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별 홍수피해추정을 위한 강우특성에 대한 홍수피해자료의 회귀모형

        임연택,최현일 한국습지학회 2020 한국습지학회지 Vol.22 No.4

        There are limitations to cope with flood damage by structural strategies alone because both frequency and intensity of floods are increasing due to climate change. Therefore, it is one of the necessary factors in the nonstructural countermeasures to collect and analyze historical flood damage records for the future flood damage assessments. In order to estimate flood damage costs in Gyeongsangbuk-do where severe flood damage occurs frequently due to geographical and climatic effects, this paper has performed the regression analysis on flood damage records over the past 20 years (1999-2018) by rainfall characteristics, which is one of the major causes of flood damage. This paper has then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rrain features and rainfall characteristics in the regional regression functions, and also estimated the flood damage risk for 100-year rainfall by using the regional regression functions presented for the 22 administrative districts in Gyeongsangbuk-do excluding Ulleung-gun. The flood damage assessment shows that the relatively high damage risk is estimated for county areas adjacent to the eastern coast in Gyeongsangbuk-do. The regional damage estimate functions in this paper are expected to be used as one of the nonstructural countermeasures to estimate flood damage risk for the design or forecasting rainfall data. 기후변화로 인해 홍수의 빈도와 강도가 증가하고 있으므로, 구조적인 방법만으로 홍수피해에 대처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장래 홍수피해 예측을 위해 과거 홍수피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것은 비구조적인 홍수대책으로 필요한 요소중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지리적, 기후적 영향으로 심각한 홍수피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경상북도 지역의 홍수피해추정을 위해, 홍수피해의 주요 발생원인 중 하나인 강우특성에 대한 최근 20년(1999-2018) 동안 홍수피해자료의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울릉군을 제외한 22개 경상북도 시군별로 제시된 지역회귀함수의 강우특성과 지형특징과의 관계를 분석하고, 각 시군의 100년 빈도 강우량에 대한 홍수피해 위험도를 추정하였다. 홍수피해 추정결과, 경상북도에서는동해안에 인접한 군지역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피해위험도가 예측되었다. 본 논문에서 개발된 지역 피해추정함수는 계획또는 예보 강우량에 대한 홍수피해 위험도를 산정하는 비구조적 대책 중 하나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Development of a flood-damage-based flood forecasting technique

        Lee, Eui Hoon,Kim, Joong Hoon Elsevier 2018 Journal of hydrology Vol.563 No.-

        <P><B>Abstract</B></P> <P>Flood forecasting is a pre-emptive non-structural measure used to mitigate inundation. Most current flood forecasting techniques incorporate complex processes, such as training and optimization, before the technique can be applied. Conventional flood forecasting techniques, based on flood volume, provide alerts even if there is no significant risk of flood damage. In this study, a new flood forecasting technique has been developed based on likely flood damage using the multi-dimensional flood damage analysis method. This new flood forecasting technique overcomes the drawbacks of current flood forecasting techniques because it can be easily applied using rainfall data. The studied drainage area was divided into subareas, and the damage functions were obtained for each subarea using the flood volumes and damage information. Using these damage functions, the rainfall intensity when the flood damage initially occurred was calculated for each duration and subarea. The damage graph produced for flood forecasting in each subarea identified the rainfall intensities and durations that resulted from the initial occurrence of flood damage. This new flood forecasting technique could be used to save lives, valuable assets, and manage drainage areas.</P> <P><B>Highlights</B></P> <P> <UL> <LI> Development of the new flood forecasting technique based on flood damage in urban areas. </LI> <LI> Generation of damage graphs in each subarea by damage functions between flood volumes and damages. </LI> <LI> Conversion from flood volumes per minute to flood damage per minute. </LI> <LI> Determination of the initial flood damage rainfall amount for each rainfall duration. </LI> <LI> Application of a historical rainfall event to the new flood forecasting technique. </LI> </UL> </P>

      • KCI등재

        우리나라의 지역별 홍수피해 특성을 고려한 홍수피해 취약성 평가

        이민우,김태웅,문건우 한국방재학회 2013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3 No.4

