① 새로운 유용성 물질이라면 현재 시판중이거나 시판되고 있지 않고 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새로운 물질로 인정받은 경우에는 새로운 기능성 물질에서와 동일하게 일정 기간 배타적 독점권을 보장해야 한다. ② 현행법상으로는 개별인정형으로 인정받은 새로운 기능성 물질은 2년 동안의 배타적ㆍ독점적 권리를 부여받되, 2년의 보호기간이 끝나면 고시형으로 전환해 다른 사업자들이 신고만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새로운 물질의 개발자에 대해 비용의 회수가 가능하도록 보호기간을 2년에서 3년으로 늘릴 필요가 있다. ③ 이러한 성격의 배타적 독점권이외에도 새로운 물질의 판매자에게 일정 기간 동안(예, 2년) 건강기능식품 마크를 독점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보장하고 후발 참여자들은 단지 기능성 표시만을 가능하게 하는 보호방법을 추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Health Functional Food Act was enacted in August 2002 to promote the functional food industry and to ensure the safety of health functional foods. And then, by 2007 Food Sanitation Regulation(2007.1.1. made by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usefulness label on conventional foods has been generally approved, and this Regulation brought about great chaos and disorder to consumers. Health functional foods and conventional foods with usefulness label have similar definitions and functions, but, have different levels of regulation coming from the difference of the Act and the Regulation. Health functional foods can be made and soled, only when they meet the criteria and standards, which the Health Functional Food Act demands. The criteria and standards must be published. A new functional ingredient must be registered at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before making and selling it. Useful ingredients manufacturers do not have to prove the safety of their products before they enter the market, and nonetheless can express usefulness labels on their foods. In 2012, our government announced to make a new act, which regulates functional ingredients and useful ingredients integratively, in order to protect consumers from misbranded labels and remove market disorder. In this article, the author proposed, that the unified act must request to register all functional ingredients and useful ingredients before they enter the market. Conventional foods manufactures must be able to use functional ingredients differently from the criteria and standards of health functional foods. The new act must strengthen protec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bout a new functional ingredients.

      • 철도제어시스템의 기능안전성 확보를 위한 모델기반 기능위험원 식별

        정호전(Ho-Jeon Jung),김창원(Chang-Won Kim),이재천(Jae-Chon Lee) 한국철도학회 2017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7 No.05

        시스템에 전장품의 비율이 증가하면서 기능안전의 달성이 중요시되고 있다. 특히 전장품들이 시스템의 제어부에 많이 활용됨에 따라 안전확보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시스템의 기능안전의 달성을 위해 기능위험원의 식별 및 분석이 중요시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안전의 확보를 위한 시작점인 위험원 식별단계에서 모델을 활용한 위험원 식별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특히 기능안전의 확보가 필수적인 철도제어시스템에 대하여 기능위험원을 모델기반으로 식별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시스템의 설계과정에서 기능위험원 식별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Achieving functional safety is becoming more important as the proportion of electronic products in the system increases. Especially, the necessity of securing safety is increasing as electronic products are widely used in the control part of the system.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identify and analyze functional hazards in order to achieve functional safety of the system. In this paper, we have studied the identification of hazard using the model in the hazard identification stage which is the starting point for securing safety. In particular, we proposed a method to identify the functional hazard based on the model for the railway control system. This will enable the identification of functional hazards in the design process of the system more effectively.

      • KCI등재

        해양레저 활동자 관점에서 해양안전정책의 순기능과 역기능 분석 : 해양경찰 소관의 해양안전법률을 중심으로

        이우진,김석규 한국해양경찰학회 2020 한국해양경찰학회보 Vol.10 No.4

        본 연구는 해양레저활동자 관점에서 해양경찰이 소관하고 있는 해양안전정책(수 상레저안전법, 수상구조법, 연안사고예방법) 제도의 순기능과 역기능을 고찰하고, 이 를 바탕으로 해양안전정책의 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세부 방안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내러티브 연구 방법(Narrative Research)을 활용하여 법 률의 이해당사자 6인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고, 그들의 이야기(Story)를 분석함과 동 시에 객관적 문헌(정부보고서, 각종 문헌 자료)과 교차하여 확인한 다음 검증된 진실만을 담아 연구목적에 부합하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해양안전 정책의 순기능으로 첫째, 안전법률은 현장 안전관리가 부재했던 공간에 용어의 개념적 준거 와 안전수칙의 기준점을 정립하여 안전관리체계를 마련하였다. 둘째, 해당 법률에 근 거해 해양경찰은 컨트롤 타워역할을 수행하며 타 부처와 지자체로 하여금 해양안전 문화를 형성토록 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셋째, 장기적인 관점에서 해양안전에 관한 법률적 기반마련은 안전사각지대로 놓여 있던 영역을 국민적 관심의 대상으로 이끌 게 하는 순기능으로 작용 되었다. 다만, 행정적으로 안전관리 전략이 부족하여 1) 민 간협력 단절, 2) 수상인명구조원의 역량 감소, 3) 사업자의 경제적 손실 등의 역기능 의 문제점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해양레저활동자의 눈높이에서 현장 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per and adverse functions of the marine safety policy(Water-Related Leisure Activities Safety Act, Water-Related Leisure Rescue Law, Coastal Accident Prevention Law) under the jurisdiction of the maritime police from the perspective of marine leisure activists, and to provide methods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marine safety policy. To this end, six stakeholders of each law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in this research, and the study analyzed their stories and collected government reports and various literature materials. First of all,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he safety law provided a safety management system in the space where there was no on-site saftey management. Second, based on the relevant laws, the maritime police acted as a control tower and provided an opportunity for other ministries and local governments to form a marine safety culture. Thirdly, from a long-term perspective, the legal basis for marine safety has formed a proper function that leads the area that had been placed as a safety blind spot to the object of interest. However, it was analyzed that the lack of administrative safety management strategies resulted in adverse effects such as discontinuation of cooperation among some private organizations, reduction of capacity of water-related lifeguards, and economic loss of business operators.