        In this study, flood damage characteristics were classified by analyzing relationships of different types of flood damage with extreme rainfall. The Flood Damage Vulnerability Index (FDVI) was proposed considering regional flood damage characteristics in South Korea. The FDVI was calculated by averaging Flood Damage Vulnerability Rating (FDVr). The FDVr was determined based on the classification flood damage characteristics through introducing the sensitivity and adaptation capacity over the flood damage. The sensitivity is a hydrometeorological indicator which represents the scale of influence over the flood damage, whereas the adaptation capacity is an indicator of geographical, social and economic ability which represents the scale of defensive ability over flood damage. Using the FDVI, this study evaluated the flood damage vulnerability for 228 administrative districts in South Korea. In order to analyze the variability of flood damage vulnerability, the data period were divided into 1970s, 1980s, 1990s and 2000s. The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 of flood damage vulnerability were also analyzed by constructing the FDVI map. The results show that the flood damage vulnerability was changed regionally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The recent highest flood damage vulnerability area was Gangwon-do. The FDVI would be utilized as a basic data for planning more rational countermeasures of preparation, response and restoration of flood damage. 본 연구에서는 극한강우사상과 유형별 홍수피해와의 관계분석을 통하여 홍수피해 특성을 구분하였으며 이를 고려한 지역별 홍수피해 취약성을 평가할 수 있는 홍수피해 취약성 지수(Flood Damage Vulnerability, FDVI)를 제안하였다. 홍수피해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나타내는 민감도(Sensitivity) 지표로서 기상·수문학적 지표와 홍수피해의 방어능력 부족을 나타내는 적응능력(Adaptation Capacity) 지표로서 지형·사회·경제적 피해지표들과의 관계분석를 통한 홍수피해 특성을 분석한 후, 홍수피해 특성에 대한 홍수피해 취약성 등급의 평균하여 홍수피해 취약성 지수를 산정하였다. 이 지수를 적용하여 우리나라 228개의 시군구의 홍수피해 취약성을 평가하였으며, 1970년대,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로 자료기간을 구분하여 과거부터 현재까지의홍수피해 취약성을 지도로 나타내어 변화 추이를 시·공간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홍수피해 취약성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지역적으로 변동을 나타내고 있으며, 최근의 홍수피해 취약성이 가장 높은 지역은 강원도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홍수피해 취약성 지수는 홍수피해에 대한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대비·대응·복구 대책을 수립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지역회귀분석을 이용한 홍수피해위험도 산정

        장옥재,김영오 한국방재학회 2009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9 No.4

        오늘날 재해의 위험으로부터 안전하게 살고자 하는 대중들의 욕구는 증가하고 있지만 최근의 기후변화와 이상홍수의 사례에서 볼 때 현재 우리가 처해 있는 자연재해로부터의 위협은 과거와는 상이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렇게 변화하는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우리가 노출된 재해의 특성을 평가하는 과정이 선행되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회귀분석을 적용하여 가능 피해금액을 추산하고, 이를 통해 각 지역별 홍수위험도를 평가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홍수로 인한 피해는 인명이나 재산피해가 주를 이루기 때문에 홍수 위험도평가 결과도 홍수에 취약한 인명이나 재산으로 표현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된다. 지역회귀분석은 강우-유출모형이나 확률분포모형의 매개변수들을 유역특성인자들로 표현하기 위해 수문학(水文學)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어져 왔으며 본 연구에서는 이 방법을 홍수 피해금액 추정에 응용하였다. 지역회귀방법의 절차로는 먼저 계측지역(과거 홍수 피해금액 자료가 충분한 지역)에서는 홍수 피해금액과 시강우량 자료를 바탕으로 비선형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다음으로 이 회귀식의 계수를 다시 해당 지역의 인문 · 사회 경제학적 인자들로 표현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지역적 인자들이 홍수 피해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었으며 궁극적으로 미계측지역(과거 자료가 충분하지 않은 지역)에서도 지역적 인자들을 통해 특정 빈도에 발생 가능한 홍수 피해금액을 추정할 수 있었다. 또한 추정된 홍수 피해금액과 지역 총 자산의 비를 Flood Vulnerability Index (FVI)라 하였으며 이를 통해 특정빈도 강우로 인해 도시 내에서 피해를 입을 수 있는 재산의 범위를 추정하고, 홍수위험지도로도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를 수자원장기종합계획에서 홍수위험도 평가를 위해 사용된 홍수피해잠재능(Potential Flood Damage; PFD)과 비교해 보면 PFD에서는 각 인자들의 가중치 산정에서 전문가의 오판이 부분적으로 개입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었으나 지역회귀에 근거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극복할 수 있었다. 또한 FVI는 과거 재해피해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지만 PFD는 실제 지역별 취약도를 잘 반영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lthough desire for living without hazardous damages grows these days, threats from natural disasters which we are currently exposed to are quiet different from what we have experienced. To cope with this changing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assess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tural disasters. Therefore,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a methodology to estimate the potential property loss and assess the flood risk using a regional regression analysis. Since the flood damage mainly consists of loss of lives and property damages, it is reasonable to express the results of a flood risk assessment with the loss of lives and the property damages that are vulnerable to flood. The regional regression analysis has been commonly used to find relationships between regional characteristics of a watershed and parameters of rainfall-runoff models or probability distribution models. In our research, however, this method is applied to estimate the potential flood damage as follows; 1) a nonlinear model between the flood damage and the hourly rainfall is found in gauged regions which have sufficient damage and rainfall data, and 2) a regression model is developed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efficients of the nonlinear models and socio-economic indicators in the gauged regions. This method enables us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impact of the regional indicators on the flood damage and to estimate the damage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regional regression model to ungauged regions which do not have sufficient data. Moreover, the flood risk map is developed by Flood Vulnerability Index (FVI) which is equal to the ratio of the estimated flood damage to the total regional property. Comparing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ith Potential Flood Damage (PFD) reported in the Long-term Korea National Water Resources Plan, the exports' mistaken opinions could affect the weighting procedure of PFD, but the proposed approach based on the regional regression would overcome the drawback of PFD. It was found that FVI is highly correlated with the past damage, while PFD does not reflect the regional vulnerabilities.

      • KCI등재

        건물군 인벤토리가 고려된 다차원법을 활용한 홍수피해액 산정

        이석호,이석호,김길호,김병식 한국방재학회 2018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8 No.7

        As a result of recent climate change, flood damage originating from local floods and typhoons has become more frequent, costing many lives and damaging property. Especially in city centers, a large amount of damage can occur due to inundation caused by river flooding. In this study, flood damage area was calculated using the Flo-2D flood inundation model, and the estimated flood damage was calculated using multi-dimensional flood damage analysis. In general, the flood damage rate can be calculated using the area ratio according to the land use in the affected administrative district. However, in this study the flood damage rate was calculated using the flood damage rate proposed in the multi-dimensional flood damage analysis. The estimated flood damage as a function of return period were estimated using the estimated flood damage rate. The flood damage rate estimated using the area ratio was estimated to be at least 51% with a maximum 75% lower than the flood damage rate estimated using the building group, and the total damage was underestimated when the area ratio was us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imate damages using building inventories presented in the multidimensional law for residential and industrial areas.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국지성 집중호우 및 태풍으로 제내지 침수로 인한 홍수피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많은 인명피해와 재산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도심지에서 하천의 범람으로 인한 침수로 많은 피해액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심을 흐르는 도시하천인 원주천유역을 대상으로 홍수범람모형인 Flo-2D모형을 이용하여 홍수피해면적을 산정하였으며 다차원법을 이용한 피해액 산정방법을 통하여 빈도별 예상홍수피해액을 산정하였다. 일반적으로 행정구역상 토지이용에 따른 면적비를 이용하여 침수편입률을 산정하나 본 연구에서는 다차원법에서 제시하는 침수편입률 산정방법을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산정 결과 면적비를 이용한 편입률이 건물군을 이용한 편입률 보다 최소 51%, 최대 75% 낮게 산정되었으며 면적비를 이용하였을 때 과소 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차원법을 이용한 피해액 분석시 주거, 산업의 경우 다차원법에서 제시되고 있는 건물군을 이용하여 피해액을 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레이더 위성영상을 활용한 침수피해 지역 파악 및 완화방안 연구