      • 철도시스템 안전성 확보를 위한 시스템 설계와 안전성 활동의 통합에 관한 연구

        김창원(Chang-Won Kim),이재천(Jae-Chon Lee) 한국철도학회 2016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6 No.5

        시스템 설계 오류 등 여러 요인으로 사고가 발생했을 때, 인명과 재산상에 막대한 피해를 초래하는 시스템을 안전중시 시스템이라고 하는데, 대표적으로 철도, 자동차, 항공, 국방 분야의 대형복합 시스템들이 해당된다. 시스템의 복잡도가 증가하고 시스템의 무인화 운영 등으로 안전성 위해 요소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시스템의 안전성 확보는 매우 중요한 설계목표가 되고 있다. 따라서 안전성 분석 활동이 반영된 시스템 설계 프로세스, 방법론 및 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것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의 시스템 설계 프로세스와 안전 분석 프로세스에 대한 연구들을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이 결과를 기반으로 안전성이 확보된 철도시스템 개발에 필요한 시스템설계 활동과 안전성 분석 활동이 통합된 프로세스를 제시하였다. A class of systems are called safety-critical systems in which systems failure may result in accidents with serious damage on human being and properties. As such, safety assurance has been a big necessity in large-scale complex systems in a variety of domains such as rail, automotive, aerospace, and defense. Therefore, a successful development of complex systems with safety assured has created a special concern on how to incorporate safety requirements in the system design process. To discuss what are needed to meet such concern i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To do so, the relevant systems design processes and safety processes in a variety of domains are analyzed. The result is then utilized in the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process for the rail systems design with safety assured.

      • 건설기계 기능안전의 실무적 접근 및 표준화 동향

        엄정규(J. K. Um),김광석(G. S. Kim),이선호(S. H. Lee),오기쁨(K. P. Oh) 유공압건설기계학회 2020 유공압건설기계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0 No.12

        Functional safety is part of the safety related with E/E/PE safety related system and it must be achieved only when the safety control system is operated normally as intended demand. In addition, To achieve the functional safety, it need to high level of reliability and safety of the required safety control system. Recently, The importance of functional safety of E/E/PE system is getting growing. Thus, In this paper, we analysis ISO 13849-part 1 and ISO 19014 series standards that are one of the functional safety standards. And we describe functional safety design method according to these standards so that these standards can be applied Machinery and Earth Moving Machinery.

      • KUH 체계안전성 프로그램

        김대식,전승목,장재상,최관호,이승한 한국항공우주학회 2014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4 No.11

        항공기 개발에는 군용 및 민수용 항공기를 위한 두 개의 대표적 체계안전성 프로그램(혹은 프로세스)가 있다. 두 항공기 개발 프로그램에서 체계안전성을 적용하는 공통된 목적은 항공기에 요구되는 안전수준을 충족시키기 위해서이다. 그러나, 세부적으로 요구되는 안전성 수준, 적용되는 안전성 분석 기법, 통제하려는 관심분야, 그리고 충족하려는 요구도에는 다소 차이가 있다. 이런 차이가 발생되는 주된 원인은 항공기의 사용 목적에서 기인된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형기동헬기(KUH)에 적용된 체계안전성 프로그램 사례를 소개하고, 실 적용된 안전성 분석 및 평가기법 사례 검토를 통해 군용 및 민수용 헬기 체계안전성 프로그램의 차이점 및 공통점을 비교 연구한다. 이를 통하여 차기 소형무장헬기(LAH) 개발사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체계안전성 프로그램 방안을 제언한다. In the aircraft development, there are two representative system safety program(or processes) for the military and civil aircraft. The common reason to apply system safety for both aircraft development programs is to achieve required safety levels of aircrafts. However, the safety levels required, safety analysis methodologies applied, interesting areas covered and requirements fulfilled are slightly different in both programs in detail. The main reason of the difference is raised from the different purpose of aircraft use. This paper introduces the system safety program applied to the Korean Utility Helicopter(KUH) and, from the practical safety analysis and assessment methodology precedent review, it conducts comparison study for not only the difference but also the commonality between military and civil helicopter safety programs. From the study, it suggests the system safety program for efficient conducting of the next Korean Light Armed Helicopter(LAH) development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