        이명진 ( Moung Jin Lee ),명수정 ( Soo Jeong Myeong ),전성우 ( Seong Woo Jeon ),원중선 ( Joong Sun Won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9 환경정책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레이더 위성영상을 활용한 침수피해 지역 파악 및 그 완화방안의 도출을 위해 실제 침수지역을 대상으로 레이더 위성 영상의 침수피해에의 활용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시계열 레이더 위성영상 자료를 활용하여 홍수에 취약한 침수 지역을 추출하고, 동일지역의 토지이용도에 대한 GIS 중첩분석을 통하여 토지이용 현황별 침수피해를 분석하였다. 사례 분석지역의 경우 침수피해가 심한 토지이용 형태는 농경지와 숲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레이더 위성영상을 활용하여 구축 가능한 침수피해 지도를 바탕으로 침수피해 완화를 위한 대응정책도 함께 논의하였다. 침수가 발생할 경우 긴급복구와 같은 위기대응적 접근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도 침수피해 지도와 같은 자료를 기반으로 위험한 지역에 건물의 입지를 제한하는 등 상습 침수피해 지역이 개발되지 않도록 예방적 차원에서의 토지이용적 접근을 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안은 레이더 위성 영상의 환경 분야 활용과 침수피해를 최소화하는 방안의 일부이며, 레이더 위성영상은 대규모 홍수와 같은 재해문제 이외에도 다양한 환경 분야에 있어 활용잠재력이 높으므로 향후 다양한 지역을 대상으로 레이더 위성영상을 여러 환경문제에 적용하는 연구가 계속되어야할 것이다. This study applied satellite radar imagery to identify flooded areas and examined post-flooding conditions using time-series satellite radar imagery for the development of flood damage mitigation strategies. Using time-series satellite radar images, this study constructed a map delineating areas vulnerable to frequent flood damage. The extracted flooded areas were combined with reference land use maps to examine flood damage by land use type. Major landuse types with severe flood damage were agricultural and forested areas. The analysis of the damage conditions, in terms of land use, served as the basis for developing flood damage mitigation policies, in conjunction with land use planning. The policies for flood damage mitigation can be summarized as land use regulations, land use planning, and flood damage mapping. A preventive measure to minimize flood damage of properties, which regulates developing areas with high flooding potential, is highly recommended. Although this study suggested a number of policies for flood damage mitigation, they represent only a small number of possible policies useful for mitigating flood damage and other environmental problems. Based up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may be concluded that satellite radar imagery has great potential in providing basic data for large-scale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flooding and oil spills. Nevertheless, further examinations should be conducted and the application of satellite radar imagery should be used to examine other environmental problems.

      • 극한강우 및 홍수피해 인과관계 평가: 충청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바실아델러둔 ( Bashir Adelodun ),골든오데이 ( Golden Odey ),쿠두스아데이 ( Qudus Adeyi ),최경숙 ( Kyung Sook Choi ) 한국농공학회 2023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3 No.0

        Flood, one of the major natural disasters responsible for direct economic damage in South Korea, has become an increasing event in recent times. Driven by climate change, precipitation extremes play a significant role on the flood damage and its further increase will exacerbate the socioeconomic impact in the country. However, the empirical evidence linking precipitation extremes to the historical flood damage is limited. Thus, understanding the causal link between extreme precipitation characteristics and flood damage are critical to provide important policies on preparedness and adaptation strategies to mitigate the disasters associated with flood events. The spatial and temporal changes of precipitation extremes from 10 synoptic stations based on daily precipitation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ClimPACT2 tool and Mann-Kendall test. The four precipitation extreme indices consisting of consecutive wet days (CWD), number of very heavy precipitation wet days (R30 mm), maximum 1-day precipitation amount (Rx1day), and simple daily precipitation intensity (SDII), which represent changes in intensity, frequency, and duration, respectively, and the time series data on flooded area and flood damage from 1985 to 2020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causal relationship in the ARDL-ECM framework and pairwise Granger causality analysis. The trend results showed that majority of the precipitation indices indicated positive trends, however, CWD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ARDL-ECM framework showed that there was a long-run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Further analysis on the empirical results showed that flooded area and Rx1day have significant positive impacts on the flood damage in both short and long-runs while R30 mm only indicated significant positive impact in the short-run, both in the current period, which implies that an increase in flooded area, Rx1day, and R30 mm will cause an increase in the flood damage. The pairwise Granger analysis showed unidirectional causality from the flooded area, R30 mm, Rx1day, and SDII to flood damage. Thus, these precipitation indices could be useful as indicators of pluvial flood damage in Chungcheong region.

      • KCI등재

        피해자료 및 현장조사를 통한 공공건물 침수 손상함수 개발

        이창희,김상호,황신범 한국방재학회 2019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9 No.6

        홍수에 대한 피해평가는 홍수 위험 관리를 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요소다. 홍수 피해를 추정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침수심별 손상함수가 사용된다. 미국, 유럽, 일본 등 주요 선진국에서는 과거의 홍수피해에 대한 분석과 전문가의 판단에 근거하여 침수심별 손상함수를 이용한 홍수 피해 추정 모형을 개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손상함수는 개발된 지역 데이터를 기반으로 만들어 졌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서는 이를 그대로 적용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공공건물에 대해서 우리나라의 실제 피해 데이터를 활용하여 손상함수를 개발하였다. 공제회로부터 획득한 각종 사고데이터와 현장조사에 의한 침수심 등을 이용하여 공공건물 건물유형별로 손상률을 산정하였다. 손상함수는 침수 피해에 따른 홍수피해액 추정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홍수피해저감 대책에 대한 비용대비 효과분석에 활용될 수 있다. Flood damage assessment is an important factor in flood risk management. Flood depth damage functions are commonly used to estimate flood damage. Major developed countries such as the US, Japan, and those of Europe have developed flood damage estimation models based on damage analyses of past flood cases as well as the judgment of flood experts. However, such damage procedures are not applicable to Korea, because they are based on data from regions in other developed countries.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developed damage functions using actual damage data from public buildings in Korea. Damage rates were calculated for each type of public building by utilizing various damage data obtained from the mutual aid association and the building register, and data on the depth of flooding, obtained through field surveys. The damage function can then be used to analyze the cost-effectiveness of flood damage reduction measures.

      • KCI등재

        홍수취약성과 홍수피해잠재능을 이용한 도시지역 평가비교

        김응석(Eungseok Kim),이승현(Seunghyun Lee ) 한국방재학회 2022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2 No.5

        최근 기후변화와 급격한 도시화, 빈번히 발생되는 게릴라성 집중호우로 인해 도시 홍수피해가 급증하고 있다. 따라서 도시지역의홍수와 관련되어 효과적인 정책수립에 필요한 정량적인 홍수 피해분석 기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지역을 대상으로홍수피해 정도를 분석하는 대표적인 방법인 홍수취약성 방법과 홍수피해잠재능(PFD) 방법을 적용 하였다. 또한, 홍수방어시설용량-피해(PCD) 매트릭스 기법을 이용하여 각 분석 방법별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PCD 매트릭스 기법은 기존의 홍수방어시설이 많이 건설되어 있어도 관리 미흡 또는 설계강우 이상의 호우가 발생시에는 홍수피해가 클 수 있다는 것을 직관적으로보여주는 기법이다. 기존의 홍수피해 기법 2개를 적용한 결과에서는 서초구는 재정자립도가 높고 홍수피해 방어시설물이많은 구축되어 있어서 홍수취약성이 낮은 것으로 산정되었다. 그러나 PCD 매트릭스를 적용한 결과에서 서초구는 홍수취약성이높게 분류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상반된 결과에서 보듯이 홍수방어 정책 수립시에는 보다 세밀한 검토 및 분석이 필요할것으로 판단되었다. Recently, urban flood damage has rapidly increased due to climate change, rapid urbanization, and frequent guerrilla heavy rains. Therefore, a quantitative flood damage analysis technique is required for effective policy regarding flooding in urban areas. In this study, the flood vulnerability and potential flood damage (PFD) methods, which are representative methods for analyzing the degree of flood damage in urban areas, were applied. In addition, the results of each analysis method were compared and analyzed using the flood prevention capacity-damage (PCD) matrix technique, which intuitively shows that even if many existing flood protection facilities are built, flood damage can be large when there is insufficient management or heavy rainfall exceeding the design rainfall occurs. The two existing flood damage techniques estimated Seocho-gu to have low flood vulnerability due to high financial independence and many flood damage protection facilities. However, application of the PCD matrix resulted in classifying Seocho-gu as highly vulnerable to flooding. These conflicting results thus demonstrate that a more detailed review and analysis are necessary when establishing a flood protection policy.

      • KCI등재

        Review of the Economic Evaluation Method for Flood Damage

        Kim Sang-Ho(김상호),Kim So-Hyoung(김소형) 글로벌경영학회 2018 글로벌경영학회지 Vol.15 No.1

        홍수 피해에 대한 경제적 분석은 이공과대학에서 많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자연재해에 따른 피해액을 계산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경제학적 통계모형, 수익-비용 분석방법, 산업별 의존성에 따른 비용 추정 등 공동으로 연구할 부분이 많다. 본 논문은 이러한 필요성에 의해 홍수피해에 국한하여 피해액을 계산할 수 있는 다양한 변수가 어떤 것이 있는지를 해외에서 연구된 기존 문헌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첫째, 홍수로 인해 직접적 경제피해액에 대한 연구를 진행한 기존문헌을 정리하였다. 홍수로 인한 직접적 경제피해액은 경제적 자산의 중요성, 타지역 경제 흐름과 연관성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변수를 이용하여 추정하여 연구가 이루어 졌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각 연구자들의 홍수피해에 따른 경제적 요인 그룹을 정리하였고, 연구자별로 추정할 수 있는 데이터가 어떤 것이 있는지 정리하였다. 물론 이러한 데이터 자료 수집 및 이를 우리나라 연구에서 어느 정도 적용되었는지에 연구도 향후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셋째, 홍수피해에 따른 간접 피해액을 계산하는 방식을 4가지 경제적 모델을 이용한 방법과 기타 방법으로 나누어 각각의 장단덤을 살펴보았다. 특히 간접피해액에 대해서는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자료수집의 방대함, 간접피해액의 정의 등의 문제로 인해 간과되어지고 있는데 향후 이러한 연구가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주제와 관련하여 해외에서는 홍수피해에 직접 피해액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져 왔고 다양한 방법을 추정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간접 피해액의 경우에는 데이터 수집이 어렵다는 이유로 인해 간과되어지고 있다. 하지만 현대 사회에서 각 경제적 자산이 연결되어 있고 의존성이높기 때문에 직접 피해액 만큼이나 간접 피해액도 중요하게 연구되어져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은 해외연구를 중심으로 정리되었지만, 향후 국내 연구에 대한 문헌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various variables that can calculate the amount of damages due to flood damage due to this necessity through the previous research. First, the existing literature on direct economic damages due to floods was reviewed. Second, we summarize economic factors according to the flood damage of each researcher, and summarize what data can be estimated for each researcher. Third, the method of calculating indirect damages due to flood damage is divided into economic model and other methods. In other methods, there was a method of calculating the indirect damage amount of the flood damage by a scorecard according to the vulnerability of each asset, and a method of calculating each alternative situation by an algorithm. In the review of this paper, many studies on direct damage to flood damage have been done and various methods have been estimated. However, indirect damages are overlooked because data collection is difficult. However, in modern society, since each economic asset is connected and dependency is high, the amount of indirect damage should be studied as much as the amount of direct dam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